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Starting anew with the Left Bloc

Starting anew with the Left Bloc

Alda Sousa, Jorge Costa

http://www.internationalviewpoint.org/spip.php?article2560

 

This article was first published in the book "New Parties of the Left: Experiences from Europe" from Resistance Books in 2011.

 

Starting anew

This chapter does not aim to be a political or social essay on the history of the Bloco de Esquerda (Left Bloc). Neither is it a journalistic account or report. Both authors are founding members of the Left Bloc and have belonged to its leadership from the start. We are in fact an active part of this story: the way we look at and write about 12 years of existence of the Left Bloc comes from our personal commitment.

We accepted the challenge proposed by the editors. In the last 12 years several articles have been written on the Left Bloc or by Left Bloc members in various anticapitalist newspapers, mainly in Europe.

However, with this chapter, we present further information which allows the reader to get a clearer picture of how and in which political climate the Bloc was founded and how it has developed. Why was the decision taken to launch a new organisation instead of an alliance or coalition? How was it done? How did the former organizations relate to this process? Did they fuse in the Left Bloc? How do you become a member? How are the leaderships elected? Who chooses the comrades who will eventually become MPs or councillors if they are elected? What does our parliamentary work look like? How do we use our strong presence in Parliament? What does our political and social work outside Parliament look like? Do we define ourselves as anticapitalist s? How do we relate to other political forces on the left? Are we clear about forming a into government with social democracy or not? Which were the major and more difficult choices the Left Bloc had to face?

Actually, these are some of the core questions which both of us have been asked over the years when talking to members of other European anticapitalist organizations.

A success so far.... very much due to the initial choices

From the start, and especially after, or just before, another success of the Left Bloc, many political commentators, journalists and politicians from other groups have predicted and announced its imminent demise. The “caviar left”, the “impossible union between Trotskyists and Maoists”, a bunch of “trendy intellectuals aside from social reality”, were some of the epithets we have been awarded. When the Left Bloc won 3% of the votes some commentators predicted that it had reached a peak from which it could only fall. But the Left Bloc continued to grow, to 6.8% and 10%. Not only did the Left Bloc not disappear, it became an inescapable political force which changed the political landscape. It has became a party that counts, able to prove in practice that we are not doomed to be smashed by neo-liberal capitalism and that some small victories are possible even in the context of a fierce capitalist offensive.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in a defensive period, since it is important to show that struggle pays. Today it is impossible to imagine Portuguese politics without the Left Bloc. As to the criticism of being just a bunch of trendy intellectuals (as opposed to the Communist Party who is supposed to be “the” working class party, even for right wing commentators), one just has to attend any of our national conferences or public meetings, to realize how plural and diverse the Left Bloc is in terms of jobs, culture, generation, political experience.

People of all ages, retired, casually employed youth, unemployed, service workers, factory workers, rural workers, intellectuals, university teachers, students, immigrants, people who lived underground or left the country before 1974 and people for whom the Left Bloc is the first politically organized militancy, the Left Bloc has many colours.

Nearly 12 years after its foundation, we are convinced that the “key” to the success of the Bloc rests on the initial decision to set up a new party, instead of a coalition or an alliance of forces. This new party was not founded on the basis of historical or programmatic affinities and a priori ideological cohesion, but rather on a common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current global political situation, the role of capitalism and imperialism and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political confrontations which would shape our activity.

The possibility of building this regroupment in a very defensive situation, with people from different political origins and traditions, implied that we had to be able to formulate concrete political proposals and to have an impact on society. That is why started by discussing not a programme of historical reference, but a programme of political intervention.

One of the consequences of this decision was, over the years, the building of a new and strong political leadership.

The workers’ movement and the Portuguese political parties

It may b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hanges that the Left Bloc brought about without setting it in the context of Portuguese society and its specific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The Portuguese bourgeoisie had been weak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compared to other European ones. The late industrialization of the country gave rise to a working class which was still embryonic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1910 the monarchy was overthrown and the Republic installed.

From 1910 to 1926 (when the fascist coup took place), the major current within the workers’ movement was the anarchists. Their newspaper “A Batalha” (The Battle) was the most read paper in the country. The Socialist Party (SP), social-democrats linked to the Second International, was already weak. After agreeing with the decision of Portugal to enter the First World War, their credibility declined to the point that they virtually disappeared, only re-emerging as an organization again in 1973, a year before the fall of the dictatorship. Today the SP is a quite inorganic force within the labour movement, in spite of the number of votes it gets among sectors of the working class and the poor.

The Communist Party (CP) was founded in 1921. It was not, as in most countries, a split from social democracy, but rather a convergence of anarchists, anarcho-syndicalists and other sectors of the working class. In fact the CP was the only political force to survive the strong and severe repression that the dictatorship imposed on the working class, intellectuals and society as a whole after 1926, although later some other organizations were created under dictatorship.

In the mid 1940s, the CP adopted a strategy of entering the national trade unions created by the Salazar regime. To some extent it proved to be useful, as they were able to influence the leaderships and call for some strikes in very difficult repressive conditions. A large confederation of trade-unions, the CGTP-Intersindical, was created in 1970, when the regime had somewhat softened.

Together with the prestige of the CP leaders (who endured many years of prison, torture, and of living underground), this has allowed the CP to have control of the organized workers movement when the dictatorship was overthrown in 1974 and thereafter. This partially explains why the workers’ movement, dismembered by the repression and without a public existence, was not able to stand autonomously. Moreover, even during the pre-revolutionary years of 1974/5, only a minority of advanced workers raised the question of taking power.

The working class and the left parties at the fall of the dictatorship

25th April 1974 marked the end of a 48 year dictatorship and the start of a pre-revolutionary process which was to last until November 1975. On 30 April Álvaro Cunhal (the CP General Secretary) returned from his long exile in the former USSR and Mário Soares (the SP leader) comes back from Paris. A huge crowd greets them as their trains arrive at Lisbon Central Station. 1st May 1974 saw the largest ever demonstration in Portugal, 1.5 million people gathering at a football stadium with the two leaders side by side speaking to the crowd.

Of all the organizations that became open and legal after April 1974, the CP was obviously the largest and best organized. But other organizations, especially with a Maoist origin (coming from a 1964 split of the CP, following the impact of the Sino-Soviet conflict), were also very important. União Democrática Popular (UDP) had, at one time, several thousand members and managed to elect one MP in Lisbon on several occasions (in 1975 for the Constituent Assembly, in 1976 for the first elected Parliament and again in 1979). Also organisations like Movement of the Socialist Left (MES), with its origins among Left Catholics, students and intellectuals, played an important role against the colonial war before 1974. The Proletarian Revolutionary Party (PRP) was a split from the CP who turned into armed struggle in last years of dictatorship. The Communist Internationalist League (LCI), the Portuguese section of the Fourth International, was founded only a few months before April 1974 but it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at period, not only in its mistrust of the large alliance of classes with the military advocated by the CP but also in contributing to an independent organisation of workers and of the soldiers. Soldados Unidos Vencerão (United Soldiers will Win) (SUV) were very much influenced by the LCI who later became the Partido Socialista Revolucionário (PSR) in 1979.

In May 1974, Ernest Mandel was the invited speaker at a very large meeting held in Lisbon, called by several organisations besides the LCI. The question of independence of the former colonies was key.

However, with the normalisation following November 1975 most of these organisations collapsed or were incapable of resisting the capitalist offensive that followed. Some, like MES, even dissolved into a large talking shop. The UDP and PSR were the organisations most able to fight back and resist. Even though that first experience was not very successful, the UDP and PSR made an electoral coalition in 1983 in Lisbon and Porto.

Throughout the 1980s the PSR was engaged in several important activities like feminist work, student work against the fees, anti-racist work, anti-militarist work (for which we paid with the murder of José Carvalho, one of our leaders, by a band of skinheads in 1989). The end of the 1980s and 1990s were also marked by several experiences of opening up and relating to other currents and individuals. In 1987, Combate, formerly the PSR monthly newspaper, turned into a much wider project where several journalists and intellectuals formed the majority of editorial board although they were not members of the PSR. That allowed for a much wider audience and the collaboration of different sectors of the Left who were certainly not prepared to join the PSR but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se years of resistance and strong debate.

In 1991 an important group left or was expelled from the CP. While some of them quickly joined the SP, others, like Miguel Portas, were to set up a new group called Política XXI. By the end of 1997, the PSR and Política XXI formed a coalition in the local elections in Lisbon and Porto.

The question of abortion: from a taboo to the 1998 referendum

The 1886 Portuguese Penal Code considered abortion a crime and women could be sentenced to from two to eight years in prison. In 1974, some small but radical women’s groups raised the question of legalizing abortion. A small group of doctors even organized a clinic where early abortions could be performed within a safe setting. This clinic was to be closed later on, during the normalization years. The LCI was the first political force to also stand for abortion rights. But as late as 1978, several years after the fall of the dictatorship and when abortion was already legal in many European countries, the CP claimed that it was not a question felt by working-class women who, according to them, were only worried about the rise in the cost of living and not interested in abortion rights.

In 1979, the National Abortion and Contraception Campaign (CNAC) was set up, petitioning for a change in the law. Later that year, Maria Antónia Palla, a journalist, was taken to court and was accused of incitement to abortion, because she had produced a TV programme on backstreet abortion in 1976! In the same year, Conceição Massano, a young woman from a village in Alentejo, was denounced by a neighbour who had read her diary where she had written about an earlier experience of abortion. The solidarity movement was so strong that none of the judges convicted them.

Only in 1984 did the law make its first change, proposed by the SP: abortion became legal in case of rape, where the mother’s health was really in danger (up to 12 weeks of pregnancy) or in case of malformation of the foetus (up to 24 weeks). In all other cases, that is, when a woman decided to terminate a pregnancy because she did not want to have that child, abortion remained forbidden; the penalty also changed, reduced to up to three years of imprisonment.

In 1998 the SP was in government with a relative majority in Parliament. A group of young socialist MPs introduced a bill to decriminalise abortion on demand up to 12 weeks of pregnancy. It was passed by three votes. Under the pressure of the conservatives, and being himself quite conservative on this issue, the Prime Minister António Guterres proposed a referendum on “Do you agree with decriminalising abortion when requested by women, up to ten weeks into pregnancy, and performed in an authorised health institution?”

It was held on 28 June 1998: only 31.9% voted, a massive abstention for Portuguese standards: the NO result had an extremely narrow victory, 50.07% to 48.28% who voted YES. So, the penal code which criminalised abortion, with the threat of up to three years in jail, did not change then. It had to wait until the new referendum which took place in 2007.

The aftermath of the referendum and the founding of the Left Bloc

Profound defeats often contribute to the dismantling of political organizations. But they may also be an opportunity to learn from its lessons and to build new alternatives. That is precisely what happened in Portugal after the first referendum on abortion, which came in a period of political retreat, after an accumulation of right wing offensives and a series of defeats for the working class.

Most of the present leaders of the Left Bloc as well as many members of the three founding organizations were then engaged in the campaign, either in their former party’s campaign or in a broad umbrella movement which campaigned for decriminalisation, together with feminists, members of the CP and members of the SP (very divided internally on that question). The broad pro-choice movement did not really have a strategy to win. It both underestimated the offensive of the Catholic Church and of the right while making its campaign too self-confident.

The weakness of the radical left then became more apparent, leading to debates within each of the three organisations that later founded the Left Bloc. What is the value of a left organisation if we are neither able to stop the attacks of the ruling class nor to win a referendum on abortion?

It was Luís Fazenda, at the time the General Secretary of UDP, who took the initiative to contact first Fernando Rosas, a well-known and respected historian, a former CP militant and a former leader of the Movimento Reorganizativo do Partido do Proletariado (MRPP) who became a fellow traveller of the PSR in the 1980s. He then contacted Francisco Louçã who contacted Miguel Portas from Política XXI. In a video produced at the Left Bloc’s tenth anniversary, Fernando Rosas recalls his first meeting with Fazenda: “His idea was very clearly to go forward in creating a new political project, not just an electoral coalition”. The four of them started to meet regularly to discuss their analysis of capitalism, imperialism, the political forces in Portugal and the political answers that were so badly needed.

At a later stage, meetings took place not just among the four of them but of delegations from each of the three organisations and also some independents who became very enthusiastic about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larger left platform. When a quite broad political agreement was reached, the next difficult decision was whether to create just an electoral coalition or an alliance or else to found a new party

Founding a quite unorthodox new party

After several months of meetings it became clear that an electoral coalition or an alliance would show little ambition. It would have been too short a project leaving many left militants with the impression that they were together just to secure seats in Parliament and not necessarily to make the much needed changes.

This proved to be right. The fact that the Left Bloc was set up as a new party made it possible for many activists from the left -trade-unionists, members of workers’ committees, feminists, ecologists, activists from other social movements, along with many well-known left intellectuals, to take part in the process. So we brought together very different traditions, coming from the CP, Maoist or revolutionary Marxist (Trotskyist) currents, as well as people from independent social movements.

At the end of 1998, start of 1999, each of the three organisations held a conference to explicitly discuss and vote on the question of making just an electoral coalition or launching a new party. Although at each conference there were militants who just wanted a coalition, the vast majority of delegates voted enthusiastically for the proposal of setting up a new party.

The Left Bloc was deliberately not a homogeneous political force with a defined ideological profile. Besides being a pluralist organization, its definition stemmed more from the concrete needs of intervention, the political confrontations that were bound to shape our activity than from an a priori ideological cohesion. So, the appeal that brought together the founding members of the Left Bloc was at the same time vague and very ambitious.

Bloco de Esquerda foundation: the appeal “Starting Anew” (1999)

“Bloco takes over the great traditions of popular struggle in the country, learning from other experiences and challenges. Bloco renews the legacy of Socialism and incorporates the convergent contributions of several citizens, powers and movements that have throughout the years been engaged in searching for alternatives to capitalism. This is the starting point to build a popular, plural, effective, influential and militant Left able to rebuild Hope.”

Between February and April 1999, many public meetings took place in the main urban centres of Portugal, having as speakers not just one of the leaders of the three organizations but also independents such as Fernando Rosas or José Mário Branco. These meetings were always packed, they attracted many people, not just the organizations’ rank-and-file but also many young people who had started to radicalize, and older militants from all left currents, “orphans” of former left organizations who had never given in to reformist ideas. Since affiliation to the Left Bloc is on an individual not on a collective basis, this allowed many left individuals and activists to join without having to make a choice between each of the three currents.

Fernando Rosas commented recently: “I think that a very important factor was the political and personal trust that was established between the four founders and the commitment that was established among us that the Bloc was more important than the sum of each of its components. Therefore we agreed that different political positions could be overtly expressed, but also that no public declarations should be made BEFORE we had attempted to have a common position on the subject.”

A document was signed between the organizations in early 1999. Besides the rule quoted above, it established that the three founding organizations would continue to exist as long as they felt the need for it, and also contained details such as who would be the first candidate in European elections and the first candidate in Lisbon. These safeguards proved to be useful in later years.

How are leaderships elected?

We have often been asked this question. The best way to answer is to explain the preparation of our national conferences, which take place every two years. Any group of 20 Left Bloc members may present a political platform to be discussed and voted on. Each platform has equal rights: the organizing committee of the conference (composed by some members of the outgoing leadership plus one representative per platform) ensures the publication and diffusion to all members of a bulletin with the various platforms and contributions, as well as the calendar of debates between the platforms and the dates for election of delegates. At the conference, the platforms present a slate for the leadership, which has to include parity between men and women. Slates not linked to one of the political platforms are not allowed, since for us a leadership should not be a sum of individuals but the result of the expression of concrete political points of view.

The Mesa Nacional (National Leadership) of the Bloc, about 80 members, is elected at the national conference, in direct proportion to the votes that each platform scored. At its first meeting, the National Leadership elects a Political Committee of 15-20 members that takes major political decisions in between meetings of the National Leadership which are held every two months.

Since the Left Bloc’s foundation, the three organizations that founded the Left Bloc and the majority of independents have always been part of the same platform. In the early years, independents had a quota of 50% and the remaining 50% were distributed equally among the three currents. It is still an unwritten rule that the three founding organisations have the same number of members in the National Leadership.

A peculiar and innovative way of being anticapitalists

Soon after its foundation it was clear that the Left Bloc was much more than the sum of its initial parts. A “shared hegemony” in the leadership, together with an extraordinary skill in creating political responses and a high level of political confrontation gave the Left Bloc a wide audience, built trust and many hundreds of people joined the party, which now has around 9,000 members.

The Left Bloc has always been able to combine its presence in Parliament with an intense contact with workers, students and intellectuals. While this happens all year round, it becomes more intense and visible in summer, when the Left Bloc holds public meetings in popular places, near the coast and the beaches. Over the summer of 2010, for instance, these meetings attracted some 20,000 people.

The Left Bloc is no longer seen as just a protest party, but a party posing an alternative. Even in Parliament the Left Bloc has succeeded in getting several proposals approved, the first, in 1999, being to consider violence against women a public crime. Many more could be cited. The Left Bloc is therefore seen as a party which can lead to some, albeit sometimes small, victories.

From its early days, the Left Bloc has allowed political representation of its initial components. So far there has not been a fusion of the founding organisations, they have changed into political associations with their own websites and educational activity, without competing with the initiatives of the Left Bloc.

The Left Bloc is an anticapitalist force, heterogeneous but with a strong and cohesive leadership, plural and with diversity in its membership and leadership. There are Marxists and non-Marxists. But the Left Bloc has learned from the very beginning that plurality may be expressed as polyphony, not as cacophony as Luis Fazenda likes to say. We do not measure our anti-capitalism by the number of times we use the word anticapitalist or revolutionary in our resolutions or leaflets. We are not a party that makes abstract propaganda for socialism. In our opinion, the idea that most demands can only be fulfilled under socialism may turn out to be dangerous and demobilizing. We have sometimes been accused of not having a strategy and of relying too much on tactics. From our point of view this is both unfair and wrong. The interview with Francisco Louçã explains this point very well.

Present and future challenges

This chapter was not supposed to deal with the current situation. But what we are living now in Portugal is not a “normal” situation. The consequences of the economic crisis and the rejection by the Portuguese Parliament of PEC-IV (the proposed austerity package) on 23 March 2011 led to the immediate resignation of Prime Minister Sócrates and to new national elections which will take place on 5th June.

At the beginning of April Sócrates asked the European Commission for help concerning the Portuguese debt. Shortly after, a troika composed of a representative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another from the European Central Bank and also a European Union commissioner came to Portugal to assess the situation. They met with the right-wing parties: Partido Social Democrata (PSD) and Centro Democratico e Social (CDS) and with the SP. Both the CP and the Left Bloc have refused to meet with entities that nobody elected and refused to pretend that they were open to negotiate with them.

At the start of May, the Portuguese troika of PS, PSD and CDS signed an agreement with the international troika accepting the conditions imposed on Portugal in order to get a loan of 78 billion Euros. The content and consequences of the agreement are devastating: of the 78 billion, 54 billion will be used in paying back those who have lent us money, 12 billion to recapitalize the banks. There will be only 12 billion Euros left. It is predicted that in two years’ time we will be an additional 100,000 unemployed, adding to the already existing 700,000, social benefits will be reduced dramatically, company taxes be diminished and VAT will go up.

Besides opposing this agreement and its consequences, The Left Bloc has concrete proposals:

1) An audit of the debt, so that we know exactly to whom we owe and why we owe. As Francisco Louçã said, when we go to a restaurant we do not pay the bill before we have checked it. In fact we propose that the part of the debt that results, for instance, from corruption be taken out from the debt.

2) Immediately initiate a process of renegotiating the debt, payment deadlines and interest rates

3) Create a bailout fund with money coming from taxes on transfers to off shore accounts, and taxation of stock market operations

Obviously the results of the elections are difficult to predict. We live in a period of strong and deep crisis and recessions do not favour the Left. A small party would not have the capability of facing the present situation. But a party like the Left Bloc speaks for millions of people in TV debates and will be in contact with many others during the campaign.

The crisis and the debt are a challenge. We aim to take the challenge and transform it into a new opportunity to build a larger left. Our strategy is clearly to become a new leadership for the left, alternative to the SP’s leadership.

Chronology of important events for the Bloc

1999 - Up to the end of February, the project of the Left Bloc is presented in public meetings by its founders. These meetings are always packed and a new enthusiasm and hope is felt. End of February, the Bloc becomes a new political party.

In May the Bloc takes part in the mobilizations against the NATO intervention in Kosovo. In June European elections take place. Miguel Portas is the 1st candidate on a national slate. The Bloc has its first electoral experience of many to come. The result was only 1.79% but very promising.

By the end of August a referendum on independence took place in Timor-Leste a former Portuguese colony occupied by Indonesia since 1975. The outcome is a massive victory for the pro-independence movement but the pro-Indonesian paramilitary forces do not accept the defeat and spread terror and horror in the population. In Portugal the largest solidarity movement ever seen takes to the streets with daily initiatives and the Bloc plays a major role in it.

In October National elections take place. The Bloc elects two MPs: Francisco Louçã and Luís Fazenda. When the parliamentary session opens, they stand up for 2 full days, until the other parties accept that one of them is to sit in the first row, (as the leaders of all parliamentary forces do). A fifth party is represented in Parliament, something the other forces find hard to accept. Moreover, the Socialist Party, with the most votes, elected 115 MPs, exactly one half of Parliamentary members, which obliged it to make alliances either with its Left or with the right.

2000 - The first bill that the Bloc proposed in Parliament, that violence against women is considered a public crime, is approved.

The Bloc starts to change the political landscape of the country, not only by its cutting- edge proposals in Parliament but mainly because its two MPs and other leaders are present in every important struggle: whether it is a factory that is about to close, or a member of the Roma community that is beaten to death at a police station, the Bloc is always present in solidarity. Also, the existence of two MPs gives them a much wider audience in the media, particularly on television. The concrete proposals of the Bloc, in particular in what concerns the tax reform system and social security become widely known

In March the Bloc hosts the 1st meeting of the European Anticapitalist Left, where the Scottish Socialist Party, the Ligu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and the Red-Green Alliance are the other participating organisations.

2001 – Presidential elections take place at the end of January. The Bloc presents Fernando Rosas as a candidate. He scores 2.98%.

The G8 meets in Genoa. The Bloc is present at the anti-G8 demonstration with a delegation. From then onwards, the Bloc will always be present and establish links with the anti-globalisation movement.

When Bush occupies Afghanistan, the Bloc starts to build a long term anti-war movement.

Local elections take place in December and the Bloc is present for the 1st time. Although the result was rather modest as compared to the National elections, it has meant the beginning of a slow organization and political intervention at the local level.

2002 – The disastrous result of the Socialist Party in the local elections, in particular in large cities, leads to the Prime-Minister’s resignation and the call for new National Elections, which take place in March. A coalition between the conservative party (PSD) and the Christian-democrats (PP) wins by comfortable majority. The Bloc elects 3 MPs: Francisco Louçã and Luís Fazenda are again elected in Lisbon and João Teixeira Lopes in Porto (the 2nd largest city). This was a major breakthrough that no organization of the radical left has ever achieved before.

The coalition government led by Prime Minister Durão Barroso (now president of the European Commission) initiates a series of attacks on working class rights, by changing the laws existing since 1975/76. The hot debates in Parliament between Francisco Louçã and Durão Barroso became widely popular. The Bloc fought this new Working bill in Parliament and in society. In December a general strike takes place and the Bloc is very involved and its leaders are most welcome at any workplace.

2003 – The Bloc takes a major role in organizing initiatives against the forthcoming invasion of Iraq by Britain and the USA. Traditionally, the CP has organized a “Peace movement” which was a sort of umbrella for its satellite organizations, therefore limiting the participation of a wider audience. Besides holding several public meetings across the country, the Bloc was also able to organize a huge public meeting in Lisbon with speakers ranging from Francisco Louçã, one MP from the Communist party, Carvalho da Silva (the leader of CGTP), Maria de Lourdes Pintasilgo (catholic, former candidate to the presidency in 1986), the former president Mário Soares, and even some Conservatives who were against the war.

Moreover, when Bush, Blair, Aznar and Durão Barroso met in the Azores and signed the agreement to invade Iraq, the Bloc organized a demonstration outside the military basis of Lajes, with 300 people and the presence of Francisco Louçã.

2004 – A petition for a new referendum on abortion gets to Parliament. The law requires 35,000 signatures, the broad movement created along 2003 and 2004 reaches 121,151. The right wing coalition refuses to call for a new referendum.

The exhaustion of Barroso’s government increases as shown by the results of the European elections held in the beginning of June. Soon afterwards, Barroso is chosen to become President of the European Commission and resigns as Prime-Minister. The Bloc calls for new elections, but President Sampaio chooses Santana Lopes (from Barroso’s party) as Prime-Minister. The disaster goes on and by the end of November the Parliament is dissolved and new National elections are called for February 2005.

By the end of 2004 and beginning of 2005, the 3 founding organizations of the Bloc ceased to exist as such, turning into political associations.

2005 – In the February elections the Socialist party wins with absolute majority. The Bloc elects 8 MP’s (4 in Lisbon, 2 in Setúbal and 2 in Porto, 4 men and 4 women). A new and very difficult political period starts then, with Prime Minister Sócrates implementing all the anti-working class reforms that Barroso did not achieve.

At its 4th Conference, the Bloc clearly defines itself as anticapitalist force.

2006 – Presidential elections take place in January. Francisco Louçã stands as a candidate. End of 2005 and January 2006 a very strong and militant campaign runs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This campaign shows the popular roots of the Bloc while also reinforcing it. Francisco Louçã scored 5.3% of the votes. Mário Soares (former president and the official candidate of the Socialist Party won 14.3%, while Manuel Alegre, a Socialist party member and vice-president of the Parliament won 20.7% presenting himself as an independent candidate and passing Soares to his left.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s, Bloco underwent an internal debate about the strategic course: it assumed/defined the aim of becoming an alternative to the Socialist Party, in order to debate the majority within the Left.

In September the Bloc organised a March for Jobs that crisscrossed the country: two to three public meetings every day, with many workers present. Sometimes, the workers of companies that were going bankrupt or threatened with closure contacted us or we went to these companies.

A general protest against Sócrates’ policies takes place in October. The Bloc supports the trade-unions mobilizations against cuts in pensions, jobs and public services.

2007 – In February a new referendum on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takes place. The YES wins. The Bloc campaigned in the most difficult areas of the country (where the NO had won in 1998) and also helped boost the plural and broad civic movements who determined a victorious political line.

At its 5th Conference, the Bloc clarifies its participation in political activities at International level. It also defends climate justice and ecological revolution as part of the socialist transformation process.

In September the Bloc organizes a March against precariousness which affects over one million workers in Portugal, mostly (but not exclusively) young people.

2008 – The government attacks on Education bring over 100,000 teachers to demonstrate twice that year.

2009 – At its 6th Conference, the Bloc discusses the participation of some left parties in governmental coalitions in Europe, concluding that they led to very serious defeats (see text).

Three elections take place in 2009: for European Parliament, where the Bloc scored 10.3% and elected 3 MEPs; national elections where we went from 8 to 16 MPs, not only electing one more MP from Lisbon and one more from Porto but also broadening the regional representation (1 MP from Braga, Aver, Coimbra, Elyria, Santarem and Faro); and local elections where we elected several members to local parliaments.

2010 – The Bloc decides to support Manuel Alegre as candidate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s which will take place in January 2011.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is worsening. Besides all legislation already approved by the government, which takes social benefits from the poor and does not touch the banks and the rich, the situation is to become even worse with the 2011 Budget. November the 24th a general strike takes place, called by the two main trade-union confederations. It is estimated that 3 million people went on strike.

At the end of November, a NATO summit takes place in Lisbon and the Bloc is much involved in anti-Nato activities, either with other forces or with a concert against NATO organized by the Bloc.

2011 – The Left is defeated at the presidential elections hold in January, since Cavaco Silva, the historical leader of the right, is elected in the first round. Manuel Alegre scores only 20% of the votes, the same as 5 years before.

As the government of the Socialist Party hardens its attacks both on working class and the unemployed and retired, the Bloc sets in Parliament a censure motion against the government, which was discussed (but defeated) on March 10th.

The rejection by the Parliament of PECIV (Stability and Growth programme), presented by Prime Minister José Sócrates March 17th led to his resignation and the call for new General Elections which will take place 5th June.

In April the IMF settles down and starts to impose its conditions for a loan to Portugal.

Meanwhile, the Bloc has started the preparation of its VIIth National Conference to be held May 7-8th. The development of a strategy against precariousness as well as a programme for a Left Government able to defeat the IMF are at the centre of the debate.

Alda Sousa, April 201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No to a bosses’ Europe – the politics of the EU and the eurozone crisis

 

No to a bosses’ Europe – the politics of the EU and the eurozone crisis

Alan Thornett

http://www.internationalviewpoint.org/spip.php?article2578&var_recherche=greece

The general line of this article was approved by the National Committee of Socialist Resistance (British section of the Fourth International) on the 24th of March 2012.

 

1) The origins of European integration

The origins of European integration, which started with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EC&SC) in 1951 and exists today as the European Union (EU) with its Eurozone, can be located in the closing stages of World War II. The European bourgeoisies needed to consolidate their rule following the popular uprisings and radicalisations at the time of liberation from Nazism, particularly in France and Italy. The answer was Marshall Aid, which reflected the economic hegemony of the post-Yalta USA and the supremacy of the dollar as an international currency.

The EC&SC was established with six Member States: Belgium, France, Germany, Italy, the Netherlands and Luxembourg. It was both a reorganisation of Western European capital against the East and an attempt to enmesh a weakened West Germany into a European framework, which would hopefully avoid further European wars. A European Court of Justice was established in 1953.

France backed the EC&SC but was opposed to NATO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949) since it wanted to build a Europe independent of the USA. It went on to develop its own independent military capability, including nuclear weapons.

2)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EEC)

The EC&SC became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or EEC (known as the Common Market) by the Treaty of Rome in 1957. A common customs union was established and obstacles to competition removed. Internal customs duties were abolished and a common external tariff introduced.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was given jurisdiction internal to the Member States.

Britain applied to join the EEC in 1961, under Edward Heath, but was vetoed by De Gaulle. He was concerned that Britain’s much vaunted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USA and Atlanticist end of Empire ambitions would import divisions into the Community.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 (CAP) was established in 1962. This was, and continues to be, a mechanism for undercutting third world producers, through the subsidies it pays out to EU agriculture, even when they are on starvation wages.

The Merger Treaty was signed in 1965. Under this the Council of Ministers (comprising Ministerial level direct representatives of the member states which met behind closed doors) became the supreme law making body of the EEC able to override the existing laws of the member states on issues within its jurisdiction.

3) Britain’s membership of the EEC

By the early 1970s, however, Germany was growing in economic dominance and France increasingly saw Britain as a potential counterweight to it. This allowed Edward Heath to take Britain into EEC membership in 1973.

When Harold Wilson came to office a year later Labour’s policy was for withdrawal from the EEC. Wilson opposed this and had promised a referendum on continued membership in his election manifesto. This took place in 1975 with a governmental recommendation for a “yes” vote.

Wilson famously won the referendum against a No campaign led by Tony Benn, Michael Foot and Peter Shore which comprised virtually the whole of the left: the Labour left, the trade union left and the far left, along with bulk of the trade unions. The result was a major defeat for the left and the unions. Wilson followed his victory up with the imposition of a pay policy.

4) Controlling the currencies

The world changed in 1971 when the Bretton Wood’s agreement, which had fixed exchange rates against gold in the post-war period, collapsed. This, and the resulting return to floating currencies, was a serious threat to the stability of the EEC at the economic level. In fact the currencies of the Member States were already fluctuating dangerously against each other. This change signalled a number of attempts over the next 20 years to keep the European monetary system from disintegrating.

The first was the so-called ”snake”, established in1972. Under this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greed to limit the margin of fluctuation between their currencies to 2.25%. The snake was crisis-ridden from the start, however, and Britain and Ireland were quickly forced out of it by the relentless rise of the Deutschmark.

This was followed by the European Monetary System, which replaced the snake in 1978. This established a virtual currency (the ECU) based on an average of the various currencies weighted against GDP. It was a halfway house to a single currency. It was regulated by the Exchange Rate Mechanism (ERM), which set permitted fluctuations at 2.25%. Under it governments were obliged to intervene if their currency reached a warning threshold of 75% of the allowed deviation. The Thatcher government initially stayed out of the ERM but then joined in 1990 with ultimately disastrous consequences.

Instability continued, however, and by the early 1980s the problem created by locking together divergent economies and separate political structures was becoming increasingly clear.

The first elections to the European Parliament had taken place in 1974. The arrival of the Parliament was presented as the democratisation of the EEC. This was far from the case, however, since executive powers would remain with the Council of Ministers and the European Commission—an unelected body with powers draft the budget, initiate legislation and impose its decision on the Member States.

5) The Single European Act

The Single European Act (SEA) of 1986, the project of Jack Delors, the new President of the Commission (who had succeeded Roy Jenkins), represented an important change of direction by the EU from a predominantly economic project to a far more politically based integration—ultimately a European super-state.

This was a response to the end of the post-war boom and the onset of more unstable and competitive economic conditions, since the mid-1970s, which increasingly threw European capital into competition with Japan and the Pacific Rim countries and with the USA.

The SEA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nal market with the introduction of deregulation and the free movement of capital and labour within the EEC. It strengthened the decision-making powers by increasing qualified majority voting rather than decisions having to have unanimous agreement from every member state. It increased the powers of the Commission and expanded Community powers in relation to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environment and a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is was increasingly the central project of the European ruling classes designed to shift the balance of power against the European working class, in order to exploit it more effectively and to compete more effectively in global markets.

Thatcher signed the Single European Act because she was attracted to the deregulation it contained. She soon regretted it, however, when the pace of integration accelerated, and has been attacked by the Tory right for it ever since.

Big sections of manufacturing industry heavily backed this project. This took its most organised form in the establishment of the European Round Table of Industrialists (ERT) in 1983. It consisted of 47 European based multi-nationals. They included: Nestle, Unilever, GKN, Amoco, Renault, Marconi, ICI, Olivetti, BT, Pilkington, and Fiat. The companies represented had a joint turnover of £600 billion. The ERT’s aim was to improve the global competiveness of European capital through further deregulation and in particular the dismantling of the welfare state—which they regarded as an albatross around the neck of European industry.

The route they favoured was rapid moves towards political union with a single European currency. The ERT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next major development—the Maastricht Treaty.

6) The Maastricht Treaty

The EU was now a part of an increasingly globalised world with large competing trading blocks and intensified global competition between ever-larger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world increasingly dominated by international capitalist institu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and the World Bank which were the driving force of the neo-liberal offensive which promoted economic and financial deregulation, privatisation and labour flexibility.

It was not a battle of equals, however, as far as competing trade blocks were concerned. The US and Japanese ruling classes had advantages which the existing EEC could not match. They were able to give political leadership to their power blocks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Zone dominated by an increasingly aggressive USA and the dynamic Pacific Rim countries led by Japan) in a way that even a unified Germany could not do within the EEC. They had unitary political establishments, control of their currencies, lower social spending and multinationals even more powerful than those in Europe.

The Maastricht Treaty, signed in1991, was designed to tackle exactly this problem by taking the EEC toward a European super-state. And there was a new name to symbolise it—the European Union.

Maastricht introduced the single European currency, common European citizenship, and a common EU passport. It gave the Commission new powers—including provis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common foreign and defence policy.

It was also a preparation for the expansion the new EU to the East. The Berlin Wall had come down, Germany was re-unified on a capitalist basis, the East European regimes had collapsed, as had the Soviet Union itself. What was posed was the integration of the potential markets of Eastern Europe into the EU neo-liberal project and their governments into NATO.

7) The struggle against Maastricht

The Maastricht Treaty, and its consequences, met massive opposition across Europe. The bulk of the European left campaigned against it. In Denmark a referendum vote went against Maastricht whilst in France it went in favour by just a1% margin after a bitterly fought campaign. In Italy there was the biggest wave of strikes for 20 years against the Treaty and the austerity which arose directly from it.

In Britain there were two campaigns against it. One was led by the left the other by the Tory right—based on British national sovereignty, the defence of the pound, and a strategic alliance with the USA. The Communist Party Britain (CPB) was a part of the left campaign but strayed into the defence of national sovereignty and even the defence of the pound—with its support for the Campaign Against Euro-Federalism. The Green Party opposed Maastricht at that time on the basis of the deregulation, liberalisation, and big business control over energy policy it represented.

There were demands from right and left for a referendum which was faced down by John Major who rammed the Treaty through Parliament on a confidence vote with the support of the Labour leadership, who did a deal with them over the Social Chapter which the Tories opposed.

The left opposed Maastricht from a firmly socialist/working class perspective, seeing the Treaty as creating an undemocratic neo-liberal Europe of the bosses. It called for a different Europe a Europe of the people and not of capital.

The leader of the left campaign was Tony Benn. His way of separating the campaign from the Tory right was a Private Members Bill in Parliament called the Commonwealth of Europe Bill. It included a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and civil liberties: the right to a job, the right to join a free union, free health care and other social benefits plus demands which respected the environment, combated racism, opposed war and build a new relationship with the third world. What the EEC was about, Benn argued is “the liberation of capital and the enslaving of Labour. We have to have a programme for the control of capital and the liberation of labour—and it has to be done on an international basis.

Although it did not explicitly pose a socialist Europe, its aim of a fundamentally different, democratic, Europe of all the peoples of East and West is totally unacceptable to the ruling elites. It was a very good initiative to stimulate public debate.

The weakness of the left campaign was the trade unions. Sixteen years earlier, at the time of Wilson’s referendum, the bulk of the unions were against the EEC. The defeats of the 1980s and the resulting new-realist policies, however, had brought a sea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rightward shift and TUC and many of the unions liked Jack Delors (he was invited to address the TUC Congress in 1988) and were in favour European integration under Maastricht.

A factor behind this was their seduction by the Social Chapter, which they hoped would give them a few crumbs from the employers table without the necessity to fight the Tories. Its provisions, however, even if implemented, were marginal. It included measures such as the right to strike and worker participation, but these were subject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which allowed the Member States to ignore them. In Britain the right to strike was subordinate to the Tory anti-union laws and therefore totally worthless.

8) Black Wednesday

No sooner had the Maastricht treaty been signed than the European Monetary System was subjected to an avalanche of currency speculation caused by the deregulation of capital markets in the 1980s. The pound famously crashed out of the ERM in September 1992 (Black Wednesday) after the Major government was unable to keep the pound above the ERM’s lower limit. The Bank of England spent £18bn trying to maintain its value. John Major and Norman Lamont struggled to prop up a failing pound. Lamont raised interest rates from 10% to 12%, then to 15%, and authorised the spending of billions of pounds to buy up the sterling that was being frantically sold on the currency markets but in the end to no avail. Italy crashed out soon after.

It was a disaster for British capitalism and a disaster for the Major Government and the Tory Party, which lived under the shadow of Black Wednesday until they were defeated by Blair and New Labour in 1997. It also deeply divided the Tory Party, which would be dominated by this division for most of the 1990s.

9) The single European currency

The most far-reaching measure in the Maastricht Treaty was the single currency—the Euro. This would exist as a virtual currency from January 1 1999 and would be on the streets as notes and coins on January 1 2002. The prerequisite for launching the Euro was the locking together of the exchange rates of the participating countries, which was potentially even more difficult than it had been with either the snake or the ERM.

To administer the Euro, Maastricht established the European Central Bank (ECB). It was empowered to print notes and mint coins, and it alone could set interest rates in the zone covered by the new currency. This eliminated the ability of member states to conduct their own monetary policy—the money supply and interest rates. Fiscal policy—control of debt, deficit and government spending—was also constrained, but not eliminated as with monetary policy.

The ECB’s independence was guaranteed by the Statute of Autonomy, which made it completely unaccountable.

The qualification for membership of the Eurozone was participation in the ERM and compliance with the Convergence Criteria. This set a limit of 3% of GDP on government deficit and would limit public borrowing to 60% of GDP.

It was a mechanism for attacking the post-war consensus on welfare—an historic gain of the workers movement—and any remaining adherence to the notion of full employment. Once the currencies of the eurozone were locked together fluctuations between them would be met by austerity, cuts in welfare, and unemployment, since the relative value of currencies could not be changed. Any programme of investment to create jobs would also be disqualified by the Criteria. European employers had long regarded welfare as a millstone around their necks since North America and the Pacific Rim have far less. The European Round Table described welfare as “a time bomb threatening Europe’s competiveness.”

But it was not just the loss of fiscal policy and the setting of interest rates, which was the problem. With a single currency, governments needed the ability to make fiscal transfers in the way the US Federal Reserve does between the various US states, and the free movement of labour across the whole entity if depressed regions were to be avoided. In Europe the existing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arriers make it difficult for large numbers of people to move around for economic reasons.

Once the single European currency was in operation the Convergence Criteria would be superseded by the Growth and Stability Pact, which would be the regulator on an ongoing basis. The 3% of GDP limit on government deficit would remain, and any breach of it would attract fines of up to 5% of GDP.

Moreover, British capitalism was increasingly split on European integration. This was broadly a divide between the manufacturing sector, which wanted a European role and open access to the huge European market, and the financial sector, which wanted a world role and access to a world market. The Confederation of British Industry therefore supported the Euro and the Institute of Directors opposed it.

This division had grown as European integration deepened, and rabid, nationalist opposition to the EU emerged in the tabloid press, led by Rupert Murdoch.

10) Mobilisations against the convergence criteria

As soon as the Maastricht Treaty came into force the race was on, amongst the member states, to meet the terms it set out. Budgets were cut and austerity introduced to get deficits below 3% of GDP. These programmes were carried out with equal vigour by social democratic governments as by the centre right.

The result was five years of mass struggles across Europe.

In 1994 there were strikes and demonstrations in Italy and Greece and mass strikes and huge demonstrations in France against cuts in education.

December 1995 saw a huge confrontation in France, which shook the government to its foundations. Millions of workers struck and demonstrated in a wave of action, which in some ways exceeded the events of May and June 1968. There were mass strikes in Italy, Portugal, Belgium, Greece, and in Germany— where the government was forced to retreat.

1996 saw the biggest wave of struggles across Europe for 20 years. Strikes demonstrations and occupations took place against the Maastricht criteria and the cuts and austerity programmes they have generated. There were mass strikes in Italy, Portugal, Belgium, Greece and Spain.

The Fourth International, along with others, initiated the European Marches against unemployment insecurity and exclusion. Marches set out from starting points across Europe (including Britain) to converge in a mass demonstration at the EU summit in Amsterdam in June 1997.

11) The Treaty of Amsterdam

The Amsterdam EU summit, of 1997, which adopted the Treaty of Amsterdam, was held with this wave of militancy still continuing. A 50,000 strong demonstration was organised at the summit by the European Marches.

The summit did, however, carry through its objectives, which were to further advance economic and political integration. Qualified majority voting was introduced into new areas: customs, research, data protection, health policy, unemployment, equal opportunities and social policy. The primacy of EU law over national law was strengthened. The Schengen agreement (the basis of Fortress Europe) became a part of the basis of the EU for new members and further moves made towards a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rough the setting up of an embryo Foreign Office.

Schengen was, in the end, a racist framework to deal with questions of citizenship, immigration and civil liberties. Whilst it included the right to move at will within the EU a wall was being erected against immigrants and asylum seekers from outside. Anyone barred from one country will be barred from all. Ireland and Britain opted out of Schengen.

Setting all this in train, however, was one thing, making it a reality was another. During 1997 millions of workers were again involved in actions across the EU, mostly against the convergence criteria. Two million struck in Spain and in Greece 80,000 small farmers cut the country in half by blocking the roads with their tractors, demanding subsidies and tax concessions. Most of Italy came to a halt when millions struck in support of engineering workers demanding higher wages. In Germany, 150,000 metal workers struck in the biggest workers demonstration since WW2. The strike forced the Kohl Government to withdraw proposed cuts in welfare.

The single currency, however, was bruised but not beaten. By the middle of 1998, 11 of the 15 EU Member States had qualified (by a combination of austerity and creative accounting) to join the launch of the single currency on January lst1999. Greece qualified later making the number twelve.

12) The Treaty of Nice

The Treaty of Nice was signed in February 2001. Its political framework was the so-called Lisbon Strategy (March 2000), which aimed to transform the EU into the most competitive market in the world by 2010.

The specific task of Nice was to prepare the EU for enlargement to the East, which had been unavoidably posed with the collapse of the Warsaw Pact.

It was a big project. The new members from the East would have a combined population of around 70 million. It would expand the EU from 15 to 27 Member States by 2004 when a “Super Summit” would be held. It would create by far the biggest trading block in the world with a population of nearly 500 million—twice the size of the USA. But it would not be an easy process given the radically increased heterogeneity it introduced.

The populations of the new countries of the East were sold the project on the basis that they would get the full benefits of the European social model. But this enlargement was not like its predecessors. The new member states had emerged from dictatorship and were poorer and more agricultural than the EEC average at the time. Their average GDP represented 60% of the average GDP of the Community in 1986. They were not about to be treated as equals.

Although there were geo-political motivations behind enlargement—their incorporation into Western Europe and NATO—the ruling elites also saw them as radically liberalised market places, a source of cheep labour and a relocation destination for a range of industries. More than 60% of the trade exchanges of these countries were made with the EU - and to the benefit of the latter.

Nice was the longest and most fraught summit to date with bitter battles between the delegations—all but two of which were representing social democratic governments.

From 1998 to 2001 Social Democratic parties had led 12 out of the 15 Member States of the EU. They all backed the neo-liberal offensive to the hilt, making it even more difficult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democracy and the centre right parties.

13) The small countries stitched up

At stake at Nice was who would be the real decision makers in the enlarged EU. If the EU structures were not reformed, enlargement would shift the balance of power towards the smaller countries. This was unacceptable to the big countries who had long wanted a major shift in the other direction.

In a series of bitter and fraught sessions the big countries drove through the changes they wanted. The summit agreed to a radical reallocation of the voting power between the individual member states on the Council of Ministers, which were heavily to the advantage of the biggest and most powerful countries.

Afterward some of the small countries complained bitterly that they had been “stitched up”. The comments of the Dutch PM were said to have been unprintable whilst the Greek PM Costas Simitis accused France, who had drafted the changes of, creating a Directorate of the big countries— which is exactly what had happened.

The four biggest member states—Germany, France, Italy and the UK—would get 30 votes each and Spain 28. After that Holland get 12, Greece, Belgium and Portugal 11, Sweden and Austria 9, Denmark, Finland and Ireland 7, and Luxembourg 4. Consequently any four of the biggest five could outvote the rest. These changes tripled the votes of the big countries and meant that after expansion, the Big Six would be able to out-vote the other 21 EU Member States whenever they chose.

These changes went alongside a change to the “qualified” part of the majority voting—that part which is weighed according to population. Under these changes a vote on the Council of Ministers would have to represent 62% of the EU’s population before it is valid. This gave the big countries clout beyond their voting allocations and meant that any three of them could block a proposal by the rest of the 27.

The allocation of seats on the European Parliament was also changed towards the big powers. Germany got 99 seats and the other big powers 74.

It was mission accomplished. Power in the EU would now be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the biggest and most powerful countries to run it in their own best interests. It was a big ratcheting up of the democratic deficit.

The Nice summit also agreed to extend Qualified Majority Voting, rather than unanimity, in the Council of Ministers into 29 new areas, including trade in service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se changes opened the door to the privatisation, the liberalisation and deregulation of services throughout the EU. Multinational and other companies from anywhere within the EU could now bid for local services with no restrictions or preferences. It also opened the EU up to the liberalisation of trade and property rights and the privatisation of natural resources.

Every member state dutifully ratified the new Treaty despite its effects on their power and influence with the exception of Ireland, which went to a referendum and rejected the Treaty. They were forced into a second referendum the following year and were bullied into acceptance.

14) The single currency in notes and coins

On January 1st 2002, twelve of the existing fifteen member states of the EU began using the Euro as their everyday currency. It was uniquely a currency without a state form behind it. Only Britain, Denmark, and Sweden remained in the EU outside the currency. The Swedish parliament rejected the Euro in 1997 and the Danish people rejected it in a referendum in September 2000. New Labour was fully committed to entry into the Eurozone, and to a referendum on the issue during their first Parliament with a recommendation for acceptance.

Preparation for entry had been the cornerstone of new Labour’s economic policy since it came to office in 1997. It was behind the handing over of the control of interest rates to the Bank of England as a first step to handing over control to the ECB (a requirement of the Euro which the Tories had refused to carry out), and w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acceptance of Tory spending limits for Labour’s first two years of office. These measures, and the cuts they involved, led Britain to qualify comfortably for entry into the first round of the process. Blair chose, however, for political reasons, not to enter at that point.

Gordon Brown had had six economic “requirements” which he said had to be satisfied before Britain should enter the Euro. They were in reality a mechanism for keeping the issue on hold until the political conditions were right. Blair hoped that a window of opportunity for entry would open up once the Euro was on the streets and people saw the benefit of it when they travelled into Europe

Winning a referendum would not have been easy for Blair, since this had been difficult even in countries where there had been no significant divisions in the ruling class over the issue, but it was hard for him to avoid. A clear majority of British business, the manufacturing sector in particular, was hostile to the current situation of half in and half out of the EU and wanted membership of the Euro. They thought that economic activity would gravitate towards the Eurozone, as the core sector of the European economy, and that they would have the worst of both worlds—being subject to the constraints of EU membership whilst lacking the advantages of the single currency.

15) The debate in the Socialist Alliance

The referendum was expected in October 2002 and the Socialist Alliance called a special conference to debate the issue and decide policy on it. The debate is worth recounting because it reflects some of the debates around today’s crisis of the Eurozone.

There were two main positions presented: a “Vote No” position, supported by the ISG, the SWP, and others, and an abstentionist position supported by the AWL, the CPGB and Workers Power. The AWL expressed this the clearest. In fact one of its predecessors, Workers Fight, was the only far left organisation to call for an abstention in the 1975 referendum.

Behind the debate was the wider issue of the political character of the EU itself. The AWL saw it as “intrinsically progressive”—despite some “unfortunate” anti-working class features like the attacks it generated on welfare and employment—for two reasons. First they saw it as progressive as against the previously existing individual (competing) nation states, claiming that it had largely eliminated the competition between them. Secondly they saw it as progressive because it united the working class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put them in a better position to fight back. It even put the working class, they argued, in a better position for the struggle for a socialist society. As a result of these positions the AWL defended the existence of the EU against those who called for its dissolution.

AWL leader Sean Matgamna put it this way: “Undesirable aspects of the European unity which the bourgeoisie has created not withstanding, it (the EU) is much better than the older Europe of separate, often hostile and sometimes warring nations… The basis exists now as never before for working class unity all across Europe: for a Europe-wide working class struggle to create a democratic and socialist united states of Europe”.

He insisted that: “The EU represents a necessary capitalist development”, and went on to call for the defence of the EU against those who would break it up: “And it (the AWL position) does commit us to a European unity and to opposing politically all those who advocate the break up of the EU and implicitly back the restoration of the old, long bankrupt, European bourgeois nation state”.

On the basis of these positions the issue of which currency was used was seen as irrelevant—hence the abstentionist position.

16) The case for the No vote

The No vote side argued that, on the contrary, the EU was not “intrinsically progressive” but intrinsically anti-working class.

It was (and is) a supra-national construct designed to organise and support the governments of the individual Member States to more effectively take on their own working class, deepen the exploitation of the European working class as a whole, implement the neoliberal agenda, and compete more effectively in world markets.

The European workers movements faced a double challenge; the first from their own employers ruling class and the second from the collective ruling classes across Europe, organised by the structures of the EU. The Euro, therefore, was never simply a currency, as the abstentionists argued. It was always a political and economic instrument designed to implement a big business agenda.

This distinction is important when we consider the position of the individual member states within the EU. The idea that the nation state been superseded the by the EU as the principal state form bore little resemblance to reality. In fact, despite 25 years of increasingly frantic economic and political integration, this is still a long way off. The EU was and still is a federation of independent states. The convergence criteria, which were designed to change this, simply demonstrated the scale of the problem.

When US Treasury Secretary Tim Geitner flew to Europe to confront the imminent breakup of the Eurozone at the end of 2011, he scathing told EU leaders that the level of integration they had reached by this point was not only woefully inadequate but that barely reached the level of integration the USA had reached 200 years ago. From this point of view it has never been a matter of retreating into the nation state because the nation state never went away.

There was and is no common economic cycle. The legislature, the military, the police, the courts and the budgets all operate at the level of the nation state. Nor is there “a” European bourgeoisie, just a multiplicity of national bourgeoisies seeking to organise collectively against the working class.

The class struggle was and is still carried out overwhelmingly at the national level even when the attacks which are being confronted are coordinated at the level of the EU. This is not to play down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ism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far from it. But it is exactly that, international solidarity.

In the Socialist Alliance debate, the No vote side put forward a series of questions for delegates to consider when deciding how to vote at the conference:

- Who is the Euro designed to benefit: the workers of Europe or European capitalism and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s?

- Does the Euro represent a democratisation of European society, or a concentration of even more power into fewer hands?

- Does the Euro challenge the neo-liberal agenda or integrate it further into the EU?

- Does the Euro defend the welfare state or does it co-ordinate the attacks upon social provision more effectively.

- Does the Euro create jobs or help destroy them?

- Is the Euro designed to benefit poor countries or to make rich countries even richer?

- Does the Euro undermine racism, and the far right, or does it institutionalise these phenomena further - via Schengen and Fortress Europe?

At the end of the debate the No campaign won the vote by a 2-1 majority: 202 votes to 108 with one abstention. A resolution calling for a Yes vote in the referendum was only supported by the person who moved it.

17) France and Germany breach the Stability and Growth Pact

By 2003 the two largest economies in the Eurozone, France and Germany flagrantly breached one of the corner stones of the Stability and Growth Pact (SGP)—keeping budget deficits below 3% of GDP. They had been in stagnation for the past three years.

The European Commission decided to take action against them under the rules of the SGP over the breach. They were promptly overruled by the Council of Finance Ministers, however (which included Gordon Brown) which brushed aside the Commission’s actions and gave France and Germany an extra year “to get their houses in order”.

Not only that, in March 2005 they agreed to a reformed SGP with much more flexible rules so that France and Germany would not be put in this position again. Under this the member states were still theoretically required to keep to the criteria but a range of caveats were brought in which would allow them to wriggle out, for example if they experienced negative growth or other “relevant” factors which made it difficult to stick to the rules.

It was presented as a “better interpretation” of the SGP but in reality it was effectively dead. It was flouted again in August 2007 when Sarkozy wanted to revitalise the French economy outside the framework of the SGP. All this would come back and haunt within a few very years.

18) The EU constitution

The new countries from the East became full members of the EU in May 2004, expanding the EU to 25. They became known as the “new Europe”.

Enlargement on this scale, however, and the increased heterogeneity it would bring, was a threat to its stability as the EU was currently constituted—at leas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uling elites and the control they could exercise over it. In fact it was a regression as far as far as the overall process of integration was concerned.

The answer of the EU ruling elites to this was, as ever, deeper and more comprehensive integration—this time dramatically so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heterogeneity. The proposal was for a full-blown EU constitution, something which was normally the preserve of the nation state.

An extensive constitution was written behind closed doors and launched in draft form as a proposition. It had over 300 pages, 448 articles, 36 protocols, 2 annexes and 48 declarations. It was designed to put the EU back on course towards a unitary state form and it enshrined and reinforced the neoliberal privatisation agenda on which the EU was built.

Such integration, of course, did not mean more democracy. In fact it increased the EU’s undemocratic character by further enshrining the real power in the hands of the unelected Council of Ministers and the Commission. It embraced the Stability and Growth Pact and the attacks that it would generate on jobs and welfare. Whilst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existed in principle in the constitution, it failed to give women legal access to abortion, bowing to the influence of the Catholic church in states such as Ireland, Portugal and Poland.

Susan George sums up the problem well in the Guardian (15th October). “I am myself a convinced European but I cannot vote for the proposed constitution since it would enshrine the competitive free market as the heart of Europe’s identity, exclude all mention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make subservience to NATO mandatory and render all its provisions irreversible for decades.”

The problem the ruling elites had was that the new constitution had to be ratified by all 25 Member States and some of them required approval by referendum. They managed to get “yes” votes in Spain and Luxembourg: by a 77% majority in Spain and by a wafer thin majority in Luxembourg. It was a very different matter in France and Holland, however, and later Ireland.

19) The French and Dutch referendums

In France, where the referendum was set for May 29 2005, the ruling elites had been taking a “Yes” vote for granted. A major wave of struggle in the run up to the vote threw the contest wide open.

In January 2005, French postal workers struck against plans to cut jobs and close post offices. Electricity workers protested against job cuts. More than 300,000 public sector workers demonstrated in 70 towns and cities against cuts. Teachers came onto the streets on a scale that had not been seen for a long time. In February more than half a million workers demonstrated in 120 towns and cities against austerity and a mass movement of school students protested against moves to cut the quality of education. In March a million public sector workers demonstrated in defence of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There was a “No” campaign from the left and another from the reactionary, anti-European hard right—which included Jean-Marie Le Pen’s National Front, a minority of the governing Union for a Popular Movement (UMP), and the right-wing Catholic “Movement for France”.

The No campaign from the left included the Communist Party, the LCR, the French section of the Fourth International and Lutte Ouvrière, the other major far-left group in France at the time. It rapidly gathered speed with the Communist Party and the LCR as the driving force.

The “Yes” campaign embraced the whole of the establishment, the two principal parties of government, the Greens, the employer’s organisations and the whole of the media. The Socialist Party, which had organized an internal ballot on the issue, had voted by a 60% majority to support the Yes campaign along with the rest of European social democracy.

The No campaign from the left ran a spectacular campaign. The campaign created a thousand local collectives. There were big meetings across the country: 6,000 in Toulouse, 3,000 in Rouen, 2,000 in Clermont Ferrand. Meetings in smaller towns had seen up to 1,000 attending and in the working-class areas of Paris meetings of several hundred were common.

Prior to the vote thousands gathered in the Place de la République, one of Paris’s main squares, for a concert-cum-meeting. They were addressed by speakers who reflected the breadth of the campaign. From the political parties there were among others CP national secretary Mare-George Buffet, Olivier Besancenot for the LCR, leading Socialist Party people such as Jean-Luc Mélenchon and Gérard Filoche and Francine Bavay from the Greens.

The result when it came was a decisive victory for the No campaign by a majority of 55%. It was a shattering blow to Europe’s ruling elites. A statement by the LCR summed it up: “it is the victory of all those who have for many years been suffering the ill effects of the liberal policies that have been systematically applied for more than 20 years. This is a defeat for those who dream of a liberal society, freed from the impediments that are represented by the resistance of the working class and the people of this country, but who have never, throughout this campaign, openly admitted their project.”

And there was a clear class character of the vote: 80% of manual workers, 70% of white collar workers, more than 60% of young people voted for the No campaign. The most working-class towns saw the strongest No vote.

The referendum in the Netherlands took place three days later and the result was an even bigger “No” vote than in France—with 62% against the constitution.

It was not as unambiguously left wing or progressive as in France, however, since there was a more effective xenophobic campaign, but the class basis of it was still clear. In the country’s poorest municipality, Reinderland in eastern Groningen, 84.6% voted no. The only “yes” majorities were in a few of the very wealthiest municipalities in the central and southern Netherlands. In the cities as well the trend was evident: the more prosperous a neighbourhood the more people voted yes; the poorer it was, the more people voted no.

20) Moving the goalposts

The French and Dutch referendum results left the European ruling elites reeling in disbelief. They had not only exposed the gulf which had opened between them and the populations of the member states, but from any conceivable democratic standpoint, the new constitution should have been stone dead, given the requirement for unanimity. It was a dagger in the heart of the whole project. It not only threw the new constitution into the melting pot but it would make it far more difficult for them to pursue the neo-liberal agenda, particularly if the left were able to build on the victory and the unity it had created. This was not the way democracy worked in the EU.

The immediate problem they had was that Ireland was also required to hold a referendum and if that went down it could be curtains for the whole project. They read the situation in Ireland and did not beat about the bush. The whole process was postponed indefinitely whilst they reassessed the situation.

The issue went back to the Council of Ministers where it was decided that the best policy was to sow complete confusion. The constitution as devised at Lisbon was dropped and a new constitution, this time to be called a treaty—the Reform Treaty of Lisbon no less—was adopted which was exactly the same in all it main features as the previous constitution. The idea behind this was that it would be less contentious than when called a Treaty and even if it still had to go to referenda it would be more likely to go through.

The democratic deficit had taken another turn for the worse.

21) The Bolkestein directive

An important issue behind these votes against the constitution was the introduction of the infamous Bolkestein Directive, and the campaign against it, which covered the same period.

Bolkestein was the sharp end of the Lisbon Agenda, launched in 2000, which aimed to make the EU “the world’s most dynamic and competitive economy by 2010”. Its function was to establish a singe market for public services across the EU. It would open up services in all member states to the full ravages of the free market and would invariably lead to massive job losses, privatisation and welfare cuts.

The Directive provoked widespread opposition across the EU. In March 2005 100,000 people marched through Brussels on a demonstration against it called by the European TUC (ETUC) and a range of major trade unions across the continent along with various components of the Global Justice movement

When the Directive was put before the European Parliament in early 2006 opposition intensified. In February over 40,000 demonstrated in Berlin and about 15,000 in Strasbourg, at the European Parliament. This was again organised by the ETUC and major unions from across the EU.

Bolkestein was a practical demonstration of the kind of attacks on the workers movement that were being enshrined in the new constitution. Horst Schmitthenner, the leader of the German IG-Metall union said that: “The adoption of the Bolkestein directive would not only lead to increased social dumping, it would also profoundly affect the relations between capital and labour”.

22) The referendum in Ireland

The Irish referendum was set for June 12 2008. The “constitution” had now been given a new name. It was now called the “Treaty of Lisbon” but was the same in all its essentials as the one defeated in France and Holland three years earlier.

As with France and Holland the whole of the political and business establishment backed the call for a “Yes” vote. The Yes campaign included the parties in the coalition government elected in May 2007: Fianna Fáil, the Green Party and the Progressive Democrats. It included the main opposition parties— the right wing Fine Gael and the Labour Party (a new Labour-type organisation). 160 members of the Dáil (the Parliament) supported a “Yes” Vote out of 166. Only one party with Dáil representation called for a “No” Vote: Sinn Féin.

For the first time, the employers’ organization the Irish Business and Employers’ Confederation campaigned in a referendum (for a “Yes” vote) with its own posters and publicity material. The Irish Congress of Trade Unions (ICTU) Executive recommended a “Yes” vote, though this was internally controversial.

The main left-wing campaign for a “No” vote —Vote No to the Lisbon Treaty—was a coalition of 14 organisations plus independent activists. Ireland’s second biggest union, UNITE, and the electricians union called for a “No” vote but the big public sector unions with the most to lose, SIPTU and MANDATE, abstained.

When the result was declared the EU elites were shocked to their roots. Against all expectations the treaty was rejected, with the No campaign winning 53.4% of the vote! As with the French and Dutch votes it was a massive blow to the EU elites. By any democratic standpoint, the treaty should now be a dead duck.

It was immediately clear, however, that this would not be the case. Elementary democracy did not come into it. For the EU elites the final outcome—that the constitution/treaty was agreed by hook or by crook—was the only thing that mattered. It was non-negotiable.

And indeed after a year of softening up, a second referendum was unashamedly called in October 2009 for the elites to have a second bite at the cherry.

This time after, some meaningless “concessions” to muddy the water and voter exhaustion, the treaty was accepted with 67.1% of the vote. The elites could breathe again integration as defined by the constitution/treaty could now go ahead. The fact that any vestiges of democracy in the EU had been comprehensively shredded in the process was par for the course. Poland and the Czech Republic had still not completed ratification procedures but this was not expected to be a problem.

23) Meltdown in the Eurozone

The banking crisis, which broke at the end of 2008, not only changed the world but also compounded the contradictions which had been apparent for a long time within the EU and the Eurozone and threw it into an existential crisis.

Decades of debt-fuelled casino capitalism —speculation, deregulation and privatisation, under Regan and Thatcher, followed up by Tony Blair and Gordon Brown had created a speculative bubble worldwide. This and the collapse of the US sub-prime mortgage market, where the most reckless lending regimes had been located, turned it into a credit and banking crisis. Since this was combined with a profound environmental crisis, it was clear from the outset that what we were facing was not a cyclical event but a systemic crisis of the capitalist system which was going to be with us for a long time.

After the shock wave created by the collapse of Lehmans, the collapse of the banking system worldwide was only averted by the injection of vast sums of public money into the system and the nationalisation of those banks which would otherwise of gone under, a process which compounded the crisis of sovereign debt.

By the end of the 2009, the Greek government faced a debt crisis and possible bankruptcy. In return for a programme of harsh austerity the ECB, along with the EU ruling elites, negotiated a loan package of 110bn Euros in May 2010.

By the summer of 201,1 Europe was clearly the focal point of the crisis worldwide. It had reached the stage where the peripheral countries, such as Greece, Portugal, Ireland, Spain and Italy which stood on the brink of debt defaults, were forced by the EU and the IMF to launch massive austerity drives against their populations. The stakes involved were huge. Defaults in these countries would not only spin the crisis in the EU out of control but would threaten the existence of the Euro and of the EU (and its banking system) and could have an impact worldwide greater than the collapse of Lehman Brothers in 2008.

At the end of September 2011, a summit organised by European Commission launched a last-ditch attempt to regain control of the situation in Europe. The answer they came up with—unsurprisingly given the history of the EU since the Single European Act—was a crash programme of deeper European integration towards a European super state, but this time they said they would stick to the rules. It was open admission that the model on which they had built the EU had disastrously failed but since they had no alternative they would attempt to do it all over again.

The crisis, however, was spinning out of control. At the end of October 2011 a Council of Ministers meeting was held at which frantic attempts were made not only to stop the crisis in Europe spiralling out of control but to stop it dragging the world economy into recession.

What emerged from this was the so-called big bazooka package—which was negotiated in the early hours of October 27 2011. It would provide a new (second) loan to Greece conditional on even more draconian austerity. The European Financial Stability Facility, which they had set up to make crisis interventions to avert defaults would be expanded to a trillion Euros to provide the resources to recapitalise the European banking system, provide a rescue fund for the most battered Eurozone economies, and a so-called firewall against contagion.

The plan was endorsed by a conference of the Eurozone countries next day with great fanfare. Four days later, however, as the G20 leaders were assembling in Cannes to give the package a celebratory lap of honour, Greek Prime Minister George Papandreou plunged the situation into chaos by announcing that he had now decided to put the package to referendum of the Greek people.

It was a referendum he would stand little chance of winning since the bulk of the population were against it despite his plans to use the threat withdraw from the Eurozone as a lever to get a yes vote. Shortly after Papandreou dramatically withdrew his proposal for a referendum — presumably concluding that even with the threat he would lose the vote— he survived a no-confidence vote in the Greek Parliament, and initiated moves towards a national coalition government. The end result was the appointment (on the insistence of Germany’s Angela Merkel) of an unelected Prime Minister—Lucas Papademos, a former deputy governor of the ECB. Greece now had a completely unelected Prime Minister who was effectively acting on behalf of the ECM and the IMF as their ag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draconian austerity.

The impact of Papandreou’s shenanigans on the G20 meeting could hardly have been more dramatic. Just like the EU elites, G20 leaders had nothing to offer other than supply-side austerity, poverty, and deprivation. The summit broke up in deadlock and disarray and with mounting fear that Italy – the third biggest country in the EU - was about to replace Greece at the centre of the European crisis. Italy was on to have an unelected banker as Prime Minister as well.

24) Greece on the front line

Greece was now firmly on the front line. It needed the new rescue package to pay the interest payments on its debt which were due by March 20 2012 and without that it would default.

The EU Commission appointed the Troika (representatives from the ECB, the EU, and the IMF) to “negotiate” terms with the Greek government. In fact it was simply a process of enforcement. The (rather utopian) aim of the bailout was to cut the country’s debt from the current 160% of gross domestic to 120% by 2020.

In February 2012, with debt default only weeks away, they accepted the terms demanded of the by the Troika including a 22% cut in the minimum wage — axing 150,000 public sector jobs and reducing pensions by 15%. Unemployment was already above 20% and a staggering 48% amongst 18-26 year olds. The Troika also demanded that the leaders of the three parties in the Greek coalition sign binding pledges making the cuts irreversible regardless of who wins the general election now called for May 6 2012.

Angela Merkel, the main player in this, had not moved an inch since the beginning. She had warned her centre-right MPs of "uncontrollable consequences" for the Eurozone should Greece become the first euro nation to declare sovereign default but was opposed to the creation of Euro bonds –which she saw as a back door way of financing Greece - and would not fund fiscal transfers to Greece. For her, the only course was the make the Greek working class pay for the crisis by reorganising Greek society from top to bottom on free market lines.

The consequences for Greece were therefore horrific. Greece is being used as a test bed for extreme neoliberal measures which will impose pauperisation on the Greek working class for the first time since World War II. Already there is increased homelessness, hunger, soup kitchens, and a new wave of migrants’ leaving the country Greece in search of jobs.

This situation has been met from the start by an explosion of action and protest. There have been 17 general strikes since the start of the crisis three years ago and a fifth of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country has been on the streets in recent protests only to be set upon with extreme violence by the police.

It was clear, however, even before this package was rammed through, that it would resolve nothing. The Greek finance minister told MPs that even after it has all been implemented the debt level would still be between 128% and 136% of GDP by 2020.

In this situation austerity was, of course, disastrously the wrong approach and can only compound the problem. What is needed is not austerity but massive in vestment in green alternatives—yet every country in Europe is committed to ever more damaging austerity programmes. Austerity simply ensures that the debt will remain unsustainable, unemployment will continue to soar, and revenues will decline. Already the economy is grinding to a halt and the recession is deepening.

This situation left Greek ministers openly accepting that the issue now was whether Greece could stay in the Eurozone. The EU elites also began to talk openly about the possibility of an exit by Greece and began to draw up contingency plans to try to cope with the eventuality— although they insisted that they wanted to keep Greece in. George Osborne admitted that Britain was drawing up plans not only for a possible default by Greece and contagion across the EU but for the repatriation of millions of British people in the eventually of a collapse of the European banking system and the closing down of the ATMs.

25) On the breakup of the Eurozone

In Greece the issue of the eurozone has been placed centre-stage by the severity of the crisis. The issue of withdraw, however, has divided opinion on the Greek left.

The Greek left on the whole is against a call for withdrawal from the eurozone. Those against include Syriza (Coalition of the Radical Left)—though the KOE (ex Maoist) inside it is in favour and the organisations connected to the FI, both the OKDE and Kokkino (a permanent observer). The KKE is ambiguous on it but is currently arguing that exit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with a pro-capitalist government, would be catastrophic. On the other hand they denounce Syriza for not supporting exit. Syriza argue that they will not compromise on their programme even if it means expulsion from the Euro.

On the other hand Antarsya (Anti-capitalist Left – of which OKDE is a member) and the Left Current inside Synaspismos (Coalition of the Left Movements and Ecology and the biggest block in Syriza) are for a call for withdrawal.

There is a serious problem, however. Whilst a call for exit from the Euro as an action demand is problematic because it would be hard to win popular support for a programme that included it, it is not an issue which can be avoided. It sits unavoidably in the middle of the situation and will not go away.

The key issue, however, is not the currency but the debt, although the two are intimately connected. The first response to the crisis in Greece (and elsewhere) should be to repudiate any responsibility for it and call for non-payment by the Greek government. The debt is a creation of the crisis of capitalism in Europe and worldwide over which the working class has no responsibility or control.

We call for debit audits in Greece and in each country with a debt crisis. Such audits should uncover the sources of the debt and the terms under which they were made. They should ask not only whether the debt can be paid but whether it should be paid at all. Unfortunately in Greece the audit has come to a halt because parts of the left have argued that it was unnecessary, that all that is necessary is the repudiation of the debt.

In the peripheral countries we call for debt repudiation and default, with audits used to facilitate that process. In the core economies (such as Britain and France) audits should be used to raise consciousness of the role and nature of the debt in preparation for a future more acute state of the crisis rather than to call for immediate defaults, which would not currently be understood by most people.

Debt repudiation is crucial because it is the debt, which has been used throughout this crisis, in every country of Europe, as the ideological battering ram to legitimise the austerity programmes and divert and confuse opposition.

Although the principal issue is the debt, to ignore the Euro would be to be politically disarmed. The two are firmly linked by both the Greek Government and the EU elites, who use the threat of exit against anyone opposing their austerity measures. If Greece crashes out of the Euro, the banks would lose a lot of money and contagion would quickly spread from Greece to Portugal, Spain, and Italy. In order to advocate debt repudiation, therefore, you have to have an answer to consequences regarding the Euro. Put the other way round you cannot pursue an effective demand for debit repudiation if you advocate staying in the eurozone. It is a contradiction in terms because one can follow directly from the other.

In fact a debt default in the eurozone is uncharted territory. Whilst there is no current mechanism for a eurozone county to refuse to pay their debt and stay within the eurozone, since entry has always been a one-way ticket, there is no mechanism to expel a member state either.

This means preparing the population to leave the eurozone whether it is posed as a threat by the government or arises as a consequence of default. This means explaining that the working class in Europe have no stake in either the Euro or the EU. We don’t defend the integrity of either of these anti-working class institutions. They are both neo-liberal set-ups designed to increase the exploitation of the working class and as such they are a part of the problem not the solution. They are demanding the immiseration of the populations of Greece and in the other peripheral countries in order to stabilise the Euro and defend the EU as a project. They designed to manage the crisis in the interests of capital by whatever means necessary - not as frameworks for developing progressive policies.

Our critique of the Euro and of the EU itself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rightwing in Britain or elsewhere, who advance a nationalist xenophobic and racist objection to them. We oppose their view at every stage and advance instead a working class and a socialist critique of the EU designed to challenge it neoliberal core and anti-working class structures.

We are pro-Europe internationalists. We call for a real internationalism. We call for the repeal of the Maastricht and Nice treaties which lock -in the EU’s neoliberal agenda. We call for a different Europe, a Europe of the workers and the peoples, free from such structures and restrictions which would allow the working class of each country to challenge their own ruling classes more directly than they can under the current EU set-up which seeks to support big business and serve their interests at every stage.

26) The Greek elections

The elections to which Greece is heading in early May promise to be like few others.

The establishment parties, Pasok and New Democracy (ND), are forced to go into them strapped into a remarkable straight jacket, since they have been forced both to sign up to the austerity policy in advance, advocate it and defend it during the election and implement it in full if they are elected.

This is not the best platform for an election in Greece at the present time and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ir support has plummeted with Pasok (the governing party before the coalition) on 11%. The junior partner of the coalition, Laos (Popular Arthodox Rally), is on 4%. Chryssi Avgi (Golden Dawn a neo Nazi party) is on 4%, its highest ever,

At the same time the parties of the left (to the left of Pasok) are attracting unprecedented support. The KKE is on 11%, Syriza on 12%, the Democratic Left (rightist split from Synaspismos) is on 16% and Antarsya on 1.%. The Greens are on 4%. This gives the anti-austerity parties a combined vote of over40%.

Although these parties represent diverse views on a range of issues, from the Antarsya on the left to the Democratic Left on the right, and have one crucial factor in common—they are all opposed to the austerity package. And whilst it is not clear how their current ratings will translate into the election it cannot be ruled out that they could win a majority.

It is incomprehensible, therefore, that some of these parties have ruled out the most logical call for the left in such a situation; which is a government of the anti-austerity parties. In fact some of them are even saying that even if they won a majority they would not form a government. This is the case with the KKE and Antarsya, including the SWP’s sister organisation and OKDE within it. Only Syriza (and Kokkino within it) supports the call for a government of the anti-austerity parties— based on an anti-austerity program, a redistribution of wealth, defaulting on the debt and nationalising the banks and the unities under social control.

This must be a better way forward than refusing to take office if they win the election.

27) Can the EU be reformed?

Much discussion on the left around the EU concerns the issue of whether the EU can be reformed. These are the key arguments against this view:

a) The democratic deficit within the EU is not only profound but it has become consistently worse. In fact every constitutional treaty since the Single European Act of 1986—Maastricht, Amsterdam, Nice and Lisbon—have degraded it further.

b) The European Parliament was established essentially as a device to give the impression of a democracy which does not actually exist.

c) Even the most rudimentary structures for reforming the EU do not exist. The EU is far less democratic that the (deeply flawed) bourgeois democracy of the individual member states. In fact after 60 years of the EU, 26 years of European integration, and a string of Treaties the fundamentally undemocratic nature of the European project, the democratic deficit, has become progressively worse.

d) Power in the EU lies with the Council of Ministers and the Commission —neither of which are elected bodies, both of which are dominated by the biggest and most powerful countries, meet in private, and cannot be challenged through the structures of the EU.

e) There is no avenue for change or democratisation through the European Parliament since its very limited powers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uncil of Ministers and the Commission.

f) The power to make changes therefore exists at the level of the national states not the EU itself since they have influence in the Council of Ministers—although this is effectively only applies to the big countries because of the balance of power there.

g) The struggle against the EU and its neoliberal agenda mainly takes place at the level of national politics, not at the level of the EU. This is because whilst the attacks are organised at the level of the EU they are implemented by the national governments. There is often a sleight-of-hand involved. Having decided policy with in the EU structures, representatives of national governments then present them as “European” decisions beyond their control, which they have no alternative but to introduce.

h) We support of European wide initiatives against EU measures that we oppose as we have been with treaties such as Maastricht and Lisbon, outside summits etc. In general, centralised demonstrations, marches etc in Brussels etc should be combined with actions in each member state. We support initiatives such as ETUC days of action while being aware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possible to mobilise seriously for it depends on the relationship of forces within each nation state.

i) We call for maximum international solidarity in support of the struggles taking place at the national level. We recognise the strategic need for developing close and organic links between the workers and social movements across Europe, since no overturn of neoliberalism in one country can survive in the long term without its overturn in the rest of Europe.

j) “NO to a bosses Europe of capital, war, racism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 YES to Europe of working class and the social movements”.

k) We call for a socialist united states of Europe as a long term goal. This, however, cannot be achieved through the reform of the EU, but only through its eventual dissolution and the building of new relationships, based on the institutions of direct democracy which could emerge in the struggle against the neoliberal programmes that the EU and Eurozone promote.

Demands should be directed towards individual governments rather than the EU institutions. This is not just because the mechanisms for such reforms do not exist at the level of the EU and the class struggle takes place mainly at the level of the nation state, but because we are not in favour of expanding the institutions of the EU in order to embrace such demands.

28) Our response to the crisis

Our starting point is the rejection of all cuts and austerity, working in every country across Europe to maximise resistance on the broadest possible basis. The Europe Against Austerity conference in London on October 1 2011 was a good start in the development of a Euro-wide response to these attacks. We must build strongly on this initiative.

Our overarching alternative is for investment not cuts to meet the crisis. We call for massive investments by governments in public works programmes to create large numbers of new green jobs designed to construct an environmentally sustainability society. Whilst calling for such investment we reject the capitalist obsession of year on year growth. This is both socially undesirable and environmentally unsustainable. We reject the perverse capitalist logic that people always need more commodities irrespective of what they already have, which is driven by the thirst for profit. We call for a rise in the quality of life rather than in quantity of things people possess, for an abundance of free time rather than of unnecessary commodities.

We call for big increase in investment into renewable technology and crash programmes to construct a renewable energy infrastructure and to improve energy conservation. We call for the insulation of the housing stock and public buildings and the construction sustainable (and free) public transport systems. In Britain we call for the creation of millions of green climate jobs in order to directly address global warming. This demand should extend across Europe, and such work should be carried out by workers directly employed by the governments themselves. If trillions of Euros can be given to the banks the money can be found for public works aimed at creating large numbers of green jobs and a low carbon infrastructure.

We call for radical change in the way the wealth of society is distributed. The share of wealth going to wage earners continues to decline while the share going to the wealthy continues to escalate. This is completely unacceptable. We therefore call for highly progressive tax systems and for the imposition of much higher taxes on the rich and on big business. We call for the bonuses of the bankers to be abolished, for the wages of the mass of workers to be increased, and precarious work conditions abolished.

We call for a Tobin tax - a financial transaction tax on all financial markets including short-term investments. This must be used not to bail out banks but to provide massive investment, in a nationalised framework, into a green infrastructure. Such a tax would not only create jobs and increase purchasing power but it would generate the resources necessary to maintain a range of socially necessary services and benefits currently under attack including welfare, pensions, education, childcare, health care and social services.

At the same time we call for working hours across Europe to be reduced without loss of pay. This would rapidly reduce unemployment, create large numbers jobs,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opulation.

29) Nationalisation under workers control

This perspective implies a planned and coordinated approach to the crisis which can only be met by programmes of nationalisation. This should start with the nationalisation of the banks and of bankrupt industries with the participation of, and control by, workers and consumers. It should also apply to other critical sectors such as housing, energy, infrastructure, pension system, education, and health.

Nationalisation is also central to any default. Without full control and ownership of the banking system a debt default could well lead to a freezing of credit, deeper recession, and big losses to workers’ pensions since the majority of a country’s debt is held by domestic banks and domestic pension funds. Taking banks under public control and ownership is crucial in order to nullify a credit crisis in defaulting nations and provide resources to cancel and pay off large parts of the debt in major economies. Financial resources could then be directed towards useful, green, planned investment.

Nationalisation does not equal socialism, of course, but it does provide a practical way to defend jobs and opens up a space in which socialist ideas can develop. The nationalisations of 2008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socialise risk and bail out the creditors, and with the intention of handing them back at a later date. Some were simply government majority shareholdings, which can be sold off at any time, and meanwhile managed “at arms length” from government. We should welcome them as far as they go, as better than leaving it to market forces - but we should call for workers control.

Across Europe we not only have to reject the austerity programmes but also the logic of the capitalist system by proposing another way of redistributing wealth and challenge the private ownership of finance and industry.

An international mobilisation against austerity must lead to a radical change in economic priorities in Europe, a challenge to the dictatorship of the EU, IMF and the banks, and a new and democratic way of organising society.

We therefore advance the following demands across the EU member states:

- Repeal the Maastricht and Nice EU treaties;

- For a peoples‘ assembly to chart a new way forward for Europe;

- Monetary policy should reflect the priorities agreed by a Peoples’ Assembly of Europe and not those of the unelected European Council;

- Debt audits to prepare debt repudiation;

- No to all cuts and privatization;

- Nationalise the banks under democratic and popular control;

- Nationalise bankrupt industries under workers control to preserve jobs and reorganise production;

- A Tobin Tax on all financial transactions to be used for green investment;

- A crash programme to construct a sustainable, publicly owned, energy infrastructure based on wind, wave, and solar power to create millions of new jobs in manufacture,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 A crash programme to insulate housing and public buildings to conserve energy;

- For a major programme of job conversion to socially useful production for industries such as car manufacture;

- Fiscal, monetary, and industrial policy should aim at full employment,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equality;

- For a highly progressive tax system which would impose much higher taxes on the rich and the corporations;

- Open the books of both the financial and industrial companies to prevent the use of the crisis to force through redundancies and closures;

- For a shorter working hours without loss of pay to create jobs;

- Halt the attack on wages, working conditions and pension rights;

- For free and sustainable public transport systems;

- Stop the war, cut military spending ;

- Break the power of agribusiness and the stop the speculation in food;

- Break the power of the supermarkets and protect the small traditional producers;

- Halt all house re-possessions for mortgage arrear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Iran and the threat of war: What should our attitude be?

Iran and the threat of war: What should our attitude be?

http://www.marxist.com/iran-and-the-threat-of-war-what-should-our-attitude-be.htm

 

Once again Israeli and American imperialism are sabre rattling in the Middle East. This time Iran is the target. Over the course of the last ten years one sanction after another has been placed on Iran in order to pressure it to abort its nuclear programme.

Illustration: Carlos LatuffIllustration: Carlos LatuffIn the course of the last couple of years the imperialists have upped the stakes in the conflict over Iran’s nuclear programme. Israeli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has called Iran “an existential threat” to Israel and has said that the Israeli regime would do whatever it takes to stop the Iranian nuclear programme.

Since last year four Iranian nuclear scientists have been assassinated, most likely through Mossad and CIA covert operations. At the same time the sanctions against Iran have been tightened, severely deepening the crisis in the Iranian economy. The latest major actions by the West have been the introduction of sanctions on Iran’s banking and oil sector. When the oil sanctions begin to bite, after being implemented at the beginning of February, the results will be catastrophic for the Iranian economy. Oil is the main source of income for Iran. Industry, services and agriculture are fully dependent on this sector. A collapse in income from oil could lead to major dislocation for Iran and especially for the Iranian people.

The Israeli regime is not hiding the fact that it is contemplating an attack against Iran. This would not mean an occupation of Iran on the lines Iraq or Afghanistan. The Iranian army is not the same as the Iraqi army in 2003. It is far bigger, better equipped and has better trained soldiers. A land war with Iran on the part of Israel would mean that the invading army would have to go through two countries at least, posing huge logistical problems. Above all, faced with an American invasion of their country, the Iranian masses, with their strong anti-imperialist feelings, would put up a ferocious struggle.

However, while a ground war is ruled out, an aerial attack is not. The Israelis have a history of such attacks. In 1981 they made a surprise air strike that destroyed an Iraqi nuclear reactor under construction in Osirak. In 2007 Israel conducted an airstrike on an allegedly secret nuclear installation in Syria. In the recent period Saudi Arabia and Jordan have both made it clear that they would allow Israel to use their airspace during such a campaign. This constitutes an open invitation for Israeli aggression against Iran.

For the US and world capitalism the Middle East is crucial, especially for its oil supplies. They consider it their right to bully any nation into submission and into accepting their word as law.Marxists utterly condemn all these acts of aggression on the part of the imperialist powers. Needless to say, that the main cost of such an attack would not be paid by the Iranian regime, but by the Iranian masses who are already suffering immensely under a despotic and reactionary regime.

In such a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ut across the thick fog of propaganda, and expose the real causes of this conflict and the interests that lie behind it.

The nuclear question

The imperialists accuse the Iranian regime of developing nuclear weapons. The Iranians on the other hand claim that the purpose of their nuclear programme is for peaceful forces, i.e. for energy. In a country that is floating on oil this seems somewhat improbable. However, it is easy to see why the Iranian regime wishes to develop nuclear weapons. They saw what happened to Iraq which possessed no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was invaded and occupied.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does have nuclear weapons and therefore the USA is trying to appease the regime and negotiate with it. The conclusion is hard to avoid: in order to resist imperialist bullying it is useful to have nuclear weapons.

The complaints of US and Israeli imperialism on this question reek of hypocrisy. Israel is the only country in the Middle East with a nuclear arsenal and the USA has by far the largest nuclear arsenal in the world. The USA is the only country to have ever used nuclear weapons in war, as they did in Japan towards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killing and injuring hundreds of thousands of civilians. Who are they to decide who can and cannot develop nuclear weaponry?

For decades the USA and especially Israel have grown accustomed to doing as they pleased in the Middle East. They have waged one war after another and bullied one country after another to suit their own purposes. But if Iran were to attain nuclear arms it would be a real threat to the dominant position of Israel, to the strategic interests of US imperialism and also to the US-backed Arab regimes in the Middle East. This is the real reason behind the hue and cry over Iran’s nuclear programme. It has nothing to do with bringing down a “rogue regime” or “defending democracy”.

When the mass protest movement was fighting for democracy in Bahrain there was no move on the part of the imperialists to defend the masses on the streets. On the contrary, they conveniently turned a blind eye as the regime repressed the movement with the help of Saudi forces. The Saudi regime is itself not renowned for its respect for human rights, but where are the calls to curb the power of this regime? There are none because it is in the economic, political and military interests of both Israel and the United States not to touch these regimes.

Changes in the Middle East

The roots of this situation can be traced back to the US wars against Iraq in 1992 and in 2003-2011. Before 1992 Iran and Israel had cooperated together for decades – of course always behind the scenes and not in public – with the main aim of counter-balancing Iraq. But the collapse of the Iraqi army after the US invasion of 2003 changed the whole balance of forces in the Middle East, to the advantage of Iran.The Arab revolution has further weakened the position of the USA in the Middle East, depriving it of key points of support, such as Mubarak. The same goes for Israel, which had a firm ally in Mubarak.

The Saudi ruling clique, which was pushing the US to stand behind Mubarak till the bitter end, was thoroughly disappointed by Obama’s wavering position. They see the US abandoning Mubarak as a betrayal and, more importantly, they see it as something that could happen to them. The Gulf States and Saudi Arabia have drawn the conclusion and have been pursuing their own interests in the region, especially during the Arab Revolution. The Qataris, through Al Jazeera, tried to intervene actively in other Arab countr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own position in the region.

If we add to this the fact that US influence in Turkey has also been weakened, it follows that the Americans, after their adventure in Iraq, and especially after the Arab revolution, have been left with very few solid points of support in the Middle East. Israel remains their sole sure ally, and that explains why Israel now has even more leverage in Washington than before. No US administration can afford to oppose Israel, which feels it can act with impunity. Certain things flow from this.

A vacuum opened up after the collapse of the Iraqi army and it was the Iranians that filled it, not only inside Iraq, but throughout the region. Iran’s growing influence in the Middle

East is of course seen as an opportunity by the Iranian regime, but the speed at which this development has been taking place is not necessarily to its advantage. It would have preferred more time to consolidate its position.But why is it that the Iranian regime is risking everything by continually provoking the Americans and the Israelis to the point that these countries – especially Israel – are openly contemplating an attack?

In part, this behaviour reflects the contradictions inside Iran. The regime is deeply split and in crisis. There is growing discontent among the masses. The value of the Rial has plummeted and inflation is threatening to spiral. This comes on top of a severe economic crisis that in the last two years has significantly weakened Iranian industry, with thousands of companies closing down and hundreds of thousands of workers losing their jobs and being thrown into poverty.

In order to divert the attention of the masses away from their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 regime is whipping up national chauvinist sentiment and an atmosphere of pre-war mobilisation in order to rally large layers of the population behind itself against the “foreign threat”. The constant provocations of Ahmadinejad against the Israelis and the Americans are based precisely on this calculation. This process, however, has a logic of its own.

Having made these threats, if they were then to backtrack and make concessions, all the contradictions would erupt on an even larger scale. It is probable that the regime, and especially the Ahmadinejad faction, would like to eventually come to some sort of an agreement with the US and Israel and reach an understanding in the Middle East, but they are forced by circumstances to step up the provocations and attacks.

Israel

The fact that Netanyahu has described Iran’s nuclear programme as “an existential threat to Israel”, means that the Israeli ruling clique, and especially the armed forces, cannot sit back and accept what they see as provocations from Iran without acting. They thus pose the question as if it were a matter of self-defence. What are the facts?

Until now the Israeli ruling class has been able to do whatever they wanted, whenever they wanted, in the region unchallenged. Since1967, when it is believed that they first acquired nuclear arms, Israel has attacked Egypt, Syria, Jordan, Lebanon, Iraq and of course Palestine. And most of these countries have been attacked more than once.The rise of another nuclear power in close proximity would put serious obstacles in the way of continuing to hold this role in the region and the Israeli generals would go to unheard of lengths to defend this position. This is also what Netanyahu means when he talks of an “existential threat” to Israel.

But this is no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quation. Far more decisive is the social situation within Israel itself. The Arab revolution had an important echo inside Israel. It showed the masses in Israel that, contrary to the propaganda of the regime, the Arab masses are not a hostile undemocratic force besieging Israel. In fact, the Israeli regime itself was thoroughly exposed in its clear opposition to the Arab masses’ demand for democracy and end to dictatorship. It is a known fact that the Israeli regime would have preferred Mubarak stayed in power!

The Israeli ruling class has always tried to portray Israel as the “victim” of Arab terrorism, but the Arab revolution changed all that. It had an immense impact on the class struggle inside Israel itself. Contrary to a common belief on the Left, Israel is not immune to class struggle; the class divide is very sharp in Israel.

According to the OECD, poverty in Israel is more widespread than in any other OECD country. Almost one in five people in Israel live in poverty – i.e. in a household with income less than half of the national average. About 40% of people of working age have no jobs. 23% of all elderly are currently living below the poverty line and according to Haaretz, at the end of 2008, in Jerusalem, 48 percent of Jewish and 74 percent of non-Jewish children where defined as poor. Problems of jobs, housing and wages are becoming insurmountable for the Israeli masses.

Last summer hundreds of thousands of Israelis took to the streets to protest their plight. At the height of the movement 500,000 people were on the streets in a country of 7 million inhabitants. Also the slogans of “Fight like an Egyptian” and “Tahrir is here” clearly showed that the movement was indeed, at least partially, inspired by the Arab revolution.These developments shook the Zionist state to its foundations.

This is the main factor that is pushing the Israeli rulers towards a military adventure aimed at diverting the attention of the masses away from the problems at home.

Saudi Arabia

The Saudis are especially nervous and afraid. Before the Iraq war, Saddam’s Iraq acted as a buffer between Iran and Saudi Arabia, ensuring that the Iranians could not put too many demands on the Saudis. But with the Iraqi regime gone, and Iran gaining wide influence within Iraq, the Saudis and the Gulf States are feeling threatened by Iran, and even more so by the poor Shia workers who are a large and very oppressed part of society. This explains the swift and brutal intervention of the Saudi army in Bahrain.

The Iranian regime has been acting in a very provocative manner in the Persian Gulf, especially towards patrolling US ships. As one Arab Gulf official told INEGMA Research in private: “If Iran is behaving in such a bold manner and it is not yet a nuclear power, just imagine how it will behave when it actually possesses nuclear weapons.” This explains why the Saudis have been pushing Obama to attack Iran. This was revealed in the diplomatic cables released by Wiki-leaks last year:

“The King, Foreign Minister, Prince Muqrin, and Prince Nayif all agreed that the Kingdom needs to cooperate with the US on resisting and rolling back Iranian influence and subversion in Iraq. The King was particularly adamant on this point, and it was echoed by the senior princes as well. Al-Jubeir recalled the King's frequent exhortations to the US to attack Iran and so put an end to its nuclear weapons program. ‘He told you to cut off the head of the snake,’ he recalled to the Chargé, adding that working with the US to roll back Iranian influence in Iraq is a strategic priority for the King and his government.”

But the Saudis are not putting all their trust in the Americans. Last year they had an exercise of closing down parts of their aerial defence systems in order to simulate Israeli jets passing through in order to reach Iranian airspace. At the same time they and the Gulf states are buying arms like never before. Last year the Saudis made an arms deal with the Americans which alone was worth $60 billion – the largest arms deal ever between the US and a foreign country.

US limitations exposed

The political atmosphere in the US has changed considerably since the days when George W Bush declared his “war on terror”. The Americans burned their fingers in Iraq and have been forced to withdraw. The situation in Afghanistan is even worse. It is estimated that the US will have spent more than $2.7 trillion on the wars in Iraq and Afghanistan by the time it withdraws from the latter. The US budget deficit, due largely to these wars and the bailout of the American financial system, has reached a staggering $14.2 trillion. Thousands of American soldiers have been killed in these two adventures.

Opposition to war is today higher than ever. In fac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Obama’s election was his promise to end the wars.In such conditions,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US to embark on an open war with Iran, and even more difficult for it to enlist the support of western countries for such an action. The 10-million strong anti-Iraq-war demonstrations would seem like child’s play compared to the political furore that would ensue.This is why the Obama administration is doing everything possible to avoid a military clash with Iran. The Americans only took part in the bombing of Libya reluctantly. They had to be pushed by the French and the British into participating in the bombing campaign. But there was never any question of intervening in Libya with ground troops.

The Obama administration actually wants to reach an agreement with the Iranians. In fact it has even been rumoured that Obama has offered Iran direct negotiations. Why then, all this talk about war?The problem is that Washington does not control the actions of the Israeli ruling clique and its generals. They have their own interests, which do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ose of the Americans. As the only reliable ally of the USA in the whole region, they feel they can pursue their own policies with virtual impunity. Moreover, Netanyahu regards Obama as a weak President and treats him with open contempt.

In the last year American officials have been sent to Israel several times in order to get guarantees from Netanyahu that the Israelis will not attack Iran without informing the Americans in advance. But the Israelis have refused to give such assurances. The reason is obvious: they do not want to be tied by US imperialist interests on this question.

If Israel attacks Iran – which seems very likely – the US will not have any choice but to give its backing. The Iranians have warned that in the case of an Israeli attack they would close the Strait of Hormuz – through which 31 percent of the world’s seaborne crude passes on its way to the world markets. In response to this the Americans have made it clear that they would not hesitate to defend their interests in the Persian Gulf. In an undisclosed letter to Khamenei, Obama made it clear that the Strait of Hormuz is “the red line” that must not be crosse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US would attack Iran with ground troops or try to occupy the country. They cannot afford to get bogged down in another unwinnable war. But that does not mean they cannot bomb Iran’s naval forces and defence infrastructure. But such an attack would have very serious consequences.

Consequences of a clash

The contradictions in the region are pushing towards some kind of an armed clash between Israel and Iran. The Israelis have to take a stance in regards to Iran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will choose to wage an aerial campaign mainly aimed at Iran’s nuclear programme facilities and its defence infrastructure. Such an attack might set back Iran’s nuclear programme for a couple of years, but it would not be able to halt it altogether. The Iranian regime would receive a bloody nose, but would not be defeated. Its military capability would be up and running again very soon.

Such an armed clash would not lead to an all-out regional war. No Arab regime can stand up to the Israelis, as we have seen many times before. The rulers of the Arab world would either stay out of it, or else fall in line behind the needs of US and Israeli imperialism in one way or another. But matters are different when it comes to the Arab street. The masses in the region would correctly see it as yet another imperialist campaign to bully a Middle Eastern country into submission.

The masses would once again come onto the streets and squares, confronting not just the Israeli and US aggressors but also their own governments. There would not be a US embassy left standing in the Middle East. It would exacerbate the class contradictions across the Middle East and would also lead to further destabilisation of the whole region. The Arab Revolution would receive a new lease of life and enter into a new stage.

War and Class Struggle

In 2009 the Iranian masses staged an impressive six month revolutionary struggle against the totalitarian regime of the Islamic Republic. The movement, lacking leadership, organisation and decisive working class intervention, was eventually defeated, but the Iranian masses have not yet said their last word. None of the contradictions have been solved and the regime has been thrown into a severe crisis. It is unlikely that it would be able to handle another blow in the same manner.

The economic crisis that is ravaging the country has dragged down living standards to new lows. Unemployment is growing massively. In October 2012 the official inflation rate hit 19.1 percent. The real figures are of course much higher than this. The effects of the present sanctions and the subsequent collapse in the Rial are only going to exacerbate the situation further. In January the unofficial black market rate in Tehran was 18,200 rials to the dollar, compared to 11,000 to 12,000 the month before. These conditions are becoming even more unbearable for the masses and they will sooner or later result in a revival of the revolutionary movement.

The imposition of sanctions and the threat of an attack from Israel are the main tools being used by the regime right now to keep the masses at bay. The regime blames the plight of the masses on imperialist sanctions. Thus, the Iranian and Israeli regimes are leaning on each other to divert the attention of their own masses away from the burning social issues. In fact, the regime has no interest in a war, which can end up by destabilizing it completely. Behind the scenes, they are probably looking for some kind of deal. But by making belligerent speeches and threats, they are playing with fire, especially where Israel is concerned.

What effect would an armed clash have on the class struggle in Iran? Initially it would have the effect of temporarily cutting across the class struggle. In the first stages, war always has this effect. In 1914, the tsarist regime entered the First World War in order to head off the developing social revolution in Russia. Although the regime was widely hated, and the Bolshevik Party at that time had the support of two thirds of the organized workers, the revolutionary vanguard initially found itself isolated by a wave of patriotism. The advanced workers were swamped by the mobilization of the more backward and inert masses. Nevertheless, three years later, the masses entered the revolutionary road, overthrowing the tsarist regime.

We would see something similar in Iran. For a time, it would relieve the pressure on the regime. It may be objected that this is impossible because the masses hate the regime. That is true. But however much the Iranian masses hate the regime, they hate the American and Israeli aggressors even more. When faced with imperialist aggression, they would rally to defend themselves and their country. We must be prepared for this.  But later this would turn into its opposite.

Wars always begin with a wave of patriotic sentiment but end up with revolutionary developments. After an initial period, all the contradictions within Iranian society would re-emerge on an even higher level than before. If Iran suffers military reverses, the process will accelerate. The people will draw the conclusion that all their suffering has been caused by the mullahs and react accordingly. Sooner or later, there will be a new and powerful revolutionary upsurge.

The bourgeois reformers offer no solution

The liberal “Reformists” of Iran criticize the conservatives for wanting to provoke a war with the imperialists. They moan that the Ahmadinejad clique is creating unnecessary enemies for Iran. In reality what they want is for Iran to submit to the demands of imperialism. That exposes the complete bankruptcy of the bourgeois reformists.

If tomorrow the regime of the mullahs were replaced by a liberal (bourgeois) democracy, would that solve the problems of ordinary working people? The bourgeois reformers wish to open Iran to the “world markets” (i.e. to submit to US and Israeli imperialism). Thus, the people of Iran would only exchange one bad master for another. It would not solve any of the burning problems.

Marxists are always ready to fight shoulder to shoulder with the masses in the struggle for democracy, but we do not have any illusions that in and of itself it will be able solve the main contradictions. The “democracy” that the Reformists are fighting for would place Iran under direct US imperialist domination. The exploitation of the working masses would continue unabated and once the masses of the country rose up against such conditions they would be met with just the same brute force by the stooges of imperialism.

Neither the regime nor the bourgeois reformists can offer any solution to the basic problems of the people. They cannot provide jobs, houses and bread, because they all accept the unjust capitalist system: the rule of the rich over the poor, the exploiter over the exploited. All over the world the capitalist system is no longer capable of giving the most basic concessions to the masses. On the contrary, it is forced to attack living standards again and again.

Our criticism of the regime is not that it stands up to imperialism. Our criticism is that it is incapable of waging a real struggle against imperialism. We do not tell the Iranian workers and peasants: “we must not make enemies of the Americans and Israelis”. We say: “We must fight the imperialists. But do you really trust the Ahmadinejad clique to defend your interests? We warn you not to place your lives and destinies in the hands of this reactionary and corrupt regime, which will betray you in the decisive moment.

Working people of Iran! Trust only in yourselves! Take the power into your own hands. Set up workers’ committees to run the war industries and clear out the corrupt officials and managers! Let the working people, unemployed and housewives control the price of bread and other basic necessities, and arrest speculators and crooks! Then a real war against the imperialists can be waged: a revolutionary war that would arouse the workers and peasants everywhere to follow their example and put themselves at the head of society!

The masses have to, and will, struggle against imperialist aggression. But they also have to struggle against the Iranian regime and Iranian capitalism. If power was in the hands of the workers and they were threatened with an imperialist attack, they could make an appeal to the workers and youth of Israel to oppose a war and to struggle against it from within Israel. A socialist regime could thus turn an imperialist war into a revolutionary war for a socialist Middle East.

Revolution – the only way out

We are entering into a new and turbulent period in the Middle East. The whole region is being transformed by the crisis of capitalism and the Arab revolution.The revolutionaries must be prepared for the stormy events that impend.

In Tunisia, Egypt and Libya the old dictatorships have been overthrown by the masses, but this does not mean that the revolution is over. In Syria the revolution is still going on and nobody can say how it will end. The movement in Israel has died down, but will come up again. Even Saudi Arabia is not immune from revolutionary developments. There is not a single stable regime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 including Iran.

In order to achieve a lasting peace the workers and youth must uproot the system that is causing wars, poverty and misery and that divides society into oppressors and oppressed. Only when imperialism has been expelled from the region and its local bourgeois agencies have been overthrown will the workers of the region finally achieve a just society.

The only reason why the workers have not yet succeeded in taking power is the lack of a revolutionary leadership. The defeat of the revolutionary movement in 2009 in Iran was the result of a lack of leadership. Without a clear revolutionary perspective and a correct programme the movement was incapable of drawing in the working class as an independent force and therefore the regime managed to weather the storm.

By gathering the best elements of the youth and the workers; educating them in the ideas of Marxism, developing a programme for the revolution and turning them towards the workers, the ground can be laid for the future victory of the revolution. An alternative leadership of the revolution can and must be brought into being. That is the task of the da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년 아랍민중혁명-튀니지, 이집트, 리비아를 중심으로

이 글은 진보전략 준비호(타흐리르 출판사)에 실린 글이다.

책소개는 ->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category2=175&nid=65091 (참세상)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681640X (알라딘)

 

 

2011년 아랍민중항쟁의 분석과 평가

-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를 중심으로

 

박석삼┊진보전략회의

 

 

들어가며

 

2010년 말 튀니지에서 시작된 아랍민중들의 항쟁은 북아프리카에서 중동을 포함한 전 아랍세계로 일파만파 번져갔다. 돌이켜 보면 2008년 시작된 세계 경제위기는 2009년과 2010년 재정위기에 직면한 남부 유럽의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에서 노동자계급의 저항을 야기하였고, 자본의 일자리와 연금개악 등의 복지축소 공격에 저항하는 프랑스 노동자계급의 거센 저항이 있었다. 특히 2011년에는 ‘아랍의 봄’만이 아니라, 구조조정과 복지개악에 반발하는 ‘유럽의 여름’, 주로 높은 등록금에 반대한 ‘남미의 가을’, 1%의 금융자본의 탐욕에 반대하는 99%의 점거운동으로 나타난 ‘북미의 겨울’이란 말처럼, 전 대륙적, 전 지구적 투쟁이 전개되었다. 이것은 신자유주의 세계화 체제가 한계에 달해 독점자본가들의 위기와 손실의 사회화와 타국화 시도에 대해 전 세계 민중들이 반발하는 모습이다. 결국 2011년 아랍민중혁명은 ‘신자유주의 세계화 축적체제’가 강요한 고통과 세계경제의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억압이 가장 극심한 아랍 국가들의 민중들이 자본과 지배계급의 위기전가로 인한 고통을 가장 많이 받은 나라에서, 그리고 체제의 재생산이 위기에 처한 세계자본주의의 가장 약한 고리에서 폭발한 것이다. 이 의미에서 아랍민중들의 항쟁은 세계자본주의가 강요하는 경제적 질서에 대한 범대륙적인 도전임과 동시에, 이 지역에 강요되는 정치적, 군사적 질서에 대한 위협으로 발전할 수 있는 세계사적 의미가 있는 투쟁이었다.

야만 그 자체인 자본주의 체제가 강요하는 고통에 괴로워하면서도 대안을 찾지 못한 채로 순응과 체념을 강요당했던 전 세계 민중에게 아랍민중들은 학살을 불사하는 무자비하고 야만적인 공권력에 맞서 21세기에 가능한 혁명의 전형을 보여 주었다.

이 글의 목적은 첫째 똑같은 신자유주의와 경제위기가 강요하는 고통을 받으면서도 왜 아랍지역에서는 혁명적 투쟁으로 발전하였는지, 그들이 도전하였던 낡은 질서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는 아랍민중은 어떻게 하여 지독한 장기독재를 끝장내고 승리를 쟁취할 수 있었는지를 전략과 전술의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현대 국가의 군사력과 경찰력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는 최루탄과 곤봉, 납치와 투옥, 고문과 살인 등 온갖 야만적인 폭력과 억압에 시달리고 있는 전 세계 민중들의 절실한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셋째는 이들 아랍민중의 혁명을 제국주의자들과 군부를 비롯한 낡은 지배계급들이 그들 계급의 이해를 관철하기 위하여 어떻게 책동하고 있으며, 강온 이슬람주의 세력을 비롯한 중간계급과 민중 간의 투쟁이 어떠한 계급모순을 축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등 북아프리카 3국의 민중들이 혁명적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배경과, 전개과정과 양상, 투쟁의 결과로 도달한 새로운 질서, 의의와 과제 등을 분석하여 이들 혁명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고 유의미한 함의를 찾고자 한다. 

 

제1장 혁명의 배경

 

2010년 말 튀니지에서 시작된 민중들의 항쟁은 알제리, 수단, 오만, 이집트, 리비아, 바레인, 예멘, 요르단, 이란 등 전 아랍세계로 번져 나갔다. 이들 항쟁은 같은 처지에 있는 민중들이 이웃나라 민중의 투쟁과 승리에 고무되어 서로를 고무하면서 확산되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아랍민중이 항쟁에 나선 이유는 무엇이며 왜 2011년이란 시점에서 항쟁에 나선 것인가? 혹자는 그 주된 이유로 2008년에 시작된 세계경제의 위기를 말한다. 그러나 똑같은 경제위기이고 혹은 아랍국가들이 더 심각한 고통을 겪고 있다고 하여도 유럽을 비롯한 다른 대륙과는 달리 유독 아랍지역에서만 폭발적인 혁명투쟁의 양상을 보인 것은 아랍국가들만이 갖고 있는 정치적, 사회적 특수성에서 그 이유를 찾아야 할 것이다.

 

1. 세속적이고 민족주의적인 후견독재의 성립

1952년 냉전이 한창일 때 나세르가 이끄는 자유장교단은 쿠데타를 일으켜 친영 이집트왕조를 무너뜨렸다. 나세르 체제는 냉전 시기 사회주의국가들이 이룩한 성과와 식민지나 반식민지 보호국에서 해방된 민중의 열망에 부응하여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와 토지재분배에서 보듯 반제 반봉건 자주국가를 주창하고, 종교적 근본주의라는 봉건적 억압을 타파하는 세속주의, 그리고 교육, 의료, 생필품 보조, 일자리 등에 대한 국가의 공적부조를 통치의 정당성으로 삼으면서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을 억압하고 국가 주도의 경제개발을 추구하는 ‘세속적이고 민족주의적인 후견독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나세르의 혁명은 많든 적든 전 아랍세계에 영향을 끼쳤고, 이에 따라 값싼 혹은 무료의 교육과 의료 그리고 생필품 보조와 일자리 주선을 하고 있는 튀니지나 리비아가 높은 교육수준과 낮은 영아 사망률을 자랑하게 된 것이다.*1 특히 1969년 친영 이드리스 왕조를 쿠데타로 무너뜨린 카다피는 ‘이슬람 사회주의’를 표방하면서, 영국군과 미군을 철수시키고 석유기업의 지분을 50%에서 79%로 끌어올렸다. 또한 금융, 보험, 무역 등을 국유화하고, 유휴토지와 이탈리안인들의 토지를 몰수하고 촌장들의 토지확장을 금지하고 토지를 재분배하였다. 1970년대에는 고유가 덕분으로 무상교육과 무상의료를 제공하고, 대학교육과 주택에 융자정책을 폈다. 1981년에는 경제제제로 인한 어려움이 가중되자 소매업을 금지하고 국가가 관리하는 슈퍼마켓에서 생필품을 저가로 공급하기도 하였다.**2

따라서 이들 국가의 통치의 정당성은 반제민족자주와 공적 후견과 세속주의에서 찾을 수 있는데, 뒤에서 보듯 이들 국가는 친제국주의와 신자유주의를 추진하면서 세속주의 이외에는 정당성이 상실 또는 훼손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이 시기는 2차 대전 이전 제국주의에 의해 강요된 반식민지 하의 친제 이슬람주의 지배계급을 몰아낸 반제 세속주의의 승리와, 냉전시기에 강요된 제국주의의 군사적, 정치적 질서로부터 북아프리카 지역의 이탈을 의미하는 시기였고, 제국주의 중심부가 강요하는 경제적 질서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국가주도의 경제개발을 추진하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2. 권위주의 국가의 고착과 부패

세속적이고 민족주의적인 후견독재로 출발한 이들 국가들은 국가주도의 경제발전을 추구하는 한편 체제의 위협이 되는 기층운동과 이슬람주의자들을 철저하게 억압하였다.

튀니지의 경우 1957년부터 권좌에 있었던 부르기바를 밀어내고 권력을 잡은 벤 알리는 1989년 합법적 선거 후, 90년대의 시작과 함께 이웃 알제리 내전에서 드러난 이슬람주의의 정치적 영향의 위험을 보면서 어려운 경제개혁을 추진하는 한편 이슬람주의 운동을 막아야 했다. 벤 알리는 알나흐다당Al-Nahda party을 포함한 10,000명 이상의 이슬람주의자들을 감옥에 보냈다. 정부에 대한 사소한 비판이나 불평도 이슬람주의자들을 돕고 선동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벤 알리는 국가기구와 집권당을 구분하지 않았고, 집권당인 RCD(Rally for Constitutional Democracy 입헌민주연합)는 국가였고, 국가는 벤 알리에게 봉사했다. 국가가 정한 모호한 기준의 금지를 넘는 어떤 기사도 실릴 수 없었다. 기업가들도 대통령에게 충분한 충성을 보이지 않으면 허가를 얻을 수 없었다. 제복경찰과 사복경찰은 체제의 수호자가 되었고, 대통령과 내무부 장관의 지휘 하에 움직였다. 90년대 중반부터 지금까지 이슬람주의자들이 제거되고 어떠한 반대도 조직하지 못한 채 지하화되자, 인권활동가와 언론인들이 목소리를 높였고, 사복경찰들의 폭력이나 마구잡이 연행과 고문이 회자되었다.***3

한편 이집트의 경우는 사다트가 시작했던 인피다(개방)정책에 대한 분노가 1977년 1월 식량 가격 인상을 계기로 폭발했다. 사람들이 카이로 중심가를 점거했지만 사다트는 가까스로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사다트는 좌파, 노조원, 자유주의자, 무슬림형제단 등을 대대적으로 탄압했다. 1981년 이슬람주의자들이 사다트를 암살하자, 당시 부통령이었던 무바라크는 사다트를 이어 대통령이 됐다. 그는 사다트의 경제 정책과 탄압 정책을 계승했고, 통치 기간 내내 비상조치법의 적용을 해제하지 않았다. 이슬람주의자 수백 명이 군사 법정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고, 보안경찰은 정치 활동가 수만 명을 잡아 가두고 고문했다. 1989년에는 철강 공장 노동자 파업을 진압하려고 탱크를 공장에 보내기도 했다.****4 무바라크의 경찰은 악랄하였다. 2010년 선거는 심하게 조작되었고, 집권여당인 NDP는 97%의 의석을 얻었다. 2010년 선거는 2011년 무바라크(82세)의 아들 가말에게 권력 승계를 보장하기 위한 사전작업이었다. 권력승계에 대해 야당만이 아니라 권력 내부의 군대와 관료들도 회의적이었다.*****5 이처럼 무바라크는 31년간에 걸친 집권 동안 체제에 대한 반대를 용납하지 않았고 사복경찰의 납치와 고문은 일상사였다.

그러나 가장 가혹한 체제는 리비아였다. 카다피는 “의회란 인민의 잘못된 대의이고, 의회적 정부란 민주주의 문제에 대한 잘못된 해결이다. 의회의 구성원은 인민이 아니라 그들의 당을 대변한다. 그러한 제도 하에서 인민은 희생자들이고, 정치체에 의하여 기만당하고 착취당한다. 대의제도는 사기다”*6라고 주장하면서 혁명의 원리에 반대하는 어떤 정치적 집단의 활동도 반역으로 처벌될 수 있는 1972년의 법률 제71호의 효력을 유지하면서 1977년 국가를 자마히리야(대중의 공동체 혹은 국가) 체제로 바꾸었다. 자마히리야 체제를 살펴보면,

 

  “중앙에는 전국인민총회General People’s Congress(의회) 그리고 그에 의해 선출되고 그 결정을 집행하는 전국인민위원회General People’s Committee(내각)가 있고, 지역에는 모든 리비아 시민들이 정치적인 사안에 대하여 토론하고 투표하기 위한 포럼으로 기능한다는 기초인민회의Basic People’s Congresses가 있다. … 자마히리야 체제는 빈사상태에 있었는데, 예를 들어 2011년에는 유니스 기초인민회의의 연례회의에는 두 사람이 참석했고, 카라와르샤 연례회의에는 몇 사람만 참석했다. 이러한 양상은 전국적으로 비슷했다. … 각 인민위원회는 서기국이 있고 거수로 선출되지만, 이러한 서기국은 일반적으로 보통 ‘혁명위원회운동’의 회원들인 체제의 충성파들의 영역이다. 혁명위원회운동은 리비아인들의 생활의 모든 부분에 침투한 준법률적인 집단이다. 리비아는 샤비앗(Shabiat 행정영역)으로 나뉘어 있고, 각각은 지역행정에 책임지는 행정위원회governing council가 있다. 이 위원회들 또한 거의 체제 충성파들의 영역이 되어 왔다. 게다가 가장 높은 단계까지의 모든 기구에 감시조직이 달려 있다. 이러한 감시조직은 혁명위원회의 구성원들이 실무를 맡고 있고, 대부분의 경우 그들은 체제를 지배해 온 관료층과 비효율성을 추가하고 있을 뿐이다.”**7

 

이처럼 카다피의 자마히리야 체제가 대의 민주주의의 허구성을 부정하고 모든 시민의 직접 참여를 기반으로 지방과 중앙의 의회와 그에 의해 선출되는 내각 혹은 서기국을 구성하는 것은 파리코뮌에서 보듯 의결과 집행의 통일체라는 직접민주주의의 이상을 추구하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운용에 있어서는 혁명위원회운동의 구성원들이 요직과 권한을 독점함으로써 인민의 참여를 허구화하고 모든 시민을 무권리 상태로 소외시켰다. 결국 카다피가 만든 자마히리야 체제는 모든 대의제도와 정치활동을 금지하고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으면서 모든 권력을 집중한 카다피 1인을 위한 체제였고, 그에게 줄을 서는 혁명위원회에 소속된 충성파들이 권력을 휘두르는 체제였던 것이다. 이번 리비아 항쟁에서 정보경찰인 국내안전부ISA:Internal Secury Agency와 혁명위원회 건물이 가장 먼저 타겟이 된 것은 이들에 대한 원성이 얼마나 높았는지 알 수 있다. 카다피는 체제에 대한 사소한 저항도 용납하지 않았고 체제의 위협이 될 이슬람주의자들에게 가혹했다. 1996년에는 처우개선을 요구하는 이슬람주의자 수감자들을 1,200명이나 학살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 국가의 집권층의 부패는 참으로 심각하였고 성장의 열매는 소수에게만 집중되었다. 무바라크와 그 가족들은 400억 달러에서 700억 달러의 재산을 모았고, 무바라크의 아들 가말과 가까운 39대 관료와 사업가들은 10억 달러 이상을 모았다. 벤 알리와 그의 가족은 지난 20년 동안 호텔, 은행, 참치 수출, 건설, 신문, 제약회사 등 수많은 회사와 공장을 통해서 부를 축적했다.***8 벤 알리의 처인 트라벨시는 튀니지를 탈출할 때 5,000만 달러 상당의 금괴(1.5톤)를 가지고 달아났을 정도로 벤 알리 일족의 부패는 광범한 분노를 샀다. 그리고 석유산업과 각종 이권에 관여하는 카다피 일가의 재산은 1,50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다피 일가는 해외 부동산과 기업에 공개적으로 투자했고, 한때 식민모국이었던 이탈리아의 정유회사와 통신사 등에 지분을 갖고 있었다.****9

이처럼 권력의 독점과 지독한 부패, 성장 과실의 소수에의 집중과 다수의 배제 역시 이번 항쟁의 한 원인이었다.

 

3. 신자유주의와 경제위기가 강요한 민중들의 고통

1950년대와 60년대에 자본주의 세계체제 혹은 제국주의 세계체제가 강요하는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질서를 거부하고 성립한 이들 3국은 1970년대부터 90년대에 걸쳐 ‘신자유주의 세계화 축적체제’로 편입되었다. 그리고 아랍민중들이 항쟁에 나선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지난 30년간에 걸친 신자유주의적인 배제와 수탈과 억압이 있었다.

튀니지의 벤 알리는 취임 이후 사적 투자를 유치하는 시장지향개혁으로 마그레브(북아프리카 지역)에서 가장 건강한 경제라는 평판을 받았고, GDP 성장률은 연간 5%에 달했다. 튀니지의 경제활동은 식민지 시절부터 북부와 동부에 집중되었지만, 1956년 독립 이래 경제계획은 중부와 남부, 서부에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활수준을 높이는 데 맞춰졌다. 정부투자는 식수, 전기, 교통, 의료, 교육에 대한 용이한 접근이라는 점에서 시골지역을 변모시켰다. 그러나 정부는 급격한 인구증가 때문에 내륙지방에서 충분한 일자리를 만드는 데 성공할 수 없었다. 튀니지의 개발전략은 70년대 초반부터 수출과 사적투자에 의존하고 있었고, 빈약한 자원과 유럽과의 근접성은 관광과 유럽시장을 위한 저숙련 제조업 생산(의류와 농산물 생산)에 대한 강조로 이어졌고, 운송비용을 최소화할 필요성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관광객이나 수출업자를 내륙으로 끌어당길 수 없었다. 국내 생산의 80%가 해안지방에 집중되었고, 나머지 20%가 인구의 40%가 사는 중서부와 남서부에서 이루어졌다. 교육에 대한 문화적 배경은 대학교육을 중시했지만, 대학교육은 관광과 의류제조 등 저숙련 기술에 의존하는 경제에 필요한 사람들을 생산하지는 않았다. 튀니지의 실업률은 13-16%였고 특히 내륙지방인 시디 부지드의 실업률은 25-30%에 달했다.*****10

한편 이집트는 1970년대 초부터 국가주도의 경제발전이 한계에 부딪히자 막대한 부채와 고물가, 고유가 등 경제위기에 처했다. 1970년 나세르가 죽자 권력을 이어받은 사다트는 사적 투자를 촉진하는 여러 조치와 사유화 등 개방정책(인피다)과 이스라엘과의 화해를 추진하였다. 1981년 사다트의 정책을 그대로 이어받은 무바라크는 90년대 초반 감당할 수 없는 외채수준 때문에 세계은행과 경제개혁에 관한 협정에 서명할 수밖에 없었다. 지난 20년간 이집트 정부는 사회적 프로그램에 대한 지출을 삭감하고 무역과 상품가격, 이자율을 자유화하고, 오랫동안 시행되어 온 대졸자에 대한 정부고용을 보류하고, 수많은 공공부문 회사를 사유화하고, 많은 상품에 대한 보조금을 보류하는 일련의 구조조정 정책을 시행하였다. 국가 지출이 감소하자 교육, 의료, 교통을 포함하는 사회서비스에 대한 공적 지출이 정체되고 이들 서비스의 질이 악화되었다. 공장 노동자들, 무토지 농민들 그리고 수출이 아닌 내수시장을 위한 상품을 생산하는 사람들이 가장 큰 고통을 받았다. 그들은 정부의 서비스와 보조금 그리고 시장보호에 의존하였기에, 그들의 고통을 ‘경제자유화’의 결과로 보았다.*11

그리고 석유수입이 수출의 95%, 정부수입의 75%, GDP의 50%를 차지하는 극단적인 석유의존경제인 리비아는 80년대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제제**12와 유가 하락으로 1인당 GDP가 42%로 축소되었다. 카다피는 1990년대 이후 서방과의 관계개선을 모색했다. 2000년 카다피는 “리비아는 단지 리비아의 이익만이 아니라 유럽에게 리비아가 관문이 되고 있는 전 아프리카 대륙을 위해서 외국자본의 투자와 참여를 고무하길 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투자를 위한 적절한 환경을 조성할 것입니다”라고 선언하였다.***13 2003년엔 대량살상무기 포기 선언을 했고, 40년 만에 석유채굴권 공개입찰에 다국적 기업들도 참여하도록 허용했다. 사실 이런 경제개방 정책은 이미 1990년대에 시작됐다. 공기업 특혜폐지와 사기업화, 외국인 투자유치 강화를 위한 법 개정, WTO 가입 등을 추진했다. 반대로 경제개방 정책 속에 리비아 민중의 삶은 악화됐다. 1990년대부터 카다피 정권은 공공지출을 크게 줄였고, 보조금 제도와 실업수당을 폐지했다. 게다가 IMF 권고를 받아들인 결과 허약해진 통화 때문에 인플레이션마저 발생해 노동자들은 실질임금의 하락으로 고통받았다.****14

 

이처럼 리비아의 경우는 1980년대와 90년대에 경제제제라는 고통에서 벗어날 필요도 있었지만, 3국 모두 최근 20-30년 동안 사적투자와 시장을 개방하면서 충분한 일자리를 만들어내지 못한 채 사회적 안정망을 해체하여 민중들의 고통을 가중시켰다. 다음은 이를 뒷받침하는 여러 보고들이다.

 

  아랍국가에서는 인구의 절반이상이 30세 이하이고 15-29세 사이의 인구가 1/3 이상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중동은 교육수준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청년실업률(25%, 세계 평균은 14.4%)이 가장 높다. 청년실업률은 학력이 높을수록 높다. 2006년 이집트에서는 고졸 이상 청년의 95%가 실업자였다. 일자리가 있는 사람들도 낮은 임금과 나쁜 환경에서 일한다. 높은 실업과 낮은 임금은 많은 이집트 청년들이 결혼이나 가정을 꾸리는 것을 막았다. 25-29세 사이의 절반 이상이 싱글이다.*****15

  리비아 시민의 20.74%가 실직 상태이고, 약 3분의 1이 빈곤선 이하에서 살고 있다. 안정적 수입을 얻는 가족이 한 사람도 없는 가구가 16% 이상이고, 43.3%는 오직 한 사람만 소득이 있다.*16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신자유주의 세계화 축적체제, 즉 ‘인피다’로 상징되는 개방정책과 IMF 등이 강요한 신자유주의적 개방과 구조조정은 지난 30년간 아랍민중들을 만성적인 빈곤과 실업에 빠뜨렸다. 여기에 2008년 세계대공황과 식량가격 등의 폭등, 선진국 시장과 일자리의 축소는 고통을 배가시켰다.**17 결국 세계 대공황은 자본주의 재생산 체제가 취약한 혹은 고통을 감당할 힘이 가장 취약한 곳인 아랍세계에서 폭발하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튀니지나 이집트 등은 관광업과 수출경제에 의존하는 국가였기 때문에 세계경제위기에 취약하였다. 이것이 IMF가 강요한 신자유주의의 모범생 국가들이 맞을 수밖에 없었던 운명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들 3국은 모두 정보경찰에 의존하여 고문과 납치와 살인도 불사하는 가혹한 권위주의 독재국가였다. 이들 나라의 정권들은 노동운동이나 정치적 반대운동을 억압하고 특히 체제의 위협이 될 이슬람주의자들을 철저히 탄압하였다. 탄압의 이유가 독재자의 장기집권을 위한 것이었든 혹은 개방정책(즉 신자유주의 세계화정책)으로 인해 고통받는 민중의 저항에 대한 필연적인 탄압이었든 간에 이들 정권이 그토록 장기집권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최소한의 삶을 지탱해주는 후견(복지)제도의 영향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세계화로 인한 후견제도의 형해화와 튀니지와 이집트에서 보듯 이들 정권의 친미(서방) 친이스라엘 정책 즉 제국주의가 강요하는 군사적, 정치적 질서로의 편입, 동조 또는 야합은 ‘반미’와 ‘박애’(혹은 자선charity)를 앞세운 이슬람주의자들이 성장하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3국은 극심한 정치적인 억압과 신자유주의와 경제위기가 강요하는 고통의 크기에 있어서 세계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아랍지역의 특수성을 보이지만, 정치적 억압의 정도나 민중들의 처지 그리고 계급투쟁의 지형이 상이하였고 이러한 차이점이 항쟁의 폭과 치열함에서 차이를 가져왔다. 먼저 정치적 억압의 정도를 보면 리비아가 가장 심했고, 튀니지, 이집트 순이었는데, 운동역량은 이집트, 튀니지, 리비아의 순으로 크기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이번 항쟁에서 리비아는 무장투쟁의 양상을 보인 반면, 튀니지는 화염병을 든 폭동이나 소요에 가까웠고, 이집트는 화염병을 든 사람도 있었지만 대중시위와 행진 등 상대적으로 평화적인 시민혁명의 모습을 보였다.

세계은행의 통계(2008-2009년) 등에 따르면,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는 실업률에 있어서 각 9.4%, 14.2%, 20.74%이고, GNI는 각 4,160달러, 2,420달러, 12,320달러이다. 청년실업률은 보통 일반 실업률의 두 배에 달하고, 학력이 높을수록 취업률이 낮다는 점을 감안하면 교육받은 젊은 실업자들이 항쟁에 앞장선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결국 항쟁참여자의 폭이나 항쟁의 격렬함에 차이를 가져오는 것은 빈곤이나 소득의 절대적 수준보다는 정치적 억압의 정도와 분배정의의 왜곡 정도, 그리고 일자리 문제 등과 관련한 체제에 대한 절망과 분노의 크기의 차이 등이 가장 큰 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제2장 혁명투쟁의 전개과정과 양상

 

1. 튀니지***18

1) 부아지지의 분신과 시디 부지드의 고립된 투쟁

튀니지 중부 내륙의 도시인 시디 부지드Sidi Bouzid에서 6남매의 맏아들로 태어난 모하메드 부아지지Mohamed Bouazizi(26)는 대학까지 졸업하고도 직장을 구하지 못하여 시장근처에서 가판대를 놓고 청과물을 팔아 가정을 부양하는 처지였다. 그런데 2010년 12월 17일(토) 아침 뇌물을 요구하는 시청단속반인 여성은 부아지지의 수레를 부수고 과일을 압수하고 뺨을 때렸다. 이에 부아지지는 수치와 절망을 이기지 못하고 도청 청사 앞에서 온몸에 석유를 붓고 분신하였다.(분신 후 즉시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2011년 1월 4일 사망하였고 1월 5일 장례식이 치러졌다.) 이 소식은 즉시 시디 부지드 시 전역에 알려졌고, 사람들은 도청 청사에 몰려가 항의하였다. 경찰은 시민들을 해산시킬 수 없었고, 노골적인 항의시위로 변하였다. 시민들은 ‘당국은 수치를 알라!’, ‘너희들의 뇌물이 분신시켰다.’ ‘도적놈들로부터 정의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날 하루 종일 시디 부지드는 대중시위가 계속되었고, 시 입구와 시내 주요지역에서 구호를 외치는 시민에게 최루가스를 뿌리는 경찰과 폭력적인 충돌이 있었다. 분노한 청년들과 경찰 간의 충돌이 계속되면서 밤늦게까지 50여 명의 청년들이 연행되었다. 다음날 연행사실이 보도되자 시위는 오히려 확산되었다. 연행은 고문과 감옥행을 뜻한다는 것이 상식인 나라에서 이러한 시위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3,000여 명의 시위대는 주변 도시로부터 병력을 보강한 무장경찰과 폭력적으로 충돌하였고, 시디 부지드 인근 도시와 마을에서도 충돌이 일어났다. 지방당국은 시위대를 겁주고 테러하기 위해 국가가 뒤를 봐주는 사병(용역깡패집단)들을 동원했고, 보안기관과 정보원들은 주모자를 잡으려고 혈안이 되었지만, 시민들은 ‘모든 연행자 석방!’, ‘인민은 배고프다! 도적놈들을 감옥으로!’, ‘일자리, 자유, 민족적 자존심!’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계속하였다.

월요일은 시디 부지드 도의 졸업생 임용시험이 시작되는 날이었다. 시디 부지드 도의 모든 도시와 마을의 수천 명에 달하는 졸업생들이 시디 부지드 시로 모였고, 지난 이틀간에 있었던 사건을 공유하면서 시위가 시디 부지드 도 전체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경찰이 시디 부지드 시와 주요 지역, 도청과 집권당의 당사에 배치되어 삼엄한 상황이었지만, 화요일엔 시디 부지드 도의 모든 지역에서 강력한 저항과 투쟁의 대중행동이 일어났다. 지역노조는 시위와 점거 항의를 조직하였고, 청년들은 최루가스와 고무탄으로 무장한 경찰과 충돌을 계속하면서 주요도로를 점거하였다. 지역언론은 침묵하였고, 사람들은 ‘프랑스24’, ‘알자지라’, ‘알아라비아’ 등의 외국매체와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에서 정보를 얻었다. 수요일(12월 22일)엔 부아지지를 뒤따라 후세인 나지가 분신하였고 시위는 계속되었다.

 

2) 중부 내륙으로의 확장과 탈라 전투

시디 부지드 도내에 있는 부자이엔과 메크나시에서 격심한 충돌이 계속되자, 경찰은 야만적 폭력과 실탄 그리고 마구잡이 연행, 활동가 가택의 습격 등으로 대응하였고, 여기에 12월 24일 대졸 실업자인 알 암마리가 부자이엔에서 희생되었다. 알 암마리의 ‘순교’ 소식은 대중의 저항과 투쟁에 다시 한 번 불을 붙였다. 중무장한 사병들과 경찰은 최루가스와 고무탄, 실탄, 경찰견을 사용하면서 전 도시들을 포위하였고, 전기와 인터넷을 끊었다. 시위는 시디 부지드와 인근한 중부의 다른 도인 케프, 카세린, 카이루안, 가스파, 케빌리로 옮겨 붙었다.

연말이 되자 사회적인 폭발의 징후가 나타나고, 수만 명이 거리로 진출한 카세린과 탈라Thala가 투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시위자들은 나중에 전 아랍의 주문이 된 ‘인민은 정권의 퇴진을 요구한다The people demand the downfall of the regime’는 슬로건을 이때부터 외치기 시작했다. 한편 12월 27일 튀니스에서는 독립노조 활동가들이 시지 부지드 투쟁과의 연대를 표명하면서 일자리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는데, 1,000여 명이 참석한 이 집회는 경찰에 의해 중단되었고, 12월 28일엔 300여 명이 모인 법률가들의 집회도 있었다.****19 이날 벤 알리는 TV에서 시위대를 극단주의자들과 용병들이라고 비난하면서 엄중처벌 하겠다고 밝혔지만 시위는 연말까지 계속되었다. 1월 3일 탈라에서 주로 학생들로 이루어진 약 250명의 시위대가 참석한 집회에 경찰이 최루탄을 사용하였고, 그 중의 하나가 모스크로 날아들자 분노가 폭발하였다. 시위대는 타이어를 태우며 RCD 건물을 공격했다.*****20 부아지지의 장례식이 있었던 1월 5일에는 중무장한 보안부대와 맞서 인구 4만 명의 탈라 시의 청년들이 시 입구에 ‘탈라는 북아프리카의 스탈린그라드다’라는 구호를 내걸고 격렬한 투쟁을 전개하였다. 1월 6일 수천 명의 변호사들이 파업에 들어갔고 다음날엔 교사들도 합류하였다.*21

3주째 토요일인 1월 8일이 분수령이었다. 보안부대는 최루 가스와 뜨거운 물, 고무탄, 습격과 연행에 뒤이어 실탄을 사용하였다. 이날 카세린과 탈라에서 62명의 ‘순교자’가 나왔다. 1월 9일(일) 아침 이들 도시는 최종적으로 살인자들의 즉각 처벌을 요구하는 ‘혁명가들’에게 장악되었다. 그들은 국가기구를 장악하였고, 튀니지 내륙의 많은 도시들이 국가와 보안기구의 손아귀에서 벗어났다. 여기엔 이들 지역의 지역노조와 전국변호사연합 그리고 ‘부분파업과 점거, 항의 시위를 조직하여 저항한다’고 선언한 교사노조의 뒷받침이 있었다.

 

3) 수도에서의 결전 - 타다몬 전투

혁명은 이제 수도 튀니스의 대중시위로 결정적인 순간에 달했다. 전국을 휩쓴 학생들의 시위가 있었던 1월 10일 수업은 취소되었다. 당국은 ‘사전 작전’에 따라 노조활동가와 변호사들을 폭행하고 집회를 금지하고, 지지를 조직하려는 모든 사람을 겁주고 위협하면서 수십 개 도시의 인터넷과 통신을 끊었다. 튀니지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내륙지방이 당국의 장악력으로부터 해방되었고, 구호는 정치적으로 변했다. ‘RCD 타도!, 인민의 살인자와 고문자 타도! 파시스트 배반자 타도!’ 1월 10일 벤 알리는 30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체제의 마지막 순간은 수도 튀니스의 가장 큰 구역이자 가장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타다몬Tadamon 지구의 젊은이들과 진압경찰이 충돌한 1월 11일 밤이었다. 피와 폭력으로 얼룩진 이 싸움에서 고무탄과 최루가스는 사람들을 오히려 격앙시켰고, 타다몬의 승리가 알려지자 튀니스 시내의 수많은 인근 지구에서도 봉기가 일어났다. 정부는 야간통행금지를 실시하고 군대의 동원을 요청하였다. 마침내 13일 밤 벤 알리는 경찰에게 실탄사용을 중지하라고 명령하고 국민에게 사과했지만 때는 이미 늦었다.

1월 14일 아침 튀니지 전국에서 ‘인민은 정권의 퇴진을 요구한다’는 구호를 외쳤다. 특히 어떤 형태의 시위나 항의도 금지되어 온 수도의 중심도로인 부르기바에 50만 명의 대중들이 모여 내무부 청사로 향했고, 청사 앞에 연좌하여 벤 알리와 그의 처가인 트라벨시 집안이 튀니지에서 사라질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살인책임자들의 처벌과 모든 정치범의 석방도 요구하였다. 그리고 총탄이 발사되었고 혼란이 뒤따랐다. 군부는 등을 돌렸고 벤 알리는 사임을 강요당했다.

 

2. 이집트

1) 첫 동원의 성사와 동력의 확산

1월 14일 튀니지 민중이 벤 알리를 축출하자,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29년에 걸친 장기집권과 독재에 대한 분노의 시위가 시작되고, 1월 18일에는 세 사람이 분신하였고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었다. ‘4.6 청년운동April 6 Youth Movement’은 ‘경찰의 날’인 1월 25일에 대규모 봉기를 일으키자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호소하였고, 며칠도 안 되어 9만 명이 넘는 젊은이들이 지지를 표명하였다.

1월 25일은 ‘분노의 날’로 명명되었다. 이집트에서는 수백 명의 항의자를 검정 제복을 입은 수천 명의 진압경찰로 압도해버리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이날 처음으로 시위대가 경찰의 수를 압도했다. 경찰은 팔짱을 낀 시위대에 최루가스로 대응했다. 군중들은 과거와 달리 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 무슬림과 기독교인이 뒤섞여 있었다. 경찰은 늦은 오후 타흐리르 광장으로 방향을 바꾸고 광장을 장악하려는 시위대에게 물대포, 최루가스, 곤봉을 사용했지만, 이른 저녁 수천 명의 시위대는 광장으로 들어갔다. 무슬림형제단은 주초부터 회원들이 개별적으로 참가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조직적으로는 참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카이로에서만 1만 5천 명 이상이 거리로 나왔고 알렉산드리아, 아수안, 만수라, 이스마일리아 등 다른 도시들에서도 시위자들이 함께 거리를 점거하고 행진하였다. 그리고 이슬람교도들이 합동예배를 드리는 안식일인 금요일(1월 28일)에 다시 ‘분노의 날’을 갖자고 제안되었다.

시위 초기에 경찰들은 매우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수많은 시위자들이 여러 곳에서 경찰저지선을 무너뜨리고 타흐리르 광장에 도착하자 경찰은 방패와 곤봉 그리고 최루탄과 물대포로 시위자들을 해산시키고자 했다. 도심을 방어하기 위해 3만 명의 경찰이 소집되었고, 특히 상당한 수의 경찰이 정부청사와 의회를 에워쌓았다.

1월 28일(금) 금요기도가 끝난 후 카이로에서만 10만여 명을 비롯하여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여러 도시에서 시위에 참가하였고, 정부는 인터넷과 이동전화를 차단하였다. 시위대는 최루가스와 소방호스, 고무탄, 실탄을 무릅쓰고 수천 명의 진압부대를 압도하면서 타흐리르 광장으로 쇄도했다. 많은 정당과 단체들이 시위에 참가하였고, 시위에 참가한 즉시 수백 명의 지도자들은 체포 구금되었다. 이날 시위로 62명이 사망하였고, 시위대는 1월 28일부터 타흐리르 광장을 고수하였다. 1월 29일부터 카이로의 주요 도로와 타흐리르 광장의 입구 그리고 다른 도시의 중심부에 탱크를 탄 군대가 배치되었다. 이에 수많은 사람들이 병사들에게 다가가 포옹하고 탱크 위에 올라가 이집트 국기를 흔들고 ‘군대와 국민은 하나다’라고 외쳤다. 젊은이들은 탱크에 무바라크 반대구호를 써넣기도 하였다.**22 1월 31일에는 타흐리르 광장을 넘칠 정도로 많은 수십만 명의 군중들이 시위에 참가하였고, 2월 1일까지 총 300명 이상 사망하였다. 1월 30일에는 노동자 계급이 이집트 독립노동조합연맹(FETU)을 건설하고 전국 총파업을 호소하였다. 이처럼 이집트는 1월 25일 첫 집회 이후 수백 명의 희생자를 내면서도 참여 동력이 계속 확장되었고 타흐리르 광장을 중심으로 정권과 대치하는 전선을 확보하였다.

 

2) 군부의 중립과 친정부 시위대의 격퇴

2월 1일 이집트 군부는 시위대에 무력사용을 않겠다고 선언하였고, 무바라크는 두 번째 연설에서 가을에 시작되는 6번째 임기를 포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밤에도 수천 명의 시위대는 ‘정권 타도’를 외치며 타흐리르 광장을 지켰다. 그리고 이날부터 2월 4일까지 친무바라크 시위대와 격렬한 충돌이 벌어졌다. 2월 2일 ‘100만인 행진’에서는 친정부 시위대와의 충돌로 카이로 15명, 알렉산드리아 52명, 수에즈 13명이 희생되었다. 채찍과 단도, 체인과 화염병으로 무장한 친정부 시위대와의 충돌은 많은 희생자들을 내었고 타흐리르 광장에는 부상당한 사람들로 가득 찼다. ‘퇴진의 날’로 정해졌던 2월 4일(금)은 인터넷이 차단된 가운데 수십만 명이 시위에 참가하였다. 이날까지 시위대는 5,000명의 부상자를 내면서도 타흐리르 광장을 고수하였고 친정부 시위대를 격퇴하였다.

 

3) 타협의 거부와 총궐기

주말인 2월 5일 이집트 총리 술레이만은 강제해산을 하지 않겠다고 발표하였고, 무슬림형제단을 포함한 자칭 ‘현자들Wise Men’이 술레이만과 협상하려고 하였다. 2월 7일 군인들이 탱크로 시위대를 이집트 박물관 남쪽으로 밀어붙이기 시작하자, 여기에 십여 명의 무슬림형제단의 청년회원들이 지도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탱크 아래로 몸을 던져 막았다. 야권은 ‘정권교체협의 25인 위원회’를 구성하고 개헌위원회 등의 설치에 합의했지만 시위주도단체와 시위대는 무바라크의 퇴진 전에는 어떠한 협상도 거부한다면서 ‘혁명방어위원회’를 발의하였다.***23

그리고 2월 8일 두 번째 100만인 행진과 수에즈 운하 노동자들을 비롯한 운송, 통신 노동자들의 총파업을 시작으로 무바라크가 물러난 2월 11일까지 매일 수십만 명의 이집트인들이 시위에 참가하여 끝장투쟁을 벌였다. 2월 8일 오전엔 카이로 대학의 수백 명의 교수들과 판사와 의원들이 무바라크 타도를 외치며 타흐리르 광장으로 합류하였고, 2월 9일부터는 시위대가 의사당 앞 도로를 장악하고 텐트를 치고 연좌에 들어갔다. 특히 2월 10일은 아침 9시부터 수만 명의 사람들이 광장을 가득 메웠다. 이 날 밤 기대와는 달리 TV 연설에서 무바라크가 사임하지 않겠다고 발표하자 시위대는 국영TV 빌딩을 봉쇄했다. 그리고 2월 11일 무바라크가 이집트는 아닐지라도 카이로를 떠났다는 소문이 나돌자 거의 전국민이 거리로 나왔다.

 

3. 리비아

1) 폭발적인 대중봉기와 무장의 확산

리비아는 튀니지나 이집트 등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항쟁이 초반부터 폭발적인 대중봉기와 적극적인 무장투쟁으로 발전하였다. 리비아의 항쟁은 제2의 도시이자 주요항구인 동부지역(시레나이카)의 벵가지Benghazi에서 시작되었다. 리비아의 동부 사람들은 서부보다 더 차별받는다고 생각하였고 카다피에 대한 적개심과 두려움도 컸다. 벵가지에서 시작된 항쟁은 불과 3-4일 만에 동부는 물론 중부와 서부 등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1) 벵가지의 시위와 카티바 전투****24

벤 알리에 이어 이집트에서도 시위가 격화되자 리비아에서도 SNS 상에서 2월 17일 시위하자는 제안이 이루어지고 공유되었다.*****25 시위 예정일 이틀 전인 2월 15일 리비아 보안대가 테르빌Fathi Terbil*26을 비롯한 벵가지와 리비아의 유명 활동가 12명을 연행했다.

2월 15일 저녁 이들의 연행 소식이 알려지자 감옥에서 살해당한 사람들의 가족들이 ‘벵가지여 일어나라! 기다렸던 날이 왔다!’를 외치며 테르빌의 체포에 항의하기 위하여 거리로 나섰다.**27 벵가지 경찰서 앞에서 200명으로 시작된 시위는 500-600명으로 불어났고, 보안요원 10명을 포함한 38명이 부상당하는 충돌 끝에 시위는 경찰에 의해 폭력적으로 분쇄되었다. 다음날 벵가지의 중심지에 수백 명이 모였고, 경찰은 물대포로 시위대를 해산하려고 하였다.

‘분노의 날’인 2월 17일 보안대가 시위대에 발사하여 14명이 죽었다. 시위대는 정부 건물과 경찰서를 방화하였다. 다음날인 2월 18일 수천 명의 장례행렬이 군부대가 있는 카티바 단지Katiba compound를 지나갔다. 조문객들이 먼저 돌을 던졌는지 카티바의 군인들이 먼저 총을 쐈는지는 사람마다 말이 다르다. 결국 24명이 죽었다. 경찰과 군대는 벵가지가 시위대에게 압도되자 카티바 단지로 철수하였다. 군인들 일부는 시위대에 가담했고 그들은 지역방송국을 장악했다. 18일 밤 벵가지에서 카다피 충성파들이 모여 있는 유일한 지역은 카티바 단지뿐이었다. 2월 19일 또 다른 장례행렬이 묘지로 가는 도중에 저항하는 행동으로 카티바 단지를 지나가다가 또다시 단지 안의 카다피 충성파들로부터 총격을 받았다. 장례식에 대한 두 번째 공격에 뒤이어 반정부 시위대는 격심한 사격에 후퇴를 반복하면서도 불도저를 징발하여 카티바 단지의 벽을 부수려고 하였다. 젊은이들은 돌멩이와 화약을 넣은 깡통으로 사제 폭탄을 만들어 던지기도 하였다. 싸움이 계속되자 한 무리의 군중은 벵가지 외곽의 군부대를 공격하여 군인들이 세 대의 작은 탱크를 포함한 무기를 버리게 하였다. 반정부 시위대는 이들 탱크로 카티바 단지의 벽을 들이받았다. 전투는 20일 아침에 끝났다. 하루 사이에 30명이 더 죽었다. 장례차로 위장한 트럭에 가스통을 실은 자살 폭탄차량이 단지의 입구를 공격하여 폭파하였다. 반정부 세력은 바이다와 데르나로부터 보강을 받아 기지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 기지에 대한 마지막 공격 동안 42명이 죽었고, 오후에 내무장관인 유니스Abdul Fatah Younis 소장이 포위된 보안대를 구출하기 위하여 ‘벼락Thunderbolt’이라고 부르는 특전여단을 데리고 나타났다. 유니스는 발포를 하지 않도록 하고 반정부 시위대와 협상 끝에 카다피 충성파들이 도시를 안전하게 빠져나가도록 허용한 후 2월 22일 반군에 가담했다.***28

 

(2) 봉기의 급격한 확산

동부 - 2월 15일 테르빌의 연행 소식에 바이다에서는 수백 명의 시위대가 ‘인민은 정권의 퇴진을 요구한다’고 외치며 시위에 나섰고, 진탄에서도 수백 명의 시위대가 행진에 나서 보안대와 경찰서 건물을 방화하고 도심에 텐트를 쳤다.****29 2월 16일 바이다에서는 경찰서와 경찰차 두 대를 방화하고 6명이 죽었다. 18일에는 시위대가 비행장을 장악했다.*****30 2월 16일 “데르나에서는 육군 대령이 ‘Islamic Emirate of Barqa’라는 이슬람주의자 그룹에 가담하여 로켓추진 수류탄 발사기와 대공화기와 70개의 소총을 제공한 후 병기창을 공격하여 250정의 총기를 획득했다. 이 과정에서 4명이 죽고 16명이 부상당했다. 그들은 2월 18일 바이다에서 두 명의 경찰관을 교수형에 처하고, 군인과 시민들을 인질로 잡고 자신들의 동료를 석방하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위협했다.”*31 2월 23일 토브룩에서는 장교와 사병들이 시위대에 가담했다.

 

중부(미스라타 공방전) - 미스라타에서는 2월 17일 수십 명이 벵가지의 투쟁을 지지하며 시위하다가 연행되자 다음날 더 많은 사람들이 시위에 나섰다. 보안대의 총격에 70명이 죽자 도시 전체가 분노하여 궐기했다. 시민들이 돌멩이와 화염병을 던지자 보안대는 탱크와 중화기를 동원했다. 시민들은 탱크의 진입을 막기 위해 모래를 넣은 컨테이너로 주요 도로를 막았다. 나중에는 기름을 묻힌 담요를 깔아 탱크의 바퀴에 엉키게 만들고 화염병을 던졌다. 카다피군은 빈 건물에 저격병을 투입하여 도로를 하나씩 장악해왔다. 수백 미터마다 모래산이나 콘크리트 파이프, 사다리 등으로 바리케이드를 만들었다. 반란군은 중심은 없고 소조로 나뉘어 각 길목을 지키는데 그들은 서로 닉네임으로 불렀고 그 가운데에는 의대를 다니는 학생도 있었다.**32 2월 18일부터 비행장을 장악한 반군은 2월 24일 공항수비대에게서 대공화기를 빼앗았고 나중에는 공군학교 장교들이 반란을 일으켜 반군에 가담하였다. 다음날 카다피군은 탱크로 반격해 왔다. 이때부터 카다피군은 미스라타를 탈환하려고 수없이 시도하였고, 3월 12일에는 자위야를 진압했던 카다피의 정예부대인 카미스Khamis 여단이 투입되었다. 하지만 장군을 포함한 32명의 공격군이 반란을 일으키고 반군에 합류하였다. 3월 19일 나토군의 공습이 시작되었고 카다피는 끝내 미스라타를 굴복시키지 못했다.***33

 

서부(트리폴리의 시위와 자위야 봉기) - 트리폴리에서는 2월 20일 AFP가 취재한 목격자에 따르면 시위대에 의해 TV와 라디오 방송국이 파괴되었고 경찰서 한 군데와 혁명위원회 건물과 ‘인민의 광장’이 불에 탔다.****34 뉴스에서는 트리폴리 시내를 지키는 수천 명의 용병의 등장부터 시작하여 시내에 검색대의 설치, 이동전화와 인터넷의 단절을 보도했다. 트리폴리는 2월 25일 수천 명의 시위를 마지막으로 반정부 시위가 최종적으로 진압되었다.

한편 트리폴리의 서쪽에 있는 자위야에서는 2월 24일 카다피 충성파와 군대가 며칠 전부터 시위대가 점거 농성을 하고 있는 모스크를 공격하여 10명이 죽고 150명이 부상당했다. 이에 분노하여 수천 명의 시민들이 모스크 근처의 ‘순교자의 광장’으로 ‘떠나라! 떠나라!’고 외치면서 행진했다. 이날부터 시위대는 자위야를 장악했다.*****35 2월 26일과 28일 정부군은 중화기로 공격했다. 자위야는 많은 사상자를 내고 3월 10일 최종적으로 진압되었다.

 

2) 내전으로의 전화와 제국주의의 개입

2월 20일이 되자 동부는 대부분 해방되었고 반군은 서부의 반란을 촉구하였다. 미스라타와 자위야, 트리폴리도 합류하였고, 2월 21일 법무장관 잘릴Mustafa Abdul Jalil과 22일 내무장관 유니스를 비롯한 수많은 정권핵심들과 외교관들의 사퇴와 반군으로의 이탈이 잇따랐고 2월 23-24일에는 항쟁이 피크에 달했다. 누구나 이제 카다피의 시대가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대중이 스스로를 해방시키는 민중주도의 혁명은 2월 20일이 지나면서 왜곡되기 시작하였고, 끝내 내전과 제국주의 개입전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 항쟁 초기의 카다피의 대응과 태도

동부가 무장폭동의 양상을 보이고 충성파들이 카티바 단지에서 포위되자 카다피는 2월 18일 ‘시위대와 협상을 위해’ 법무장관인 잘릴과 내무장관인 유니스 소장을 벵가지로 급파하였다.*36 2월 20일 카다피의 아들 사이프Saif al-Islam Gaddafi는 국영 TV에 출연하여 동부에서 희생된 80여 명에 대해 조사기관의 설치와 체제 내의 개혁을 발표했다.**37 무바라크가 시위초기에 소극적 대응을 한 것처럼 카다피 역시 적극적인 진압이 역효과를 낼 것을 두려워하여 사태를 수습하기 위한 소극적 대응과 타협을 추구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사이프는 2월 20일 사실상의 내전을 경고하였고 카다피는 2월 22일 시위대의 진압을 명령했지만, 그리고 2월 하순부터 사실상의 내전상태에 있었음에도 유엔의 결의를 피하고자 혹은 서방 언론의 비난을 피하고자 노골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을 억제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2월 21일경 카다피에 의해 트리폴리가 ‘피바다’가 되고 ‘집단학살’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보도는 말이 안 되는 얘기였다.

 

(2) 노골적이고 무책임한 왜곡보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자지라를 비롯한 서방언론들은 용병과 중무기, 대량학살, 비행기 등을 운운하며 마치 카다피가 항쟁의 초기부터 대량학살을 자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도하였다. 알자지라의 보도를 보자.

 

  (2월 21일) 7:56pm: 알자지라 아랍어방송은 지금 트리폴리의 활동가와 대화하고 있는데, 그는 지금 트리폴리 전체에 공중 공격이 행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거기에는 죽음과 두려움과 함께 여성들이 어디에서나 울고 있다. 공격은 가두 시위자들이 많이 나온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사람들에게 총을 쏘는 외국인 전사로 가득 찬 차량들이 있다. 그는 지난 24시간 동안 최소한 250명이 죽었으며 국제적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리폴리는 외국인 전사들이 장악하고 있으며 물과 전기도 끊어졌고 음식과 의료품도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것은 ‘집단학살’이라고 그는 말했다. 트리폴리 동부의 미스라타는 가장 최근에 전투기에 의해 공격받았다. 탱크가 시내로 들어와 중화기가 빌딩을 초토화하고 있다고 목격자들이 알자지라에 말했다.

9:51pm: 트리폴리의 줌후리아 도로에 새로운 공중 공격이 가해지고 있다고 목격자들이 알자지라 아랍어 방송에 말했다.

10:49pm: 또 다른 공중공격이 트리폴리 서부의 자위야의 시민들을 지금 목표로 하고 있다고 목격자들이 알자지라에 말했다. 사망자나 부상자의 수에 대하여는 아직 보도가 없다.

(2월 22일)1:20am: 알자지라 아랍어 방송은 기니아와 니제리아에서 용병이 되면 하루에 2,000불을 주겠다는 광고가 나타났다고 보도했다.***38

 

그러나 ‘전투기에 의한 공중공격’과 ‘대량학살’ 주장은 3월 1일 게이츠 미국방장관이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추궁에 “우리도 언론보도를 보고 알았는데, 어떠한 확증도 없다”고 고백한 데서도 사정을 짐작할 수 있지만,****39 “집단학살이란 주장은 2월 21일 다바쉬가 만든 것으로 그는 카다피 체제가 리비아에서 집단학살의 직전에 있는 것 같다고 AP 통신에 말했다. 그런데 AP는 지상에서 보안대의 시위대에 대한 총격을 보도하면서도 주요 해변도로를 맴도는 헬리콥터와 밤에 트리폴리를 낮게 급강하하는 전투기의 위협효과에 대해서만 보도했다. 동부를 취재하고 돌아온 두 명의 언론인은 반군이 장악한 벵가지나 다른 도시에서 시위초기에 정권이 항공기를 사용할 것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40는 ‘국제위기그룹International Crisis Group’의 보고서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완전한 허위보도였던 것이다. 결국 알자지라는 익명의 목격자를 빙자하여 무고한 시민들이 전투기와 탱크로 유린되고 있다고 무책임한 왜곡방송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런 왜곡보도를 BBC를 비롯한 서방언론*41들은 알자지라의 보도를 운운하며 전 지구인들의 가슴을 졸이게 하고 있었다.

 

(3) 왜곡보도와 이탈파들의 상호동조

2월 21일 유엔 주재 리비아 부대사 다바쉬는 “우리는 트리폴리에서 진정한 ‘집단학살Genocide’을 예상하고 있다. 항공기는 여전히 용병을 공항으로 실어 나르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카다피를 이탈하였다. 같은 날 법무장관 잘릴은 카다피의 ‘과도한 폭력의 사용’을 비난하면서 사임하였다. 2월 22일 전 인도 대사 이사위Isawi도 전투기가 민간인에게 폭격하며 아프리카에서 온 용병들이 인민들을 학살하고 있다는 것을 알자지라에 확언하였고, 이후 외교관들의 이탈이 줄을 이었다. 정권이 위기에 처했을 때 지배층 내에서의 분열과 이탈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외교관들인 다바쉬나 이사위가 아무런 근거가 없는 ‘용병’과 ‘학살’을 확언하는 발언은 ‘카다피의 악마화’를 조장하는 왜곡보도와 서로 부응하는 행동들이었다. 또한 사이프가 벵가지 희생자들을 위한 조사기관의 설치와 개혁을 약속하면서 무력진압이 아니라 유화적인 해결자세를 보이던 바로 그 시점에 벵가지의 폭동을 무력이 아닌 협상으로 마무리하라는 카다피의 명령을 받고 유니스와 함께 평화적으로 해결하였던 잘릴이 오히려 과도한 폭력을 운운하며 이탈한 것도 마찬가지 행동이었다.

 

(4) 왜곡보도에 대한 권위있는 당국자들의 무책임한 동조

2월 21일 참으로 무책임한 보도를 하였던 알자지라는 다음날인 2월 22일부터 자신들의 보도에 화답하는 국제적으로 권위있는 당국자들의 분노와 흥분을 보도하였다.

 

  (2월 22일) 11:09am: 영국의 전 외무장관 데이비드 오웬은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통한 군사적 개입이 즉각 필요하다고 알자지라에 말했다.

12:15am: 미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은 “지금은 이처럼 받아들일 수 없는 피바다를 막을 때이다”고 말했다.

12:45am: 알자지라의 정규기고자인 마르크 린치는 리비아에 대한 외국개입의 장단점을 저울질하면서 “지금은 이미 피바다가 된 상황을 더 악화되지 않도록 미국과 나토, 유엔, 아랍 연합이 강력하게 행동에 나설 때이다”라는 흥미있는 기사를 썼다.

1:40am: 유엔 부대사 다바쉬는 “비행금지구역No fly zone이 리비아에 설정되어야만 한다”고 유엔에 말했다.

1:42am: 반기문은 성명을 통해 리비아 당국이 전투기와 헬리콥터로 시위대에 사격했다는 보고에 분노했다면서 “그러한 공격은 국제인권법의 심각한 침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42

 

이후 알자지라는 “2월 24일 이슬람 공화국 방송은 국제형사재판소ICC:International Criminal Court가 사망자를 10,000명으로 평가했다고 보도했다. 3월 2일 WTO는 대략 2,000명이 죽은 것으로 평가했다. 반군은 6,500명이 죽었다고 주장하고, 반군 대변인은 사망자가 8,000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면서 사망자 수의 과장에 앞장섰고,***43 3월 중순 비아그라 박스와 관련한 강간설을 보도하였다. 하지만 비아그라 박스는 반군들이 카다피군의 불타버린 탱크에서 주웠다고 하는데 박스만 그을리지도 않았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이에 대하여 코크번과 포르테의 폭로를 들어보자.

 

  비아그라 얘기는 처음에 카타르 정권의 지원을 받는 알자지라가 반군과 협동하여 퍼뜨렸고, 거의 모든 주요 서방언론에서 재분배되었다. 국제형사재판소의 소장인 오캄포Luis Moreno-Ocampo는 서방 언론에 “카다피가 강간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의 군대에게 비아그라를 나눠주고 수백 명의 여성을 강간하도록 명령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수잔 라이스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카다피가 대량강간을 고무하기 위하여 비아그라를 나눠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카다피 군대가 리비아에서 광범한 강간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강간과 물리적 위협, 성희롱 심지어 처녀성 검사까지 전국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44

  미 군사당국과 정보당국이 강간설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없다고 말했다는 것은 이미 NBC 뉴스에서 밝히고 있었고, 엠네스티는 3개월간의 현장조사보고서에서 “강간을 당했다는 단 한사람의 여성이나 강간당한 사람을 보았다는 단 한 명의 의사도 발견할 수 없었고, 용병은 단 한 사람도 확인할 수 없었다. 초기에 죽은 사람은 (초기의 비무장 시위의 희생자 수십 명을 포함하여) 벵가지 100-110명과 바이다 59-64명뿐이다”라고 밝혔다. 아프리카 연합African Union의 의장인 핑Jean Ping은 최근에 “NTC는 흑인들을 용병과 혼동하는 것 같다. 모든 흑인들이 용병이라면 리비아 인구의 3분의 1인 흑인이 용병이라는 것을 뜻한다. 그들은 인간 즉 정상적인 노동자를 죽이고 있고 잘못 다루고 있다”고 주장하였다.*****45

 

결국 서방 언론들은 카다피가 전투기까지 동원하여 자국민을 학살하고 있는 것처럼 그리고 벵가지가 함락되면 피바다가 될 것처럼 보도하였지만, 내란이 시작된 지 일주일이 지난 3월 1일까지 미국방부를 비롯한 아무도 카다피의 전투기가 시민을 무차별로 학살하는 것을 본 사람이 없고, 3월 중순 벵가지까지 진격한 카다피군이 그동안 재점령한 반군지역 역시 무차별 학살은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아프리카 용병, 전투기, 공중공격, 대량학살, 강간 등등의 주장은 카다피 이탈파를 포함한 반군과 협동한 알자지라가 앞장서서 조장하고, 서방언론들이 집요하게 퍼뜨리고, 반기문, 힐러리 클린턴, 수잔 라이스, 오캄포 등 국제적으로 책임있는 당국자들도 미국방부의 보고로 이런 보도가 근거가 없는 줄 알면서도 이들 언론의 ‘카다피 악마화’에 적극 동조하였던 것이다. ‘인도주의적 개입’ 여론은 이렇게 조성되었다.

2월 26일 유엔 안보리는 알자지라 등이 만들어낸 이런 왜곡보도를 근거로 ‘카다피 일가의 자산을 동결하고 국재형사재판소의 조사를 위한 혐의’를 회부했다. 그리고 카디피군이 벵가지 근처까지 진격하자 카다피가 들어오면 ‘피바다’가 될 것이라고 애원하는 NTC와 알자지라 등이 조성한 여론을 바탕으로 3월 17일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는 유엔결의안 1973호를 의결하고, 이틀 뒤 프랑스를 필두로 나토와 미군이 공습에 나섰던 것이다.

 

3) 제국주의 개입전쟁과 카다피의 패전

2월 23일 이후 리비아의 거의 전 지역이 내전상태에 들어가자, 2월 26일 카다피는 충성파 시민들에게 무기를 지급하면서 반정부 시위 봉쇄에 나섰고, 2월 27일 벵가지에서는 유일합법정부를 자처하는 과도정부의 내각 명단이 발표되고 3월 2일에는 과도국가위원회(NTC :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가 공식 출범하였다. 이로써 리비아 민중의 항쟁은 카다피가 중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는 공식적인 내전으로 발전하였고 정부군은 3월초부터 본격전인 반격에 나섰다. 3월 10일에는 프랑스가 NTC를 유일합법정부로 인정하였고, 3월 16일엔 정부군이 벵가지 근처까지 진격하였다. 3월 17일 유엔결의안 1973호가 중국과 러시아, 독일 등이 기권한 가운데 통과되어 비행금지구역이 설정되고, 3월 19일 프랑스의 공습이 시작되었다. 3월 28일 미국주도 연합군의 공군작전 지휘권이 나토로 이양되었고, 나토는 반군을 무장시키지 않겠다고 밝혔다. 4월 1일 반군은 전세가 불리해지자 유엔의 조건부 정전 조건을 수락하였고, 4월 5일엔 카다피가 그리스와 터키를 통해 중재를 요청하였다. 4월 10일 아프리카 연합(AU)이 리비아를 방문하여 쌍방의 적대행위 중지 등 중재에 나섰으나 반군이 거부하였다. 이후 나토의 적극적인 공습과 지원 아래 정부군과 반군은 공방을 거듭하였다. 나토의 공습이 계속되었지만 카다피의 잘 훈련되고 잘 무장된 정규군을 민간인과 이탈한 병사로 이루어진 반군이 이길 수는 없었다. 반군은 계속 몰리고 있었고 지상전은 교착상태였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고립된 카다피군이 점차 몰리게 되고 반군이 8월 하순 트리폴리 근처까지 진출하게 되자 8월 20일 트리폴리에서 무장봉기가 일어났다. 8월 22일 시민군이 수도의 80%를 장악하자 반군들은 트리폴리에 무혈 입성할 수 있었다.*46 트리폴리를 탈출한 카다피는 저항을 계속하다가 자신의 출신지인 시르테에서 10월 20일 생포되었다가 사살되었다.

 

제3장 혁명투쟁의 분석과 쟁점

 

1. 튀니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튀니지에서는 2010년 12월 17일 부아지지의 분신에 뒤이은 시위가 1주일 뒤엔 중부 내륙의 다른 도로 확산되었고, 1월 8일 62명이 학살되면서도 탈라를 최종적으로 방어한 이후인 1월 10일에야 튀니스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도시하층민이 많은 타다몬 지역에서 1월 11일 밤 격렬하게 충돌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결국 시디 부지드에서 혹은 탈라에서 목숨을 걸고 투쟁하면서 학살당하고 있을 때 변호사와 교사들의 파업 등의 움직임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튀니스를 비롯한 튀니지 민중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만 보았던 것이다.

1980년 공수단의 만행에 분노한 광주시민들이 목숨을 건 투쟁을 통해 광주를 해방시켰지만 1주일간의 고립 끝에 진압당한 역사를 생각할 때, 튀니지 당국의 언론통제가 있었지만 튀니지 민중들의 항쟁은 초반부터 알자지라를 비롯한 위성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튀니지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투쟁 상황이 공유되고 있었음에도 이 좁은 나라에서 항쟁이 시작된 지 무려 25일만에야 수도에 도달했다는 것은, 한편에선 시디 부지드 시나 시디 부지드 도나 탈라에서의 영웅적 항쟁이 고립될 수도 있었고 따라서 패배로 끝날 수도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도와 떨어진 많은 내륙지방에서 경찰력을 압도하자 비로소 튀니스의 시민들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그들이 숨을 죽이고 있었던 것은 그만큼 권력이 잔인했고, 항쟁에 나선다는 것은 잔인한 보복과 죽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내면화된 두려움과 자기검열이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튀니지 민중들이 숨을 죽이고 있었던 것은 SNS의 선동이 없었기 때문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수십 년간 지속된 폭력과 억압으로 내면화된 두려움 속에 있었던 튀니지 민중들이 절망만을 강요하는 권력에 의해 마지막 자존심까지 짓밟히자 싸워야만 되고 싸워서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자 경찰의 무자비한 폭력과 진압 그리고 시위 지역의 고립화와 분리 차단을 뚫고 노도처럼 일어나 체제를 압도한 것이었다. 일단 봉기에 나선 이상 주변이 아무리 침묵하더라도 절망만을 강요하는 그 권력에 대하여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는 것과, 더 이상 참고 고개를 숙이고 살 수 없다는 자각과 분노가 저항을 폭발시키고 확산시켰다. 따라서 항쟁의 고비였던 탈라 전투와 타다몬 전투에서 민중들이 권력에 의해 강요된 고립과 잔인한 공격에 맞서 목숨을 건 항전을 벌인 것이 최종적인 승리를 가져온 것임을 부인할 수 없다. 결국 이 투쟁은 ‘지역고립을 극복하고 격전 끝에 승리를 쟁취한 민중혁명’이었던 것이다.

 

항쟁의 참여자들은 학생, 교사, 변호사, 언론인, 인권운동가, 노조 활동가, 야당 정치인 등 다양하였지만,**47 권력과 맞대결한 투쟁은 탈라와 타다몬이 말해주듯 주로 가난한 지역의 청년들이었고 그들의 대부분은 교육받은 젊은 실업자였다. 그러나 그들의 전투력은 경험 많고 전투적인 지역노조와 결합되었을 때 발휘되었다.***48 이처럼 전투적인 지역노조는 청년들과 함께 이 투쟁을 승리로 이끈 핵심세력이었다. 또한 이 투쟁에서 눈에 띄는 것은 변호사와 같은 인권활동가들이다. 계급운동이 철저하게 억압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인권활동가들의 역할이 컸던 것이다.

 

2. 이집트

1) 승패의 갈림길과 승리의 요소

이집트 민중의 항쟁 역시 몇 번의 고비가 있었다. 먼저 1월 25일 첫 집회가 대중의 압도적 참가로 성공한 것과, 뒤이어 흐름을 끊지 않고 1월 28일 집회를 성사시키고 경찰의 발포에도 불구하고 타흐리르 광장을 사수한 것, 2월 1일부터 3일간 친정부 시위대와의 싸움을 이겨낸 것 그리고 2월 4일 이후 지배계급 - 술레이만의 회유와 일부 야당인사들의 타협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흔들리지 않고 단결을 유지하면서 무바라크가 물러날 때까지 수십만 명이 매일 모여 정권과 끝장투쟁을 벌인 것이다. 그러나 2월 1일부터의 친정부 시위대와의 싸움은 많은 부상자가 난 치열한 싸움이기는 했지만 투석전으로도 해볼 만한 싸움이었고 2월 4일까지만 버티면 희망이 있다는 확신이 있었고, 무엇보다 군부가 2월 1일부터 무력사용을 않겠다고 발표한 직후였다. 그리고 1월 28일부터 5일간의 300여 명의 희생자는 군대가 진주한 타흐리르 광장이 아니라 카이로를 비롯한 다른 도시에서 경찰에 의해 발생했다. 무바라크는 시위대를 학살하면서도 항쟁의 상징인 타흐리르 광장을 점거하고 있는 농성자들을 살육할 수가 없었다. 승패는 여기에서 결정되었다.

결국 이집트 민중의 승리는 1월 25일 혁명투쟁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 수도 카이로에서 15,000명이라는 아주 많다고는 볼 수 없지만 이집트에서는 이례적으로 많은 대중이 경찰의 저지선을 뚫었을 때, 그리고 그 흐름을 깨지 않고 동력을 확산시켜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5일간 경찰의 학살에도 굴하지 않고 전선을 확보했을 때 결정되었던 것이다.****49 그 이후 지배계급은 반격은 했지만 한 번도 전세를 역전시키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투쟁은 ‘중앙집중을 성사시키고 확산하여 승리를 쟁취한 대중혁명’이었다.

한편 1월 29일 군대가 출동한 상황을 보면 하급병사들과 시민들과의 우호적인 융합으로 인해 군부는 진압명령이라는 강경책을 쓸 경우 하급병사의 이탈과 군대의 와해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압도적인 대중의 폭발적 진출과 대중이 갖는 정당성이 하급병사의 이반을 가져오고 군대를 중립화시킨 것이었다. 이로써 승패는 거의 결정되었지만, 만약 무바라크가 2월 2일부터 친정부시위대를 동원하여 시위대를 격분시키지 않고 유화책에만 전념했다면 무슬림형제단의 상층부 등 기회주의 세력을 회유할 수 있었을 것이고 전선의 균열을 가져올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들 기회주의 세력들은 2월 8일 100만인 행진이 있기 전에 술레이만과 합의에 도달하였다. 1987년 6월 항쟁 당시 우리나라에서 자유주의 세력이 직선제 약속만으로 전선을 이탈하여 동력이 와해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무바라크의 어리석은 강경책이 전선의 균열을 막아준 것이었다.

외신들은 군부가 무바라크에게 등을 돌린 것은 미국의 적극적인 개입이었다고 보도하였다. 그것은 사실이이지만 단지 현상적 사실에 불과하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중의 분노가 폭발할 때, 피지배계급이 노도와 같이 달려들 때, 더 이상 폭력으로 민중의 힘을 억압할 수 없을 때 지배계급들이 분노의 표적을 버릴 수밖에 없었다는 본질적 사실이다. 이것이 현상을 규정하는 본질(현상과 본질의 변증법)이다. 폭발적인 대중의 봉기 앞에서 지배계급과 군부는 무바라크만 피신시킨 것이었다.

혹자는 현상만을 보면서 ‘페이스북 혁명’이라는 말을 지어내기도 하고, 혹자는 승리의 요인으로 무바라크의 사임 이틀 전 수에즈 운하와 알렉산드리아 등지에서 있었던 강력한 노동자계급의 총파업이 결정적이었다고 말하기도 한다.*****50 그러나 후자의 경우 ,노동자들의 총파업이 승패가 거의 결정난 1월말 이후인 2월 8일부터였다는 점과 항쟁의 초점이 타흐리르 광장이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전국적으로 200만 명이 참가한 2월 8일의 투쟁이 무바라크에게 최종적인 타격을 가한 것은 분명하지만 수많은 대중의 일부로서 몇 십만 명이 참가한 지방도시들의 노동자총파업만으로 승리의 결정적 요인이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승리는 타흐리르 광장의 시민들(주로 카이로의 도시하층민들과 청년들)이 목숨을 걸고 쟁취한 것이다.*51

 

2) SNS와 청년들의 민주화 운동

이집트 혁명이 한창일 때 ‘페이스북 혁명’이란 말이 회자되었다. 여기서는 이 투쟁에서 절반의 승리를 확보한 1월 25일 집회의 동원과 관련된 이집트 청년들의 민주화운동과 SNS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2004년 무바라크는 5번째 임기에 도전하기 위해 국민투표를 발의했다. 이 시점은 무슬림형제단을 비롯한 야당은 물론 노동운동과 대중운동이 내무부와 정보경찰에 의해 거의 질식당한 상태였다. 이때에 정치적인 색깔이나 종교적인 색깔에 개방적인 즉 반독재 민주화운동을 최우선으로 하는 청년활동가들을 중심으로 ‘케파야(Kefaya 이제 그만)’라는 연대체가 꾸려졌다. 이들은 대통령의 임기와 비상조치법의 끝낼 것을 요구하는**52 주로 200-300명 정도의 기습시위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에 이들을 모방하는 많은 조직들이 생겨났고 서로 연대하였다. 2005년 100명이 넘는 판사들이 총선결과를 승인하기를 거부하고 항거하자 이들의 징계재판에 많은 사람들이 연대하고 시위하였다. 이 투쟁으로 250명 이상이 구속되자 2006년 5월 무슬림형제단이 대중집회에 동참하여 카이로 시내를 마비시켰고 격심한 탄압을 받기도 하였다.***53

그리고 2006년부터 노동자들의 투쟁이 터져 나왔다. 2008년 초 마할라El-Mahalla el-Kubra에 있는 국영 섬유공장 노동자들은 높은 식품가격과 낮은 임금에 항의하기 위해 4월 첫 일요일(6일)에 파업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관심을 보인 젊은이들이 노동자들과 연대하여 4월 6일 항의와 파업을 조직하는 페이스북 그룹을 만들었고, 2009년 말에는 7만 명의 지지를 받았다. 경찰은 공장을 점령하고 파업을 막았다. 시위대는 건물에 불을 질렀고, 경찰이 발포하면서 두 명이 죽었다. 이집트 전역의 연대 시위는 경찰에 막혀 흐지부지되었다.****54 “그들은 파업을 고무하기 위해 페이스북과 트위터, 블로그 등을 사용하여 사건을 알리고, 참가자들에게 위험상황을 알리고, 보안부대에 둘러싸인 사람들에게 합법적인 도움을 주었다. 이들은 2010년 11월의 국회의원 선거에도 개입하였다.”*****55

이처럼 케파야나 4.6 청년운동은 기층노동운동에도 연대하고 때로는 자유주의자인 엘마라데이에게 지지를 보내기도 하는 한마디로 민주화를 열망하는 활동가들이 주축이 된 광범한 네트워크이고, 페이스북과 인터넷을 활용하는 데도 익숙한 청년들이었다. 또한 그들의 핵심에는 다양한 조직이 참여하고 있는 느슨한 연대체였다.*56

결국 ‘케파야’와 ‘4.6 청년운동’은 이미 대중에게 알려지고 신뢰를 얻은 집단이자 페이스북 모임이고, 1월 14일 튀니지의 승리가 전해지자 1월 25일 집회를 제안한 것인데, 여기에 많은 단체들이 인터넷상에서 호응하자 야당을 비롯한 여러 단체들도 호응한 것이다. 이들은 집회를 제안한 뒤 일체의 인터넷 접속을 자제하고 지하로 숨은 뒤 중요 활동가들이 전술을 논의하였다. “조직자들은 오래전부터 경찰을 오도하기 위해 내무부 외곽에서 모일 것이라고 밝혔지만, 점심 직후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통해 집결장소를 바꾸었다. 인터넷에서는 ‘#jan25’라는 태그를 사용했고, 대오는 150명부터 1,000명이 넘는 경우까지 다양했다.”**57 이들 여러 대오들이 유동적으로 움직이다가 오후에 기습적으로 일제히 타흐리르 광장으로 쇄도하였던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1월 25일의 동원은 단순히 페이스북에서 집회의 제안과 선동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핵심활동가들의 긴밀하고 치밀한 작업에 의해 성사된 것이다. 인터넷상에서 9만 명이 넘는 호응을 얻고, 거짓정보를 흘리며 경찰을 혼란시키면서 여러 곳에서 모여 대중을 타흐리르 광장으로 인도한 것이 결정적이었고, 여기에 체제의 변화를 갈망하는 도시하층민과 청년들이 합류하여 전투력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페이스북 혁명’을 운운하며 동원의 현상적 형태를 물신화하는 것도 우스운 얘기지만, 그렇다고 현대인의 문화적 조건인 인터넷 공간이나 소셜 미디어의 역할을 너무 폄하하는 것도 잘못이다.

 

3. 리비아

 리비아의 경우는 벵가지라는 동부지방의 주요 도시의 폭발적인 항쟁이 불과 3-4일 만에 전국적인 봉기와 적극적인 무장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트리폴리를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서 공권력을 몰아내었음에도 정부군에게 중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 명분을 주는 공식적인 내전으로 발전하였고, 끝내 제국주의의 개입을 불러왔다. 따라서 무장투쟁과 공식적인 내전과 제국주의의 개입이 어떠한 동인과 배경에 의해 관철되었는지를 먼저 살필 필요가 있다.

 

1) 카다피의 패망 이유

리비아의 대다수의 민중들은 카다피를 증오하였지만 카다피는 트리폴리에서 친정부 시위대를 조직할 만큼, 그리고 충성파 시민들에게 총을 나눠줄 만큼, 나아가 내전을 8개월이나 끌 만큼 충성파도 상당수에 달했다. 그러나 9,600번에 달하는 나토의 지독한 공습과 전쟁물자의 결핍을 강요하는 장기에 걸친 국제적인 고립과 내부의 사기저하로 무너졌다.***58 이것은 카다피의 정부군이 무장반군의 전투력에 의해 무너진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모름지기 현대 국가에서는 아무리 무도한 학살정권이라고 하더라도 군사력과 시민의 무장력 간에는 뛰어넘을 수 없는 비대칭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집트 혁명에서 보았던 것처럼 군대가 개입할 명분을 안 주고 중립화시키고 민중의 편으로 끌어당기려는 고려, 즉 목적과 수단의 정당성을 확보하면서 광범한 대중의 지지와 참여로 권력을 무력화시키려는 고려가 참으로 중요하다. 튀니지나 이집트의 군대가 중립을 지킨다든지, 카다피의 군대가 와해되고 패배하거나 보안대와 군대가 총을 버리고 도망가는 것은 대중의 무장력이 그들을 군사력으로 압도했기 때문이 아니다. 공권력이란 최종적으로 민중의 투쟁이 갖는 압도적인 정당성 앞에서 무너지는 것이다.****59

 

2) 동부의 특수성과 무장투쟁과의 연관

리비아는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항쟁의 초기부터 이루어진 적극적인 무장과 내전이 특징적이다. 무장투쟁은 어떠한 조건하에서 발전하는가? 공권력의 노골적인 폭력에는 자위무장이나 대항무장이 등장하지 않을 수 없다. 1980년 광주항쟁에서도 시민들은 자위무장을 하고 계엄군을 몰아내었다. 이때의 무장은 무차별적인 학살에 대한 당연한 대응이었다. 그런데 튀니지나 이집트, 시리아도 역시 시위대에 총을 쏘았고 화염병이 등장하였지만 리비아처럼 총기를 든 무장투쟁으로까지 발전하지는 않았다. 즉 공권력의 대응이 비슷했음에도 리비아 인민은 무장투쟁으로 나아간 것이다. 이것은 시민에 대해 총기의 사용도 불사하는 카다피 통치의 잔인함이라는 특수성도 영향이 있겠지만, 여기에 더하여 리비아 혹은 리비아 동부만의 특수성이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국제위기그룹의 연구보고이다.

 

  “리비아는 원래 서부의 트리폴리와 동부의 시레나이카 그리고 남부의 페잔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1950년대에 처음으로 하나의 국가로 통합되었다. 그리고 그들의 지향이나 정체성은 서로 달랐다. 동부는 보다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지향을 갖는 이슬람주의가 강력한 곳이었다. … 최근 수십 년 동안 동부는 다양한 이슬람주의 반대파 운동들-온건파인 무슬림형제단의 지부인 LIG : Libyan Islamic Group*****60나 전투적 지하드 조직인 LIFG : Libyan Islamic Fighting Group*61 참가자들의 저수지였다. 1996년 아부 살림 교도소에서 학살당한 사람들도 주로 동부 출신이었다. 최근에 풀려난 무슬림형제단이나 LIFG의 대부분은 동부로 돌아갔다. 이라크에서 싸운 사람들의 대부분도 동부출신(88명 중 60.2%가 데르나 출신이고 23%가 벵가지 출신이었다)이었고, 2003년 이후 전투적 경향성 때문에 구속된 젊은 사람의 대부분도 동부 출신이었다. … 1980년대 말 보안대는 전투적인 이슬람주의 소조직cell들을 적발하고 1989년에는 이슬람주의 용의자 수천 명을 일제 검거했다. 1990년대 중반 군사적 그룹이 반란을 일으킨 후 동부는 중무장한 보안대가 지키는 사실상의 보안구역이 되었다. 이러한 비극적인 역사가 카다피 정권이 반란에 대한 처벌로써 이 지역을 저개발 상태에 묶어 두려고 하고 북서부에만 투자를 집중하려고 한다는 동부인들의 믿음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62

 

이러한 상황과 연관하여 볼 때 전투적인 이슬람주의자들이 선도한 데르나에서 보는 것처럼 무장투쟁의 경험과 은닉무기의 존재가 대중의 불만과 분노와 맞물려 적극적인 무장투쟁으로 나아가게 하고 이후 투쟁의 양태를 규정지었다고 할 수 있다. 초기에 리비아에서 무장투쟁으로 발전하지 못한 유일한 지역이 트리폴리였는데 이집트처럼 수도가 중심이 되어 투쟁이 전개되었다면 다른 양상을 띠었을지도 모른다.

 

3) 봉기의 추동력과 항쟁의 주체인 리비아 민중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혹자는 리비아 항쟁에서 동부의 소외감과 이슬람주의적인 배경을 강조하기도 한다. 카다피 역시 동부에서의 무장반란에 대하여 알카에다나 제국주의 세력들의 사주에 의한 것이라고 비난해 왔다. 데르나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 이슬람주의자들이 선동하고 개입한 사실이나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2011년 2월 벵가지의 시위가 동부에서만이 아니라 불과 3-4일 만에 리비아 전역의 폭발적인 항쟁으로 발전한 것은 단순히 이슬람주의자나 외부세력의 선동만으로는 설명될 수가 없다. 거기에는 이미 카다피 체제에 대한 폭발 직전의 불만과 분노가 있었다고 해야 한다. 국제위기그룹과 엠네스티의 보고를 보자.

 

  리비아의 봉기에 기름을 끼얹은 불만은 중동이나 북아프리카에서는 친숙한 얘기다. 부패와 그릇된 처리와 결합된 수십 년에 걸친 정치적 억압과 권위주의는 광범위한 계층을 소외시켜 왔고 일단 불꽃이 튀자 인민들은 두려움을 잃고 일제히 도로를 장악하고 정권을 굴복시키려는 목표에 결합하였다. 시위대는 반카다피 슬로건을 외쳤다. ‘카다피가 아니라 알라를!, 카다피는 알라의 적이다! ,부패 타도, 부패한 자 타도!, 꺼져라! 카다피는 지옥으로!’***63

  북아프리카의 다른 불안정한 나라들과 비교되는 리비아 경제의 상대적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실업과 다른 사회경제적 불만이 ‘2월 17일 혁명’을 추동했고, 전 리비아인들이 단결하여 투쟁하게 만들었다. 시위자와 반정부 투쟁의 지지자들은 부패와 실업 그리고 불평등이 봉기의 핵심적인 방아쇠였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국가는 부유하지만 인민은 가난하다. 왜냐 하면 카다피 치하에서 국가의 부는 그의 지지자들의 이익으로 분배되어 왔기 때문이다”고 엠네스티에 말했다. 많은 사람들은 또한 석유로 얻는 부와 현저하게 대비되는 지방의 사회기반시설, 교육, 의료 서비스의 빈약한 현실을 지적했다.****64

 

결국 극심한 정치적 억압과 실업난, 억눌려진 삶의 질이라는 사회경제적 처지가 항쟁의 배경인 것이지, 단순히 동부의 소외감이나 이슬람주의자들의 반란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바로 그 때문에 동부의 봉기세력은 서부를 비롯한 전 리비아 민중의 봉기를 호소했던 것이고, 미스라타와 트리폴리, 자위야 등 전국에서 봉기에 나섰던 것이다. 이처럼 리비아 항쟁의 전 국민적이고 전국적인 성격은 명백한데, 이를 인남식이 ‘부족 기반 내전’ 운운한다든지, 정상률이 ‘친카다피 부족과 반카다피 부족 간의 갈등’*****65 운운하는 것은 사실과도 맞지 않고, 항쟁에 나섰던 민중의 정체성에도 맞지 않다. 리비아 민중은 친카다피 부족과 싸운 것이 아니라 카다피 체제와 싸운 것이다. 부족 지도자들은 단지 기회주의적인 낡은 지배계급으로서 NTC라는 이권에 참여하고 있을 뿐이다.

리비아 항쟁의 주체는 누구였을까? 벵가지를 비롯한 동부지역에서 시위에 나서고 투쟁에 앞장선 것은 리비아 민중들이다. 8개월이 넘는 내전에서 카다피의 정규군과 일선에서 싸운 사람들도 바로 그들이다. 반군이 진격하기 전에 스스로를 해방시킨 자위야나 트리폴리의 무장봉기도 리비아 민중들이 일으킨 것이다. 토브룩에서 항구와 지역은행과 석유 저장소를 지키고 시위대를 지원한 자원자들이나,*66 전사들을 위해 매일 8,000개의 피자를 공급한 미스라타의 시민들**67도 카다피를 죽기보다 싫어하는 민중이다. 그리고 그들 대부분은 청년들이었다.***68

 

4) 내전으로 발전한 이유

리비아 민중이 항쟁에 나선 이유도 다른 아랍 국가들과 비슷하다. 42년에 걸친 장기독재와 지독한 부패와 억압,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인한 생활고와 절망적인 실업 등등. 문제는 왜 다른 나라와는 달리 내전으로 발전되었고, 서방 제국주의국들의 개입전쟁으로 확대되었는가이다. 혹자는 허구화된 자마히리야 체제와 카다피의 비정상적인 억압 때문에 군대가 정권과 시위대를 중재할 위치에 있지 않았다고 말한다. 혹은 카다피가 그동안 보여준 무자비한 억압과 보복이 사생결단으로 나아가게 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무장반란은 필연적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69 그러나 사생결단의 투쟁이나 무장을 동반한 투쟁이 반드시 군사력과 군사력 간의 정면대결인 공식적인 내전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하여 필자는 회의적이다.

튀니지에서도 지방도시에서 시위가 시작되었을 때 경찰의 발포가 있었고, 시위대는 돌과 화염병 그리고 바리케이드로 저항하였다. 탈라 전투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싸움은 어쨌든 시민과 경찰 혹은 공권력과의 싸움이다. 1980년 광주의 시민군이 아무리 무기를 들어도 그것은 정권에 대한 항쟁이었지 내란은 아니었다. 그런데 리비아에서는 2월 20일 시위가 수도에 도착하기 이전에 이미 벵가지를 비롯한 동부지역에서 방화와 군부대의 이탈과 그로 인한 적극적인 무장으로 소요 수준을 넘는 상태에 있었다. 그들은 탈취한 탱크 위에 올라가 구 왕정의 3색기를 흔들었다. 이러한 행동은 4.19혁명 때 반정부 시위대가 독재자 퇴진이나 이승만 타도에 멈추지 않고 북한의 인공기를 흔드는 것과 비슷한 행위인 것이다.

정권의 부정과 체제의 부정 그리고 국가의 부정은 성격이 다르다. 체제의 부정이 혁명이라면 국가의 부정은 내란인 것이다. 영국 제국주의의 꼭두각시였던 구 왕정의 복귀는 대다수 리비아인의 정서나 의식에 부응한 것이 아니었고 결코 바람직하지도 않았다. 3색기는 카다피로 하여금 외부의 사주에 의한 내란이라고 비난할 수 있는 명분을 주었고, 군대를 사용할 명분을 줄 수 있었다. 순수한 내란일 경우 외국은 개입할 권리가 없다. 이런 점에서 보면 분노한 벵가지의 대중들이 군부대를 공격하여 무장을 한 것은 당연하지만 3색기를 흔든 것은 실로 잘못된 일이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15-35세의 청년들이었다. 42년에 걸친 카다피 집권 동안 이들은 태어나기도 전에 사용되었던 3색기를 본 적도 없고 향수도 없었다. 결국 카다피 체제에 대한 극단적인 반감 때문에 누군가가 흔든 3색기를 반카다피의 상징으로 받아들이게 되었지만 이것은 실로 잘못된 일이었다.

역사는 되돌릴 수 없는 것이지만, 혁명은 수도에서 결판이 나는 것이다. 만약 수도에서 광범한 대중의 진출로 저항이 시작되었다면 설령 카다피가 무차별 사격으로 잔인한 진압을 시도하고 대중도 무장하여 싸웠다면 그것은 내전이 아니라 항쟁이었을 것이고, 제국주의의 개입 없이 카다피를 타도할 수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지방도시가 아닌 수도는 폭격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총으로 시가전을 하더라도 시위대와 일반시민에 대한 중무장한 군사작전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70 카다피의 무장대가 아무리 총을 쏘더라도 벵가지나 바이다나 미스라타, 트리폴리에서 보는 것처럼 대중들이 폭발하면 공권력을 몰아내고 스스로를 해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불과 2-3일도 안되어 동부 전역을 포함한 폭발적인 대중항쟁으로 발전한 시기에 리비아 인민들은 무엇을 해야 했을까? 그것은 각 지역 세력의 연결․연합과 수도로의 집중 그리고 항쟁의 중심을 만드는 것이었다. 공권력을 몰아내거나 무력화시킨 공간에서는 파리코뮌이나 소비에트처럼 자발적인 대중의 투쟁조직과 자치조직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런 자생적인 대중의 투쟁체가 서로 연대하여 항쟁의 중심부나 지도부를 만들고 카다피를 몰아냈어야 했을 것이다.*71 그 중심부는 임시정부를 자칭할 것이 아니라 이집트에서 보았듯이 ‘혁명방어위원회’나 ‘민중위원회’ 혹은 ‘카다피퇴진운동본부’ 정도면 충분했다. 임시정부를 자칭하는 순간 공식적인 내전이 된다는 것을 법무장관이나 내무장관은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내전으로 인정되는 순간 카다피에게 군대와 중화기를 사용할 명분을 주게 된다는 것도 잘 알고 있었다.

카다피에 대한 항쟁이 피크에 달했던 2월 24일 “반정부 정치인, 이탈한 군 간부, 부족 지도자, 학자, 경제인들은 바이다에서 회합을 가졌다. 며칠 전 정부에서 사임한 잘릴이 의장이 된 이 회의에서 대표자들은 리비아 국가의 통일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트리폴리를 수도로 삼는다고 말했다. 그들은 리비아에 대한 ‘유엔 개입을 요청할’ 많은 대표자들로 이루어진 과도정부에 대한 제안을 토의하였다. 회의장에는 구왕정의 깃발이 놓여 있었다.”**72 그리고 이들은 2월 27일 임시정부의 구성원을 발표하고 3월 2일 NTC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제 리비아 민중의 항쟁은 카다피의 정부군과 구왕정의 깃발을 든 임시정부와의 공식적인 내전이 되었고 카다피는 중무기를 사용할 명분을 갖게 되었다. 이것이 리비아 민중을 학살의 위험에 빠뜨린 NTC가 저지른 가장 큰 범죄이다.

트리폴리를 제외한 리비아 전역에서 공권력을 몰아내고 민중들이 트리폴리에서 마지막 결전을 벌이고 있던 즉 항쟁이 피크에 달했던 그 순간에 왜 이들은 NTC를 서둘러서 출범시켜야만 했던가? 그들의 출범 이유인 유엔 개입을 요청해야할 아무런 필요성도 없던 바로 그 시점에서 NTC의 출범을 서두른 것은 이들이 민중의 승리가 아닌 다른 목적을 가졌다고밖에 볼 수 없다. 제국주의자들은 튀니지와 이집트 혁명에서 군부를 통해 개입할 수 있었지만 리비아에서는 개입할 고리가 없었다. 이 부족한 고리를 NTC는 참으로 훌륭하게 제공했던 것이다. 결국 잘릴을 비롯한 카다피 정권의 이탈파들과 낡은 지배계급들은 제국주의자들이 개입할 수 있는 고리가 되기 위해 그리고 카다피의 유혈진압을 유도하여 제국주의자들이 개입할 명분을 주기 위해 유일합법정부를 자칭하면서 나토의 충실한 도구가 되었다고 해도 부당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리비아 민중의 투쟁이 항쟁이 아니라 내전이 되게 한 가장 큰 과오는 NTC를 만들어 유일합법정부를 자칭한 것과 3색기를 흔든 데서 연유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오 때문에 군사력으로 대결하는 내전이 되었던 것이고 잘 짜여진 각본처럼 제국주의의 개입전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5) 제국주의자들의 개입 이유와 공작 의혹

서방이 왜 개입하였는가에 대하여는 많은 사람들이 석유이권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페트라스와 지게디의 글을 비교해 보자.

 

  그들의 안전에 어떠한 위협도 보이지 않고 있고, 그들은 이미 석유와 우호적인 투자환경에 충분히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석유보다는 군사적인 이유에 주목해야 하며, … 아프리카와 중동에서 새로운 시장과 천연자원의 착취에 의존하는 독일, 중국, 러시아, 브라질과 같은 나라들은 전쟁보다는 시장의 안정을 바라면서 개입에 반대했는데, 미국,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등 개입에 앞장 선 나라들은 자신들의 더 많은 몫을 위해서 이 구도를 깰 필요가 있었다.***73

  2003년 이후 서방자본이 리비아로 열광적으로 쏟아져 들어왔지만, 카다피가 강요한 ‘EPSA-4’라는 새로운 규칙에 의하여 생산량의 90% 이상을 리비아 국영석유회사에 주어야 했기 때문에 많은 석유자본들이 계약연장을 포기하였고, 특히 이탈리아의 Eni-SpA가 냉대를 받아 불만이 컸기 때문에 나토의 공격을 행운이라고 했고, 8월 중순에는 임시정부와 리비아의 모든 가스와 석유수요를 충당하는 계약을 했다.****74

 

이처럼 페트라스는 군사적 이유가 우선이고 제국주의간의 경쟁도 작용했다고 주장하고, 지게디는 석유를 둘러싼 이권을 강조한다. 석유나 군사적 이익 모두 제국주의 개입의 동기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의문이 남는 것은, 2월 22일 리비아 국영방송이, 카다피가 “사퇴하거나 떠나지 않고 순교자로서 죽겠다”고 연설한 후에 베를루스코니에게 전화를 걸어 깊은 우정을 나눈 사실을 보도한 것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설령 카다피가 불만스러웠다고 할지라도 서방자본의 특별이윤을 어느 정도는 보장하였고 테러와의 전쟁에 적극 협력해 오고 아프리카인들의 불법이민에 대한 나토국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고 있는 상황에서*****75 왜 그 시점에 군사적 개입까지 불사했는가이다. 그 이유는 미국을 비롯한 제국주의자들은 튀니지와 이집트에서는 민중들의 투쟁을 친제적이고 친미적인 군부를 통하여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었지만, 리비아의 경우는 카다피에 의해 모든 정치세력이 압살되어서 민중들의 투쟁을 방치할 경우 제국주의의 이익에 도전할 수밖에 없고 반제적인 이슬람주의 강경파들의 성장도 용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미 원성의 대상이 된 카다피를 적극적으로 버림으로써 리비아를 제국주의의 영향력 하에 두는 것이 필요했다. 리비아는 결코 리비아 민중의 것이 아니라 제국주의자들을 위해서 존재해야 했던 것이다. 이것이 어제까지만 해도 서방 지도자들과 깊은 우정을 나누었고 그다지 불만스럽지 않았던 카다피에게 안면을 바꾸고 군사적 개입을 결정하게 된 가장 큰 이유이다. 또한 잘릴과 유니스를 비롯한 낡은 지배계급 역시 민중들의 성장과 전투적 이슬람주의자들의 성장이 두렵기는 마찬가지였기 때문에 제국주의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야합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돌이켜보면 알자지라나 서방언론 그리고 제국주의의 책임있는 당국자들의 발언은 사전음모에서가 아니라 지나친 편견에서 나온 발언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2월 20일 무렵 카다피측이 유화적인 수습책을 발표하고 사태를 대화로 풀려는 노력을 하고 있던 시점에서 전투기에 의한 집단학살이나 과도한 폭력을 운운한다든지, 항쟁이 정점에 달해 누구나 카다피 체제가 끝났다고 생각하고 있던 바로 그 시점에 유엔개입을 요청할 유일합법정부를 자칭하고 NTC의 출범을 서두른 것은 일반인의 상식으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행동들이고, 이 행동들은 오직 리비아 혁명에 개입할 명분과 고리를 찾고 있는 제국주의자들에게 커다란 기쁨을 주는 맞춤행동이었다. 따라서 내전과 제국주의 개입전쟁으로의 발전은 제국주의자들의 주도면밀한 공작에 의한 것이라는 의혹을 벗어날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 점에서 포르테가 2월 중순부터 벵가지에서 파견된 CIA의 공작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것은 정당하다고 할 수 있다.*76

 

6) 제국주의 개입을 둘러싼 좌파의 분열

제국주의의 군사개입이 시도되고 있을 때 많은 논쟁들이 벌어졌다. 전투기까지 동원하여 민중을 학살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방의 군사개입은 필요하다는 주장과, 제국주의의 군사개입은 또 다른 예속과 비극을 낳을 것이기 때문에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있었다. 어떤 좌파에선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필요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고, 어떤 좌파는 비행금지구역이 아니라 ‘리비아 인민을 무장시켜라’는 구호를 내세우기도 하였다.**77 여기서는 가장 정교한 개입찬성론이라고 할 수 있는 타스님 퀴테트의 주장을 살펴본다.

 

  리비아에 대한 국제적인 군사개입은 특히 좌파진영을 둘로 분열시켰다. 개입찬성론자들은 이러한 개입이 없다면 봉기가 궤멸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개입반대론자들은 이러한 개입을 이라크 전쟁과 똑같은 군사적 공격이라고 주장한다. … 개입반대론자들이 가장 즐겨 드는 것은 서방측의 두 개의 잣대에서 보이는 위선이다. 똑같이 살인적 폭력에 시달리고 있는 예멘이나 바레인이 아니라 왜 리비아냐는 것이다. … ‘외국간섭 반대, 리비아 인민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벵가지에 걸려있는 현수막에는 외국개입 반대는 전면적인 지상군과 리비아 점령을 반대한다는 의미에서 비행금지구역과 국제공동체로부터의 지원 요청이 함께 있었다.***78 … 몇몇 좌파들은 서방은 그들 자신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많은 서방국가들이 카다피 체제를 도와왔다고 지적한다. … 만약에 카다피가 리비아의 봉기를 짓밟는 데 성공한다면 그것은 아랍의 봄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까? 보다 더 큰 자유를 위한 그들 인민의 커져가는 요구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고 있는 아랍의 독재자들은 카다피의 미친 행동 속에서 몇 가지 방법을 찾을 것이다.****79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엔결의안을 빙자한 ‘인도주의적 개입’은 날조된 이유에 기반한 것이고, 그 날조마저도 내전인 이상 결의안을 통과시킬 명분이 못 되는 것이지만, 설령 서방 언론이 퍼뜨린 카다피의 학살만행이 사실이고 현지의 리비아인들이 집단학살의 두려움을 느꼈다고 할지라도, 제국주의자의 개입을 요청하고 지지할 수는 없는 것이다. 혁명은 이길 수도 있고 질 수도 있다. 하지만 혁명이란 민중들이 외세의 힘을 빌어서가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해야 하는 것이다. 퀴테트가 제기한 고민은 어려운 문제이기는 하지만 군사력 대 군사력의 대립으로 생각한다면 답이 없다. 튀니지의 탈라 전투나 미스라타 봉기에서 대중이 총을 가졌거나 무장력으로 압도했기 때문에 공권력을 몰아낼 수 있었던 것이 아니다. 총 지상군이 25,000명인 나라에서 이미 전 국민적인 항쟁이 시작되었고 군대의 상당수도 이탈하여 최소한의 무장은 있는 상황이고 무엇보다도 카다피가 아무리 전투기와 탱크가 있다고 하여도 석유기지나 시내 중심가나 민간인 지역을 폭격할 수는 없고 더구나 지상요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도시를 점령하여 주둔군을 배치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사실 3월 중순 카다피의 공습에도 불구하고 토브룩과 데르나에서 반군은 전면대결이 아니라 밤에 활동하면서 공습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석유기지를 볼모로 삼아 슬기롭게 저항하고 있었다.*****80 미스라타 투쟁에서 보듯 고립되어 각개격파를 당하지만 않고 전선에 집착하거나 진지전에 매몰되지 않는다면, 그리고 카다피를 후방에서 교란한다면 저항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분명 어려운 문제이지만 이 상황에서 좌파가 해야 할 일은 카다피의 잔인한 심성과 우월한 군사력을 걱정하여 논쟁할 것이 아니라 최선을 다하여 카다피의 약점을 찾아 대중과 함께 저항하는 길을 찾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퀴테트의 주장에는 대중노선의 관점이 결여되어 있다. 퀴테트의 주장대로 만약 외부의 도움이 없으면 학살당할 수밖에 없고 혁명이 궤멸될 수밖에 없다면 수천 명이 학살당하고 있는 시리아나 예멘의 대중은 스스로의 힘으로 해방될 수 없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역사는 되돌릴 수 없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민중은 어떠한 억압과 고난도 그들의 단결된 힘으로 극복할 수 있다.

 

제4장 혁명의 중간 결산과 평가

 

1. 혁명의 중간 결산

1) 튀니지

1월 14일 이미 70명을 학살하고 117명이 희생되었음에도 거세어지는 민중의 항쟁을 더 이상 억압할 수 없게 되자, 미국과 군부를 비롯한 지배계급은 이용가치가 없어진 벤 알리를 버렸다. 그리고 벤 알리의 심복이자 공군장성 출신인 모하메드 간누치를 수반으로 하는 여야통합 ‘과도정부’인 임시정부(국가통일정부)를 구성하고 6개월 내에 새로운 입법부와 대통령을 선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1월 17일 간누치 총리는 23인의 새 내각 구성안을 발표하였는데, 새로운 장관들 대부분은 은행과 사기업의 전 경영자, 임원, 매니저 등 신자유주의적인 ‘골든 보이즈’들이었고, 벤 알리 시절의 구정부에 있던 6명의 장관이 포함되었다. 이에 내각에 들어간 UGTT 소속 3명의 장관은 헌법개정, 집권당(RCD) 해체 등을 요구하며 과도내각에 반발해 사퇴하였다. 한편 벤 알리가 물러나자 그동안 억눌려져 왔던 대중들의 투쟁이 폭발하였다. 마사케니스나 벤자, 탈라와 같은 일부지역에서는 공권력을 몰아내고 대중들의 자치조직인 코뮌의 단계까지 발전하는 지역도 있었다.*81 그리고 반동적인 군부는 중간계급에 대하여 유화적이면서도 노동계급의 요구와 운동은 철저히 짓밟아 왔다.**82

벤 알리 퇴진 이후의 이러한 노동자계급과 민중의 삶을 위한 투쟁은 1987년 6월 항쟁 때 기만적인 직선제 개헌안을 지도부가 받아들이고 많은 시민들이 집으로 돌아간 후 7월부터 9월까지 노동자 대투쟁이 일어난 것과 비슷하다. 로자 룩셈부르크의 말처럼 정치혁명은 그때까지 억눌려왔던 경제투쟁에 기름진 토양을 제공하는 것이다. 군부를 앞세운 온갖 정치적, 경제적 엘리트를 포함한 구 지배계급은 벤 알리를 도피시키고 집권당의 당명을 바꾸고 몇몇 학살책임자들을 희생시키면서 그대로 온존해 있다. 단지 성난 민심을 달래기 위해 몇 가지 양보를 했을 뿐 지역노조를 비롯한 노동자계급과 반정부 시위대에 대해 총을 쏘는 등 단호하게 억압하고 있다. 7월 24일로 예정되었던 제헌의회 선거는 10월 23일로 연기되었는데, 이 선거에서 세속적 이슬람주의 정당인 엔나흐다당이 40%의 득표를 얻어 제1당이 되었다.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라는 미명하에 낡은 지배계급은 노동자계급을 포함한 기층 민중은 배제하면서 자유주의 부르주아지와 소부르주아적인 이슬람주의 세력과 연합하여 형식적인 부르주아 민주주의의 틀을 갖추는 것이다. 그리나 이 체제는 민중의 바람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투쟁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83 투쟁은 더 전진해야 하지만 민중운동 진영의 헤게모니는 미약한 듯하다.

 

2) 이집트

  “무바라크를 몰아낸 혁명은 정권의 일부만 해체했다. 무바라크의 가족과 그들과 연계된 경제인, 국가 관료제와 NDP의 중요인사, 국가보안기구의 많은 사람들과 정권의 기본 구조는 그대로이고 군부와 국가 관료제는 국가를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고 과도기간의 이행과정을 지배하는 위치에 있다.”****84

 

무바라크가 물러난 뒤 군사최고위원회SCAF는 의회를 해산하고 헌법을 정지하면서, “자유롭고 민주적이며 문민적인 당국에 권력을 넘겨주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다. 군부는 모든 지역적, 국제적 협정은 존중될 것”이라고 밝혔다. 군부의 이러한 발언은 낡은 지배계급이 민중의 혁명을 형식적 민주화로 수렴하고 민중들의 고통의 근원이었던 신자유주의 세계화 정책과 제국주의 패권주의에 야합하는 이스라엘과의 ‘차가운 평화Cold Peace’ 정책을 계속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85 그동안 반동적인 군부는 새 정부 구성을 지연하고 국가비상조치법을 재가동하면서 노동자계급을 비롯한 기층 민중들의 요구와 운동을 철저히 짓밟아 왔다. 군부가 내무, 주택, 관광 장관 등 구정권의 일부 핵심과 철강재벌을 구속하고 6개월 내에 선거를 통하여 권력을 이양한다고 밝히자 시위대의 대부분은 타흐리르 광장을 청소하고 집으로 돌아갔지만 소수의 시위는 계속되었다. 하지만 구체제 인사의 철저한 처벌과 청산 그리고 군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 시위가 3월부터 다시 성장하였고 그 흐름은 이슬람주의자들의 타협적 태도와 상관없이 계속되었다.*86 특히 9월로 예정되었던 선거를 연기한 군부가 11월 2일 기성정당과 군부에 유리한 선출방식과 “민선정부가 헌법 원칙을 위배할 경우 군이 헌법을 수호하는 기관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의회는 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률을 발의하기 전에 군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헌법원칙을 발표하자 대대적인 반정부 시위가 폭발하였다. 11월 18일 수만 명으로 시작된 시위는 11월 25일에는 전국적으로 100만 명이 참여하였다. 이날 10명이 죽고 1,000명이 부상당했다. 이제 이집트 혁명은 군부와 낡은 지배계급과 기회주의적인 이슬람주의 세력을 한편으로 하고**87 혁명을 배반당한 민중을 한편으로 하는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하였다. 혁명이란 계급지배의 사회에서 단지 독재자라는 간판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성립된 질서 속에서 어느 계급의 헤게모니가 관철되느냐의 문제이다. 이집트 민중의 혁명이 한국의 87년 민주항쟁처럼 형식적 민주화로 수렴될 것인지 보다 근본적인 사회혁명으로 나아갈 것인지는 이집트 민중의 투쟁에 달려있다. 그러나 ‘무바라크 없는 무바라크 체제’가 계속되는 한 민중들의 투쟁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3) 리비아

제국주의의 개입을 애원하기 위해 혹은 개입의 명분을 위해 만들어진 NTC는 애초에는 반군의 지도체가 아니라 대외 접촉부 정도의 위상이었다. 2월 24일 바이다에서의 첫 모임에 합류한 반정부 정치인, 이탈한 군 간부, 부족 지도자, 학자, 경제인 등의 구성이나, NTC가 발표한 내각의 구성***88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들은 기본적으로 친제국주의적인 낡은 지배계급들이다. 그리고 오직 제국주의가 개입할 고리와 명분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NTC는 민중주도의 혁명과 전투적인 이슬람주의자들을 두려워하여 제국주의자들과 결탁한 가장 반동적이고 기회주의적인 집단이다.

한편 반군의 구성을 보면, “주로 시민들 즉 교사, 학생, 법률가, 석유 노동자 그리고 리비아 군대에서 이탈하여 반군에 합류한 직업군인들의 파견대”****89로 이루어져 있다. 카다피와 싸운 반군 전투원들은 대부분 일반 시민들이고 체제에 절망한 젊은이들이었다.*****90 그들은 지역적 혹은 부족적으로 구성된 부대에 결합하고 여기에 군사경험이 있는 군 이탈자들이 합류했다. 또한 반군 부대들 가운데는 초기에 벵가지에서 만들어진 ‘2월 17일 순교자 여단17 February Martyrs’ Brigade’*91과 같은 부대도 있고, 주로 아부살림 교도소 수감자 출신으로 이루어진 ‘자라 여단Obaida Ibn Jarrah Brigade’과 같은 이슬람주의자들의 부대도 있다. 그리고 2월 16일 데르나의 무장봉기를 선동한 이슬람주의자들이나 LIFG의 리더였던 압델 하킴 벨하지처럼 트리폴리 시 군사령관의 경우도 있지만, 카다피가 이슬람조직들을 철저하게 억압했기 때문에, “반군 가운데에 알카에다의 흔적이 있기는 하지만, 의미있는 알카에다나 테러리스트의 존재가 있다고 확신할 만한 충분한 정보가 없다”는 나토 사령관이 밝힌 정보보고서**92처럼 시위대나 반군 전체에 있어서 전투적인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비중은 크지는 않은 것 같다. 그리고 반군이 장악한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벵가지에도 주로 이탈한 경찰과 보안대로 구성된 수십 개의 자경단이 있다. 이들이 중화기로 무장한 픽업 트럭을 몰고 다니면서 혁명을 전복한다는 이유로 카다피 충성파나 무고한 흑인들을 색출하여 ‘카다피의 개’나 ‘용병’으로 비난하면서 살인행위와 사적 린치와 약탈을 저지르고 있다는 수많은 보고가 있다.***93

 

이제 카다피는 제국주의 국가들의 개입으로 몰락하였다. NTC는 8개월 후(2012년 6월)에 민주정부를 수립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카다피 치하에서는 정당이나 사회운동 세력이 성장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온갖 기회주의적이고 반동적인 세력이 NTC와 반군의 상층부를 장악하고 있다. 이들의 기본적 성격은 친제국주의적이고 기회주의적인 낡은 지배계급이다. 또한 카다피에게 억압을 당했든 혹은 혜택을 받았든지 간에 본질적으로 이해관계로 다투는 낡은 세력들인 부족 원로들이 있다. 그리고 자경단들의 횡포에서 보는 것처럼 경찰이나 보안대 출신의 기회주의적인 세력이 있다. 한편 기본적으로 반제적이고 민족주의적이지만 보수적이고 여성에 대해 억압적인 이슬람주의 세력과 보다 정의롭고 더 나은 삶을 원하는 민중이 있다.

따라서 NTC의 상층부는 제국주의자들의 도움으로 주도권을 장악하겠지만 이들의 친제국주의적 성격은 전투적 이슬람주의자들이나 민중의 바람과는 충돌할 수밖에 없다. 모든 세력이 합의할 수 있는 것은 다당제 민주주의와 여성에게 억압적이지 않고 타 종파에게 관용적인 세속주의 정도이다. 혹은 NTC와 반군 상층부의 낡은 지배계급들이 온건 이슬람주의자와 야합하기 위하여 샤리아(이슬람 율법)를 앞세워 반동적인 근본주의적 정치체제를 받아들일지 모른다. 그러나 리비아 민중들이 무엇보다 바라는 것은 부의 공정한 분배와 일자리 그리고 보다 나은 삶이다. NTC는 이러한 바람을 배반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갈등은 계속될 것이다.

대중의 자발성과 투쟁성이 한껏 고양되던 지난 2월 하순에 조금만 더 밀어 붙였으면 카다피를 몰아 낼 수 있었을 텐데도, 민중이 주도하는 혁명을 두려워한 제국주의와 기회주의 세력들이 혁명이 아닌 내전으로 성격을 바꾼 뒤 끝내 제국주의의 개입전쟁으로 발전시켰다. 이런 점에서 리비아 내전의 승자는 리비아 민중이 아니라 제국주의와 기회주의 세력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명의 결과는 자마히리야 체제의 모든 것을 파괴했다. 반군은 무장을 해제하지 않고 있지만, 엄밀한 의미의 공권력이 없다. 그 때문에 지난 12월 13일 벵가지에서 일어난 시위****94에서 보듯 정당한 요구를 하는 민중들을 억압하는 공권력이 없고 아무리 반동적인 NTC라고 하여도 당분간 민중에게 적대적인 억압을 할 수 없다. 이것이 리비아 민중이 희생 끝에 얻어낸 소중한 자산이다. 그들은 낡은 지배계급의 국가기구를 일소해버린 것이다. 파리코뮌 이후 이처럼 낡은 국가기구를 철저하게 파괴한 혁명은 없었다. 그러므로 리비아 민중의 혁명은 자본가 계급까지 전 국민적으로 참여한 항쟁이자 ‘제국주의 하수인인 낡은 지배계급이 왜곡하는 국민혁명’이다. 비록 낡은 지배계급과 제국주의 세력이 또다시 낡은 질서를 강요하려고 하고 있지만 낡은 질서와 총을 들고 싸웠던 민중을 억압하고 순응시키는 일은 쉽지는 않을 것이다. 이제 리비아 민중은 이들 제국주의와 기회주의적 친제 반동세력과 싸워 진정으로 자주적이고 민주적이고 민중적인 사회를 건설할 과제가 남아있다. 투쟁은 계속될 것이다.

 

2. 혁명의 총체적 평가

1) 제국주의 질서와 아랍민중혁명

  사회적 봉기가 실제 혁명으로, 다른 말로 하면, 이 체제에 진정한 위험으로 변하기 전에 소모된 독재자를 포기하고 그의 후계자를 조직해야 하는 순간이 왔다고 워싱턴에 보고됐다.*****95

 

아랍 혹은 중동에는 무엇보다도 석유 이권을 중심으로 미제국주의가 압도적인 군사력을 앞세워 배타적인 패권주의를 관철하는 가운데 영국과 프랑스 등 서방 제국주의가 보조적 군사력으로 이권의 분배에 참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국주의 질서는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를 축으로 하여 전개되어 왔고, 이 질서에 반항하는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이란이나 과거의 리비아는 혹독한 응징이나 고립과 경제제제가 강요되었다. 1967년 이스라엘의 침략전쟁과 점령은*96 이 지역 아랍민중의 커다란 고통이었고 미국과 이스라엘에 대한 아랍민중의 분노와 저항을 낳았다. 이 점에서 사다트가 이스라엘과의 평화협정을 체결한 것은 아랍의 대의를 저버린 것이었다. 제국주의가 강요하는 중동질서에서 이집트는 참으로 중요하다. 나아가 튀니지나 리비아 등 어떤 나라에서도 이 질서를 위협하는 세력이 권력을 장악해서는 안 되고, 그것은 친미적인 군부의 주도하에 반제의 대의를 앞세운 전투적 이슬람주의자들의 배제와 함께, 체제의 안정을 위해 본질적으로 중간계급적 혹은 소부르주아적이라고 할 수 있는 타협적이고 기회주의적인 온건 이슬람주의자들의 포섭과 매수로 나타났다. 튀니지의 엔나흐다당과 이집트의 무슬림형제단의 부상이 그것이다. 그리고 리비아에서는 제국주의가 개입할 고리가 없었기 때문에 NTC를 급조했다. 그러나 제국주의적 질서를 위해 개입전쟁으로까지 발전하였지만 지상군의 투입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미군의 점령은 이 지역에 있는 하수인 세력의 질서 장악력의 부족 때문이었지만, 이 지역 민중들의 저항으로 점령의 명분을 잃고 철수했거나, 철수해야 할 운명에 있다. 또한 이스라엘의 아랍민중에 대한 학살은 노골적이기는 하지만 이 지역 민중의 저항과 선진국 여론은 노골적인 군사적 개입을 제약하고 있다. 튀니지와 이집트에서도 미제국주의의 개입이 있기는 하였지만 그것은 노골적인 개입이 아니라 친미적인 군부를 앞세운 은밀한 공작이었다. 이러한 모든 것은 미국을 비롯한 제국주의가 군사력과 경제력에 있어서 막강하지만 흔들리고 있고 쇠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것은 반제의 과제가 자주적 권력의 수립 즉 친제 세력의 타파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말한다.

2011년 아랍민중들의 혁명적 투쟁은 특히 이집트의 경우처럼 제국주의 질서를 잠시 흔들거나 위협할 가능성을 보여주기는 하였지만 깨트리지는 못했다. 이제 3국 모두 반민중적인 지배계급은 체제의 유지를 위해 혹은 민중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서 서방자본의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것은 이들 나라의 민중들이 싸울 수밖에 없었던 고통을 강요했던 구질서로 회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석유이권을 둘러싼 군사적 질서와 신자유주의 세계화 축적체제라는 경제적 질서는 한층 더 높은 수준의 혁명투쟁을 요청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의 제국주의가 과거처럼 배타적 식민지나 군사적 위협 혹은 점령과 같은 무력에 의존하기보다는 각국의 군부나 독점자본가계급을 매수하거나 또는 이들 세력과 야합 혹은 동맹에 의존하고 제국주의 질서에 순응하지 않는 나라에게 경제적인 압박, 보복, 제제에 의존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점은 자주적 권력의 수립과 유지에 또 다른 성격의 극복과제와 고민을 남기고 있다.

 

2) 이슬람주의 운동과 계급투쟁

그동안 제국주의는 물론 제국주의와 야합한 권위주의적 독재권력의 탄압을 받았던 다양한 이슬람주의자들**97은 반제 반이스라엘 투쟁에 앞장섬으로써 위신을 쌓을 수 있었다. 그런데 2011년 아랍민중혁명은 제국주의에 대한 군사적 저항을 위주로 하였던 전투적 이슬람주의자들의 투쟁과는 맥락이 다른 것이었고 팔레스타인과 아랍 전역의 연대투쟁이었던 인티파다(대중들의 거리에서의 저항)와 맞닿아 있다. 체제에 대한 거대한 전 대륙적 투쟁에 있어서 전투적 이슬람주의자들은 리비아에서 약간의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거의 무기력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2011년 아랍민중혁명은 무장노선과 대중노선의 대결에서 대중노선의 최종적인 승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전투적 이슬람주의자들은 제국주의에 의해 철저히 억압되었기도 하지만 이번 혁명의 결산에서도 거의 배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투적인 이슬람근본주의자들은 제국주의에 의해 물리적으로 배제될 뿐만 아니라 그들의 군사적 지향은 아랍혁명에서 폭발된 대중운동 앞에서 매력을 잃을 것이고 이미 세속화된 민중들 앞에서 이데올로기적으로도 매력을 잃을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억압받아왔던 온건이슬람주의 운동 역시 체제에 편입되거나 야합함으로써 당장은 이들 지역에서 정치적인 부상은 하겠지만 대중들에 대한 위신은 축소되어갈 수밖에 없다. 이슬람(근본)주의자들이 가지고 있는 여성 억압적인 봉건적 이데올로기는 그들의 정치적 위신의 추락과 함께 민중들이 추구하는 세속주의 지향을 되돌릴 수는 없을 것이다.

친제 봉건적인 이슬람주의세력을 몰아낸 뒤 성립한 반제 세속적인 후견독재를 뒤이은, 친제 반민주적이면서 세속적인 신자유주의 권위주의 권력과 봉건적인 반제 반독재 이슬람주의세력의 대립은, 다시 친제 친신자유주의 온건 이슬람주의세력과 반제 반신자유주의(반자본) 세속주의적인 민중세력의 대립으로 귀결될 것이다. 따라서 반제 반독재라는 진보적 측면과 여성억압이라는 반동적 측면을 가지고 있는 이슬람주의 운동은 강온 이슬람주의의 쇠퇴 혹은 위신의 추락과 함께 이 지역에서 친제 친신자유주의와 반제 반자본이라는 계급적 모순을 명료히 할 것이다.

 

3) 아랍민중혁명의 의의

2011년 아랍민중의 투쟁은 단순한 반독재 민주화투쟁이 아니다. 이 투쟁이 세계사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1980년대 사회주의권의 몰락 이후 전 세계적으로 완성된 ‘신자유주의 세계화 축적체제’에 대한 범대륙적 규모의 혁명적 저항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제국주의 독점자본이 강요한 경제적 질서에 대한 도전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번 아랍민중의 혁명은 이집트에서 보듯 이스라엘-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를 축으로 하는 제국주의의 군사적, 정치적 질서를 위협하는 것이었다. 미국을 비롯한 제국주의는 아랍세계의 어떠한 나라도 자신들이 강요하는 질서를 위협하는 세력을 허용할 수 없다. 아랍세계의 민중들이 보편적으로 공유하는 반미, 반제, 반이스라엘 정서와 친팔레스타인이라는 범아랍민족주의***98는 본질적으로 이 지역에 제국주의가 강요하는 군사적, 정치적 질서에 대한 반감을 담고 있다. 비록 이번 항쟁에서 반제 범아랍 민족주의적 슬로건이 전면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2011년 아랍민중의 항쟁이 설령 반독재 민주화 투쟁의 외관을 띤다고 할지라도 그 운동의 성장 그 자체가 제국주의에 야합하거나 매수된 세력에 대한 도전이기 때문에 제국주의가 강요하는 질서에 대한 도전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2011년 아랍민중의 혁명은 신자유주의 세계화 축적체제라는 제국주의의 경제적 질서만이 아니라 2차 대전 이후에 이 지역에 강요된 군사적, 정치적 질서에 대한 도전으로 발전할 수 있는 혁명적 저항과 투쟁으로서 세계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고, 그동안 아랍사회에서 계급의식과 계급투쟁의 성장에 악영향을 끼쳤던 봉건적인 이슬람주의에 대한 극복으로 이어지는 중대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진보전략]

 

 

 

참고문헌

1. 내외신 등 언론매체와 위키피디아의 자료

<뉴시스 통신사>, “튀니지, 종교 극단주의·실업률 상승 항의 대규모 시위”, (2011.12.2.), at 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111202_ 0009905441

<사회주의적 대안>의 튀니지 통신원, “기로에 선 튀니지 혁명”, 정은희, (2011.2.5.), <참세상>.

<한겨레신문>, “이집트 1차 총선 ‘이슬람주의’ 압승”, (2011.12.04.) 국제면.

AFP, “Libye de nouveaux morts lors d une operation des forces libyennes”, (19 Feb 2011. modified 21 Feb 2011.) at http://www.ladepeche.fr/article/ 2011/02/19/ 1019008-libye-de-nouveaux-morts-lors-d-une-operation-des-forces-libyennes. html

_____, “Libyan Islamists seize arms, take hostages”, (21 Feb 2011) at http://news. smh.com.au /breaking-news-world/libyan-islamists-seize-arms-take-hostages-20110221- 1b19c.html

Aljazeera, “Aljazeera Live Blog Libya – Feb 22”, (22 Feb 2011, Retrieved 26 Mar 2011), at http://blogs.aljazeera.net/africa/2011/02/22/live-blog-libya-feb-22

_______, “Libyan police stations torched”, (16 Feb 2011) at http://www.aljazeera.com/news/ africa/2011/02/20112167051422444.html

_________, “Live Blog - Libya” at http://blogs.aljazeera.net/middle-east/ 2011/02/17/live -blog-libya#feb17

_________, “Tensions flare across Tunisia”, (28 Dec 2010) at http://www.aljazeera.com/news /africa/2010/12/2010122819724363553.html

_________, “Thousands of Tunisia lawyers strike”, (06 Jan 2011) at http://www.aljazeera.com/news/africa/2011/01/201116193136690227.html

_________, “Violent clashes continue in Tunisia”, (04 Jan 2011) http://www.aljazeera.com/ news/africa/2011/01/201114101752467578.html

AP, “The Associated Press has news from Zawiya, Misrata and Tripoli”, (24 Feb 2011) at http://feb17.info/news/this-just-in/

Barfi, Barak, “The War in Libya: Boot Camp Revamp” at http://www.tnr.com/article/ world/89598/libya-qaddafi-rebels-war

Blomfield, Adrian, “Libya: protest leaders threaten independence for eastern Libya”, (24 Feb 2011) at http://www.shabablibya.org/news/libya-protest-leaders-threaten -independence-for-eastern-libya

Cockburn, Alexander, “Libya rebels: Gaddafi could be right about al-Qaeda”, (24 Mar 2011) at http://www.theweek.co.uk/politics/6801/libya-rebels-gaddafi-could-be-right- about-al-qaeda

Cockburn, Patrick, “Amnesty questions claim that Gaddafi ordered rape as weapon of war”, (24 Jun 2011) at http://www.independent.co.uk/news/world/africa/amnesty -questions-claim-that-gaddafi-ordered-rape-as-weapon-of-war-2302037.html

Guardian, “Libya protests: massacres reported as Gaddafi imposes news blackout”, (21 Feb 2011) at http://www.guardian.co.uk/world/2011/feb/18/libya-protests-massacres -reported

________, “Tunisia’s former president Ben Ali goes on trial”, (20 Jun 2011) at http://www.guardian.co.uk/world/2011/jun/20/tunisia-former-president -ben-ali?INTCMP=SRCH

Levinson, Chales, “$50 billion later, taking stock of U.S. aid to Egypt”, (4 Apr 2004) at http://www.csmonitor.com/2004/0412/p07s01-wome.html

_____________, “Rebel Leadership Casts a Wide Net”, (10 Mar 2011) at http://online.wsj. com/article/SB1000142405274870462910457619072090164 3258.html

Los Angeles Times, “Rioting spreads across Tunisia; unrest also reported in Algeria”, (08 Jan 2011) at http://articles.latimes.com/2011/jan/08/world/la-fg-tunisia-riots -20110108

Lucas, Ryan and Karam, Zeina, “Gadhafi’s government controls the skies by day; sundown brings rebels out in”, (14 Mar 2011) at http://www.washingtonpost.com /wp-dyn/content/article/2011/03/14/AR2011031403415.html

News24, “Benghazi protesters stay put”, (13 Dec 2011) at http://www.news24.com /Africa/News/Benghazi-protesters-stay-put-20111213-2

Offnews.info, “Tunisia - Sidi Bouzid Protests Erupt”, (29 Oct 2011) at http://www.offnews.info /verArticulo.php?contenidoID=35450

Reuters, “Libya’s jobless rate at 20.7 percent: report”, (2 Mar 2009) at http://af.reuters.com/ article/investingNews/idAFJOE52106820090302

Rice, Xan, “Libyan rebels pay a heavy price for resisting Gaddafi in Misrata”, (21 Apr 2011) at http://www.guardian.co.uk/world/2011/apr/21/libyan-rebels-heavy-price-misrata

Schemm, Paul, “Battle at army base broke Gadhafi hold in Benghazi”, (25 Feb 2011) at 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11/02/25/AR 2011022505021.html

Seymour, Richard, “Libya’s spectacular revolution has been disgraced by racism”, Guardian, (30 Aug 2011) at http://www.guardian.co.uk/world/libya?page=29

Simpson, John, “Halt To Rebel Advance Creates Libyan Divide”, BBC News (29 Mar 2011) at http://www.bbc.co.uk/news/world-africa-12901820.

Stephen, Chris, “Libyans March in Tripoli, Benghazi Calling for Less Secrecy”, (13 Dec 2011) at http://www.businessweek.com/news/2011-12-13/libyans-march-in-tripoli- benghazi-calling-for-less-secrecy.html

Usatoday, “Libyan rebels: ‘We’re not al-Qaeda”, (30 Mar 2011) at http://www.usatoday.com /news/world/2011-03-30-libyans30_ST_N.htm

 

Wikipedia, “2011 Libyan_Civil_War” at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

_________, “Egypt protests” at http://en.wikipedia.org/wiki/Egypt_protests

_________, “Misrata battle 2011” at http://en.wikipedia.org/wiki/Misrata_battle,_2011

_________, “Mustafa_Abdel-Jalil” at http://en.wikipedia.org/wiki/Mustafa_Abdel-Jalil

_________, “Timeline of the 2011 Libyan civil war before military intervention”, at http://en.wikipedia.org/wiki/Timeline_of_the_2011_Libyan_civil_war_before_ military_intervention

 

2. 참고문헌

김하영, “리비아혁명, 어떻게 볼 것인가?”, 『마르크스21』, (9호 2011년 봄), 마르크스21 편집팀, 책갈피, pp. 143-164.

노엄 촘스키 외, 『촘스키와 아슈카르, 중동을 이야기하다』, 강주현 옮김, 사계절, 2011.

라밥 엘 마흐디, “이집트 민주화 운동”, 『마르크스21』, (9호 2011년 봄), 마르크스21 편집팀, 책갈피, pp. 221-252.

마르크스21 편집팀, 『마르크스21』, (9호 2011년 봄), 책갈피.

매튜 쿡슨, “이집트 민중 저항의 역사”, 『이집트 혁명과 중동의 민중반란』, 알렉스 캘리니코스 외, 책갈피, 2011.

박석삼, 『2008년 촛불항쟁 : 배반당한 개미떼들의 꿈』, 문화과학사, 2010.

사메 나기브, “계속되는 혁명-무바라크 몰락 이후의 이집트”, 『마르크스21』, (12호, 2011년 겨울), 마르크스21 편집팀, 책갈피 . pp. 119-175.

___________, “이슬람주의의 과거와 미래” 『마르크스21』, (9호 2011년 봄), 마르크스21 편집팀, 책갈피, pp. 253-281.

알렉스 캘리니코스 외(2011), 『이집트 혁명과 중동의 민중반란』, 책갈피.

인남식, “2011년 중동 민주화 운동의 원인, 현황 및 전망”, 「주요국제문제분석」(2011.5.24.), 외교안보연구원

임필수, “2011년 튀니지 혁명의 미래”, 『사회운동』, (통권 102호 2011, 9·10), 사회진보연대, pp. 90-119.

임필수, “리비아 공격을 둘러 싼 국제좌파의 분열에 대한 우리의 시각”, 『사회운동』, (통권 100호 2011, 5·6), 사회진보연대, pp. 98-109.

정상률, “빵의 혁명, 자유의 혁명, 어디까지 갈 것인가?-중동 민주화 혁명의 배경과 남아있는 문제점”, 『내일을 여는 역사』, (제43호 2011.6), 내일을 여는 역사, 2011, pp. 212-229.

Alexander, Christopher, “A Month Made for Drama”,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45-49.

_______________________, “The Rise and Fall of Ben Ali”,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50-53.

Amnesty International, The battle for Libya : Killings, disappearances and torture, (September 2011. Index: MDE 19/025/2011)

Defence of Marxism, “Libyans protest against NTC stealing the revolution”, (14 Dec 2011) at http://www.marxist.com/libya-ntc-protest.htm

Foreign Affairs, Foreign Affairs : The New Arab Revolt, (may / june 2011 volume 90, number 3)

Foreign Policy,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2011.

Forte, Maximilian C., “A Victory for the Libyan People? : The Top Ten Myths in the War Against Libya”, (31 Aug 2011) at http://www.counterpunch.org/2011/08/31/ the-top-ten-myths-in-the-war-against-libya/

Fruehauf, Urs, “EU-Libya Agreements on Refugees and Asylum Seekers : The Need for a Reassessment”,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2 May 2011, Special Issue), Perspectives, pp. 243-247.

Garcia-Navarro, Lourdes, “As Tide Turns, Rebels’ Dream Of ‘Free Libya’ Dims”, (16 Mar 2011) at http://www.npr.org/2011/03/16/134594253/as-tide-turns-rebels- dream-of-free-libya-dims?ft=1&f=1001

Goldstein, Eric, “A Middle-Class Revolution”,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66-71.

Goldstone, Jack A., “Understanding the Revolutions of 2011”, Foreign Affairs : The New Arab Revolt (may / june 2011 volume 90, number 3), Foreign Affairs, pp. 8-16.

Hounshell, Blake, “February 7: A New Leader for Egypt’s Protesters”,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96-99.

International Crisis Group, Popular Protest in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V): Making Sense of Libya, (North Africa Report N°107, 6 June 2011)

Ishani, Maryam, “The Hopeful Network”,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143-148.

Khalil, Ashraf, “January 25: Tear Gas on the Day of Rage”,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73-75.

Mabrouk, Mehdi, “The Youth Revolution : A First Reading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Tunisian Revolution”,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2 May 2011, Special Issue), Perspectives, pp. 132-144.

Perspectives,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2 May 2011. Special Issue)

Petras, James, and Abaya, Robin E., “The Euro-US War on Libya: Official Lies and Misconceptions of Critics” at http://petras.lahaine.org/?p=1847

Prashad, Vijay, “NATO’s Agenda for Libya : Qaddafi, From Beginning to End”, <Counterpunch>, (Weekend Edition October 21-23, 2011) at http://www.counterpunch.org/2011/10/21/qaddafi-from-beginning-to-end/

Qutait, Tasnim, “The Price of the Divide on Libya : Why I support the No Fly Zone”,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2 May 2011, Special Issue), Perspectives, pp. 248-257.

Riddell, John, “How Can We Aid Libya’s Freedom Movement?”, (28 Feb 2011) at http://www.socialistvoice.ca/?p=1443

Rosenberg, Tina, “Revolution U”,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127-142.

Sghiri, Malek, “Heroic Resolve in the Face of the Omnipresent Machine of Oppression: Recounting the Events of the Tunisian Revolution”,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2 May 2011, Special Issue), Perspectives, pp. 202-207.

Shehata, Dina, “The Fall of the Pharaoh : How Hosni Mubarak’s Reign Came to an End”, Foreign Affairs : The New Arab Revolt, (may / june 2011 volume 90, number 3), Foreign Affairs, pp. 26-32.

Woods, Alan, “After the death of Gaddafi: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in Libya”, (21 Oct 2011) at http://www.marxist.com/gaddafi-dead-revolution-and-counter -revolution-in-libya.htm

Zigedy, Zoltan, “Imperialism Unmasked”, (7 Sep 2011) at http://mltoday.com/subject -areas/commentary/imperialism-unmasked-1206-2.html. 졸탄 지게디, “가면을 벗은 제국주의”, 『정세와 노동』, (제73호 2011년 11월), 채주헌 번역, 노동사회과학연구소.

* 이곳에 있는 인터넷 페이지들은 모두 2011년 12월 15일 최종적으로 검색된 것이다.


* 2008년과 2009년 World Bank 자료에 따르면,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3국의 문자 해독률은 각 66%, 78%, 89%이고, 기대수명은 각 73세, 74세, 75세였다.


** 카다피 정권의 이러한 혁명적 조치로 볼 때 비록 1980년대부터 제국주의의 경제봉쇄로 리비아 민중들의 삶이 어려워졌다고 할지라도 최소한 혁명 후 20년 동안은 반제자주를 앞세운 카다피 정권이 민중들의 지지를 받는 통치의 정당성은 가지고 있었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 Christopher Alexander,“The Rise and Fall of Ben Ali” in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이하 Foreign Policy로 표시함) pp. 50-52.


**** 매튜 쿡슨, “이집트 민중 저항의 역사”, 『이집트 혁명과 중동의 민중반란』, 알렉스 캘리니코스 외, 책갈피, 2011, pp. 67-68


***** Dina Shehata, “The Fall of the Pharaoh : How Hosni Mubarak’s Reign Came to an End”, Foreign Affairs : The New Arab Revolt, (may / june 2011 volume 90, number 3), Foreign Affairs,(이하 Foreign Affairs로 표시함) p. 27.


* Muammar Al-Qaddafi, The Green Book, (Tripoli, undated), pp. 7-8. International Crisis Group, Popular Protest in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V): Making Sense of Libya, (North Africa Report N°107, 6 June 2011), p. 7에서 재인용.


**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p. 7-9.


*** Guardian, “Tunisia’s former president Ben Ali goes on trial”, (20 June 2011) at http://www.guardian.co.uk/world/2011/jun/20/tunisia-former-president-ben-ali?INTCMP=SRCH


**** 김하영, “리비아혁명, 어떻게 볼 것인가?”,『마르크스21』, (9호 2011년 봄), 마르크스21 편집팀, 책갈피, pp. 156-158. 위키리크스에는 페트로-캐나다가 30년간의 석유채굴권을 얻은 대가로 카다피와 그의 동료들에게 10억 달러를 주기로 한 사실이 폭로되기도 했다. Doug Saunders, “The business of doing business in Gadhafi’s oil kingdom”, (26 Feb 2011) at http://www.theglobeandmail.com/news/opinions/opinion/the-business-of-doing-business-in-gadhafis-oil-kingdom/article1921542/, John Riddell, “How Can We Aid Libya’s Freedom Movement?”, (28 Feb 2011) at http://www.socialistvoice.ca/?p=1443에서 재인용


***** Christopher Alexander, “A Month Made for Drama” in Foreign Policy, pp. 46-48.


*1 Jack A. Goldstone, “Understanding the Revolutions of 2011” in Foreign Affairs, p. 11.


** 1981년 시작된 대 리비아 경제제제는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1992년부터는 유엔제재가 추가되었고, 1996년부터는 ‘이란·리비아 제제법’으로 석유개발마저 봉쇄됐다. 레이건은 1996년 트리폴리와 벵가지에 폭탄 60톤을 쏟아 부었다. 이 공습으로 무고한 리비아인 100여 명이 목숨을 잃거나 다쳤다. 김하영, 앞의 책.


***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15.


**** 김하영, 앞의 책.


***** Dina Shehata, op. cit., p. 28.


*6 Reuters, “Libya’s jobless rate at 20.7 percent: report”, (2 Mar 2009) at http://af.reuters.com/article /investingNews/idAFJOE52106820090302


** 자국 내에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수많은 아랍의 젊은이들은 유럽에서 일자리를 찾았고, 그들의 송금액 또한 적지 않았다. 그러나 공황으로 인해 고국으로 되돌아오고, 수출시장의 축소로 일자리는 더욱 줄어들었다.


*** 튀니지 혁명의 전개과정은 Malek Sghiri(25세, 대학 3학년 재학 중인 학생활동가)의 증언을 기본으로 여러 자료를 종합하여 재구성하였다. Malek Sghiri, “Heroic Resolve in the Face of the Omnipresent Machine of Oppression: Recounting the Events of the Tunisian Revolution” in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2 May 2011, Special Issue), Perspectives,(이하 Perspectives로 표시함) pp. 202-207.


**** Aljazeera “Tensions flare across Tunisia”, (28 Dec 2010) at http://www.aljazeera.com/news/africa/ 2010/12/2010122819724363553.html


***** Aljazeera, “Violent clashes continue in Tunisia”, (04 Jan 2011) at http://www.aljazeera.com/news/ africa/2011/01/201114101752467578.html


*1 Los Angeles Times, “Rioting spreads across Tunisia; unrest also reported in Algeria”, (08 Jan 2011) at http://articles.latimes.com/2011/jan/08/world/la-fg-tunisia-riots-20110108


** 사메 나기브, “계속되는 혁명-무바라크 몰락 이후의 이집트”, 『마르크스21』, (12호 2011년 겨울), 마르크스21 편집팀, 책갈피, p. 142.


*** “광장 그 자체를 운영하는 조직은 가끔 투쟁을 선동할 때 신뢰를 받았던 페이스북 그룹이나 정당 혹은 운동들과는 완전히 절연된 하나의 실체다. 1,000명이 넘는 타흐리르 운영위원회의 멤버의 한사람이 말한 바에 따르면, 소수의 자원봉사자들이 바리케이드를 만들고, 프락치를 색출하고, 임시 의료소를 운영하고 있고, 100명 정도인 조정위원회가 중요한 결정을 하는데, 이들은 대부분 1주일 전만해도 서로 몰랐던 사람들이고, 활동가들도 아니다. … 타흐리르 광장 안에서는 점차 구역으로 나뉘게 되고, 확성기를 장악한 무슬림 형제단은 광장 남쪽, 완전한 스피커 장비를 갖춘 좌파들은 광장 서쪽, 그리고 그보다 작은 그룹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 Blake Hounshell, “February 7: A New Leader for Egypt’s Protesters” in Foreign Affairs, pp. 96-99.


**** 벵가지 투쟁에 대하여는 엠네스티의 현장조사가 가장 엄격하고 정확하다. WP에 실린 Paul Schemm의 기사도 이에 부합한다. 여기서는 두 자료를 바탕으로 서술한다. Amnesty International, The battle for Libya : Killings, disappearances and torture, (September 2011. Index: MDE 19/025/2011), Paul Schemm, “Battle at army base broke Gadhafi hold in Benghazi”, (25 Feb 2011) at 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11/02/25/AR2011022505021. html


***** 이날은 2006년 2월 17일에 있었던 벵가지 학살을 기념한다는 의미가 있는 날이었다. “2006년 2월 17일 벵가지에서 정치변화를 요구한 것이 아니라 단지 유럽에서 인쇄된 선지자 무하마드(를 모욕한-인용자) 만화에 분노를 표시하는 시위가 일어나자 보안대는 12명을 죽였다. 2007년 트리폴리에서 10여 명의 활동가들이 이 비극적인 사건을 기념하기 위하여 평화적 시위를 계획하였다가, ‘정치체제를 전복하려고 시도하고, 리비아 정권에 대한 헛소문을 퍼뜨리고, 적들과 교류하였다’는 죄목으로 6-25년의 징역형에 처해졌다.”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13.


*6 테르빌은 1996년 아부 살림 교도소에서 학살당한 1,200명의 이슬람주의 운동과 관련된 죄수들의 가족을 대변해온 벵가지 출신의 유명한 변호사이다. 학살당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동부지역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 Alan Woods, “After the death of Gaddafi: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in Libya”, (21 Oct 2011) at http://www.marxist.com/gaddafi-dead-revolution-and-counter-revolution-in-libya.htm


***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42, Paul Schemm, op. cit.


****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7, Aljazeera, “Libyan police stations torched”, (16 Feb 2011) at http://www.aljazeera.com/news/africa/2011/02/20112167051422444.html


***** Guardian, “Libya protests: massacres reported as Gaddafi imposes news blackout”, (18 Feb 2011) at http://www.guardian.co.uk/world/2011/feb/18/libya-protests-massacres-reported. 리비아는 큰 나라이고 도로사정이 참으로 빈약하기 때문에 봉기를 한 시민들이 정부군을 막기 위해서는 비행장부터 장악해야 한다.


*1 AFP, “Libyan Islamists seize arms, take hostages”, (21 Feb 2011) at http://news.smh.com.au /breaking-news-world/libyan-islamists-seize-arms-take-hostages-20110221-1b19c.html


** Xan Rice, “Libyan rebels pay a heavy price for resisting Gaddafi in Misrata”, (21 Apr 2011) at http://www.guardian.co.uk/world/2011/apr/21/libyan-rebels-heavy-price-misrata


*** Wikipedia, “Misrata battle 2011” at http://en.wikipedia.org/wiki/Misrata_battle,_2011


**** AFP, “Libye de nouveaux morts lors d une operation des forces libyennes”, (19 Feb 2011. modified 21 Feb 2011.) at http://www.ladepeche.fr/article/2011/02/19/1019008-libye-de-nouveaux-morts-lors- d-une-operation-des-forces-libyennes.html


***** AP, “The Associated Press has news from Zawiya, Misrata and Tripoli”, (24 Feb 2011) at http://feb17.info/news/this-just-in/


*6 AFP, op. cit.,


** 조사위원회는 위원장은 리비아 판사가 맡되 국내외 인권단체 인사들로 구성된다고 밝혔다. 사이프는 2003년 이후 서방자본의 투자를 유치하는 개방정책과 정치적 반대파에 대한 유화정책을 추진했는데, 이슬람주의자와 협상하여 2006년부터 LIFG를 비롯한 850명의 이슬람주의자들을 석방하였고, 2011년에만 360명을 석방하였다. 2월 16일 테르빌과 함께 이슬람주의자 수감자 110명이 석방되자 이슬람주의자 수감자는 30명만 남게 되었다. Alexander Cockburn, “Libya rebels: Gaddafi could be right about al-Qaeda”, (24 Mar 2011) at http://www.theweek.co.uk/politics/6801/libya-rebels-gaddafi-could-be-right-about-al-qaeda


*** Aljazeera, “Live Blog - Libya” at http://blogs.aljazeera.net/middle-east/2011/ 02/17/live-blog-libya #feb17


**** Maximilian C. Forte, “A Victory for the Libyan People? : The Top Ten Myths in the War Against Libya”, (31 Aug 2011) at http://www.counterpunch.org/2011/08/31/the-top-ten-myths-in- the-war -against-libya/


*****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5.


*1 사이프는 알자지라, 알아라비아, BBC 등이 고의적으로 리비아 사태를 왜곡하고 있다고 비난하였다.


** Aljazeera, op. cit.


*** Aljazeera, “Aljazeera Live Blog Libya – Feb 22”, (22 Feb 2011, Retrieved 26 Mar 2011), at http://blogs.aljazeera.net/africa/2011/02/22/live-blog-libya-feb-22.


**** Patrick Cockburn, “Amnesty questions claim that Gaddafi ordered rape as weapon of war”, (24 Jun 2011) at http://www.independent.co.uk/news/world/africa/amnesty-questions-claim-that-gaddafi -ordered-rape-as-weapon-of-war-2302037.html


***** Maximilian C. Forte, op. cit.


*6 8월 20일 일몰 후 신도들이 단식을 끝내자 많은 교외에서 모스크가 울린 경종에 반응하였지만, (트리폴리 교외인) 줌마Suq al-Juma 지역의 봉기의 조직과 규모가 제일 컸다. 몇 분도 지나지 않아 전 지역이 낡은 냉장고나 불타버린 차량들, 전쟁의 잔해들로 바리케이드를 만들고 입구에 무장한 사람들을 배치했다. 트럭들이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집에서 만든 화염병과 젤라틴이라고 부르는 수류탄을 나누어줬고, 늦은 밤에는 6개월 전에 한 자루에 3,000디나르를 주고 샀던 총을 나눠줬다. 미리 작성한 블랙리스트에 따라 자경단이 100여 명의 정권의 앞잡이 즉 정보원들의 집에 쳐들어가 무장을 해제하고 끌고 갔다. 카다피 지지자들로 득실거릴 것으로 생각했던 아부 살림Abu Salim과 같은 지역에서도 전투는 거의 없었다. 지방 은행의 은행원인 칼리드는 저격용 총을 들고 말했다. “우리는 그들이 강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전투는 두어 시간도 안 걸렸지요.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 순간에 편을 바꾸었지요.” … 줌마 지역을 책임졌던 이슬람주의자이고 트럭 소유자인 이삼Issam은 “그의 동료들은 처음에는 무기도 거의 없었지만, 친카다피 사람들을 집집마다 찾아다니면서 무기를 넘기고 집에 있어라고 당부하여 무기를 갖게 됐는데 아무도 거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Alan Woods, op. cit.


** Christopher Alexander, “A Month Made for Drama”, op. cit., p. 45.


*** “맨 처음 부아지지의 가족과 친척들이 도청 앞에 모였을 때 그들과 결합한 것은 지역노조의 리더들이었고, 그들은 대부분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교사 부문 소속이었으며, 이들은 UGTT 내에서 가장 숫자도 많을 뿐 아니라 기회주의적인 중앙집행부에 대립하는 사람들이었다. … 시위를 조직하고, 시위대의 불분명하고 머뭇거리는 요구를 보다 분명하게 정리하고, 정치적, 사회적 요구를 보다 더 깊은 정치적 맥락에 뿌리내리게 하고,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고, 더 광범위한 대중들을 촉발시킨 것도 지역노조였다.” Mehdi Mabrouk, “The Youth Revolution : A First Reading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Tunisian Revolution” in Perspectives, p. 144.


**** 2008년 촛불항쟁 역시 첫 집회부터 성공적인 동원이 이루어졌지만, 특히 대책회의의 상층부의 기회주의적 태도가 끊임없이 투쟁의 고양을 가로막았기 때문에 분노를 고양시키지 못했고 결국은 패퇴하고 말았다. 그들은 투쟁의 집행위원장이 아니라 투쟁의 관리위원장들이었다. 박석삼, 『2008년 촛불항쟁 : 배반당한 개미떼들의 꿈』, 문화과학사, 2010, pp. 77-81.


***** Blake Hounshell이나 Dina Shehata 등 여러 필자들의 글을 종합해 볼 때, 나중에 독립노총을 만드는 노조 간부들이 1월말부터 타흐리르 광장에 결합하기는 했지만 타흐리르 광장은 물론 이집트 혁명의 전 과정에서 노동자계급의 존재감은 크지 않았다. 이 점에서 노동자계급의 결정적 기여를 강조하는 캘리니코스 등의 주장은 현실과도 다르고 이집트 민중의 인식과도 다르다고 생각한다. 알렉스 캘리니코스, 앞의 책, p. 46 등


*1 이집트혁명의 사망자 수는 카이로 232명, 알렉산드리아 52명, 수에즈 18명, 베니 스에프 17명 등으로 카이로가 압도적으로 많다. Wikipedia, “Egypt protests” at http://en.wikipedia.org/ wiki/Egypt_protests


** Dina Shehata, op. cit., p. 28.


*** 라밥 엘 마흐디, “이집트 민주화 운동”, 『마르크스21』, (9호 2011년 봄), 마르크스21 편집팀, 책갈피, pp. 244-245.


**** Tina Rosenberg, “Revolution U” in Foreign Policy, p. 127.


***** Maryam Ishani, “The Hopeful Network” in Foreign Policy, pp. 143-144.


*6 “2004년 12월 12일 키파야는 첫 (침묵)집회를 열었다. 이 집회는 맑스주의자, 나세르주의자, 이슬람주의자, 자유주의자 등 고참 활동가 일곱 명이 저녁모임에서 대중운동 단체에 관한 생각과 ‘키파야’라는 구호를 처음 논의하고 난 뒤 석 달도 안 되어 성사됐다.” 키파야 사무국장인 조지 이사크와 한 인터뷰 (2006년 8월 9일, 카이로) - 라밥 엘 마흐디, 앞의 글에서 재인용


** Ashraf Khalil, “January 25: Tear Gas on the Day of Rage” in Foreign Policy, p. 74.


*** “전에 병사였던 어떤 사람은 나토의 비행기가 끊임없이 친카다피 방어지를 공격할 때 … 게임은 끝났고 탱크 안에서 불에 타기를 기다릴 만한 장소도 없다고 간단히 결정하고 옷을 벗고 도망쳤다. 트리폴리 안의 정권의 지지자들도 끝나버린 명분을 위해 죽을 이유가 없다고 간단히 결론지었다. … 아부 살림의 칼리드는 초여름에 카다피가 미스라타를 장악하는 데 실패하고 나토가 폭격을 강화하자 전쟁은 끝났다고 생각했다. 그 후 카다피측은 후퇴하였고 누가 최종 승리자를 선택하는 것은 쉬운 일이었다고 말했다. 마지막 순간에 정권은 마치 사상누각처럼 무너졌다. 트리폴리 방위군은 카다피의 병사들이 이미 잃어버린 대의를 위해서 싸우고 죽어야 할 이유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무너졌다.” Alan Woods, op. cit.


**** “2월 17일 벵가지에서 시위가 일어나자 비무장한 시위대에 발포하여 사망자와 부상자가 발생했다. 경찰들 대부분은 발포를 억제하고 일부는 시위대에 가담하였다. 보안대는 도망가거나 탈영하여 시위대에 가담했다. 일부는 그들의 총구를 군인들 쪽으로 돌렸다.”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37. 이 점에서 한국의 일부 혁명가들이 무장봉기나 무력양성론을 운운하면서 혁명을 무력이나 폭력의 대립으로 보는 관점은 권력의 타도와 장악을 중심에 놓고 사고하는 맑스주의적 방법론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투쟁이 고양되고 격화되는 과정의 특수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무장 등의 특정 투쟁형태나 공장위원회나 노동자평의회 등의 조직형태에 대한 집착은 이러한 형태로 발전하게 하는 힘과 조건에 대한 고려가 없는 사고방식으로, 본질의 우월성이 아닌 현상에 매몰되고, 내용의 우월성이 아닌 형식에 대한 집착으로 유물변증법적 사고방식과는 거리가 멀다.


***** 무슬림형제단의 리더인 알 살라비는 2007년 사이프와 협력하였고, 사이프와 LIFG 간의 대화를 중재하였다. 외국군의 군사개입에 대해서도 반란과 같다면서 처음에는 반대하였다가 나중에 찬성으로 돌아섰다. 그가 처음에 NTC를 찬성하자 그의 동료들은 그를 비난했다.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27.


*1 LIFG는 1998년 빈 라덴이 주도한 성명서에는 참여하기를 거부했지만, 서방 언론에는 알카에다의 일부로 알려져 왔다. 2007년 LIFG는 빈 라덴 운동에 연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2009년에는 사이프와 자파 조직원들의 석방 협상 후에 국가에 대한 무기 사용을 포기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LIFG는 알카에다의 일부로 알려져 왔으나 알카에다의 대의를 비현실적으로 생각하는 간부들도 많고, 2011년 내전에는 ‘Libyan Islamic Movement for Change’라는 이름으로 참가하고, 새로운 정치적 과정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op. cit., p. 21.


** op. cit., pp. 17-18.


*** op. cit., p. 1.


****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14.


***** 인남식, “2011년 중동 민주화 운동의 원인, 현황 및 전망”, 「주요국제문제분석」 (2011.5.24.), 외교안보연구원, p. 1, 정상률, “빵의 혁명, 자유의 혁명, 어디까지 갈 것인가?-중동 민주화 혁명의 배경과 남아있는 문제점”, 『내일을 여는 역사』, (제43호 2011.6), 내일을 여는 역사, 2011, pp. 216. 카다피는 모든 정치적 불만층이나 반대자를 압살했지만 사회적 제도화의 수준이 낮기 때문에 사회적 안정을 위해 부족적 지지기반이 필요했다. “카다피는 종족들을 대립시켜 어부지리를 얻고자 했고, 부족적 충성심을 사고자 했다. 카다피의 부족인 카다파Qadadfa는 10만 명 정도로 상대적으로 소수이고 주로 시르테Sirte에 기반이 있다. 자기 부족의 유약함 때문에 카다피는 자기 부족과 중서부의 샤트Wadi Al-Shatt에 기반한 마가라Magarha 부족과 주된 기반이 왈리드Bani Walid이지만 전국에 흩어져 있는 100만 명이 넘는 와르팔라Werfella, Warfalla 부족과 동맹을 맺었다. 카다피는 전통적으로 자신의 보안 세력을 정권에 필수적이고 끝까지 충성할 것으로 여긴 이 두 부족에서 뽑았다.” 그리고 이들 부족과 부족의 원로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었다. 결국 카다피는 특정 부족과 부족의 원로들 그리고 각지의 혁명위원회 소속의 멤버들을 친카다피 세력으로 육성하였다.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11. 그러나 2월 20일 반정부 시위가 전국적으로 번지자 “‘자유 리비아 네트워크Network of Free Ulema – Libya’로 잘 알려진 이슬람 원로들과 성직자들은 모든 무슬림은 카다피와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와르팔라, 투아레그Tuareg, 마가라 부족은 시위에 대한 지지를 천명했고, 동부의 주와야Zuwayya 부족은 보안대가 시위대를 계속 공격한다면 석유수출을 끊겠다고 위협했다.” Wikipedia, “2011 Libyan_Civil_War” at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에서 재인용. 결국 분열과 특혜로 얻은 카다피의 부족 동맹 전략은 거대한 민중의 저항 앞에 무너졌다고 할 수 있다.


*6 Adrian Blomfield, “Libya: protest leaders threaten independence for eastern Libya” (24 Feb 2011) at http://www.shabablibya.org/news/libya-protest-leaders-threaten-independence-for-eastern-libya


** Wikipedia, “Misrata battle 2011” at http://en.wikipedia.org/wiki/Misrata_battle,_2011


*** “나는 병원과 시체 안치소에서 피묻은 옷을 입은 수많은 젊은이들을 보았다. 그들이 바라는 것은 오직 카다피의 제거뿐이었다. 많은 젊은 사람들-학생, 예술가, 운동선수, 의사, 법률가, 그리고 약간의 이슬람주의자들-이 카다피 군대와 싸우기 위해 집을 나섰다.” Lourdes Garcia-Navarro, “As Tide Turns, Rebels’ Dream Of ‘Free Libya’ Dims”, (16 Mar 2011) at http://www.npr.org/2011/03/16/134594253/as-tide-turns-rebels-dream-of-free-libya-dims?ft=1&f= 1001


****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p. ⅰ-ⅱ.


***** 2011년 3월초 카다피군은 미스라타 공방전에서 북쪽의 항구를 제외한 3면을 포위했다. 이때에 카다피군은 많은 비난을 받으면서도 항구를 로켓포로 공격하였지만 미스라타 시내 혹은 시민들의 거주지를 공격하지는 못했다.


*1 항쟁 초기 데르나나 미스라타, 벵가지 등 카다피 세력을 몰아내고 해방된 지역에서는 자생적인 자치기구와 투쟁조직이 만들어지고 다른 도시와 연대하였지만, 카다피의 악랄한 분할통치로 인하여 시민사회보다 부족적 질서가 강하게 작용한데다, 전투가 우선인 상황에서 군사경험과 행정 경험이 있는 전직 군인이나 경찰이나 보안대 등 카다피 이탈파들이 반군에 대거 합류하여 골간을 장악했기 때문에, 러시아 혁명 때처럼 대중의 자기지배 기구이자 투쟁기구인 소비에트로 발전하지 못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전투경험이 있는 이슬람주의자들이 전투를 지휘했다.


** Wikipedia, “Mustafa_Abdel-Jalil” at http://en.wikipedia.org/wiki/Mustafa_Abdel-Jalil에서 재인용


*** James Petras and Robin E. Abaya, “The Euro-US War on Libya: Official Lies and Misconceptions of Critics” at http://petras.lahaine.org/?p=1847. “카다피는 199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최대의 다국적기업들이 리비아의 석유를 채굴하는 것을 환영해왔다. 전 세계의 대부분의 석유생산지역에서보다 리비아에서 영업하는 거대석유회사가 더 많다. 여기에는 7년간 두 개의 채굴권과 1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BP가 있다. BP의 거대한 지역에 대한 채굴권은 하나는 쿠웨이트보다 크고 하나는 벨기에보다 크다. 여기에 미쓰비시와 니폰 석유를 포함한 일본의 5대 회사, 이탈리아의 Eni Gas, British Gas, 미국의 엑슨 모빌이 2010년 10월에 채굴계약을 했다. 2010년 1월에 체결된 석유계약은 주로 미국계 석유회사 특히 Occidental Petroleum에 이익이 되었다. 리비아에서 활동하는 다른 다국적 기업에는 Royal Dutch Shell, Total(프랑스), Oil India, CNBC(중국), 인도네시아의 Pertamina 그리고 노르웨이의 Norsk Hydro가 있다.” ibid.


**** Zoltan Zigedy, “Imperialism Unmasked”, (7 Sep 2011) at http://mltoday.com/subject-areas /commentary/imperialism-unmasked-1206-2.html. 졸탄 지게디, “가면을 벗은 제국주의”, 『정세와 노동』, (제73호 2011년 11월) 채주헌 번역, 노동사회과학연구소.


***** “2008년 베를루스코니는 카다피와 양국 간 우호 동반 협력 조약을 체결했다. 베를루스코니가 말했듯이 불법 이민자의 감소와 더 많은 석유를 보장할 것이다. … 이민자들이 EU국가에서 리비아로 추방되면 그들이 박해받아 도망나왔던 나라로 강제송환될 운명에 처해진다. 리비아가 말타나 프랑스 등 EU 개별국가나 유럽위원회와 맺은 조약들은 이탈리아와 맺은 조약처럼 이민자들의 억류와 강제송환을 받아들이고 있다.” Urs Fruehauf, “EU-Libya Agreements on Refugees and Asylum Seekers : The Need for a Reassessment” in Perspectives, pp. 244-245. “카다피는 오래전에 그의 혁명적 유산(1969-1988)을 포기했고, 최소한 2003년에는(사실상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이 이끈 테러와의 전쟁에 그 자신을 받쳤다. 카다피의 감옥은 CIA와 유럽 정보기관과 이집트 정보부가 이용한 중요한 고문 센터였다.” Vijay Prashad, “NATO’s Agenda for Libya : Qaddafi, From Beginning to End” in <Counterpunch>, (Weekend Edition October 21-23, 2011) at http://www.counterpunch.org/2011/10/21/qaddafi-from-beginning -to-end/


*6 “3월 30일 뉴욕 타임즈는 수주 동안 CIA 작업팀이 리비아 내부에서 활동하였고, 이것은 2월 중순 즉 시위가 시작된 때부터 거기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십 명의 영국 특수부대와 MI6(영국 정보기관-인용자) 정보원들과 함께 작업하였다는 것을 보도하였다. NYT는 같은 기사에서 수주 전에(2월 중순경) 오바마 대통령이 가능한 비밀공작을 위한 다른 지원과 함께 CIA가 리비아인들에게 무기와 다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첩보활동에 서명하였다고 보도하였다.” Maximilian C. Forte, op. cit.


** Internationalviewpoint 홈페이지의 <Libya, the resistance, the no-fly zone>라는 토론방에서 진행된 여러 논쟁들(http://www.internationalviewpoint.org/spip.php?rubrique169)과, 국내의 관련글로는, 임필수, “리비아 공격을 둘러 싼 국제좌파의 분열에 대한 우리의 시각”, 『사회운동』, (통권 100호 2011, 5·6), 사회진보연대, pp. 98-109, 김하영, 앞의 책, pp.143-164, 등을 참고하라.


*** 이 주장은 퀴테트의 주관적인 해석인 것 같다. “중요한 것은 군사개입의 요청이 리비아 내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민족적 주권을 보호할 필요에 가득찬 반정부 운동에 대한 제국주의적 영향력의 결여를 보여준다.” John Riddell, op. cit. “벵가지의 NTC는 나토의 개입을 촉구하였다. NTC는 그들을 초기에는 의심스럽고 적대적으로 간주했던 반군세력에 대한 어떠한 장악력도 없다. 반군의 태도를 바꾼 것은 카다피의 끝장 공격이라는 즉각적인 위협이었다. 카다피의 아들 사이프는 항쟁의 초반 ‘리비아는 튀니지나 이집트가 아니다. 거리는 피로 물들 것이다’고 말했다. 카다피 자신도 집집마다 골목마다 반군을 쥐새끼처럼 쫓을 것이라고 말했던 것이다. 카다피의 연설로 인한 학살의 두려움 때문에 대중들과 처음에는 반대했던 사람들도 NTC가 요청한 제국주의의 무장개입에 반응을 보이게 된 것이다.” Alan Woods, op. cit.


**** Tasnim Qutait, “The Price of the Divide on Libya : Why I support the No Fly Zone” in Perspectives, pp. 248-250.


***** Ryan Lucas and Zeina Karam, “Gadhafi’s government controls the skies by day; sundown brings rebels out in”, (14 Mar 2011) at 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 2011/03/14/AR2011031403415.html


*1 “프랑스의 <르 쿼티디엥> 신문은 1월 25일 마’사케니스M’sakenis의 시민들이 일시적으로 권력을 접수했다고 보도했다! ‘그들은 며칠 동안 국가권력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으로 생활했다. 심지어 자신의 시민경찰을 구성했다. 이들 시민의 유일한 목표는 매일의 과제를 챙기고 도시의 평화와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구정권의 민병대와 약탈자들을 몰아내는 데에도 성공했다.’ 며칠 후 이 신문은 도시 벤자가 유례없는 파업운동으로 마비됐다고 보도했다. … 설탕공장의 5백 명의 노동자들은 회사경영자와 그의 부패한 직원을 쫒아냈고 ‘행복위원회’를 세웠다. 다음날 탈라에서는 시장이 도시에서 도망쳤다. 지역 관리들의 도주 이후 주민들은 권력을 잡았고, ‘민중위원회’로 공공적인 재산과 사적인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모였다.” <사회주의적 대안>의 튀니지 통신원, “기로에 선 튀니지 혁명”, 정은희, (2011.2.5.), <참세상>에서 재인용. 탈라의 민중위원회는 코뮌에 가깝다. 이러한 대중의 자주적 저항조직과 자치조직은 러시아 혁명 때 병사 소비에트나 노동자 소비에트에서 보는 것처럼 대중의 봉기가 절정에 달하거나 공권력을 몰아낸 뒤에 조성되는 (준)이중권력의 상황 속에서 전형적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권력의 공백기에 출현하는 대중의 자치조직은 궁극적으로 권력을 타도하지 않는 한 소멸될 수밖에 없다.


** “튀니지 통신사 TAP에 따르면 2월 5일 약 1천명의 사람들이 다시 거리로 나왔으며 권력남용을 이유로 지역 경찰청장 크핼레드 카초우아니의 파면을 요구했다. 이때 시위자들에 대한 경찰 발포로 4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17명이 부상당했다., 그리고 6개의 행정구역에서 총파업이 진행되었고, 주로 가난한 지역 출신의 수많은 사람들이 정부청사 앞에서 구 정권의 모든 잔재의 청산을 요구하면서 5일 동안 농성하였다. 2월 7일 집권여당이던 RCD의 활동 정지와 해산이 발표되었고, 2월 20일 수천 명의 시위자들이 과도정부 해산을 요구하며 시위하였다. 지난 수 주 동안 모나스티르, 가프나, 벤자 그리고 소우세 등 여러 지역 노동조합 건물은 매일 공격받았다. 일요일 아침에는 ‘알려지지 않은’ 한 조직이 레 케프에 있는 UGTT의 지역 사무실을 방화했다. 마찬가지로 몇몇 노동조합 활동가들과 좌파에 대한 공격도 보도됐다. 1월 28일 여성들의 권리를 위해 모였던 3백 명의 시위자들은 무장한 깡패들의 곤봉으로 공격받았다. … 이날 이후 튀니스의 부르기바 도로에는 수백 명의 청각장애인들이 모였고 자신들을 위한 특별 학교와 공공기관을 요구했다. 초등학교, 중등학교 등에서도 학생파업이 벌어졌고 인간적인 일자리를 위해 청년 실업자들도 시위에 나섰다.” <사회주의적 대안>의 튀니지 통신원, 앞의 글에서 재인용


*** 선거결과가 발표된 지난 10월 27일 밤 시디 부지드에서는 선거의 불공정성을 항의하며 3,000여명이 엔나흐다당과 방위청 건물, 국영철도 건물을 방화하면서 격렬하게 충돌하였다. Offnews.info, “Tunisia - Sidi Bouzid Protests Erupt”, (29 Oct 2011) at http://www.offnews.info/ verArticulo.php?contenidoID=35450. 지난 12월 1일에는 수천 명의 시민들이 튀니스에서 종교적 극단주의와 실업률 상승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가 있었고 여기에 교원노조도 합류하였다. <뉴시스 통신사>, “튀니지, 종교 극단주의·실업률 상승 항의 대규모 시위”, (02 Dec 2011), at 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 NISX20111202_0009905441


**** Dina Shehata, op. cit., pp. 30-32.


***** 1979년 이집트는 미국의 주선으로 이스라엘과의 평화협정을 체결하였다. 이제 이스라엘은 배후의 이집트의 군사력에 대한 불안 없이 주변 아랍국들을 유린하고 팔레스타인을 억압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사건은 이스라엘과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아랍민중의 대의를 배반한 것이었다. 1981년 사다트의 정책을 그대로 이어받은 무바라크는 미국으로부터 막대한 군사원조를 받았고, 1993년과 2000년 미국이 일으킨 이라크 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하였다. 심지어 이라크 포로들의 고문까지 대행하였다. 그 당시의 내무부장관이 무바라크의 뒤를 이어 과도정부를 맡았던 술레이만이다. 이스라엘은 이집트와의 평화협상으로 군사비 부담을 GDP의 25%에서 7%로 줄일 수 있었다. “1979년 이후 미국은 해마다 이집트에 군사원조 13억 달러, 군사원조 8억 1,500만 달러씩을 제공했다. 1975년 이후 이집트가 미국에서 받은 돈은 모두 합쳐 500억 달러가 넘는다” Chales Levinson, “$50 billion later, taking stock of U.S. aid to Egypt”, (4 Apr 2004) at http://www.csmonitor.com/2004/0412/p07s01-wome.html


*6 3월 5일에는 알렉산드리아를 비롯한 몇몇 도시의 국가정보원이 습격당하였다. 나슬Nasr의 국가정보원 건물에서는 대중감시와 선거조작 문서를 비롯해 무바라크 시절의 범죄를 밝혀주는 문서를 시위대가 입수했다. 3월 19일엔 헌법 국민투표가 77.2%로 통과되었고, 3월 22일 내무부 건물이 방화되자 공적, 사적 건물을 파괴하는 시위를 조직하면 징역형과 10만 달러의 벌금에 처한다는 법률이 발표되었다. 4월 1일 4천명, 4월 8일에는 수만 명의 시위대가 타흐리르 광장을 장악하고 구체제에 대한 링거를 치우라면서 무바라크 일당의 재판을 요구하였다. ‘2차 혁명의 날’인 5월 27일 수만 명이 참석한 카이로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민간인에 대한 군사재판 반대, 의회선거 전에 헌법제정, 구체제 인사와 학살자들의 재판 등을 요구하였다. 7월 1일과 8일 수십만 명이 모여 군사최고위원회가 혁명일정을 5개월간 연기한 것에 대해 항의하고 즉각적인 개혁과 구체제 인사의 축출을 요구하였다. 7월 23일 수천 명의 시위대가 국방부로 행진을 시도하다가 곤봉과 돌멩이, 화염병으로 무장한 강도단에게 짓밟혔다. 시위대는 이 사건을 군사최고위원회 의장인 ‘탄타위의 쿠데타’라고 불렀다. 8월 1일 군대와 시위대의 충돌로 66명이 연행되었고, 8월 6일에도 군대에 의해 공격당했다. 이후에도 시위는 금요일마다 계속되었고 10월 9일 카이로에서 콥트교도와 무슬림이 연대하여 행진하자 군대가 공격하여 24명이 죽고 300명이 부상당하였다. Wikipedia, “Timeline of the 2011 Egyptian revolution” at http://en.wikipedia.org/wiki/Timeline_of_the_2011_Egyptian_revolution


** 11월 28-29일의 1차 선거에서는 기회주의적인 무슬림형제단의 자유정의당이 43%,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인 살라피주의자들의 알누르당이 25%, 자유주의 정당 연합인 ‘이집트 블록’이 15%를 차지했다. 상원의원 선거는 2012년 1월 29일로 예정되어 있다. <한겨레신문>, “이집트 1차 총선 ‘이슬람주의’ 압승”, (2011.12.04.) 국제면.


*** “10명으로 된 내각은 서부의 강력한 부족과 동부의 전통적인 엘리트들, 카다피 정권에서 이탈한 관료들로 이루어졌다. 31명으로 된 전국위원회의 핵심인사로는 의장을 맡고 있는 전법무장관 잘릴, 사이프에게 발탁되어 경제발전장관을 맡았던 미국 유학출신의 자브릴Mahmoud Jabril, 경제장관이자 인도대사였던 이사위Ali al-Issawi(반군의 외무장관 역할을 하고 있는 자브릴과 이사위는 개방파이고 친기업적이다) 반카다피 쿠데타를 일으켰다가 15년간 유폐된 장성 출신인 하리리Omar Hariri, 이드리스 왕의 후손으로 31년간 수감되었던 세리프Ahmed Zubeir Sherif, (그리고 사이프와 함께 석유투자의 유치를 맡았던 NTC의 재무와 석유 장관 타루니Ali Al-Tarhuni - 인용자 삽입) 그 외 법학교수, 미국에서 유학한 정치학 교수, 왕당파이자 농산물 수입업자, 변호사 등” Charles Levinson, “Rebel Leadership Casts a Wide Net”, (10 Mar 2011) at http://online.wsj.com/article/SB1000142405274870462910457 6190720901643258.html


**** Wikipedia, op. cit.


***** 그들은 일자리가 없거나 임시직이었고 대부분 결혼하지 않았다. 8남 4녀의 형제가 있는 모하메드(32)는 “우리는 남부에서 온 부족인데, 혁명을 위해 싸운다. 우리는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4명의 형제와 3명의 어머니가 있는 마부룩(28)은 “나는 돈도 없고 아내도 없다. 우리는 결혼하기 위해 돈이 필요하지만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 돈을 빌릴 수도 없고 일자리도 없다.” Usatoday, “Libyan rebels: ‘We’re not al-Qaeda”, (30 Mar 2011) at http://www.usatoday.com/news/world/2011-03-30-libyans30_ST_N.htm


*1 “자원자들의 부대인 ‘2월 17일 순교자 여단’은 2월 말에 만들어졌는데, 일부는 군대나 경찰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주로 ISA 멤버나 혁명위원회나 혁명수호대, 그리고 혁명의 전복자로 지목된 사람들을 붙잡는다.”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74. 2월 17일 순교자 여단의 훈련장을 방문했는데, 이탈한 군 장교들이나 퇴역 군인들이 자원병들을 4주 동안 훈련하고 있었다. Barak Barfi, “The War in Libya: Boot Camp Revamp” at http://www.tnr.com /article/world/89598/libya-qaddafi-rebels-war. 한편 미스라타의 반군은 ‘검은 피부를 가진 노예들을 숙청하는 여단brigade for purging slaves, black skin’이라고 자칭하기도 했다. Richard Seymour, “Libya’s spectacular revolution has been disgraced by racism”, Guardian, (30 Aug 2011) at http://www.guardian.co.uk/world/libya?page=29


** John Simpson, “Halt To Rebel Advance Creates Libyan Divide”, (29 Mar 2011), BBC News at http://www.bbc.co.uk/news/world-africa-12901820. Wikipedia, op. cit.에서 재인용


***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p. 70-75.


**** AFP 등에 따르면, 2011년 12월 13일 잘릴이 이끄는 NTC의 구성원과 운영의 투명성을 요구하며 벵가지에서 약 20,000만 명이 그리고 트리폴리에서는 수백 명이 시위를 하였다. 유엔에 의해 압류되어 있는 카다피 정부의 자산은 1,680억 달러에 달한다. 시위대는 NTC의 투명성뿐만 아니라 과거 세력과의 타협적 태도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시하고 있고, 소수의 출세가 아니라 모든 리비아인의 일자리와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 싸웠다고 말했다. NTC는 구성원의 명단조차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News24, “Benghazi protesters stay put”, (13 Dec 2011) at http://www.news24.com/Africa/News/Benghazi-protesters-stay-put-20111213-2에서 재인용, Chris Stephen, “Libyans March in Tripoli, Benghazi Calling for Less Secrecy”, (13 Dec 2011) at http://www.businessweek.com/news/2011-12-13/libyans-march-in-tripoli-benghazi-calling-for-less -secrecy.html, Defence of Marxism, “Libyans protest against NTC stealing the revolution”, (14 Dec 2011) at http://www.marxist.com/libya-ntc-protest.htm 등 참조


***** 벤 알리의 도주 전에 튀니지 주재 미국 대사관에서 워싱턴에 보고된 내용. <사회주의적 대안>의 튀니지 통신원, 앞의 글에서 재인용.


*6 이스라엘은 1967년 기습적인 공격으로 이집트와 시리아, 요르단에 궤멸적인 타격을 가하고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 시나이 반도, 골란 고원을 점령하였다. 이 사건은 오늘날까지도 중동의 평화를 위협하고 있는 근원이 되었다.


** 하나의 종교로서의 이슬람교는 코란만이 아니라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도 기본 경전으로 하고 여호아 하나님이라는 유일신을 믿는 종교이다. 식민지시절인 1928년에 출발한 무슬림형제단 운동은 이슬람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부흥운동이었는데, ‘이슬람이 해결책이다’라는 모토 하에 반제투쟁에 참가하고 나세르 혁명도 처음에는 지지하였다. 이들은 세속정권에게 탄압받으면서 특히 국가후견이 약해지자 모스크를 중심으로 하층민에게 자선사업을 하면서 세력을 보존하고 확장할 수 있었다. 무슬림형제단은 그 구성원이 자본가계급부터 빈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상층부의 타협적 태도와 기층의 민중적 지향이 끊임없이 갈등하면서 정치적 태도를 보다 타협적이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변화시켜왔고, 타 종교와 여성에게 보다 관용적으로 바뀌었다. 최근의 주장을 보면 사회정책 면에서는 거의 사민주의와 유사하다. 무슬림형제단의 일원인 하마스도 최근엔 주류 판매나 여성의 복장에 대해 관용적으로 혹은 실용주의적으로 바뀌고 있다. 한편 현실정치에 참여를 주장하는 온건 이슬람주의자들과는 달리, 반제 혹은 반정권 투쟁을 비타협적으로 벌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전투적 이슬람주의자(지하드)들이 있다. 온건파와 강경파(지하드)를 합쳐 ‘정치적 이슬람’이라고 한다. 그리고 살라피주의자처럼 샤리아(이슬람 율법)가 사회의 질서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이슬람근본주’의라고 하는데 이들은 정치와 종교의 분리를 주장하는 ‘세속주의’와 대립하고, 현실에서는 다양한 중간적 입장이 있다. 노엄 촘스키 외, 앞의 책과, 사메 나기브, “이슬람주의의 과거와 미래” 「마르크스21」, 마르크스21 편집팀, (9호 2011년 봄), 책갈피와, 임필수, “2011년 튀니지 혁명의 미래”, 『사회운동』, (통권 102호 2011, 9·10), 사회진보연대, pp. 118-119 등 참조


*** 나세르 시절에는 범아랍민족주의가 반제뿐만 아니라 아랍권 통합 혹은 아랍단일국가의 지향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팔레스타인 연대운동인 인티파다에서 보듯 현재의 범아랍민족주의란 단일국가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아랍민중들의 연대를 지향한다. 이 점에서 정상률이 범아랍민족주의가 아랍의 통합을 지향한다면서 그 쇠퇴를 운운하는 것은 넌센스이다. 정상률, 앞의 책, pp. 221-22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he struggle to come after Egypt's election

The struggle to come after Egypt's election

After five days of mass resistance in Cairo's Tahrir Square and cities around Egypt, the country's military rulers are hoping parliamentary elections on November 28-29 will help them regain the upper hand--by co-opting Islamist and liberal parties and isolating militants.

In reality, the weeklong mobilization--which included two days of protests involving around 1 million people despite the killing of at least 40 demonstrators since November 19--marked a new phase of the revolutionary movement in Egypt. Large numbers of people who greeted the ruling Supreme Council of the Armed Forces (SCAF) as heroes for ousting Mubarak in February now see SCAF as a counterrevolutionary force.

The protests won a series of concessions, including the resignation of an unpopular civilian cabinet that provided a fig leaf for military rule. But as a replacement, the army appointed as prime minister a former Mubarak henchman, Kamel el-Ganzoury.

The military is determined to hold onto power by proposing a new constitution that would put the armed forces above civilian authorities. Despite an estimated 1 million people flooding Tahrir on November 25, the SCAF announced it would hold parliamentary elections November 28 as planned, but extend the voting by another day. Most Islamist, nationalist and liberal political parties agreed to participate, angering many of their members, who felt the elections should be boycotted to protest the military's repression.

Mostafa Ali, a member of Egypt's Revolutionary Socialists and journalist for Ahram Online, spoke with Lee Sustar about the mass protests, the elections and the renewal of Egypt's revolutionary movement.

 

WHAT WAS the size and political character of the Friday protest on November 25?

THE DEMONSTRATION on Friday was quite large. There were about 1 million people in Tahrir. A number of demonstrations came from different working-class neighborhoods--one of them was as big as 10,000 people. This is a new thing in Tahrir. We have feeder marches that come from different working-class neighborhoods.

The turnout was massive, as expected. The square was really roaring with chants against SCAF and against its head, Field Marshal Mohamed Hussein Tantawi, and there was a general sentiment that the military council must return to the barracks. The consensus in the square was that a presidential council or a salvation cabinet must take power--and that it should be made up of independent people who have absolutely nothing to do with Mubarak and the National Democratic Party that ruled under Mubarak's regime.

The most important thing here is that whatever form such a government would take, it would be accountable to the people, not to the SCAF.

THE MUSLIM Brotherhood, however, remained opposed to the demonstrations.

THE BROTHERHOOD opposed the demonstration on Friday and boycotted it. Most of the Salafists--a more conservative Islamist current--boycotted it, too, with very few exceptions. But all the liberal and left parties and revolutionary youth groups--about 70--supported the demonstrations.

This demonstration put pressure on a few liberal figures to put themselves forward as being ready to form a national unity government or national salvation cabinet. Mohamed ElBaradei, a key liberal figure, agreed to cancel his presidential bid if he is asked to form a national unity government that would include liberals, Nasserists and moderate Islamists.

That's generally what happened out of the big demonstration in Tahrir. But there were other demonstrations in other parts of the country on the same day. The new development is that there are also demonstrations in Upper Egypt [the more rural, southern part of the country], which is more backward, less industrialized. It wasn't fully a part of the January uprising. So this is a new development. It is slowly catching up with the revolution.

ARE WORKING-class and economic demands coming to the fore in these demonstrations, or are they focused more on getting the military out of politics?

THE POLITICAL and the economic are completely intertwined. There is a general unifying demand among the million people in Tahrir that the SCAF must go. But the underlying reason is that the economic situation has deteriorated in the last 10 months.

Many people tell reporters that life is getting harder, that unemployment is unbearable, and that the previous government failed to improve their lives. The SCAF has failed miserably on this. So the anger over economic hardship and the yearning for political freedom are connected.

The independent unions had a contingent in the rallies, but it wasn't that big--a few hundred people. They are still in a process of building and have just gone through a number of setbacks. There isn't a working class movement that c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mass demonstration on Friday.

HOW WERE the marches from working-class neighborhoods organized?

THESE DEMONSTRATIONS are organized by groups formed to oppose the military trials of civilians, by popular committees to defend the revolution, by the Revolutionary Socialists and hundreds of independent activists mobilizing in their neighborhoods. They march to Tahrir, distributing thousands of leaflets along the way to explain what's going on. It's an attempt to build a local, ongoing presence in the neighborhoods.

IS THE political sentiment in Tahrir ahead of the rest of the country? How will that affect the elections?

YES, THE political sentiment in Tahrir is ahead of the country. You can think of it as the revolutionary vanguard in society among students and workers and youth--but it is much larger than in January. Political consciousness has developed tremendously.

These are people who understand that the SCAF is the continuation of the Mubarak regime. They are beginning to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They are beginning to grapple with the role of police in society. And they are the ones who understand that the ruling class played a trick on them by using Mubarak as a scapegoat in order to save the rest of the political system.

So you have a minority in society--symbolized by Tahrir--which has advanced politically and in terms of its consciousness. And it's ahead of the rest of the country in that sense. Back in January, a majority of people in the country wanted Mubarak to go, so they supported Tahrir. At this moment, that isn't the case regarding the SCAF.

The revolutionary vanguard is much, much larger. Its willingness to fight is unbelievable--it fought five days against the police. But the majority of the workers and poor people have not yet concluded that the SCAF must immediately return to its barracks. Or they don't think we have the power yet to push the SCAF to return the barracks.

On a different level, you can think of it this way: It was much easier for the ruling class to get rid of Mubarak. Getting rid of the SCAF, or pushing it back to the barracks, is a much harder task. Many people outside of Tahrir also want the SCAF to go back to its barracks, but they don't think there is the organization on the ground to win something like that.

HOW WILL all this play out in the parliamentary elections?

THE TURNOUT in elections will likely be quite high. A majority of people believe that elections will be the way to establish a civilian government and to get the army out of political life. There is a majority consensus on this, other than a crazy right-wing minority that wants the SCAF to stay in power.

The majority of the country wants a democratic system. They want a civilian government. They want to be able to vote and to exercise political control over their lives. And they believe this is the way to get the army out of their lives for the first time in 60 years.

So even among people who are fighting in Tahrir and those who support them, some of them will vote, because they don't want to leave the political scene to the SCAF, the Muslim Brotherhood and the Salafists. Yet the majority of the people in Tahrir are more advanced than the rest of the country, and want to actually boycott the election.

So you have a bizarre situation. The fact that people will vote in the elections doesn't mean they want the SCAF to stay. They actually want the SCAF out. They just think that voting will be the quickest way to do it. But the majority of those who support the revolution are not necessarily against Tahrir. There is just not enough organization or confidence to push the SCAF out now.

The SCAF wants this election to gain legitimacy on the ground. The military is very weak right now,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ion will take place no matter what. They want to use this to bolster their credentials as people who said they would bring about democracy--they want something to show they've kept their word in order to use that to attack the growing revolutionary vanguard.

That's what the people in Tahrir are saying--that this election will not advance democracy, and it will allow the SCAF to gather the forces of counterrevolution on the ground.

However, it's complicated. The SCAF has just come up with a new prime minister--Kamel el-Ganzoury--a founder of the National Democratic Party and an architect of privatization. Though he was ultimately pushed out by Mubarak, this is someone who is on a no-fly list for leaving the country, because he is implicated in a number of corruption cases in privatization schemes.

Even on that level, people are divided. A majority will go vote, but half the people think that because this man was pushed out by Mubarak, we might want to give him a chance, and the other half are beginning to learn that Tantawi and the SCAF are bringing back the old guard of the NDP, not just the second generation. Ganzoury, who is 77, is an architect of everything Mubarak did over the last 30 years.

By appointing Ganzoury, the SCAF is sending a message that it will not relinquish power. It has said that the new constitution won't change the role of the SCAF by an inch. The SCAF will always have veto power over anything that has to do with the army.

So on the one hand, the military is using the election to bolster its democratic credentials. On the other hand, it is digging in. The members of the SCAF are saying: "We are not going to relinquish power. No constitution, no parliament and no mass movement is going to force us out of power."

Some 25 percent of Egypt's gross domestic product is directly under the control of the SCAF. There was a handmade sign at the protest on Friday listing the crimes of the SCAF. One of them was that its members supported Mubarak for 30 years. Another was that it turned the army into a big business to exploit poor people. Companies owned by the army make macaroni,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and furniture--they build luxury resorts and a lot more. They own a big chunk of agriculture, too, including hundreds of cattle ranches, and they grow all kinds of vegetables and fruit.

That's why pushing the military back into the barracks and having a constitution and parliament to make them accountable is much harder to achieve than making them sacrifice a Mubarak. They have so much more at stake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Then there is the international dimension. The West abandoned Mubarak, but the West will never abandon the SCAF until the very last minute. The U.S. will not abandon the army.

DESPITE THE protests against the SCAF, the Muslim Brotherhood has supported it, despite some tensions over the status of Islam in the proposed constitution. Will that alliance continue?

THE GENERAL feeling in Tahrir is that the SCAF has cut a deal not only with the Brotherhood and the Salafists, but also with the liberals and a section of the left, a coalition called the Revolution Continues. They are going to divide the seats in the new parliament among themselves.

So the Brotherhood opposed the demonstrations in Tahrir, and on Friday, it actually sent many of its members to the square to try to talk people into participating in the elections. They were chased out in many cases. But the Brotherhood is still campaigning.

In the new constitution, the Brotherhood says it will not implement Sharia law. But its version of Sharia is different from the Salafists, who have a very reactionary view--against women and Coptic Christians, and for carrying out the most brutal punishment for poor who break the law. The Muslim Brotherhood's views are a lot closer to their Turkish counterparts. They are for censorship of art and culture, and changes in some educational programs. The Salafists are right wing and anticommunist.

So there are divisions between Salafists and the Muslim Brotherhood. A very popular Salafist presidential candidate, Hazem Salah Abu Ismail, has a following of millions, and he is all out against the SCAF. So a group of Salafists are attempting to outflank the Muslim Brotherhood, and these people were supporting the demonstration on Friday.

The Salafists believe the Muslim Brotherhood is cutting a deal that would make it harder for them to implement Sharia. So they want the SCAF out faster. That creates confusion on the ground, because while they want the SCAF out, their ultimate goal is to destroy the whole revolution.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Debating the Arab Spring

Debating the Arab Spring

Jeremy Tully reports on a vibrant teach-in in California about what activists in the U.S. can do to express their solidarity with the Arab Spring.

http://socialistworker.org/2011/11/29/debating-the-arab-spring

 

As'sad AbuKhalil speaking during a teach-in on the Arab Spring at UC Berkeley

ABOUT 200 people attended a daylong teach-in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on November 12 to discuss the popular uprising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itled "Building solidarity with the Arab Spring," the conference drew a wide spectrum of attendees, from activists who have organized solidarity with the uprisings, to people active in the Occupy movement, to students and interested community members.

The conference was cosponsored by the Arab Resource and Organizing Center, the Berkeley Muslim Student Association, the Syrian American Council-Bay Area and the International Socialist Organization, and was organized to provide a democratic space to debate out crucial questions for U.S. solidarity activists: What is the cause of the uprisings, what are their ongoing challenges, and what can activists in the U.S. do to aid them?

Suzan Boulad, who blogs about the Syrian uprising and other subjects at MidEastYouth.com, confronted false narratives about sectarianism in the Middle East, arguing that the media uses these narratives to dodge socio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raised by the uprisings.

Antiwar veterans Michael Chase and Zavi Katzvik argu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U.S. activists to do to support the revolutions is to organize against U.S. intervention. If the uprisings are to achieve a full victory, "[t]he people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need a mass movement in the U.S. to remove the boot from their throats," said Chase. Katzvik built on this point, saying, "The best way for persons of an imperialist nation to show support for other natio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to fight imperialism from within."

Dr. Mohja Kahf, a Syrian-American poet who is documenting activists detained by the Syrian regime, presented on the role of women in leading protests in the eight-month-old uprising there. She emphasized that across sectarian lines, people have the same demands: the release of political prisoners and the downfall of the regime.

In the plenary, local Syrian activist Rami Bailony emphasized the commonality between the Syrian uprising and the others, saying, "In Syria, the revolution clearly has economic lines. The first cities to get involved were rural and smaller cities that have been ignored by economic development over the last 10 years."

Dr. As'ad AbuKhalil, author of the widely read Angry Arab Blog, presented on the U.S. and the Arab uprisings. He described the "tyrannical order" that has been in power for decades in the Arab world and the U.S. role in consolidating it. He argued that for all the challenges the uprisings face, there is more cause to be optimistic now about the possibility for revolution than at any other time in recent decades (Watch the video here).

One of the highlights was the participation of Shimaa' Helmy, an Egyptian revolutionary visiting the U.S. from Cairo. Helmy gave a firsthand account of how the January 25 uprising in Egypt transformed her into a revolutionary activist and organizer of street demonstrations in Tahrir.

She argued that U.S. activists should demand that the U.S. cease sending aid to the Supreme Council of the Armed Forces (SCAF), which has repressed demonstrations and put more than 12,000 civilians through military trials. "You cannot say you are in solidarity with Tahrir and not do anything to cut U.S. aid to the Egyptian military!" she said. "We don't want this money, and it can do a lot for you right here."

Helmy also took part in a workshop on the international Occupy movement, along with activists from Occupy San Francisco and Occupy Oakland. The rich discussion in this workshop illustrated the deep connection between the Occupy movement in the U.S. and the ongoing struggles against injustice and inequality in Egypt and around the world.

- - - - - - - - - - - - - - - -

THE TEACH-IN also saw its share of political fireworks. The final plenary, featuring AbuKhalil, Kahf, Helmy and Monadel Herzallah (who is chair of the Arab American Union Members' Council), featured the most hotly contested debate of the conference--namely, what is the nature of the Syrian uprising, and what is the agenda of the Syrian National Council (SNC)?

This question has taken on added urgency in the weeks since the teach-in because France has openly called for foreign intervention in Syria, and the SNC's president has endorsed that call.

There were two poles within the debate. The first, voiced by Kahf, was that the Syrian uprising is an authentic popular revolution against an authoritarian regime, and that the SNC is the legitimate representative of the revolution because it encompasses all political tendencies.

The second was articulated by AbuKhalil, who defended the legitimacy of the uprising itself--saying that the Assad regime is part of the tyrannical order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but criticized the SNC as a "corrupt opposition." He characterized the SNC as a force of counterrevolution and a puppet of Saudi Arabia, Qatar, the U.S. and the Muslim Brotherhood.

Unfortunately, the debate was at times personally antagonistic. AbuKhalil interrupted Kahf several times, injecting a hostile personal dynamic that served to muddle rather than clarify a necessary and important political debate.

The can be viewed in full online, but the two central questions deserve some discussion here.

It should be crystal clear that the Syrian uprising is an authentic popular rebellion from below. In the course of eight months, Syrians have engaged in mass protest despite a crackdown that has killed thousands. The uprising has developed to the point that cities such as Homs have held multiple general strikes.

The Assad regime, however, retains a strong hold on Aleppo and Damascus--Syria's two biggest urban centers. However embattled the Assad regime is, it has some limited base of support, which poses a serious challenge to the advance of the revolution. The regime has also concentrated its security forces in these cities to prevent the outbreak of street protests on a mass scale.

Workplace action in Aleppo and Damascus has not yet materialized because of the presence of state security forces within workplaces and the absence of a strong tradition of labor struggle in Syria--although the possibility for strikes to spread to Aleppo and Damascus represents perhaps the greatest hope for the revolution at its current impasse.

The Syrian uprising deserves the support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of the working class around the world. But putting this into practice poses a challenge for those of us in the U.S., for a reason explained by AbuKhalil:

In every country in the Middle East, there are two dimensions of the counterrevolution. [The first] is a counterrevolution that is perpetrated by the ruling government, [whether it is] Egypt, Syria, Libya [or] Bahrain. The second dimension is the regional counterrevolution, that of the U.S., Qatar and Saudi Arabia. In most countries, the counterrevolution of the regime is in sync with the regional counterrevolution. In the case of Libya and Syria, the two counterrevolutions are not in sync.

The fact that the local and regional counterrevolutions are out of sync in Syria means there is pressure on activists to look to the intervention of foreign powers, instead of the other uprisings throughout the region, to resolve the impasse.

But as NATO's bombing of Libya made clear, the U.S. only intervenes on the side of counterrevolution. Through NATO, the U.S. succeeded in twisting an authentic rebellion from below, beating back its revolutionary impulse and turning it into a tool for re-entrenching its own position in the region in the midst of a revolutionary upheaval.

The U.S. also supports Ali Abdullah Saleh's repressive regime in Yemen, the Khalifa monarchy in Bahrain and, of course, the counterrevolutionary military regime in Egypt, which it supplies with tear gas and bullets.

In Syria, activists on the ground have explicitly rebuked calls for international intervention. The Local Coordinating Committees issued a statement at the end of August that read:

Militarizing the revolution would minimize popular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revolution...If an armed confrontation or international military intervention becomes a reality, it will be virtually impossible to establish a legitimate foundation for a proud future Syria.

But the threat is that forces willing to collaborate with Western imperialism will find a way--or worse, already have found a way--to put themselves at the head of the uprising.

- - - - - - - - - - - - - - - -

THIS LEADS to the second hotly contested issue: what is the nature of the SNC? AbuKhalil argued that the SNC is a corrupt opposition:

In Libya and in Syria, there were and are genuine uprisings. But unlike in Egypt, where the revolution was not hijacked, in Libya and Syria, the counterrevolution stepped in with Qatari money and Saudi money and arms. They took it over and put in charge a reactionary conservative organization with a sectarian background. They are trying to hijack a very credible and legitimate uprising against the cruel dictatorship of the Assad regime.

Kahf argued, to the contrary, that the SNC represents the breadth of Syrian society, pointing to the prominent participation of secular feminist leaders, such as Razan Zaitouneh and Suheir Atassi, and the involvement of all opposition tendencies, including the Local Coordinating Committees, as indicators of its inclusiveness and legitimacy. Arguably, this makes the SNC different from the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in Libya, which was self-appointed, with no grassroots accountability.

The participation of these groups and activists within the SNC was largely brushed aside by AbuKhalil, who focused on the influence of counterrevolutionary forces within the SNC. This weakened his overall argument, since Syrian activists in the room are in contact with people whom they know not to be agents of Qatar or Saudi Arabia.

Additionally, the discussion of the role of the Muslim Brotherhood made no distinction between the competing class interests within it. In Egypt, for example, the leadership of the Muslim Brotherhood has sided with the counterrevolution and collaborated with the SCAF. But this has also caused a split among its members.

But fundamentally, the label "corrupt opposition" seems to fit for the SNC. Burhan Ghalioun, its president, who in the past said he opposed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now welcomes it from France. Radwan Ziadeh, a U.S.-based SNC representative, meets in private with State Department officials. British Foreign Secretary William Hague has told reporters that Britain is intensifying its contacts with the SNC.

This is an alarming situation. If counterrevolutionary forces have the upper hand in the SNC--and all indications are that they do--then it's necessary for those committed to the revolution from below to break ties with them in order to deny them the legitimacy to call for foreign intervention. Failure to do so means the revolution from below will be subordinated to the dictates of imperialism.

- - - - - - - - - - - - - - - -

SEVERAL PEOPLE asked what activists in the U.S. should do. First and foremost, we should oppose any and all interference by the U.S. in the uprisings. Washington directly arms and supports the military regime in Egypt. In addition to calling for the end of U.S. aid to the SCAF, we should protest the manufacturers and suppliers of U.S.-made tear gas being used against protesters in Tahrir Square (as Occupy Wall Street did November 25).

Solidarity with the Egyptian Revolution should be the focal point for action in support of the Arab uprisings--not for a moral reason, but a strategic one. Egypt's working class is the most developed in the region. It could throw a wrench into any plans for Western intervention by, say, shutting down the Suez.

Moreover, because of Egypt's location at the heart of the Arab world, any victories won in Egypt will have widespread ramifications for the other revolutions. Participating in the fight against SCAF--right here in the U.S.--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for us to be in solidarity with the Arab revolutions.

We also need to raise the call for U.S. hands off Syria. If we can contribute in any way to keeping the U.S. from intervening, then we will be helping maintain the political space for the Syrian revolution to develop on its own terms--and for radicals and leftists within it to grow and build revolutionary organizations. At the same time that we demand U.S. hands off Syria, we should express our solidarity with Syrians' fight for democratic freedoms and social justice.

All the above needs to be done in conjunction with the growing Occupy movement, which has revitalized grassroots movements across the country. It has already shown strong instincts of solidarity with the Arab uprisings, rallying and marching in solidarity with the Egyptian revolution on November 12 (the same day the teach-in took place).

Finally, we need to organize in our own country. Ultimately, the uprising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re not just about democratic freedoms. They are about social inequality and all the oppressions of capitalist society. We suffer from the same injustices in our own country. We must organize for our own Arab Spring here--that is the highest form of solidarit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Militarization, military intervention and the absence of strategy

Militarization, military intervention and the absence of strategy

Contribution to meeting of Syrian opposition
Gilbert Achcar

http://www.internationalviewpoint.org/spip.php?article2384

 

I was able to attend the meeting of the Syrian opposition that was held on October 8-9 in Sweden, near the capital Stockholm. A number of male and female activists operating in Syria and abroad joined with prominent figures from the Syrian Coordination Committee (SNC - who had come from Syria for the event) in the presence of the most prominent member of the Syrian National Council – its president, Burhan Ghalioun.

 

The organizers of the conference had invited me to speak on the subject of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in Syria. My talk was met with interest and I was asked to write it down (I had delivered it verbally relying only on bullet points). I promised to do so, but a busy schedule prevented me from making good on that promise until now.

Then came the rush of events on the Syrian scene in the past days and a rise in the tone of the discussion surrounding military intervention and the militarization of the crisis, which were the two subjects of my talk in Sweden. These developments prompted me to carry out my promise before it becomes too late. I will therefore elaborate here the views that I expressed in Sweden, updated with commentary on the most recent developments pertaining to the topic.

My talk at the October conference was preceded by one of the attendees directing a question to Burhan Ghalioun about his stance, or the stance of the SNC, on requests for military intervention in Syria. Ghalioun answered that this subject is not discussed presently because there is no country that wants to intervene militarily in Syria at the moment, and so “when we are faced with such willingness, we will adopt the appropriate position.”

I began my talk by stressing that the Syrian opposition must define a clear stance on the issue of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since it is clear that its position has a major influence on whether or not intervention might take place. The reluctance regarding direct intervention that we see today on the part of Western and regional states might change tomorrow if intervention requests made on behalf of the Syrian opposition were to increase.

It was the Libyan National Council’s request for international military intervention at the beginning of March that paved the way for the similar request issued by the Arab league, and the subsequent resolu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Had the Libyan opposition opposed direct military intervention in all its forms (instead of just opposing intervention on the ground and requesting air support as it did), the Arab League would not have sought intervention nor would such action have been sanctioned by the UN.

Libya and the Costs of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In my talk, I dwelled on lessons from the Libyan experience as someon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s about it. Like the vast majority of the Arab public, I had expressed my understanding for the fact that the Libyan rebels were compelled to appeal to foreign support in order to avert the wholesale massacre that could have occurred had Gaddafi’s forces managed to storm the uprising’s strongholds in Benghazi, Misrata, and other areas, since the rebels lacked military means to repel such an attack at that time.

We placed all of the blame on Gaddafi for creating the conditions of foreign intervention, while warning the Libyan rebels against any illusion regarding the intentions of the Western forces that were intervening ostensibly on their behalf. Indeed,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Libyan state came with a high price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immediate political price of foreign intervention was that it allowed Gaddafi to pretend that he somehow represented national sovereignty and to label the rebels as agents of Western imperialism. This influenced a segment of Libyan society, albeit a limited one.

A no-fly zone over Syria will either have a very limited benefit if it is to remain a no-fly zone in the strictest sense, or it will have devastating consequences in killing and destruction if it is to take the form of an all-out air war against the regime.–The more serious political price was that the intervening powers strove to hijack decision-making from the Libyan rebels. They did not stop at ending the attack on the uprising’s strongholds and preventing Gaddafi from using his air power. They went much further, destroying the Libyan air force (Western states, especially France and Britain, are eagerly looking forward to selling weapons to post-Gaddafi Libya) as well as a significant portion of Libya’s infrastructure and official buildings (Western states along with Turkey started to compete over the Libyan reconstruction market even before Gaddafi’s regime had fallen). Western powers refused to provide the Libyan rebels with the weapons that they had urgently and insistently requested in order to enable them to carry on liberating their country without direct foreign intervention. Weapons were only delivered (by Qatar and France) during the late stages of the battle. These limited infusions of weapons hastened the fall of Gaddafi’s regime after a military stalemate had long been in place.

– The goal of Western powers was to impose themselves as major participants in the war against Gaddafi’s regime so that they might steer it. They wanted to draw a roadmap for post-Gaddafi Libya and they even set up an 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is purpose. They also tried for a while to reach an agreement with the Gaddafi family behind the backs of the Libyan National Council. As a result, Libya’s fate was being drawn up in Washington, London, Paris and Doha more so than in Libya itself prior to the liberation of Tripoli. To be sure, the Western states’ desire to control the situation in Libya after Gaddafi was extremely delusional, just as we expected. However, this comes along with great chaos in Libya today, aggravated by foreign meddling be it Western or regional.

Syria: Between Libya and Egypt

And yet, the impression that prevails at present is that foreign intervention prevented the crushing of the Libyan uprising, which, had it occurred, would have terminated the revolutionary process throughout the Arab region. Intervention enabled the Libyan rebels to liberate their country from the clutches of their brutal dictator at a cost that pales in comparison to the price paid by Iraqis in their liberation from Saddam Hussein’s tyrannical regime by way of a foreign invasion. The occupation of Iraq is finally coming to an end after eight miserable years, during the course of which the country reached a low point and paid an exorbitant human and material price, only to face now an obscure and menacing future.

The result of this contrast between Libya and Iraq is that, while the latter example was quite repulsive in the eyes of Syrians, the Libyan example has instilled within many a desire to emulate it. This is reflected in the increased requests for international military intervention following the liberation of Tripoli, to the point of calling the mobilization day on October 28 “No-Fly Zone Friday.”

Yet, whoever imagines that the Libyan scenario could be replicated in Syria is sorely mistaken. The Syrian opposition must be aware that the cost of allowing direct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as opposed to indirect intervention such as providing arms) in Syria will be much higher than in the Libyan case for several reasons, the most important of whi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national opposition must not allow the regime to outbid it in the defense of the national cause, and it must realize that since Syria’s territory is partially occupied by Israel with the support of Western states, it must not seek help from the enemies of Syria and its oppressors.–The military situation in Syrian is very different from what it was in Libya. The latter country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urban centers separated by often vast stretches of quasi desert territory. In such circumstances, air power becomes essential, especially since the areas controlled by the Libyan rebels were almost devoid of supporters of the regime. Thus, the regime resorted to air power in its counter-revolutionary offensive, and foreign air support was therefore highly effective in protecting the rebel areas and limiting the movement of regime forces outside of inhabited areas, all this at a relatively limited cost to civilian life. By contrast, Syria’s population density is much greater than Libya’s, and so is the mix of opponents and supporters of the regime, preventing the Syrian regime from making extensive use of air strikes. Therefore, a no-fly zone over Syria will either have a very limited benefit if it is to remain a no-fly zone in the strictest sense, or it will have devastating consequences in killing and destruction if it is to take the form of an all-out air war against the regime as happened in Libya. Since the Syrian army’s defensive capabilities are much more significant than those of Gaddafi’s forces, the scale and intensity of the combat would be much greater in Syria, not to mention that the Syrian regime is not isolated as Gaddafi was and any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in Syria would thereby ignite the entire region, which is but a set of powder kegs.

Meanwhile, no Syrian city currently faces the danger of a large-scale massacre in the way Benghazi did, or even a fate comparable to that of the Syrian city of Hama in 1982, when the Assad regime was able to isolate it from the rest of the country.

The strength of the Syrian uprising lies in that it acquired a very broad extension, and the fact that the rebels did not make the mistake of taking up arms, which, had it happened, would have greatly weakened the momentum of the popular uprising and allowed the regime to eliminate it more easily.

The Syrian rebels have thus far relied upon forms of struggle such as night-time protests and Friday demonstrations (not for religious reasons, but because Fridays are official vacation days and it is difficult for the regime to prevent gathering in mosques), so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do not get exposed. This style of guerilla-like demonstration is the appropriate method when a popular uprising faces brutal suppression by an overwhelming military force.

Unlike Gaddafi’s caricatural regime, which years ago turned towards establishing strong economic, security, and intelligence cooperation with various Western states, the Syrian regime in the eyes of the US is still a stumbling block to its projects in the region, since it is allied with Iran and Hezbollah and sustains a range of Palestinian forces opposed to US-sponsored capitulation.

Acknowledging this reality does not in any way suggest that one must therefore refrain from supporting people’s demands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whether in Syria or Iran. It requires, however,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way the Iranian opposition does, which completely rejects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affairs of its country and defends its country’s right to develop nuclear power in the face of Israeli-American threats that attempt to prevent it from doing so by claiming that Iran is developing nuclear weapons.

One of the principal focuses of the Syrian revolution’s strategy must be to win the Syrian army’s ranks over to the revolution’s side.The Syrian opposition correctly criticizes the regime for its opportunism, citing its intervention in Lebanon in 1976 against the Palestinian resistance and the Lebanese National Movement, as well as its joining with the US-led coalition in the 1991 war against Iraq. Those who criticize the Syrian regime’s duplicity with regard to the national cause must not accredit its claim that it is currently fighting Western powers’ “agents,” by requesting military intervention from those same Western powers. The national opposition must not allow the regime to outbid it in the defense of the national cause, and it must realize that since Syria’s territory is partially occupied by Israel with the support of Western states, it must not seek help from the enemies of Syria and its oppressors. Were they to intervene, these powers would surely strive to weaken Syria strategically just as they weakened Iraq.

Toppling a regime, no matter what the regime, is a strategic goal for which the means differ according to case and country. The strategy depends on the makeup of the regime that the revolutionaries are trying to bring down.

Let us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ses of Egypt and Libya for example. In Egypt the regular army as an institution was and remains the backbone of the regime. Mubarak’s power emanated from and relied upon the army, but he did not “own” it. This made the popular uprising keen on keeping the army neutral in order to topple the despot. This strategy succeeded, although it fostered illusions among the masses that the army as an institution with its top brass could be a selfless servant of the people. Instead of honing the critical awareness of the people and the soldiers and warning them that the army’s top brass would strive to preserve its privileges and control over the state, the principal forces of the opposition movement actually contributed to spreading illusions among the masses. The result is that the Egyptian revolution has remained incomplete; in fact, there are as much elements of continuity in the Egyptian regime as elements of change, if not more indeed.

In Libya, on the other hand, Gaddafi had dissolved the military institution and restructured it in the form of brigades bound to his person through tribal, familial and financial ties. Thus, it was impossible to rely on the neutrality of the military, let alone draw them to the side of the revolution; rather, it was inevitable that the way to topple the Libyan regime was through defeating its armed forces, in other words through war. Since the balance of military force between Gaddafi’s forces and the virtually unarmed rebels was overwhelming, the entrance of an external factor into the equation was inevitable, whether in the form of arming the uprising (the best-case scenario) or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in the war between the rebels and the regime either by occupying the country (the worst-case scenario) or through bombing from a distance without invasion, as happened in Libya. The result is that the change in Libya is much deeper than in Egypt because of the general collapse of the Gaddafi regime’s institutions. Today, Libya is a country without a state, i.e. without an apparatus that monopolizes armed force, and nobody knows when a state will be rebuilt there, or what it will look like.

So where does Syria fit into this strategic equation? Actually, it falls somewhere in between the Egyptian and Libyan cases. In Syria, just as in Libya, the regime has surrounded itself with Special Forces bound to it by family, religious sect, and privilege. They need to be defeated if the regime is to fall. In this regard, the commander of the Syrian Free Army, Colonel Riyad al-As‘ad, was right when he told Al-Sharq Al-Awsat (5 November 2011) that “anyone who thinks that the Syrian regime will fall peacefully is dreaming.”

However, because Israel occupies a piece of its territory, Syria, unlike Libya, has also a regular army based on universal conscription of young men, and whose soldiers and low-ranking officers reflect the makeup of the Syrian people from which their ranks are derived. Therefore, one of the principal focuses of the Syrian revolution’s strategy must be to win the Syrian army’s ranks over to the revolution’s side.

The Role of the Army in the Opposition’s Strategy

Direct military intervention in Syria, would convince the soldiers that what the regime kept claiming since the beginning of the uprising, i.e. that it is facing a “foreign conspiracy” that wants to subjugate Syria, has been true all along.Had the Syrian uprising been headed by a leadership with a strategic mindset (and here we see the limits of “Facebook revolutions”), it would have tried to extend opposition networks within the army while insisting that soldiers should not defect individually or in small groups but rather in the largest numbers possible. In the absence of leadership and strategy, soldiers and officers have begun to defect on their own in an unorganized manner. The scope of defections has expanded in the past two months and continues to expand. These defections have embarrassed the political opposition, with some criticizing the defectors for threatening to divert the uprising from its peaceful path and others greeting the defectors while calling upon them not to turn their weapons on the regime. The latter is a suicidal proposition that defecting soldiers are right to scoff at.

The strategic task of winning the Syrian soldiers over to the side of the revolution should not contradict the popular demonstrations and their non-violent nature. Here again, the Syrian case combines elements of the Egyptian and Libyan experiences, i.e. crowds of peaceful demonstrators alongside military confrontations. The non-violence of popular demonstrations was, and still is, a basic component of the movement’s momentum and of its massive character, including female participation. This momentum is itself a decisive factor in inciting the soldiers to rebel against the regime.

Thus, the greatest strategic predicament in Syria is how to combine the peaceful mass mobiliza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military opposition and the armed confrontation without which the regime’s forces will never be defeated and it will never fall. That is, unless one counts on some high-ranking officers from the top of the regime’s hierarchy stepping out and forcing the ruling family to flee the country to Iran. If this were to happen, Syria would end up in a position similar to the Egyptian case, where a piece fell off the top of the pyramid without it collapsing entirely.

As for direct military intervention in Syria, whether in the form of an invasion or limited to bombing from afar, it would bring the trend of defections from the Syrian army to an end and unite its ranks in a confrontation that would convince the soldiers that what the regime kept claiming since the beginning of the uprising, i.e. that it is facing a “foreign conspiracy” that wants to subjugate Syria, has been true all along. The requests made by Riyad al-As‘ad, the leader of the Syrian Free Army (in the above-quoted interview), for international intervention in order to “implement a no-fly zone or no-sail zone in Syria,” and create a “secure zone in northern Syria that the Syrian Free Army can administrate” are at best further evidence of the lack of strategic vision among the leadership of the Syrian uprising. They are also a product of that blend of short-sightedness and emotional reaction to the viciousness of the regime that leads some of its opponents to hope for what could lead to a major historical catastrophe in Syria and the region as a whole.

Those who wish the victory of the Syrian people’s uprising for freedom and democracy in a way that makes it possible to strengthen the homeland rather than undermine it, must formulate a position of utmost clarity on these fateful issues. It is not possible to simply ignore them in the name of unity against the regime, because the fate of the struggle and indeed the entire country hangs on these very questions.

First published Friday, November 18, 2011 on http://english.al-akhbar.com/conten....

 

-Gilbert Achcar grew up in Lebanon and teaches political science at London’s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His best-selling book ’The Clash of Barbarisms’ came out in a second expanded edition in 2006, alongside a book of his dialogues with Noam Chomsky on the Middle East, “Perilous Power“. He is co-author of “The 33-Day War: Israel’s War on Hezbollah in Lebanon and Its Consequences“. His most recent book is “The Arabs and the Holocaust: the Arab-Israeli War of Narratives“, Metropolitan Books, New York, 201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수정]리비아 : 제국주의와 기회주의자들에게 강간당한 타락한 혁명

(이 글은 아래 같은 제목의 글의 수정이다. 최근 참세상과 블로그에서 있었던 논쟁에 대해 보다 분명히 나의 입장을 밝히기 위해 목차 중 볼드체로 된 자마히리야 체제와 항쟁의 각세력의 전망과 과제를 새로 집필 또는 보완하였다.-원래 글의 기조는 변한 것이 없다.)

 

2-3. 리비아 : 제국주의와 기회주의자들에게 강간당한 타락한 혁명

2-3-1. 리비아 항쟁의 배경-카다피 정권의 성격

자마히리야 체제/

2-3-2. 항쟁의 발단과 초기 양상

2-3-3. 내전으로의 발전-제국주의의 개입을 이끌어낸 황색언론과 앞잡이들의 집요한 공작

황색언론 /앞잡이들 /바람잡는 제국주의자들

2-3-4. 카다피의 반격과 제국주의의 개입

2-3-5. 트리폴리의 봉기와 카다피의 패전

2-3-6. 항쟁의 쟁점들

내전으로 발전한 이유 /제국주의자들의 개입 이유 /제국주의 개입을 둘러싼 좌파의 분열-

2-3-7. 항쟁의 각 세력과 전망과 과제

친카다피 세력 /동부의 전통과 이슬람주의자들 /봉기의 배경과 리비아 민중 /반군과 자경단 /전망과 과제

 

2-3. 리비아 : 제국주의와 기회주의자들에게 강간당한 타락한 혁명

 

2-3-1. 리비아 항쟁의 배경-카다피 정권의 성격

1969년 친영 이드리스 왕조를 쿠데타로 무너뜨린 카다피는 이슬람 사회주의를 표방했다. 영국군과 미군을 철수시키고 석유기업의 지분을 50%에서 79%로 끌어 올렸다. 금융, 보험, 무역 등을 국유화하고, 유휴토지와 이탈리안인들의 토지를 몰수하고 촌장들의 토지확장을 금지하면서 토지를 재분배하였다. 70년대 고유가 덕분으로 무상교육과 무상의료를 제공하고, 대학교육과 주택에 융자정책을 펴고, 1981년에는 소매업을 금지하고 국가가 관리하는 수퍼마켓에서 생필품을 저가로 공급하였다.1) 그러나 석유수입이 수출의 95%, 정부수입의 75%, GDP의 50%(NYT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58%-인용자)를 차지하는 극단적인 석유의존경제인 리비아는 80년대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제제와 유가 하락으로 1인당 GDP가 42%로 축소되었다.2) 2000년 카다피는 “리비아는 단지 리비아의 이익만이 아니라 유럽에게 리비아가 관문이 되고 있는 전 아프리카 대륙을 위해서 외국자본의 투자와 참여를 고무하길 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투자를 위한 적절한 환경을 조성할 것입니다”라고 선언하였다.3) 카다피는 1990년대 이후 서방과의 관계개선을 모색했다. “2003년 카다피는 대량살상무기 포기 선언을 했고, 40년 만에 석유채굴권 공개입찰에 다국적 기업들도 참여하도록 허용했다. … 사실 이런 경제개방 정책은 이미 1990년대에 시작됐다. 공기업 특혜폐지와 사기업화, 외국인 투자유치 강화를 위한 법 개정, WTO가입 등을 추진했다. … 2000년대 동안 리비아와 서방과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리비아로 달려든 세계굴지의 석유기업들이 황금열매를 약속받는 한편 카다피 일가와 그 측근들은 엄청난 부를 쌓아 올렸다. 석유산업과 각종 이권에 관여하는 카다피 일가의 재산은 1,500억 달러(165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4) 카다피 일가는 해외 부동산과 기업에 공개적으로 투자하며. 한때 식민모국이었던 이탈리아의 정유회사와 통신사 등에 지분을 갖고 있다. … 반대로 경제개방 정책 속에 리비아 민중의 삶은 악화됐다. 1990년대부터 카다피 정권은 공공지출을 크게 줄였다. 보조금 제도와 실업수당을 폐지했다. 게다가 IMF 권고를 받아들인 결과 허약해진 통화 때문에 인플레이션마저 발생해 노동자들은 실질임금 하락으로 고통받았다.5) … 정부공식통계로는 실업률이 20%이지만 실제로는 35%는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리비아 인구의 70%를 차지하는 20세 이하 젊은 층이 극심한 실업난을 겪고 있다. 계속된 억압통치와 함께 이와 같은 빈곤이 리비아 민중이 목숨을 건 저항에 나선 이유였다.”6)

“리비아 시민의 20.74%가 실직 상태이고, 약 3분의 1이 빈곤선 이하에서 살고 있다. 안정적 수입을 얻는 가족이 한 사람도 없는 가구가 16% 이상이고, 43.3%는 오직 한 사람만 소득이 있다. 극심한 실업률에도 불구하고 시장에는 100만 명이 넘는 이주노동자에 대한 항상적인 노동력 결핍이 있다.”7)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카다피는 집권 전반기에 석유수입을 바탕으로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하였지만, 1980년대에는 유가하락과 서방의 제제로 고통받으면서 삶의 질이 후퇴하였고, 1990년대 이후 적극적인 개방정책으로 1인당 GDP가 16,000불에 달할 정도로 괄목할만한 외형적인 성장이 있었지만, 그 성과는 카다피 일족에게만 돌아가고 공공지출의 감소와 임금억제정책 그리고 지독한 실업난은 체제에 대한 심각한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게 하였다. ‘국가는 부유하였지만 인민은 가난하였다.’ 카다피는 이에 불만을 품은 민중들을 정보경찰로 악랄하게 억압하는 거의 마피아 수준의 통치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자마히리야 체제-

리비아의 정식명칭은 ‘리비아 인민의 사회주의 아랍 자마히리야Socialist People’s Libyan Arab Jamahiriya’이다. 즉 공화국이나 왕정이 아니라 아랍 자마히리야(대중의 국가 혹은 대중의 공동체)이다.

“의회란 인민의 잘못된 대의이고, 의회적 정부란 민주주의 문제에 대한 잘못된 해결이다. 의회의 구성원은 인민이 아니라 그들의 당을 대변한다. 그러한 제도 하에서 인민은 희생자들이고, 정치체에 의하여 기만당하고 착취당한다. 대의제도는 사기다.”8)

“자마히리야 체제에서는 모든 시민이 풀뿌리 수준에서 지역인민회의local people’’s congress에  참여를 통하여 정치적 과정의 일부가 된다. 지역인민회의의 결정은 인민회의와 위원회의 위계를 따라 올라가 결국 대중의 의지가 형성된다. 리비아의 어느 곳에나 걸려있는 ‘인민회의 없는 민주주의란 없다’라는 배너처럼 인민은 스스로를 대의할 수 있으므로 정당은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카다피는 이러한 교의에 따라 1972년의 법률 제71호의 효력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혁명의 원리에 반대하는 어떤 정치적 집단의 활동도 반역으로 처벌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마히리야의 주된 효과 중의 하나는 정권에 도전할 수 있는 조직이나 기구를 제거해 온 것이다. 그것은 또한 때로는 권력과 겹치기도 하는 너무 많은 회의와 위원회를 포함하는 아주 복합적이고 공식적인 지배기구를 만들었고 세심하게 조직된 끊임없는 혼란이라는 느낌을 주었다. 결국 이것이 카다피가 권력을 유지할 수 있게 했다. 카다피는 자마히리야 체제 내에서 어떠한 형식적 역할도 맡고 있지 않다. 그는 대통령이나 명목상의 국가원수가 아니다. 대신에 그는 항상 ‘혁명의 지도자’ 혹은 ‘지도자’ ‘형제 지도자’라는 호칭으로 행세했다. 이것은 그가 국가의 공식적인 기구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도록 하고 체제의 메카니즘 내에서의 책임을 지지 않도록 만들었다. …

전국인민총회General People’’s Congress(의회) 아래 리비아인들이 정치적인 사안에 대하여 토론하고 투표하기 위한 포럼으로 기능한다는 기초인민회의들이 있다. 현재 약 432개가 있는데 보통 1월에 10일에서 15일 동안 연례 회의를 갖는다. 회의의 참석은 원칙상 강제적이고 회의기간동안 상점과 공공기간이 문을 닫는다.9) … 각 인민위원회는 서기국이 있고 거수로 선출되지만, 이러한 서기국은 일반적으로 보통 혁명위원회 운동Revolutionary Committees Movement의 회원들인 체제의 충성파들의 영역이다. 혁명위원회운동은 리비아인들의 생활의 모든 부분에 침투한 준법률적인 집단이다.10) 리비아는 샤비앗(Shabiat 행정영역)으로 나뉘어 있고, 각각은 지역행정에 책임지는 행정위원회governing council가 있다. 이 위원회들 또한 거의 체제 충성파들의 영역이 되어 왔다. 게다가 가장 높은 단계까지의 모든 기구에 감시조직이 달려 있다. 이러한 감시조직은 혁명위원회의 구성원들이 실무를 맡고 있고, 대부분의 경우 그들은 체제를 지배해 온 관료층과 비효율성을 추가하고 있을 뿐이다. 모든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정치체제는 결정을 내리는 일과는 관련이 제한되어 있다. 형식적인 정치 체제는 단지 허울뿐이고 카다피와 그와 가까운 동료들이 권력의 핵심을 쥐고 있다. 이 기구의 개인들이 서로 관련이 없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카다피의 이너서클에 있는 주요 인사들은 몇 년 동안 형식적인 정치체제에 들어갔다 나왔다 하지만- 지도자에 대한 개인적인 연계가 공식적인 위치보다 훨씬 중요하다.”11)

 

결국 지방에는 지역인민회의와 서기국, 정무위원회 등이 있고, 중앙에는 전국인민회의(의회) 그리고 그에 의해 선출된 전국인민위원회General People’’s Committee(내각)가 있다. 그러나 인민회의의 구성원과 각종 위원회는 체제의 충성파들인 혁명위원회운동의 멤버들이 사실상 장악하고 있고, 체제의 모든 기구에는 혁명위원회운동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감시위원회가 있다. 그리고 그 정점에 어떠한 반대 의견이나 세력도 허용하지 않는 카다피가 있다. 이처럼 카다피가 만든 자마히리야 체제는 모든 대의제도와 정치활동을 금지하고 오직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으면서 모든 권력을 집중한 카다피 1인을 위한 체제이고, 그에게 줄을 서는 혁명위원회에 소속된 기회주의자들이 권력을 휘두르는 체제였던 것이다.

 

2-3-2. 항쟁의 발단과 초기 양상

리비아(인구 640만 명)의 항쟁은 제2의 도시이자 주요항구인 동부지역(시레나이카)의 벵가지Benghazi(인구 65만 명)에서 시작되었다. 리비아는 남한의 18배에 달하는 큰 나라이지만, 자위야Al-Zawia, 트리폴리(인구 170만 명), 미스라타Misrata, 시르테Syrte, 벵가지, 바이다Al-Bayda, 토브룩Tobruk 등 주요도시가 모두 북쪽의 지중해를 따라 서에서 동으로 길게 늘어서 있는 나라이다. 리비아의 동부 사람들은 서부보다 더 차별받는다고 생각하였고 카다피에 대한 적개심과 두려움도 컸다. 리비아의 민중항쟁이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왜 내전과 제국주의 간섭전쟁으로 발전되었는가는 초미의 관심사이다.

“이웃 나라의 시위에 용기를 얻어 극심한 실업과 치솟는 물가, 고질적인 부패에 괴로워하면서 리비아 활동가들도 리비아의 개혁과 부패의 종식을 요구하는 페이스북 그룹을 만들었다. 대부분의 활동가들은 당연히 실명이 아닌 가명을 사용했다. 그들은 (카다피의 즉각 퇴진이 아닌-인용자 삽입) ‘개혁’이라는 우산을 쓰고 2월 17일을 봉기의 날로 정했다.12) 카다피는 2월 8일 트리폴리에서 활동가들과 만나 요구조건을 들어주겠다면서 그들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닫아줄 것을 설득했다. 카다피의 요청은 무시되었고 수많은 페이스북 페이지는 우쭐했다.

리비아의 밖에서 소수가 진지하게 시위 제안을 하는 동안 벵가지에서 일어난 사건이 모두를 놀라게 했다. 벵가지와 동부지역은 오랫동안 카다피의 목의 가시였다. 시위 예정 이틀 전인 2월 15일 리비아 보안대(security forces, 일반적으로 진압경찰을 뜻하나 국내안전부ISA:Internal Secury Agency의 소행인 듯-인용자)가 테르빌Fathi Terbil을 연행했다. 그는 1996년 트리폴리의 아부 살림 교도소에서 학살당한 1,200명의 (이슬람주의 운동과 관련된-인용자 삽입) 죄수들의 가족을 대변해온 벵가지 출신의 유명한 변호사였다. 학살당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벵가지와 동부지역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테르빌의 구속은13) 벵가지의 주요 광장에서 광범위한 시위에 불을 붙였다. 그 당시 시위는 동부에서만 일어났고, 2월 20일 수도 트리폴리에 도달했다. 40년 동안 억눌려왔던 불안과 분노가 폭발했다. 해외에서도 리비아를 떠난 사람들이 리비아의 대사관과 영사관 앞에서 카다피의 억압적 지배를 비난했다. 카다피는 어떤 시위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부인했지만 수백 개의 동영상과 소식이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올라왔다. 수많은 카다피의 위협적인 연설은 두려움도 자극했지만 앞으로 나아가야 하고 카다피를 끝장내야 한다는 결심을 굳게 만들었다. 지금 시점에서 후퇴란 시위 참가자들이나 온라인상에서 지지의 목소리를 낸 사람들과 그 가족들이 사형에 처해질 것이 분명했기 때문이다. 군대와 정치 지도자들의 광범위한 이탈에 의해 반군은 카다피 군대에 대한 심각한 타격을 가하고 벵가지와 동부의 시레나이카로부터의 퇴각을 가져왔다. 반군은 이들 지역이 해방되었으며, 수백 명이 죽고 도시가 파괴되었음을 밝히면서 서부의 반란도 촉구했다. 그동안 카다피는 전열을 가다듬고 서부지역부터 반격에 들어갔다. 내전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뉴스는 트리폴리 시내를 지키는 수천 명의 용병의 등장부터 시작하여 시내에 검색대의 설치, 이동전화와 인터넷의 단절14)을 보도했다.”15)

“테르빌의 체포는 역효과를 내었다. 2월 15일 감옥에서 살해당한 사람들의 가족이 ‘벵가지여 일어나라! 기다렸던 날이 왔다!’를 외치며 테르빌의 체포에 항의하기 위하여 거리로 나섰다. 인민들이 항의하기 위하여 거리로 나섰다. 알 마지Al-Marj, 알 비다Al-Bida, 데르나Derna, 샤하트Shahat, 토브룩, 아즈다비야Ajdabiya 등 리비아 동부의 많은 지역에서 시위에 동참했다.”16)

“2월 15일 저녁 테르빌의 연행 후에 500-600명의 시위대가 벵가지 경찰서 앞에서 시위하였다. 보안요원 10명을 포함한 38명이 부상당하는 충돌 끝에 시위는 경찰에 의해 폭력적으로 분쇄되었다. 바이다와 진탄Zintan에서는 시위대가 카다피 정권의 퇴진을 요구하면서 경찰서와 보안기관 건물에 방화하였다. 진탄에서는 시위대가 도심에 텐트를 세웠다. 다음날(2월 16일) 벵가지와 진탄과 데르나에서는 무장시위가 계속되었고, 보안대는 치명적인 폭력으로 대응했다고 전해졌다. 벵가지의 중심지에 수백 명이 모였고, 경찰은 물대포로 시위대를 해산하려고 하였다. ‘분노의 날’인 2월 17일 벵가지와 아즈다비야 데르나, 진탄, 바이다에서 시위가 일어났고, 보안대는 무장한 시위대에 실탄을 쏘았다. 시위대는 정부 건물과 경찰서를 방화하였다. 2월 18일 경찰과 군대는 벵가지가 시위대에게 압도되자 (카티바 단지Katiba compound17)로-인용자 삽입) 철수하였다. 군인들 일부는 시위대에 가담했고 그들은 지역방송국을 장악했다.”18)

“2월 16일 카다피를 반대하는 평화로운 시위가 바이다에서 행진했다. 이틀간의 시위 후에 2월 17일 벵가지의 투쟁이 시작되었다. 보안대는 시위대에 발사하여 14명이 죽었다. 다음날 사망자 중의 한사람의 장례행렬이 카티바 단지를 지나갔다. 조문객들이 먼저 돌을 던졌는지 카티바의 군인들이 먼저 총을 쐈는지는 사람마다 다르다. 결국 24명이 죽었다. 학살이 일어난 후 시위대에 총을 쐈다고 지목된 두 명의 경찰관이 붙들려 교수형에 처해졌다. 경찰과 군인들은 도시가 시위대에 압도되자 도망갔다. 어떤 군인들은 시위대에 가담하고 국영 지방라디오방송국을 장악하는데 도움을 줬다. 바이다에서는 지역경찰과 반군이 통제하는 부대가 시위대에 합류했다는 확인되지 않은 보도도 있다. 이틀 전인 2월 16일 총을 가진 이슬람주의자들이 이탈한 육군대령의 도움으로 데르나의 군 보급창으로 쇄도하여 250개의 무기와 70대의 군용차량을 획득했다고 말했다. 이 습격으로 4명의 군인이 죽고 16명이 부상했다. 18일 밤 벵가지에서 카다피 충성파들이 모여 있는 유일한 지역은 카티바 단지뿐이었다. 2월 19일 또 다른 장례행렬이 묘지로 가는 도중에 저항하는 행동으로 카티바 단지를 지나가다가 또다시 단지 안의 카다피 충성파들로부터 총격을 받았다. 2월 18일과 19일 반정부 세력들의 대대적인 반격이 있었다. 바이다에서는 50명의 용병19)이 시위대에 의해 처형되었다. 일부는 시위대가 경찰서를 잠그고 불을 질렀을 때 죽었고 15명은 법원 앞에서 맞아 죽었다.20) 시체들의 일부는 전시되었고 비디오에 찍혔다.

장례식에 대한 두 번째 공격에 뒤이어 반정부 시위대는 격심한 사격에 후퇴를 반복하면서도 불도저를 징발하여 카티바 단지의 벽을 부수려고 하였다. 싸움이 계속되자 한 무리의 군중은 벵가지 외곽의 군부대를 공격하여 군인들이 세대의 작은 탱크를 포함한 무기를 버리게 하였다. 반대파는 이들 탱크로 카티바 단지의 벽을 들이 받았다.

전투는 20일 아침에 끝났다. 하루 사이에 30명이 더 죽었다. 장례로 위장한 (트럭에 가스통을 실은-인용자) 자살 폭탄차량이 단지의 입구를 공격하여 날려버렸다. 반정부 세력은 바이다와 데르나로 부터 보강을 받아 기지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 기지에 대한 마지막 공격 동안 42명이 죽었다. 오후에 내무장관인 유니스Abdul Fatah Younis 장군21)가 포위된 보안대를 구출하기 위하여 ‘벼락thunderbolt’라고 부르는 특전여단을 데리고 나타났다. 시 외곽에 기지를 둔 그의 군대는 기관총과 대공화기를 장착한 트럭과 함께 카티바 반대편에 도착했다. 두 대의 탱크가 뒤따랐다. 어쨌든 유니스는 (발포를 하지 않도록 하고 반정부 시위대와 협상 끝에-인용자 삽입) 반군에 가담하고 카다피 충성파들이 도시를 안전하게 빠져나가도록 허용했다.”22)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테르빌의 연행으로 벵가지에서 시작된 2월 15일과 16일의 항의시위는 구타와 물대포 수준이었다. 그런데 2월 17일 보안대가 총을 쏘고 8명이 죽자 시위대는 경찰서와 관공서를 방화하였고, 다음날에는 총격에도 불구하고 친카다피 세력이 모여 있는 군부대를 포위하였다. 바이다를 비롯한 동부의 다른 곳에서도 경찰서를 공격하고 군인들의 이탈이 있었고, 일부 시위대는 탱크를 비롯하여 총으로 무장을 하게 되었다. 결국 지역경찰과 보안대 그리고 군부대는 무너지고, 내무장관이자 육군소장인 유니스까지 반란에 가담하였다. 2월 20일에는 트리폴리에서도 시위가 시작되고 혁명위원회와 내무부 건물 그리고 ‘인민의 전당’을 불태우는 봉기가 있었다.23) 그리고 2월 21일부터 법무장관 잘릴Mustafa Abdul Jalil24)을 비롯한 정권핵심부와 수많은 외교관과 군대의 이탈이 뒤따랐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리비아인들은 벤 알리와 무바라크의 몰락을 보면서 자신들도 카다피를 끝장낼 때가 왔다고 생각하였고, 카다피의 심복과 군인들도 카다피가 못 버틸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또한 리비아의 초기 항쟁이 경찰서와 군부대 그리고 카다피의 혁명위원회 건물을 방화하고 보안대를 처형하는 등 튀니지나 이집트보다 훨씬 과격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그만큼 억눌려왔던 불만이 컸기 때문이기도 하고, 악랄한 카다피와의 투쟁을 사생결단의 투쟁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동부는 대부분 해방되었고, 미스라타와 트리폴리를 비롯한 서부도 봉기에 가담하였다. 이 기세를 몰아붙이면 카다피는 도망갈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대중이 스스로를 해방시키는 즉 민중주도의 혁명은 2월 20일이 지나면서 왜곡되기 시작하였다.

 

2-3-3. 내전으로의 발전-제국주의의 개입을 이끌어낸 황색언론과 앞잡이들의 집요한 공작

바이다에서는 2월 16일부터 보안대에 의한 총격이 있었고, 벵가지에서는 2월 17일 보안대의 총격으로 8명이 죽었다. 2월 17일부터 19일까지 보안대의 총격에 분노한 시위대가 경찰서와 보안대와 군부대를 방화하고 공격하면서 일부 시위대는 화염병의 수준을 넘는 총기로 무장을 하고 있었다. 2월 20일 오후 시위대가 가스통을 싣고 군부대의 정문을 폭파시키자 친정부세력은 카티바 단지 안에 고립되었다. 이 상황에서 특전여단을 이끌고 현장에 급파된 유니스는 총기 사용을 금지하고 시위대와 협상하였다. 즉 이미 8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동부 전역은 물론 프리폴리와 미스라타까지 전국이 소요상태에 들어간 상황이었지만, 대화와 협상으로 마무리되었고 비록 트리폴리에서 시위대를 향한 보안대의 총질이 계속되고 있었기는 하지만, 군대나 전투기를 동원한 무자비한 학살이 진행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용병, 집단학살, 중무기, 비행기 등의 악선전이 알자지라를 비롯한 서방 언론들이 집요하게 확대 재생산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카다피의 초기대응의 양상은 벤 알리의 무장경찰이 탈라를 탈환하기 위해 1주일 이상의 공방 끝에 62명의 사망자가 난 것과는 다르다. 카다피의 둘째 아들은 2월 20일 사실상의 내전을 경고하였고, 카다피는 2월 22일 시위대의 진압을 명령했다. 카다피 역시 무바라크처럼 시위의 초기에 과도한 진압이 역효과를 낼 것을 우려하여 보안대의 총질은 있었지만 소극적 대응을 하였고, 2월 하순부터 사실상의 내전상태에 있었음에도 유엔의 결의를 피하고자 혹은 서방 언론의 비난을 살만한 대응을 억제하였던 것이다. 즉 악마와 같은 카다피나 일선의 경찰과 군대는 동부가 반란상태에 빠질 때까지 적극적인 학살을 한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색언론들은 용병과 중무기, 대량학살, 비행기 등을 운운하며 마치 카다피가 항쟁의 초기부터 대량학살을 자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도하였고, ‘인도주의적 개입’을 유도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카다피의 악마화는 3월 중순 카다피군이 벵가지 근처까지 진격하자 극에 달했고 좌파들도 이러한 왜곡보도에 세뇌되었던 것이다.

 

황색언론-

2월 20일 트리폴리에서는 보안대가 녹색광장에 접근하는 시위대에 발포를 하고 시위대가 혁명위원회와 내무부 건물 그리고 ‘인민의 전당’을 불태우는 상황이었지만, 무바라크가 이집트의 시위대에 초기 대응을 소극적으로 한 것처럼, 카다피 역시 벵가지 사태의 평화적인 해결에서 보는 것처럼 적극적인 진압이나 학살에 나서지는 않았다. 그런데 알자지라의 보도를 보자.

“(2월 21일) 7:56pm: 알자지라 아랍어방송은 지금 트리폴리의 활동가와 대화하고 있는데, 그는 지금 트리폴리 전체에 공중 공격이 행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거기에는 죽음과 두려움 그리고 여성들이 어디에서나 울고 있다. 공격은 가두 시위자들이 많이 나온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사람들에게 총을 쏘는 외국인 전사로 가득 찬 차량들이 있다. 그는 지난 24시간 동안 최소한 250명이 죽었으며 국제적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리폴리는 외국인 전사들이 장악하고 있으며 물과 전기도 끊어졌고 음식과 의료품도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것은 집단학살이라고 그는 말했다.

트리폴리 동부의 미스라타는 가장 최근에 전투기에 의해 공격받았다.25) 탱크가 시내로 들어와 중화기가 빌딩을 초토화하고 있다고 목격자들이 알자지라에 말했다.

9:51pm: 트리폴리의 줌후리아 도로에 새로운 공중 공격이 가해지고 있다고 목격자들이 알자지라 아랍어 방송에 말했다.

10:49pm: 또 다른 공중공격이 트리폴리 서부의 자위야의 시민들을 지금 목표로 하고 있다고 목격자들이 알자지라에 말했다. 사망자나 부상자의 수에 대하여는 아직 보도가 없다.

(2월 22일)1:20am: 알자지라 아랍어 방송은 기니아와 니제리아에서 용병이 되면 하루에 2,000불을 주겠다는 광고가 나타났다고 보도했다.”26)

그러나 전투기에 의한 공중공격과 대량학살 주장은 3월 1일 게이츠 미국방장관이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추궁에 “우리도 언론보도를 보고 알았는데, 어떠한 확증도 없다”고 하여 날조라는 것이 들어났다.27) 결국 알자지라는 익명의 목격자를 빙자하여 무고한 시민들이 전투기와 탱크로 유린되고 있다고 참으로 악의적이고 고의적인 조작방송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런 황색보도를 BBC를 비롯한 반동언론들은 알자지라의 보도를 운운하며 전지구인들의 가슴을 졸이게 하고 있었던 것이다.

 

앞잡이들-

2월 21일 유엔 주재 리비아 부대사는 “우리는 트리폴리에서 진정한 집단학살Genocide을 예상하고 있다. 항공기는 여전히 용병을 공항으로 실어 나르고 있다.”라고 주장하면서 카다피를 이탈하였다. 잘릴 또한 이미 군대가 총을 사용하지 않고 있고 카티바 협상이 마무리되던 시점에 카다피의 과도한 폭력의 사용을 비난하면서 사임하고 유니스도 군대가 인민의 정당한 요구에 부응해야한다고 반란을 선동하며 반란에 가담하였다. 이후 외교관들의 이탈이 줄을 이었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 리비아의 대다수의 민중들은 카다피를 증오하였지만 카다피는 트리폴리에서 친정부 시위대를 조직할 만큼 그리고 충성파 시민들에게 총을 나눠줄 만큼 나아가 나토의 9,600번에 달하는 지독한 공습에도 불구하고 내전을 8개월이나 끌만큼 충성파도 상당수에 달했다. 그런데 왜 이들은 그처럼 빨리 말을 바꿔 탔을까? 필자는 확증은 없지만 2월 중순부터 벵가지에서 파견된 CIA의 공작28)이 있었을 것으로 본다.

 

바람잡는 제국주의자들-

알자지라는 이제 마치 권위있는 당국자들도 확증을 가지고 얘기하는 것처럼 자신들의 조작극에 화답하는 제국주의자들의 흥분을 싣는다.

“(2월 22일) 12:15am: 미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은 “지금은 이처럼 받아들일 수 없는 피바다를 막을 때이다”고 말했다.

12:45am: 알자지라의 정규기고자인 마르크 린치는 리비아에 대한 외국개입의 장단점을 저울질하면서 “지금은 이미 피바다가 된 상황을 더 악화되지 않도록 미국과 나토, 유엔, 아랍 연합이 강력하게 행동에 나설 때이다.”라는 흥미있는 기사를 썼다.

1:40am: 유엔 부대사 다바쉬는 “비행금지구역No fly zone이 리비아에 설정되어야만 한다”고 유엔에 말했다.

1:42am: 반기문은 성명을 통해 리비아 당국이 전투기와 헬리콥터로 시위대에 사격했다는 보고에 분노했다면서 “그러한 공격은 국제인권법의 심각한 침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29)

이제 제국주의자들은 한 술 더 뜬다.

“2월 24일 이슬람 공화국 방송은 국제형사재판소ICC:International Criminal Court가 사망자를 10,000명으로 평가했다고 보도했다. 3월 2일 WTO는 대략 2,000명이 죽은 것으로 평가했다. 반군은 6,500명이 죽었다고 주장하고, 반군 대변인은 사망자가 8,000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30)

“비아그라 얘기는 처음에 카타르 정권의 지원을 받는 알자지라가 반군과 협동하여 퍼뜨렸고, 거의 모든 주요 서방언론에서 재분배되었다. 국제형사재판소의 소장인 오캄포Luis Moreno-Ocampo는 서방 언론에 “카다피가 강간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의 군대에게 비아그라를 나눠주고 수백 명의 여성을 강간하도록 명령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라이스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카다피가 대량강간을 고무하기 위하여 비아그라를 나눠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카다피 군대가 리비아에서 광범한 강간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강간과 물리적 위협, 성희롱 심지어 처녀성 검사까지 전국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31)

하지만 미군사당국과 정보당국이 강간설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없다고 말했다는 것은 이미 NBC 뉴스에서 밝히고 있었고, 비아그라 박스는 반군들이 카다피군의 불타버린 탱크에서 주웠다고 하는데 박스만 그을리지도 않았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엠네스티는 3개월간의 현장조사보고서에서 “강간을 당했다는 단 한사람의 여성이나 강간당한 사람을 보았다는 단 한명의 의사도 발견할 수 없었고, 용병은 단 한사람도 확인할 수 없었다. 초기에 죽은 사람은 (만 명이 아니라-인용자 삽입) 벵가지 100-110명과 바이다 59-64명뿐이다”라고 밝혔다. 아프리카 연합African Union의 의장인 핑Jean Ping은 최근에 “NTC(과도국가위원회)는 흑인들을 용병과 혼동하는 것 같다. 모든 흑인들은 용병이라면 리비아 인구의 3분의 1인 흑인이 용병이라는 것을 뜻한다. 그들은 인간 즉 정상적인 노동자를 죽이고 있고 잘못 다루고 있다”고 주장하였다.32)

 

결국 아프리카 용병, 전투기, 공중공격, 대량학살, 강간 등등은 카다피 이탈파를 포함한 반군과 합작한 알자지라가 앞장서서 조작하고, 서방언론들이 집요하게 퍼뜨리고, 이런 뜬소문이 뻔한 거짓인줄 알면서도 반기문, 힐러리 클린턴, 수산 라이스, 오캄포 등 국제적으로 책임있는 당국자들이 자신들도 뭔가 증거가 있어서 믿는 것처럼 바람을 잡았던 것이다. 그리고 그 목적은 소위 ‘인도주의적 개입’을 끌어내는 것이었다.

2월 26일 유엔 안보리는 알자지라 등이 만들어낸 이런 황색선동을 근거로 ‘카다피 일가의 자산을 동결하고 국재형사재판소의 조사를 위한 혐의’를 회부했다. 그리고 카디피군이 벵가지 근처까지 진격하자 카다피가 들어오면 ‘피바다’가 될 것이라고 애원하는 NTC와 황색언론이 조성한 여론을 바탕으로 3월 17일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는 유엔결의안 1973호를 의결하고, 이틀 뒤 프랑스를 필두로 나토와 미군이 공습에 나섰던 것이다.33)

결국 서방 언론들은 카다피가 전투기까지 동원하여 자국민을 학살하고 있는 것처럼 그리고 벵가지가 함락되면 피바다가 될 것처럼 바람을 잡았지만, 내란이 시작된 지 일주일이 지난 3월 1일까지 미국방부를 비롯한 아무도 카다피의 전투기가 시민을 무차별로 학살하는 것을 본 사람이 없는 것이다.34)

“엠네스티의 조사는 카다피 정권이 반대편을 야만적으로 억압해온 역사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집단학살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없다는 권위있는 국제위기그룹International Crisis Group의 최근 보고서를 확인시켜주고 있다. 보고서는 ‘많은 서방 언론들이 사건의 처음부터 시위 운동을 전적으로 평화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정권의 보안대가 안보에 대한 어떠한 도전도 보이지 않는 비무장한 시위대를 까닭도 없이 학살하고 있다는 아주 일방적인 시각을 보여 왔다고 덧붙였다.”35)

 

2-3-4. 카다피의 반격과 제국주의의 개입

2월 23일 이후 동부의 전 지역이 내전상태에 들어가자, 2월 26일 카다피는 충성파 시민들36)에게 무기를 지급하면서 반정부 시위 봉쇄에 나섰고, 3월 2일 벵가지에서는 유일합법정부를 자처하며 과도국가위원회(NTC :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가 출범하였다. 3월 10일 프랑스가 NTC를 유일합법정부로 인정하였고, 3월 16일엔 정부군이 벵가지 근처까지 진격하였다. 3월 17일 유엔결의안 1973호가 중국과 소련, 독일 등이 기권한 가운데 통과되어 비행금지구역이 설정되고, 3월 19일 프랑스의 공습이 시작되었다. 3월 28일 미국주도의 연합군의 공군작전 지휘권을 나토로 이양하였고, 나토는 반군을 무장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4월 1일 반군은 전세가 불리해지자 유엔의 조건부 정전 조건을 수락하였고, 4월 5일엔 카다피가 그리스와 터키를 통해 중재를 요청하였다. 4월 10일 아프리카 연합(AU)이 리비아를 방문하여 쌍방의 적대행위 중지 등 중재에 나섰으나 반군이 거부하였다. 이후 나토의 적극적인 공습과 지원 아래 정부군과 반군은 공방을 거듭하다가 8월 20일 트리폴리에서 민중들의 무장반란이 일어나고 반군이 8월 22일 거의 무혈입성하여 8월 24일에는 트리폴리를 장악할 수 있었다. 카다피는 자신의 출신지인 시르테에서 10월 20일 생포되었다가 사살되었다. 그리고 서방의 지도자들과 독점자본들은 앞 다투어 과도국가위원회를 방문하여 전리품을 챙기고 있는 중이다.

 

2-3-5. 트리폴리의 봉기와 카다피의 패전

나토의 공습이 계속되었지만, 카다피의 잘 훈련되고 잘 무장된 정규군을 민간인과 이탈한 병사로 이루어진 반군이 이길 수는 없었다. 반군은 계속 몰리고 있었고 지상전은 교착상태였다. 그러다가 내전이 시작된 지 6개월이 지난 8월 20일 트리폴리에서 민중들의 무장봉기가 일어나 8월 22일 수도의 80%를 장악하자 반군들은 트리폴리에 무혈 입성하였다.

“8월 20일 일몰 후 신도들이 단식을 끝내자 많은 교외에서 모스크가 울린 경종에 반응하였지만, (트리폴리 교외인-인용자) 줌마Suq al-Juma 지역의 봉기의 조직과 규모가 제일 컸다. 몇 분도 안지나 전 지역이 낡은 냉장고나 불타버린 차량들, 전쟁의 잔해들로 바리케이드를 만들고 입구에 무장한 사람들을 배치했다. 트럭들이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집에서 만든 화염병과 젤라틴이라고 부르는 수류탄을 나누어줬고, 늦은 밤에는 6개월 전에 한 자루에 3,000디나르를 주고 샀던 총을 나눠줬다. 미리 작성한 블랙리스트에 따라 자경단이 100여명의 정권의 앞잡이 즉 정보원들의 집에 쳐들어가 무장을 해제하고 끌고 갔다.”37)

“나토가 트리폴리의 함락에 완전히 놀랐다는 사실은 이것을 상상도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패트릭 커크번이 보고하였듯이 ‘심지어 반군 지휘관들도 놀랐었다. 카다피 지지자들로 득실거릴 것으로 생각했던 아부 살림Abu Salim과 같은 지역에서도 전투는 거의 없었다. 지방 은행의 은행원인 칼리드는 저격용 총을 들고 말했다. 우리는 그들이 강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전투는 두어 시간도 안 걸렸지요.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 순간에 편을 바꾸었지요.’ … ‘전에 병사였던 어떤 사람은 나토의 비행기가 끊임없이 친카다피 방어지를 공격할 때 나푸사 산Nafusa Mountain에서 반군의 공격 즉 자위야의 봉기에 직면하여 후퇴명령을 받았을 때, 어떻게 그가 탱크를 버렸는지 말했다. 게임은 끝났고 탱크 안에서 불에 타기를 기다릴 만한 장소도 없다고 간단히 결정하고 옷을 벗고 도망쳤다.’ ‘트리폴리 안의 정권의 지지자들도 끝나버린 명분을 위해 죽을 이유가 없다고 간단히 결론지었다. 줌마 지역을 책임졌던 이슬람주의자이고 트럭 소유자인 이삼Issam은 그의 동료들은 처음에는 무기도 거의 없었지만, 친카다피 사람들을 집집마다 찾아다니면서 무기를 넘기고 집에 있어라고 당부하여 무기를 갖게 됐는데 아무도 거절하지 않았다. 아부 살림의 칼리드는 초여름에 카다피가 미스라타를 장악하는데 실패하고 나토가 폭격을 강화하자 전쟁은 끝났다고 생각했다. 그 후 카다피측은 후퇴하였고 누가 최종 승리자를 선택하는 것은 쉬운 일이었다고 말했다.’ 마지막 순간에 정권은 마치 사상누각처럼 무너졌다. 트리폴리 방위군은 카다피의 병사들이 이미 잃어버린 대의를 위해서 싸우고 죽어야 할 이유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무너졌다.”38)

이처럼 카다피군은 반군의 전투나 나토의 공습에 의해서가 아니라 내부의 사기저하에 의해서 무너졌고, 트리폴리의 봉기에서 보듯 민중의 힘에 의해 쫓겨났다.

 

2-3-6. 항쟁의 쟁점들

내전으로 발전한 이유-

리비아 민중이 항쟁에 나선 이유도 다른 아랍 국가들과 비슷하다. 42년에 걸친 장기독재와 지독한 부패와 억압,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인한 생활고와 절망적인 실업 등등. 문제는 왜 다른 나라와는 달리 내전으로 발전되었고, 서방 제국주의국들의 개입전쟁으로 확대되었는가이다. 혹자는 허구화된 자마히리야 체제와 카다피의 비정상적인 억압 때문에 군대가 정권과 시위대를 중재할 위치에 있지 않았다고 말한다. 즉 국가와 정권의 차이에 대한 의식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혹은 체제의 충성파들이 제도라기보다는 개인적으로 카다피에게 포섭되어 있었기 때문에 즉 자기 집단의 수호자로서의 카다피가 아니라 한 개인의 상전으로서의 카다피였기 때문에 카다피를 버릴 수 없었다는 것이다. 혹은 카다피가 그동안 보여준 무자비한 억압과 보복이 사생결단으로 나아가게 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무장반란은 필연적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39) 그러나 사생결단의 투쟁이나 무장을 동반한 투쟁이 반드시 군사력과 군사력간의 대결인 내전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하여 필자는 회의적이다.

 

튀니지에서도 지방도시에서 시위가 시작되었을 때 경찰의 발포가 있었고, 시위대는 돌과 화염병 그리고 바리케이드로 저항하였다. 탈라 전투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싸움은 어쨌든 시민과 경찰 혹은 공권력과의 싸움이다. 1980년 광주의 시민군이 아무리 무기를 들어도 그것은 정권에 대한 항쟁이었지 내란은 아니었다. 그런데 리비아에서는 2월 20일 시위가 수도에 도착하기 이전에 이미 벵가지를 비롯한 동부지역에서 방화와 군부대의 이탈과 그로 인한 적극적인 무장으로 소요수준을 넘는 상태에 있었다. 그들은 탈취한 탱크 위에 올라가 구 왕정의 3색기를 흔들었다. 이러한 행동은 4.19혁명 때 반정부 시위대가 독재자 퇴진이나 이승만 타도에 멈추지 않고 북한의 인공기를 흔드는 것과 비슷한 행위인 것이다.

정권의 부정과 체제의 부정 그리고 국가의 부정은 성격이 다르다. 체제의 부정이 혁명이라면 국가의 부정은 내란인 것이다. 영국 제국주의의 꼭두각시였던 구 왕정의 복귀는 대다수 리비아인의 정서나 의식에 부응한 것이 아니었고 결코 바람직하지도 않았다. 3색기는 카다피로 하여금 외부의 사주에 의한 내란이라고 비난할 수 있는 명분을 주었고, 군대를 사용할 명분을 줄 수 있었다. 순수한 내전일 경우 외국은 개입할 권리가 없다. 이런 점에서 보면 분노한 벵가지의 대중들이 군부대를 공격하여 무장을 한 것은 당연하지만 3색기를 흔든 것은 실로 잘못된 일이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15-35세의 청년들이었다. 42년에 걸친 카다피 집권 동안 이들은 태어나기도 전에 사용되었던 3색기를 본 적도 없고 향수도 없었다. 바로 이 점이 미스터리이다.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3색기를 흔들었고 결국은 대부분의 대중이 반카다피의 상징으로서 흔들게 되었지만 이것은 실로 잘못된 일이었다.

역사는 되돌릴 수 없는 것이지만, 혁명은 수도에서 결판이 나는 것이다. 만약 수도에서 광범한 대중의 진출로 저항이 시작되었다면 설령 카다피가 무차별 사격으로 잔인한 진압을 시도하고 대중도 무장하여 싸웠다면 그것은 반란이 아니라 항쟁이었을 것이고, 제국주의의 개입없이 카다피를 타도할 수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지방도시가 아닌 수도는 폭격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총으로 시가전을 하더라도 시위대와 일반시민에 대해 중무장한 군사작전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카다피의 무장대가 아무리 총질을 하더라도 벵가지나 바이다나 미스라타에서 보는 것처럼 대중들이 폭발하면 공권력을 몰아내고 스스로를 해방시킬 수 있다. 이것은 8월 20일 트리폴리의 봉기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불과 2-3일도 안되어 동부 전역을 포함한 폭발적인 대중항쟁의 시기에 리비아 인민들은 무엇을 해야 했을까? 각 지역 세력의 연결․연합과 수도로의 집중 그리고 항쟁의 중심을 만드는 것이었다. 공권력을 몰아내거나 무력화시킨 공간에서는 파리코뮌이나 소비에트처럼 자발적인 대중의 투쟁조직과 자치조직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런 자생적인 대중의 투쟁체가 서로 연대하여 항쟁의 중심부나 지도부를 만들고 카다피를 몰아내었어야 했을 것이다.40) 그 중심부는 임시정부를 자칭할 것이 아니라 이집트에서 보았듯이 혁명방어위원회나 민중위원회 혹은 카다피퇴진운동본부 정도면 충분했다. 임시정부를 자칭하는 순간 내전이 된다는 것을 법무장관이나 내무장관은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내전으로 인정되는 순간 카다피에게 군대와 중화기를 사용할 명분을 주게 된다는 것도 잘 알고 있었다. 일반 민중은 오직 카다피의 퇴진만 바라고 투쟁하고 있을 때 NTC는 카다피의 유혈진압을 유도하여 제국주의자들이 개입할 명분을 주기 위해 유일합법정부를 자칭하면서 나토의 충실한 도구가 되었던 것이다.

카다피에 대한 반정부 시위가 피크에 달했던 2월 23일의 바로 다음날인 “2월 24일 반정부 정치인, 이탈한 군 간부, 부족 지도자, 학자, 경제인들은 바이다에서 회합을 가졌다. 며칠 전 정부에서 사임한 잘릴이 의장이 된 이 회의에서 대표자들은 리비아 국가의 통일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트리폴리를 수도로 삼는다고 말했다. 그들은 리비아에 대한 유엔 개입을 요청할 많은 대표자들로 이루어진 과도정부에 대한 제안을 토의하였다. 회의장에는 구왕정의 깃발이 놓여 있었다. … 대체정부를 구성하려는 노력은 유엔주재 리비아 대사의 지지를 받았다. 부대사 다바쉬도 원칙상 새로운 대체정부를 지지한다고 말했다”41) 그리고 2월 27일 임시정부의 구성원을 발표하고 3월 2일 공식 출범하였다.

“벵가지의 NTC는 나토의 개입을 촉구하였다.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모든 혁명적 봉기에서 제국주의자들은 개입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제 그들은 상황에 개입할 기회가 왔다는 것을 알아 차렸다. 미국과 프랑스, 영국은 NTC와의 접촉에 들어갔고, 그들은 카다피 정권의 부르주아적 분자들과 전 장관들의 연합체였다. 이러한 행동은 완전히 반동적인 이 조직의 성격을 보여준다. 하지만 NTC의 역할을 과장하거나 완전한 통제권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면 잘못이다. NTC는 그들을 초기에는 의심스럽고 적대적으로 간주했던 반군세력에 대한 어떠한 장악력도 없다. 이것은 지난 3월 영국의 첩보부대가 NTC의 지도자들과 접촉하기 위해 벵가지로 들어가려다가 반군에 의해 체포된 사실에 의해서도 알 수 있다. 반군의 태도를 바꾼 것은 카다피의 끝장 공격이라는 즉각적인 위협이었다. 카다피의 아들 사이프는 항쟁의 초반 ‘리비아는 튀니지나 이집트가 아니다. 거리는 피로 물들 것이다’고 말했다. 카다피 자신도 집집마다 골목마다 반군을 쥐새끼처럼 쫓을 것이라고 말했던 것이다. 카다피의 연설로 인한 학살의 두려움 때문에 대중들과 처음에는 반대했던 사람들도 NTC가 요청한 제국주의의 무장개입에 반응을 보이게 된 것이다.”42)

이처럼 NTC는 리비아 민중이 주도하는 혁명이 아니라 잘릴을 비롯한 카다피 정권의 낡은 지배계급들이 그 출발부터 제국주의자들의 개입을 애원하기 위해 그리하여 민중이 주도하는 혁명을 낡은 지배계급이 주도하는 더러운 거래가 되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다.

지난 10월 제국주의 세력의 적극적인 공습과 개입으로 카다피가 무너지기는 했지만, 3월 중순 카다피군의 벵가지 진격에서 보는 것처럼 제국주의 세력의 도움이 없었다면 무장반란은 한 달도 못되어 진압당할 운명에 있었다. 모름지기 현대 국가에서는 혹은 아무리 무도한 학살정권이라고 하더라도 군사력과 시민의 무장력 간에는 뛰어남을 수 없는 비대칭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군대가 개입할 명분을 안주고 중립화시키고 민중의 편으로 끌어당기려는 고려 즉 목적과 수단의 정당성을 확보하면서 광범한 대중의 지지와 참여로 권력을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튀니지나 이집트의 군대가 중립을 지킨다든지, 카다피의 군대가 와해되고 패배한 것은 혹은 보안대나 군대가 총을 버리고 도망가는 것은 대중의 무장력이 그들을 군사력으로 압도했기 때문이 아니다. 공권력이란 최종적으로 민중의 투쟁이 갖는 압도적인 정당성 앞에서 무너지는 것이다.43) 현대국가의 공권력은 무장력으로 우월을 다투는 내전이 아니라 대중의 투쟁과 분노가 갖는 압도적인 정당성으로 무장한 혁명으로 무너지는 것이다.44)

NTC는 민중의 편에선 정의의 투쟁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제국주의자들이 개입할 여건을 만들어주기 위해 임시정부를 자칭하고 온갖 조작질을 일삼았던 것이다. 진정 NTC와 나토가 피바다를 두려워하고 피하려고 하였다면 카다피가 진지하게 정전과 중재를 제안했을 때 받아들였으면 된다. 하지만 혼자 힘으로는 도저히 이길 수 없음에도 제국주의에 기대기 위해서 휴전을 거부했던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항쟁은 기회주의 세력들에 의해 첫 단추가 잘못 꿰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잘못이 끝내 제국주의의 개입으로까지 발전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리비아 민중의 투쟁이 항쟁이 아니라 내전이 되게 한 가장 큰 과오는 NTC가 유일합법정부를 자칭한 것과 3색기를 흔든데서 연유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오 때문에 군사력으로 대결하는 내전이 되었던 것이고 잘 짜여진 각본처럼 제국주의의 개입전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제국주의자들의 개입 이유-

왜 알자지라와 서방 언론과 제국주의자들은 이런 악선동을 조작해내었던 것일까? 서방이 왜 개입하였는가에 대하여는 많은 사람들이 석유이권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카다피도 석유이권은 충분히 보장하여 주었기 때문에 사실 서방 제국주의자들과 독점자본은 카다피 체제에 대하여 전혀 불만이 없었다. 아프리카인들의 불법이민에 대해서도 카다피는 철저하게 이탈리아와 EU를 만족시켜 왔다. 튀니지와 이집트 등에서 친제국주의적이 아닌 자주적 정부 혹은 민중의 눈치를 보아야 하기 때문에 노골적으로 제국주의를 편들 수 없는 정부가 들어설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리비아만이라도 서방 특히 미국의 군사동맹으로 만들거나 군사기지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45) 또한 카다피를 지원하여 이 지역에서 반미나 반제 감정을 악화시키는 것보다는 분노의 표적을 버림으로써 친서방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훨씬 더 나은 선택이기 때문에, 그리고 카다피는 언제든지 중국이나 인도, 소련 등과도 거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과 서방은 석유와 군사적 영향력의 배타적 확보를 위해, 바레인이나 예멘의 학살에는 눈을 감으면서도 ‘인도주의적 개입’46)을 운운하며 또 다른 꼭두각시 정권의 창출에 나선 것이다.47)

제국주의자들은 벤 알리와 무바라크의 몰락으로 중동의 질서가 흔들리고 있을 때 개입할 수 없었다. 패권이 흔들릴 때 반드시 무력을 시위해야만 하는 제국주의자들은 카다피를 버리기로 하고 그를 제물로 삼았지만 주권국가 내의 항쟁에 개입하는 데에는 명분이 필요했다. 지상전이 부담스러우니까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목표로, ‘비행기를 동원한 공중공격’과 ‘아프리카 용병을 나르는 비행기’가 필요했던 것이다. 잘 짜여진 각본처럼 2월 21일 유엔 부대사는 용병을 나르는 비행기와 집단학살을 운운하며 비행금지구역의 설정을 주장하고, 알자지라는 전투기에 의해 트리폴리가 피바다가 되고 있는 것처럼 보도했다. 잘릴 또한 시민에 대한 과도한 폭력을 운운하고 재빠르게 과도국가위원회를 만들어 피바다가 될 것이라면서 국제사회의 개입을 호소하였던 것이다. 전 세계를 상대로 벌인 이번 조작극은 인류 역사상 최대의 사기극이라고 해야 마땅하다.

 

제국주의 개입을 둘러싼 좌파의 분열-

제국주의의 군사개입이 시도되고 있을 때 많은 논쟁들이 벌어졌다. 전투기까지 동원하여 민중을 학살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방의 군사개입은 필요하다는 주장과, 제국주의의 군사개입은 또 다른 예속과 비극을 낳을 것이기 때문에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있었다. 어떤 좌파들은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필요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고, 어떤 좌파는 비행금지구역이 아니라 ‘리비아 인민을 무장시켜라’는 구호를 내세우기도 하였다.48)

“리비아에 대한 국제적인 군사개입은 특히 좌파진영을 둘로 분열시켰다. 개입찬성론자들은 이러한 개입이 없다면 봉기가 궤멸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개입반대론자들은 이러한 개입을 이라크 전쟁과 똑같은 군사적 공격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분열의 한 가운데에는 독재에 반대하는 인민의 혁명을 지지한다는 것과 서방의 위선을 비방하는 반제국주의적 입장 사이의 명백한 모순이 있다. 나는 한사람의 리비아인으로서 인민의 혁명을 위한 것이라고 선언하는 것과 그것(인민의 혁명-인용자 삽입)을 지탱해 온 개입에 반대하는 것에서 어떤 논리도 찾을 수 없다. … 개입반대론자들이 가장 즐겨 드는 것은 서방측의 두 개의 잣대에서 보이는 위선이다. 똑같이 살인적 폭력에 시달리고 있는 예멘이나 바레인이 아니라 왜 리비아냐는 것이다. … 리비아 인민들이 자신들의 역사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무시하고 있다는 개입찬성론자들에 대한 비난은, 개입에 대한 반대를 위해 리비아 시민들에게 카다피가 저지른 죄악을 간과하거나 최소화하여 어떠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입장을 정당화하려는 개입반대론자들에 의해 악화되고 있다. … 우리는 새로 태어난 혁명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혁명은 지구상에서 깨끗이 청소될 운명에 있기 때문이다. …‘외국간섭 반대, 리비아 인민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벵가지에 걸려있는 현수막에는 외국개입 반대는 전면적인 지상군과 리비아 점령을 반대한다는 의미에서 비행금지구역과 국제공동체로부터의 지원 요청이 함께 있었다.49) … 리비아 사람들이 보다나은 미래를 위해 서방의 개입을 받아들이기보다 최근까지 서방에 의해 옹호되었던 야만적인 체제에 의해 그들의 순수한 혁명이 박살이 나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생각은 망각이 심한 것 같다. 몇몇 좌파들은 서방은 그들 자신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많은 서방국가들이 카다피 체제를 도와왔다고 지적한다. 명백하게 그들의 사악한 이해관계는 개입과 함께 마법처럼 나타난 것이 아니고 그것들은 개입 후에도 마법처럼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개입에 의하여 이들 국가들은 그들 자신의 전략적 이해관계들 속에서 행동하고 있고, 새로운 거래를 하고 있지만 진실은 많은 서방 정부들이 쉽게 다른 길을 찾을 수 있었고, 카다피와의 거래를 통해 계속 이득을 볼 수 있었다는 점이다. … 혁명을 망치는 것은 분열이고, 리비아에 대한 (외국의) 개입은 ‘아랍의 봄’을 망칠 수 있다는 관념 속에 나타나고 있는 바로 그 언사가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 이 언사는 다음 문제를 회피하고 있다. 만약에 카다피가 리비아의 봉기를 짓밟는데 성공한다면 그것은 아랍의 봄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까? 보다 더 큰 자유를 위한 그들 인민의 커져가는 요구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고 있는 아랍의 독재자들은 카다피의 미친 행동 속에서 몇 가지 방법을 찾을 것이다. … 아무도 미래를 예측할 수 없지만, 만약 포스트 카다피에 대한 걱정이 중요하다면, 그것은 42년간에 걸친 억압적이고 권위적인 체제 후의 민주적인 사회를 건설하는 길고도 어려운 과정일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나약한 사람들의 노력을 지지하는 것을 반대하는 주장이어서는 안 된다.”50)

결국 이 주장의 요지는 서방 제국주의자들은 그들의 사악한 이익에 따라 개입하는 것이 분명하지만, 그리고 과거에도 그래왔고 미래에도 그러할 것이지만, 당장 인민의 혁명이 카다피에 의해 짓밟힌다면 그 결과는 어떤 선택보다 참혹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혁명의 궤멸을 막을 수 있는 국제사회의의 개입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비록 그 개입이 비행금지구역의 설정에 멈추지 않고 공습으로까지 이어졌지만 이것은 카다피를 저지하기 위해 개입한 이상 필연적인 수순이었다. 카다피 체제는 결코 반제국주의적 입장에 충실한 무슨 진보적인 사회가 아니라 참으로 악랄하고 잔인한 체제였다. 그 체제는 동정할 가치도 없다. 그러나 그 때문에 개입을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결국 타스님 퀴테트Tasnim Qutait의 주장은 일국의 혁명이 제국주의에 의해 간섭받지 않아야 한다는 이상은 봉기에 나선 인민이 학살당하는 현실 앞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혁명이 압살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당위 앞에 무릎을 꿇어야 된다는 것이다. 제국주의의 개입없이 혹은 프랑스와 미국의 무자비한 공습이 없었다면 반군은 결코 승리할 수 없었고 궤멸되고 보복을 당했을 것임은 분명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엔결의안을 빙자한 ‘인도주의적 개입’은 날조된 이유에 기반한 것이고, 그 날조마저도 내전인 이상 결의안을 통과시킬 명분이 못되는 것이지만, 설령 서방 언론이 퍼뜨린 카다피의 학살만행이 사실이고, 현지의 리비아인들이 집단학살의 두려움을 느꼈다고 할지라도, 제국주의자의 개입을 요청하고 지지할 수는 없는 것이다. 혁명은 이길 수도 있고 질 수도 있다. 하지만 혁명이란 민중들이 외세의 힘을 빌어서가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해야 하는 것이다. 카다피가 아무리 악랄하고 무자비하다고 하여도 지구상의 어떤 민중도 학살을 그냥 당하고만 있지 않는다. 민중은 창조적인 지혜와 단결된 힘으로 끝내는 극복할 수 있다. 비록 NTC가 민중이 주도하는 혁명을 낡은 지배계급이 주도하는 내전으로 그 성격을 바꿔버렸지만, 총 지상군이 2만 5천명인 나라에서 이미 상당수의 군대가 이탈하여 민중이 무장을 한 상태에서 분산되고 고립되지만 않는다면 트리폴리 봉기에서 보듯 풀뿌리 대중에 기반한 혁명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이처럼 혁명이 위기에 처했을 때 좌파가 해야 할 일은 카다피의 악랄한 심성을 걱정하여 제국주의의 개입을 지지할 것인가 말 것인가로 논쟁할 것이 아니라, 카다피의 충성파보다 압도적인 대중에 기반한 투쟁을 만들기 위해 총을 들고 리비아 민중들과 함께 싸우는 것이다. 퀴테트가 제기한 지적은 어려운 문제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대중노선의 관점이 결여되어 있다. 만약 잔인한 학살자 때문에 제국주의의 개입이 없어서는 안된다면 수천 명이 학살당하고 있는 시리아나 예멘의 대중은 스스로의 힘으로 해방될 수 없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국지적인 학살은 대중을 겁주고 잠재울 수 있을지 몰라도 수도에 집중한 수만 명의 대중은 학살과 총질을 넘어설 수 있다.

 

2-3-7. 항쟁의 각 세력과 전망과 과제

친카다피 세력-

앞서 자마히리야 체제의 분석에서 본 것처럼 카다피는 공식적인 자마히리야 체제를 허구화하고 혁명위원회를 통하여 전 사회를 감시하고 통제했다. 카다피는 모든 정치적 불만층이나 반대자를 압살했지만 사회적 제도화의 수준이 낮기 때문에 사회적 안정을 위해 부족적 지지기반이 필요했다.

“카다피는 종족들을 대립시켜 어부지리를 얻고자 했고, 부족적 충성심을 사고자 했다. 카다피의 부족인 카다파Qadadfa는 10만 명 정도로 상대적으로 소수이고 주로 시르테Sirte에 기반이 있다. 자기 부족의 유약함 때문에 카다피는 자기 부족과 중서부의 샤트Wadi Al-Shatt에 기반한 마가라Magarha 부족과 주된 기반이 왈리드Bani Walid이지만 전국에 흩어져 있는 100만 명이 넘는 와르펠라Werfella, Warfalla 부족과 동맹을 맺었다. 카다피는 전통적으로 자신의 보안 세력을 정권에 필수적이고 끝까지 충성할 것으로 여긴 이 두 부족에서 뽑았다.”51) 그리고 이들 부족과 부족의 원로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었다. 결국 카다피는 특정 부족과 부족의 원로들 그리고 각지의 혁명위원회 소속의 멤버들을 친카다피 세력으로 육성하였다.

그러나 2월 20일 반정부 시위가 전국적으로 번지자 “‘자유 리비아 네트워크Network of Free Ulema – Libya’로 잘 알려진 이슬람 원로들과 성직자들은 모든 무슬림은 카다피와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와르팔라, 투아레그Tuareg, 마가라 부족은 시위에 대한 지지를 천명했고, 동부의 주와야Zuwayya 부족은 보안대가 시위대를 계속 공격한다면 석유수출을 끊겠다고 위협했다.”52) 결국 분열과 특혜로 얻은 카다피의 부족 동맹 전략은 거대한 민중의 저항 앞에 무너졌다고 할 수 있다.

 

동부의 전통과 이슬람주의자들-

“리비아는 원래 서부의 트리폴리와 동부의 시레나이카 그리고 남부의 페잔Fezzan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1950년대에 처음으로 하나의 국가로 통합되었다. 그리고 그들의 지향이나 정체성은 서로 달랐다. 동부는 보다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지향을 갖는 이슬람주의가 강력한 곳이었다. 사누시Sanussi적인 질서가 만들어지고 번성한 곳도 동부였다. 사누시는 예언자들의 선조와 초기 이슬람 시대를 사회적 모델로 삼는 종교적 부흥의 요소와 수피Sufi 이슬람전통의 심원한 가르침을 결합시키려는 부흥운동이었다. … 사누시는 19세기 말 시레나이카에서 지배적인 종교적 정치적 세력이 되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동부는 다양한 이슬람주의 반대파 운동들-온건파인 무슬림형제단의 지부인 Libyan Islamic Group53)이나 전투적 지하드 조직인 LIFG : Libyan Islamic Fighting Group54)- 참가자들의 저수지였다. 1996년 아부 살림 교도소에서 학살당한 사람들도 주로 동부 출신이었다. 최근에 풀려난 무슬림형제단이나 LIFG의 대부분은 동부로 돌아갔다. 이라크에서 싸운 사람들의 대부분도 동부출신(88명 중 60.2%가 데르나 출신이고 23%가 벵가지 출신이었다)이었고, 2003년 이후 전투적 경향성 때문에 구속된 젊은 사람의 대부분도 동부 출신이었다. … 1980년대 말 보안대는 전투적인 이슬람주의 소조직cell들을 적발하고 1989년에는 이슬람주의 용의자 수천 명을 일제 검거했다. 1990년대 중반 군사적 그룹이 반란을 일으킨 후 동부는 중무장한 보안대가 지키는 사실상의 보안구역이 되었다. 이러한 비극적인 역사가 카다피 정권이 반란에 대한 처벌로써 이 지역을 저개발 상태에 묶어 두려고 하고 북서부에만 투자를 집중하려고 한다는 동부인들의 믿음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55)

 

봉기의 배경과 리비아 민중-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혹자는 동부의 소외감과 이슬람주의적인 배경을 강조하기도 한다. 또한 카다피는 동부에서의 무장반란에 대하여 알카에다나 제국주의 세력들의 사주에 의한 것이라고 비난해 왔다. 그러나 지난 2월 벵가지의 시위가 동부에서만이 아니라 불과 3-4일 만에 리비아 전역으로 폭발적인 항쟁으로 발전한 것은 단순히 이슬람주의자나 외부세력의 선동만으로는 설명될 수가 없다. 거기에는 이미 카다피 체제에 대한 폭발 직전의 불만과 분노가 있었다고 해야 한다.

“리비아의 봉기에 기름을 끼얹진 불만은 중동이나 북아프리카에서는 친숙한 얘기다. 부패와 그릇된 처리와 결합된 수십 년에 걸친 정치적 억압과 권위주의는 광범위한 계층을 소외시켜 왔고 일단 불꽃이 튀자 인민들은 두려움을 잃고 일제히 도로를 장악하고 정권을 굴복시키려는 목표에 결합하였다. 시위대는 반카다피 슬로건을 외쳤다. ‘카다피가 아니라 알라를! 카다피는 알라의 적이다! 부패 타도, 부패한 자 타도! 꺼져라! 카다피는 지옥으로!’”56)

“북아프리카의 다른 불안정한 나라들과 비교되는 리비아 경제의 상대적 안정성에도 불고하고, 실업 그리고 다른 사회경제적 불만이 ‘2월 17일 혁명’을 추동했고, 전 리비아인들이 단결하여 투쟁하게 만들었다. 시위자와 반정부 지지자들은 부패와 실업 그리고 불평등이 봉기의 핵심적인 방아쇠였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국가는 부유하지만 인민은 가난하다. 왜냐 하면 카다피 치하에서 국가의 부는 그의 지지자들의 이익으로 분배되어 왔기 때문이다고 엠네스티에 말했다. 많은 사람들은 또한 석유로 얻는 부와 현저하게 대비되는 지방의 사회기반시설, 교육, 의료 서비스의 빈약한 현실을 지적했다.”57)

결국 극심한 실업난, 극심한 정치적 억압, 억눌려진 삶의 질이라는 사회경제적 처지가 항쟁의 배경인 것이지, 단순히 동부의 소외감이나 이슬람주의자들의 반란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바로 그 때문에 동부의 봉기세력은 서부를 비롯한 전 리비아 민중의 봉기를 호소했던 것이고, 미스라타와 트리폴리 자위야 등 전국에서 봉기에 나섰던 것이다.

 

리비아 항쟁의 주체는 누구였을까? 벵가지를 비롯한 동부지역에서 시위에 나서고 투쟁에 앞장 선 것은 리비아 민중들이다. 8개월이 넘는 내전에서 카다피의 정규군과 일선에서 싸운 사람들도 바로 그들이다. 반군이 진격하기 전에 스스로를 해방시킨 자위야나 트리폴리의 무장봉기도 리비아 민중들이 일으킨 것이다. 토부룩에서 항구와 지역은행과 석유 저장소를 지고 시위대를 지원한 자원자들이나, 전사들을 위해 매일 8,000개의 피자를 공급한 미스라타의 시민들도 카다피를 죽기보다 싫어하는 민중이다.58)

 

반군과 자경단-

“반군들은 주로 시민들 즉 교사, 학생, 법률가, 석유 노동자 그리고 리비아 군대에서 이탈하여 반군에 합류한 직업군인들의 파견대로 이루어져 있다.”59)

“그들은 일자리가 없거나 임시직이었고 대부분 결혼하지 않았다. 8남 4녀의 형제가 있는 모하메드(32)는 ‘우리는 남부에서 온 부족인데, 혁명을 위해 싸운다. 우리는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4명의 형제와 3명의 어머니가 있는 마부룩(28)은 ‘나는 돈도 없고 아내도 없다. 우리는 결혼하기 위해 돈이 필요하지만 할 수 있는 게 아무 것도 없다. 돈을 빌릴 수도 없고 일자리도 없다.’”60)

이처럼 카다피와 싸운 반군 전투원들은 대부분 일반 시민들이고 체제에 절망한 젊은이들이었다. 그들은 지역적 혹은 부족적으로 구성된 부대에 결합하고 여기에 군사경험이 있는 군 이탈자들이 합류했다. 또한 반군 부대들 가운데는 초기에 벵가지에서 만들어진 ‘2월 17일 순교자 여단17 February Martyrs’ Brigade’61)과 같은 부대도 있고, 주로 아부살림 교도소 수감자 출신으로 이루어진 ‘자라 여단Obaida Ibn Jarrah Brigade’과 같은 이슬람주의자들의 부대도 있다. 2월 16일 데르나의 무장은 이슬람주의자들이 선동한 것으로 보이지만, 카다피가 이슬람조직들을 철저하게 억압했기 때문에 “반군 가운데에 알카에다의 흔적이 있기는 하지만, 의미있는 알카에다나 테러리스트의 존재가 있다고 확신할만한 충분한 정보가 없다”는 나토 사령관이 밝힌 정보보고서62)처럼 시위대나 반군 전체에 있어서 (전투적인) 이슬람주의자들의 비중은 크지는 않은 것 같다.

또한 반군이 장악한 다른 지역들도 마찬가지지만 벵가지에도 주로 이탈한 경찰과 보안대로 구성된 수십 개의 자경단이 있다. 이들이 중화기로 무장한 픽업 트럭을 몰고 다니면서 혁명을 전복한다는 이유로 카다피 충성파나 무고한 흑인들을 색출하여 ‘카다피의 개’나 ‘용병’으로 비난하면서 살인행위와 사적 린치와 약탈을 저지르고 있다는 수많은 보고가 있다.63) 이들의 사적 테러는 이승만의 졸개였던 서북청년단과 비슷하다.

 

전망과 과제-

이제 카다피는 제국주의 국가들의 개입으로 몰락하였다. NTC는 8개월 후에 민주정부 수립 구상을 밝혔다. 카다피 치하에서는 대중운동이나 사회운동 세력이 성장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온갖 기회주의적이고 반동적인 세력이 NTC와 반군의 상층부를 장악하고 있다. 제국주의의 개입을 애원하기 위해 혹은 개입의 명분을 위해 만들어진 NTC는 애당초 반군의 지도체가 아니라 대외 접촉부 정도의 위상이었다. 2월 24일 바이다에서의 첫 모임에 합류한 반정부 정치인, 이탈한 군 간부, 부족 지도자, 학자, 경제인들에서 보는 것처럼 이들의 기본적 성격은 친제국주의적이고 기회주의적인 낡은 지배계급이다. 또한 카다피에게 억압을 당했든 혹은 혜택을 받았든지 간에 본질적으로 이해관계로 다투는 낡은 세력들인 부족 원로들이 있다.64) 그리고 자경단들의 횡포에서 보는 것처럼 경찰이나 보안대 출신의 기회주의적인 세력이 있다. 한편 기본적으로 반제국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이지만 보수적이고 여성에 대해 억압적인 이슬람주의 세력과 보다 정의롭고 더 나은 삶을 원하는 민중이 있다.65)

따라서 NTC의 상층부는 제국주의자들으로 도움으로 주도권을 장악하겠지만 이들의 친제국주의적 성격은 이슬람주의자들이나 민중의 바램과는 충돌할 수밖에 없다. 모든 세력이 합의할 수 있는 것은 다당제 민주주의와 여성에게 억압적이지 않고 타 종파에게 관용적인 세속주의 정도이다. 리비아 민중들이 무엇보다 바라는 것은 부의 공정한 분배와 일자리 그리고 보다나은 삶이다. NTC는 이러한 바램을 배반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갈등은 계속될 것이다.

대중의 자발성과 투쟁성이 한껏 고양되던 2월 하순 조금만 더 밀어 붙였으면 카다피를 몰아 낼 수 있었을 텐데도, 민중이 주도하는 혁명을 두려워한 제국주의와 기회주의 세력들이 이 혁명을 왜곡하고자 온갖 모략질과 황색선동을 일삼으면서 혁명이 아닌 내전으로 성격을 바꾼 뒤 끝내 제국주의의 개입전쟁으로 발전시켰다. 리비아 내전의 승자는 리비아 민중이 아니라 제국주의자와 기회주의 세력들이다. 결국 리비아 혁명은 낡은 지배계급과 제국주의 세력에 의해 강간당하고 타락한 혁명이 되어 버렸다.  리비아 민중은 이들 기회주의적 친제국주의 반동세력과 싸워 진정으로 자주적이고 민주적이고 민중적인 사회를 건설할 과제가 남아있다. 하지만 그 과제는 요원한 듯하다.

 


1) 홍성민, “리비아 경제의 특성과 21세기 석유의 역할”, 『한국중동학회논총』, 한국중동학회, 2006.


2)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Libya


3) International Crisis Group, Popular Protest in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V): Making Sense of Libya, (North Africa Report N°107, 6 June 2011) p. 15.


4) 위키리크스에는 페트로-캐나다가 30년간의 석유채굴권을 얻은 대가로 카다피 일당에게 10억 달러를 주기로 한 사실이 폭로되기도 했다.-John Riddell, “How Can We Aid Libya’s Freedom Movement?” at http://www.socialistvoice.ca/?p=1443 (February 28, 2011)에서 재인용


5) 리비아의 GDP는 1998-2009년 사이에 273억 달러에서 932억 달러로 3.4배 증가했지만, 제15호 법률에 의해서 공공부문 급여는 1981년 이후 30년 동안 동결되어 교사나 의사도 생계가 어려워서 two job을 해야만 했다.-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p. 1-2.


6) 김하영, 앞의 책, pp.148-158.


7)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


8) Muammar Al-Qaddafi, The Green Book, (Tripoli, undated), pp. 7-8.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7에서 재인용.


9) 자마히리야 체제는 빈사상태에 있었다. “예를 들어 2011년에는 유니스Gar Younis 기초인민회의의 연례회의에는 두 사람이 참석했고, 카라와르샤Al-Qarawarsha 연례회의에는 몇 사람만 참석했다. 이러한 양상은 전국적으로 비슷했다. 대부분의 리비아인들이 이러한 포럼들이 일상생활과 거의 관계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무관심은 놀랄만한 일이 못된다. 카라와르샤 부서기가 설명한 것처럼 그들의 결정은 집행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은 회의 참석에 아무런 관심이 없다. 1980년대 이래 매년 카라와르샤 인민회의는 이 지역에 대한 제한된 공급 때문에 일반인들이 이용가능한 식수를 만들기로 결정했지만 지금까지 아무런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op. cit., p. 9.


10) “1976년 카다피는 기초인민위원회를 도입하고 … 인민회의들과 인민위원회 안에 또 다른 정치권력기구인 혁명위원회를 설립한다. … 혁명위원회의 우두머리들은 경영자들과 고급관료들이었고, 카다피는 여기에 믿을만한 젊은 간부들을 포함시켰다. 혁명위원회들은 공장, 사무실, 학교, 대학, 도시지구, 군대 내 곳곳에 있었고, 거기서 정치경찰 노릇을 했다.”-김하영, “리비아혁명, 어떻게 볼 것인가?”,『마르크스21』, 책갈피, (2011년 봄), p. 152.


11)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p. 7-9.


12) “2006년 2월 17일 벵가지에서 정치변화를 요구한 것이 아니라 단지 유럽에서 인쇄된 선지자 무하마드의 만화에 분노를 표시하는 시위가 일어나자 보안대는 12명을 죽였다. 2007년 트리폴리에서 10여명의 활동가들이 이 비극적인 사건을 기념하기 위하여 평화적 시위를 계획하였다가, ‘정치체제를 전복하려고 시도하고, 리비아 정권에 대한 헛소문을 퍼뜨리고, 적들과 교류하였다’는 죄목으로 6-25년의 징역형에 처해졌다.”-Amnesty International, “The battle for Libya : Killings, disappearances and torture”, (September 2011. Index: MDE 19/025/2011) p. 13. at http://www.amnesty.org/en/library/asset/MDE19/025/2011/en/8f2e1c49-8f43-46d3-917d-383c17d36377/mde190252011en.pdf


13) 테르빌은 다음날 석방되었고, 이슬람주의자 수감자들 110명도 함께 석방되었다.-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3.


14) “카다피 정권은 2월 18일부터 페이북과 트위터의 접속을 봉쇄하고 뒤이어 인터넷 접속을 방해했다. 2월 3주째엔 전화통신도 극심하게 방해했다. 트리폴리와 카다피 장악지역에서는 당국이 대화를 감시하는 위성전화를 이용할 수 있었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19.


15) Nahla Daoud, “Fear and Revolution in Libya” in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Perspectives, (#2 May 2011, Special Issue), pp. 209-210.


16) Alan Woods, “After the death of Gaddafi: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in Libya”, (21 October 2011) at http://www.marxist.com/gaddafi-dead-revolution-and-counter-revolution-in-libya.htm


17) 카티바 단지는 카다피 충성파들이 한 때 2,000명이 모여 살던 군부대가 있는 곳이다.


18) Wikipedia, “Libyan_Civil_War” at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 위키피디아의 자료는 심하게 오염되어 있다.


19) 이들은 용병이 아니라 포로가 된 리비아 정규군이었는데, 단지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용병으로 몰려 학살당했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71.


20) “카다피의 보안대는 두 번째 날부터 인민들에게 총을 쏘기 시작했고 두사람만 죽였다. 알 바이다에서 시위대는 300명 뿐이었다. 그들이 두 사람을 죽였을 때 장례식에는 5,000명이 모였고, 그들이 그 다음날 15명을 죽였을 때 우리는 그 다음날 50,000명 이상이 모였다. 이것은 카다피가 인민를 더 많이 죽이면 죽일수록 더 많은 인민이 거리로 나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5.


21) 유니스 소장은 내무장관을 겸하고 있는 서열 제2위의 실력자로 2월 20일부터 벵가지를 수습하려고 왔다가 2월 22일 “군대는 인민들의 정당한 요구에 응해야 한다”면서 반정부 시위대에 가담했다. 이후 반군 사령관으로 활동하다가 7월 29일 암살당했는데, NTC는 친카다피 측의 암살이라고 발표하고, 주위에서는 이슬람주의자들의 소행이라고 하였지만, 이미 7월 27일 NTC의 국방장관이 사전 상의나 권한도 없이 구속영장을 요청하여 무장호위대를 대동한 사령관인 유니스를 구금한 사실과, 유치장에서 사살된 점 그리고 유기된 시체에서 고문당한 흔적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국방장관을 비롯한 NTC의 내부에서 유니스를 제거하려는 음모가 있었던 것은 명백하다.


22) Wikipedia, “First_Battle_of_Benghazi” at http://en.wikipedia.org/wiki/First_Battle_of_Benghazi 


23)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4. 트리폴리에서도 2월 17일부터 시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미미했고, 2월 20일 녹색광장Green sqare을 둘러싼 공방전으로 비로소 의미있는 반정부시위가 폭발했다. 이날 보안대는 광장에 접근하는 시위대에 실탄을 쏘았다. 시위대는 경찰서와 인민의 전당 건물 일부를 불태웠다. 시위는 대략 2월 25일까지 진압되었다.-Wikipedia, “2011 Libyan civil war” at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 참조


24) 잘릴 역시 카티바 구출협상을 위해 벵가지에 왔다가 ‘카다피의 과도한 폭력의 사용’을 비난하면서 2월 21일 사임하고, NTC를 만들어 그 대표가 되었다.


25) “집단학살이란 주장은 2월 21일 다바쉬가 만든 것으로 그는 카다피 체제가 리비아에서 집단학살의 직전에 있는 것 같다고 AP 통신에 말했다. 그런데 AP는 지상에서 보안대의 시위대에 대한 총격을 보도하면서 주요 해변도로를 맴도는 헬리콥터와 밤에 트리폴리를 낮게 급강하하는 전투기의 위협효과에 대해서만 보도했다. 동부를 취재하고 돌아온 두 명의 언론인은 반군이 장악한 벵가지나 다른 도시에서 시위초기에 정권이 항공기를 사용할 것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국제위기그룹에 말했다.”-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5.


26) Aljazeera, “Live Blog - Libya” at http://blogs.aljazeera.net/middle-east/2011/02/17/live-blog-libya#feb17


27) Maximilian C. Forte, “A Victory for the Libyan People? : The Top Ten Myths in the War Against Libya”, (August 31, 2011) at http://www.counterpunch.org/2011/08/31/the-top-ten-myths-in-the-war-against-libya/


28) “3월 30일 뉴욕 타임즈는 수 주 동안 CIA 작업팀이 리비아 내부에서 활동하였고, 이것은 2월 중순 즉 시위가 시작된 때부터 거기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십 명의 영국 특수부대와 M16(영국 정보기관-인용자) 정보원들과 함께 작업하였다는 것을 보도하였다. NYT는 같은 기사에서 수 주 전에(2월 중순경) 오바마 대통령이 가능한 비밀공작을 위한 다른 지원과 함께 CIA가 리비아인들에게 무기와 다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첩보활동에 서명하였다고 보도하였다.”-ibid.


29) Aljazeera, op. cit.


30)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에서 재인용


31) Patrick Cockburn, “Amnesty questions claim that Gaddafi ordered rape as weapon of war”, (Friday, 24 June 2011) at http://www.independent.co.uk/news/world/africa/amnesty-questions-claim-that-gaddafi-ordered-rape-as-weapon-of-war-2302037.html


32) Maximilian C. Forte, op. cit.에서 재인용


33) “카다피는 그의 군대가 벵가지에 진입할 것이며, 저항하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관용도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리비아 반군들에게 경고했다. ‘더 이상 두려워하지 말고 더 이상 망설이지 마라 진실의 순간이 왔다’고 선언했다. 동시에 그는 벵가지 주민들에게 ‘군대는 도시의 모든 집들을 수색할 것이다. (그러나) 무기를 갖지 않은 인민들은 두려워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Guardian, “Libya crisis: Britain, France and US prepare for air strikes against Gaddafi”,  (2011.3.17.) at http://www.guardian.co.uk/world/2011/mar/17/libya-no-fly-zone-united-nations?INTCMP=SRCH


34) 3월 초부터 반격에 나선 카다피는 미스라타 등을 장악한 탱크와 로켓포로 중무장한 반군과의 전투에서 전투기와 탱크를 사용했다. 당시 카다피는 미스라타의 3면을 포위한 상황에서 시민들의 유일한 탈출구이자 생필품 획득 통로인 북쪽의 항구를 폭격하여 비인도적 처사라는 비난을 받았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34.


35) Patrick Cockburn, op. cit.에서 재인용.


36) 카다피는 모든 동네와 직장과 학교에 혁명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들을 충성파로 만들었다. 이들과 보안대(정보경찰 혹은 국내안보국:ISA, Internal Security Agency)가 분노의 표적이 되었고, 벵가지를 비롯하여 반군이 장악한 지역에서는 이들에 대한 납치와 살인이 엄청나게 벌어졌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p. 70-78.


37) Alan Woods, op. cit.


38) ibid.


39)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p. ⅰ-ⅱ.


40) 하지만 이러한 자생적인 투쟁조직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카다피의 악랄한 분할통치로 인하여 시민사회보다 부족적 질서가 강하게 작용한데다, 군사경험과 행정 경험이 있는 전직 군인이나 경찰이나 보안대 등 카다피 이탈파들이 반군에 대거 합류하여 골간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41)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Mustafa_Abdel-Jalil에서 재인용


42) Alan Woods, op. cit.


43) “2월 17일 벵가지에서 시위가 일어나자 비무장한 시위대에 발포하여 사망자와 부상자가 발생했다. 경찰들 대부분은 발포를 억제하고 일부는 시위대에 가담하였다. 보안대는 도망가거나 탈영하여 시위대에 가담했다. 일부는 그들의 총구를 군인들 쪽으로 돌렸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37.


44) 이점에서 일부 한국의 골방 사회주의자들 혹은 자칭 혁명가들이 무장봉기나 무력양성론을 운운하면서 혁명을 무력이나 폭력의 대립으로 보는 관점은 권력의 타도와 장악을 중심에 놓고 사고하는 맑스주의적 방법론과는 아무런 인연이 없다. 투쟁이 고양되고 격화되는 과정의 특수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무장 등의 특정 투쟁형태에 대한 집착은 이러한 형태로 발전하게 하는 힘과 조건에 대한 고려가 없는 사고방식으로, 본질의 우월성이 아닌 현상에 매몰되고, 내용의 우월성이 아닌 형식에 대한 집착으로 유물변증법적 사고방식과는 거리가 멀다.


45) “카다피는 199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최대의 다국적기업들이 리비아의 석유를 채굴하는 것을 환영해왔다. 전세계의 대부분의 석유생산지역에서보다 리비아에서 영업하는 거대석유회사가 더 많다. 여기에는 7년간 두 개의 채굴권과 1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BP가 있다. BP의 거대한 지역에 대한 채굴권은 하나는 쿠웨이트보다 크고 하나는 벨기에보다 크다. 여기에 미쓰비시와 니폰 석유를 포함한 일본의 5대 회사, 이탈리아의 Eni Gas, British Gas, 미국의 엑슨 모빌이 2010년 10월에 채굴계약을 했다. 2010년 1월에 체결된 석유계약은 주로 미국계 석유회사 특히 Occidental Petroleum에 이익이 되었다. 리비아에서 활동하는 다른 다국적 기업에는 Royal Dutch Shell, Total (프랑스), Oil India, CNBC(중국), 인도네시아의 Pertamina 그리고 노르웨이의 Norsk Hydro가 있다.”-James Petras and Robin E. Abaya, “The Euro-US War on Libya: Official Lies and Misconceptions of Critics” at http://petras.lahaine.org/?p=1847 참조


46) 이들의 인도주의적 수사의 허구성은 엠네스티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유럽 쪽으로 탈출하려는 리비아 난민을 거부하여 1,500명 이상이 지중해에서 빠져 죽게 만든 사실에서도 잘 알 수 있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9.


47) 리비아의 석유는 고품질이고 주로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수출되며, 일반 석유와는 달리 별도의 정유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특히 석유수입의 50% 이상을 리비아로부터 수입하는 프랑스는 리비아에 사활적 이해관계가 있다.


48) internationalviewpoint 홈페이지의 <Libya, the resistance, the no-fly zone>라는 토론방에서 진행된 여러 논쟁들 (http://www.internationalviewpoint.org/spip.php?rubrique169). 국내의 관련글로는, 임필수, “리비아 공격을 둘러 싼 국제좌파의 분열에 대한 우리의 시각”, 『사회운동 』(2011, 5·6, 통권 100호), 김하영, 앞의 책, pp.143-164, 등을 참고하라.


49) 이 해석은 Qutait의 주관적인 해석인 것 같다. “중요한 것은 군사개입의 요청이 리비아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민족적 주권을 보호할 필요에 가득찬 반정부 운동에 대한 제국주의적 영향력의 결여를 보여준다.”-John Riddell, op. cit.


50) Tasnim Qutait, “The Price of the Divide on Libya : Why I support the No Fly Zone” in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Perspectives, (#2 May 2011, Special Issue), pp. 248-250.


51) 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11.


52)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에서 재인용


53) 무슬림형제단의 리더인 알 살라비는 2007년 사이프와 협력하였고  LIFG간의 대화를 중재하였다. 외국군의 군사개입에 대해서도 반란과 같다면서 처음에는 반대하였다가 나중에 찬성으로 돌아섰다. 그가 처음에 NTC를 찬성하자 그의 동료들은 그를 비난했다.-International Crisis Group, op. cit., p. 27.


54) LIFG는 1998년 빈 라덴이 주도한 성명서에는 참여하기를 거부했지만, 서방 언론에는 알카에다의 일부로 알려져 왔다. 2007년 LIFG는 빈 라덴 운동에 연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2009년에는 사이프와 자파 조직원들의 석방 협상 후에 국가에 대한 무기 사용을 포기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LIFG는 알카에다의 일부로 알려져 왔으나 알카에다의 대의를 비현실적으로 생각하는 간부들도 많고, 2011년 내전에는 Libyan Islamic Movement for Change라는 이름으로 참가하고, 새로운 정치적 과정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op. cit., p. 21.


55) op. cit., pp. 17-18.


56) op. cit., p. 1.


57)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14.


58) "나는 병원과 시체 안치소에서 피묻은 옷을 입은 수많은 젊은이들을 보았다. 그들이 바라는 것은 오직 카다피의 제거뿐이었다. 리이아에 있었던 3주 동안 나는 수많은 용기있는 사람들을 보았다. 젊은 사람들-학생, 예술가, 운동 선수, 의사, 법률가, 그리고 약간의 이슬람주의자들-이 카다피 군대와 싸우기 위해 집을 떠났다. 그들의 강함은 카다피의 야만적인 독재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겠다는 정의를 위해 싸우고 죽겠다는 의지와 그들의 다양성 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Lourdes Garcia-Navarro, “As Tide Turns, Rebels’ Dream Of ‘Free Libya’ Dims” (March 16, 2011) at http://www.npr.org/2011/03/16/134594253/as-tide-turns-rebels-dream-of-free-libya-dims?ft=1&f=1001


59)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


60) Usatoday, “Libyan rebels: ‘We’re not al-Qaeda”, (2011.3.30.) at http://www.usatoday.com/news/world/2011-03-30-libyans30_ST_N.htm


61) “자원자들의 부대인 ‘2월 17일 순교자 여단’은 2월 말에 만들어졌는데, 일부는 군대나 경찰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주로 ISA 멤버나혁명위원회나 혁명수호대 그리고 형명의 전복자로 지목된 사람들을 붙잡는다.”-엠네스티 p. 74. 2월 17일 순교자 여단의 훈련장에 방문했는데, 이탈한 군 장교들이나 퇴역 군인들이 자원병들을 4주 동안 훈련하고 있었다.-Barak Barfi, “The War in Libya: Boot Camp Revamp” at http://www.tnr.com/article/world/89598/libya-qaddafi-rebels-war. 한편 미스라타의 반군은 검은 피부를 가진 노예들을 숙청하는 여단brigade for purging slaves, black skin’이라고 자칭하기도 했다.-Richard Seymour, op. cit..


62) John Simpson, "Halt To Rebel Advance Creates Libyan Divide". BBC News.  (29 March 2011). at http://www.bbc.co.uk/news/world-africa-12901820.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에서 재인용


63)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p. 70-75.


64) “일각에서는 서부 시민군이 내전에서 얻은 최고의 전리품으로 인식되는 카다피의 시신을 NTC와의 협의 없이 미스라타로 옮겼고, 이 시신이 시민군 간 주도권 싸움에 이용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수도 트리폴리, 동부 시민군 거점인 벵가지, 서부 시민군 거점인 미스라타 등 세 도시가 전후 정국 주도권을 두고 치열한 다툼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현재 시신을 지키고 있는 서부 시민군이 시신 처리와 관련된 협상 과정에서 영향력을 넓히려 할 수 있다는 것이다.”-<경향신문>, “카다피 시신 유족에 인계될 듯…매장 여부 불투명”, (2011.10.23.), 국제면.


65)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는 그동안 ‘카다피 제거’라는 목적 아래 일시적으로 단합돼 있었지만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극심한 분열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과도국가위는 반정부 인사와 해외 망명자, 아랍민족주의 세력과 카다피 체제에서 이탈한 인사, 여러 부족의 전사 등 다양한 계층과 부족이 결합돼 있다. 이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강력한 구심점이 생기지 않을 경우 카다피 정권 붕괴 후 더 큰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또 과도국가위 내에는 친서방세력과 반미세력이 얽혀 있는 데다, 알카에다 지부까지 반군의 일원으로 포함돼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경향신문>, “리비아 과도정부 구심점 약화로 ‘제2 아프간’ 우려”, (2011.10.20.), 국제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리비아 : 제국주의와 기회주의자들에게 강간당한 타락한 혁명

2-3. 리비아 : 제국주의와 기회주의자들에게 강간당한 타락한 혁명

 

2-3-1. 리비아 항쟁의 배경-카다피 정권의 성격

“1969년 (친영 리비아왕국을 무너뜨린-인용자) 쿠데타로 집권한 카다피는 나세르의 아랍민족주의를 따라 국내외 정책을 추진했다. 영국군과 미군을 철수시키고 이탈리아인 3만 명의 자산을 동결하고 추방했고, 외국계 은행들과 석유기업의 60%를 국유화했다. 덕분에 카다피는 몇 년 뒤 1973-74년에 유가를 네 배나 끌어 올릴 수 있었다. 카다피는 늘어난 석유수입으로 야심찬 발전계획을 추진하고 몇몇 복지제도를 도입했다. 도로, 학교, 병원 등을 지었고, 문맹퇴치운동을 벌였고, 최저임금도 인상했다. … 1967년 6일 전쟁이 끝난 뒤 70년대 동안 아랍 정부들이 이집트를 선두로 점점 제국주의에 대한 적대 정책을 중단하고 실용주의적 길로 들어서면서 카다피는 점점 고립되어갔다. … 1972년 3월 트리폴리의 항만 노동자들이 임금인상과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이자 정부는 파업과 노동조합의 정치활동을 금지했다. … 혁명사령부위원회는 ‘정당을 건설하거나 참여하는 자는 누구나 사형에 처할 수 있다’는 법령을 공포했다. 1976년 카다피는 기초인민위원회를 도입하고 … 인민회의들과 인민위원회 안에 또 다른 정치권력기구인 혁명위원회를 설립한다. … 혁명위원회의 우두머리들은 경영자들과 고급관료들이었고, 카다피는 여기에 믿을만한 젊은 간부들을 포함시켰다. 혁명위원회들은 공장, 사무실, 학교, 대학, 도시지구, 군대 내 곳곳에 있었고, 거기서 정치경찰 노릇을 했다. … 리비아 경제는 1980년대 중엽 국제유가하락으로 어려움에 빠져 들었다. 국가수입의 75-90%가 석유에서 나올 정도로 석유 수출의존도가 높고 다른 산업이 취약한 상황에서 리비아 경제는 유가하락으로 큰 타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리비아는 석유 없는 주변국들보다 훨씬 부유했지만 카다피가 내세웠던 자립경제건설은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 1981년 시작된 대 리비아 경제제제는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1992년부터는 유엔제재가 추가되었고, 1996년부터는 ‘이란·리비아 제제법’으로 석유개발마저 봉쇄됐다. … 레이건은 1996년 트리폴리와 벵가지에 폭탄 60톤을 쏟아 부었다. 이 공습으로 무고한 리비아인 100여 명이 목숨을 잃거나 다쳤다. … 리비아는 말로는 계속 미국을 비난했지만 1991년 미국의 이라크 전쟁 때 중립을 취했고 1992년 유엔 제제 후에는 제3국을 통한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모색하기 시작했다.1) … 카다피는 1999년 서방이 팬암기 폭파사건으로 지목한 용의자 두 명을 넘겨줬다. … 2003년 카다피는 대량살상무기 포기 선언을 했고, 40년 만에 석유채굴권 공개입찰에 다국적 기업들도 참여하도록 허용했다. … 사실 이런 경제개방 정책은 이미 1990년대에 시작됐다. 공기업 특혜폐지와 사기업화, 외국인 투자유치 강화를 위한 법 개정, WTO가입 등을 추진했다. … 2000년대 동안 리비아와 서방과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리비아로 달려든 세계굴지의 석유기업들이 황금열매를 약속받는 한편 카다피 일가와 그 측근들은 엄청난 부를 쌓아 올렸다. 석유산업과 각종 이권에 관여하는 카다피 일가의 재산은 1,500억 달러(165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2) 카다피 일가는 해외 부동산과 기업에 공개적으로 투자하며. 한때 식민모국이었던 이탈리아의 정유회사와 통신사 등에 지분을 갖고 있다. … 반대로 경제개방 정책 속에 리비아 민중의 삶은 악화됐다. 1990년대부터 카다피 정권은 공공지출을 크게 줄였다. 보조금 제도와 실업수당을 폐지했다. 게다가 IMF 권고를 받아들인 결과 허약해진 통화 때문에 인플레이션마저 발생해 노동자들은 실질임금 하락으로 고통받았다. … 정부공식통계로는 실업률이 20%이지만 실제로는 35%는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리비아 인구의 70%를 차지하는 20세 이하 젊은 층이 극심한 실업난을 겪고 있다. 계속된 억압통치와 함께 이와 같은 빈곤이 리비아 민중이 목숨을 건 저항에 나선 이유였다.”3)

“불량국가라는 이미지와는 달리 리비아는 2000년부터 유럽국가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가 특히 카다피 정권을 포용하는 선봉에 섰다. 2008년 베를루스코니는 카다피와 양국 간 우호 동반 협력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서 이탈리아는 50억불을 향후 20년 동안 주요 기반시설계획에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배상으로 기금을 마련할 것을 약속했다. 이 조약으로 카다피는 도덕적 승리를 얻었고 이탈리아에게는 분명한 전략적 경제적 이익을 주었다. 기반시설투자 계획은 이탈리아 계약자에 의해 수행될 뿐만 아니라 베를루스코니가 말했듯이 불법 이민자의 감소와 더 많은 석유를 보장할 것이다.

국제 엠네스티는 양국의 조약과 리비아가 구금하고 있는 이민자 수의 증가에는 직접적인 연관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민자들이 EU국가에서 리비아로 추방되면 그들이 박해받아 도망나왔던 나라로 강제송환될 운명에 처해진다. 카다피의 관리들은 리비아의 목적은 이탈리아로부터 받은 모든 불법이민자들의 송환이라고 분명히 밝혔다. 리비아가 말타나 프랑스 등 EU 개별국가나 유럽위원회와 맺은 조약들은 이탈리아와 맺은 조약처럼 이민자들의 억류와 강제송환을 받아들이고 있다.”4)

“카다피는 그의 권력과 지배를 40년간에 걸쳐 친족과 종족에 대한 보호로 통합해왔다. 수년 동안 단순한 소비재에서부터 기초 의약품까지 인위적으로 결핍이 초래되자 광범위한 부패가 생겼다. 카다피 체제의 변덕스러운 잔인함은 광범위하고 깊은 불신을 낳았다. 정부에 대한 믿음이 사라지자 리비아인들은 종족과 가족의 위안에서 도피처를 찾았다. 리비아 사회는 균열되었고, 군대까지 포함한 모든 국가기구는 친족과 지역이라는 축을 따라 분열되었다. 리비아는 튀니지나 이집트와는 달리 어떠한 정치적 연대체나 경제단체의 연결망이나 어떤 종류의 국가기구도 없었다.5) 신뢰할만한 경찰을 포함한 어떤 종류의 공적관료체제가 없었기 때문에 안전과 안정 심지어 상품과 서비스의 접근까지 친족관계가 제공했다. 시위의 초반에 정권의 ‘분할과 지배’ 능력이 흐트러지기 시작하자 리비아 사회는 이러한 네트워크을 따라 균열되었다. 리비아는 민주화가 아니라 국가형성이라는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6)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카다피는 집권 전반기에 석유수입을 바탕으로 일부 진보적인 분배정책을 실시하였지만, 야당과 노동자계급 등 반대세력은 철저하게 억압하면서 관료기구를 포함한 국가기구를 허구화하고 국가를 부족연합으로 재편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반제의 수사를 남발하면서 고립에 처하자 제국주의자와 거래를 하면서 자기 일족만을 위한 도적질에 탐닉하였고, 민중들은 극심한 실업난과 생활고에 허덕이고 있었다. ‘국가는 부유하였지만 인민은 가난하였다.’ 카다피는 이에 불만을 품은 민중들을 정보경찰로 악랄하게 억압하는 거의 마피아 수준의 통치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2-3-2. 항쟁의 발단과 초기 양상

리비아(인구 640만 명)의 항쟁은 제2의 도시이자 주요항구인 동부지역(시레나이카)의 벵가지Benghazi(인구 65만 명)에서 시작되었다. 리비아는 남한의 18배에 달하는 큰 나라이지만, 자위야Al-Zawia, 트리폴리(인구 170만 명), 미스라타Misrata, 시르트Syrte, 벵가지, 바이다Al-Bayda, 토브룩Tobruk 등 주요도시가 모두 북쪽의 지중해를 따라 서에서 동으로 길게 늘어서 있는 나라이다. 리비아의 동부 사람들은 서부보다 더 차별받는다고 생각하였고 카다피에 대한 적개심과 두려움도 컸다. 리비아의 민중항쟁이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왜 내전과 제국주의 간섭전쟁으로 발전되었는가는 초미의 관심사이다.

“이웃 나라의 시위에 용기를 얻어 극심한 실업과 치솟는 물가, 고질적인 부패에 괴로워하면서 리비아 활동가들도 리비아의 개혁과 부패의 종식을 요구하는 페이스북 그룹을 만들었다. 대부분의 활동가들은 당연히 실명이 아닌 가명을 사용했다. 그들은 (카다피의 즉각 퇴진이 아닌-인용자 삽입) ‘개혁’이라는 우산을 쓰고 2월 17일을 봉기의 날로 정했다.7) 카다피는 2월 8일 트리폴리에서 활동가들과 만나 요구조건을 들어주겠다면서 그들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닫아줄 것을 설득했다. 카다피의 요청은 무시되었고 수많은 페이스북 페이지는 우쭐했다.

리비아의 밖에서 소수가 진지하게 시위 제안을 하는 동안 벵가지에서 일어난 사건이 모두를 놀라게 했다. 벵가지와 동부지역은 오랫동안 카다피의 목의 가시였다.

시위 예정 이틀 전인 2월 15일 리비아 보안대(security forces, 일반적으로 진압경찰을 뜻하나 국내안전부ISA:Internal Secury Agency의 소행인 듯-인용자)가 테르빌Fathi Terbil을 연행했다. 그는 1996년 벵가지의 아부 살림 교도소에서 학살당한 1,200명의 죄수들의 가족을 대변해온 벵가지 출신의 유명한 변호사였다. 학살당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벵가지와 동부지역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테르빌의 구속은 벵가지의 주요 광장에서 광범위한 시위에 불을 붙였다. (테르빌은 다음날 석방되었다.-인용자 삽입) 그 당시 시위는 동부에서만 일어났고, 2월 20일 수도 트리폴리에 도달했다. 40년 동안 억눌려왔던 불안과 분노가 폭발했다. 해외에서도 리비아를 떠난 사람들이 리비아의 대사관과 영사관 앞에서 카다피의 억압적 지배를 비난했다. 카다피는 어떤 시위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부인했지만 수백 개의 동영상과 소식이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올라왔다. 수많은 카다피의 위협적인 연설은 두려움도 자극했지만 앞으로 나아가야 하고 카다피를 끝장내야 한다는 결심을 굳게 만들었다. 지금 시점에서 후퇴란 시위 참가자들이나 온라인상에서 지지의 목소리를 낸 사람들과 그 가족들이 사형에 처해질 것이 분명했기 때문이다. 군대와 정치 지도자들의 광범위한 이탈에 의해 반군은 카다피 군대에 대한 심각한 타격을 가하고 벵가지와 동부의 시레나이카로부터의 퇴각을 가져왔다. 반군은 이들 지역이 해방되었으며, 수백 명이 죽고 도시가 파괴되었음을 밝히면서 서부의 반란도 촉구했다. 그동안 카다피는 전열을 가다듬고 서부지역부터 반격에 들어갔다. 내전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뉴스는 트리폴리 시내를 지키는 수천 명의 용병의 등장부터 시작하여 시내에 검색대의 설치, 이동전화와 인터넷의 단절8)을 보도했다.”9)

“테르빌의 체포는 역효과를 내었다. 2월 15일 감옥에서 살해당한 사람들의 가족이 ‘벵가지여 일어나라! 기다렸던 날이 왔다!’를 외치며 테르빌의 체포에 항의하기 위하여 거리로 나섰다. 인민들이 항의하기 위하여 거리로 나섰다. 알 마지Al-Marj, 알 비다Al-Bida, 데르나Derna, 샤하트Shahat, 토브룩, 아즈다비야Ajdabiya 등 리비아 동부의 많은 지역에서 시위에 동참했다.

벵가지에 있는 군부대를 장악할 때까지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이것은 즉각적으로 상황을 내전의 방향으로 바꾸었다. 벵가지 인민들의 영웅적인 봉기는 1936년 거의 빈손으로 파시스트 군대를 공격한 바르셀로나 노동자들의 봉기와 비견될 수 있다. 비무장 시위대는 군부대에 던질 나무와 돌과 화염병으로 그들을 지킬 수밖에 없었다. 시위대 중의 한 사람이 부엌용 가스 실린더를 차에 싣고 병영military barrack으로 돌진하여 두 개의 벽을 파괴했다.

봉기자들이 벵가지의 병영을 장악하는 데 며칠 걸렸다. 혁명적 인민의 압력으로 군대는 무너지기 시작했다. 유니스Abdul Fatah Younis 장군10)이 지휘하는 벵가지 부대는 봉기에 가담했고 병영의 붕괴를 가져왔다. 벵가지 인민들이 부대 건물로 들어섰을 때 자기 인민에게 총을 쏘라는 명령을 거부했기 때문에 사살된 많은 병사들의 시체를 발견되었다.11) 동부에서만 일어났던 혁명들은 결국 서부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자위야와 미스라타 그리고 수도의 몇몇 지역에서도 시위가 일어났다.”12)

“2월 15일 저녁 테르빌의 연행 후에 500-600명의 시위대가 벵가지 경찰서 앞에서 시위하였다. 보안요원 10명을 포함한 38명이 부상당하는 충돌 끝에 시위는 경찰에 의해 폭력적으로 분쇄되었다. 바이다와 진탄Zintan에서는 시위대가 카다피 정권의 퇴진을 요구하면서 경찰서와 보안기관 건물에 방화하였다. 진탄에서는 시위대가 도심에 텐트를 세웠다. 다음날(2월 16일) 벵가지와 진탄과 데르나에서는 무장시위가 계속되었고, 보안대는 치명적인 폭력으로 대응했다고 전해졌다. 벵가지의 중심지에 수백 명이 모였고, 경찰은 물대포로 시위대를 해산하려고 하였다. ‘분노의 날’인 2월 17일 벵가지와 아즈다비야 데르나, 진탄, 바이다에서 시위가 일어났고, 보안대는 무장한 시위대에 실탄을 쏘았다. 시위대는 정부 건물과 경찰서를 방화하였다. 트리폴리에서는 시위대가 보안기관 건물과 ‘인민의 전당’을 불태웠다. 2월 18일 경찰과 군대는 벵가지가 시위대에게 압도되자 (카티바 단지Katiba compound13)로-인용자 삽입) 철수하였다. 군인들 일부는 시위대에 가담했고 그들은 지역방송국을 장악했다.”14)

“2월 16일 카다피를 반대하는 평화로운 시위가 바이다에서 행진했다. 이틀간의 시위 후에 2월 17일 벵가지의 투쟁이 시작되었다. 보안대는 시위대에 발사하여 14명이 죽었다. 다음날 사망자 중의 한사람의 장례행렬이 카티바 단지를 지나갔다. 조문객들이 먼저 돌을 던졌는지 카티바의 군인들이 먼저 총을 쐈는지는 사람마다 다르다. 결국 24명이 죽었다. 학살이 일어난 후 시위대에 총을 쐈다고 지목된 두 명의 경찰관이 붙들려 교수형에 처해졌다. 경찰과 군인들은 도시가 시위대에 압도되자 도망갔다. 어떤 군인들은 시위대에 가담하고 국영 지방라디오방송국을 장악하는데 도움을 줬다. 바이다에서는 지역경찰과 반군이 통제하는 부대가 시위대에 합류했다는 확인되지 않은 보도도 있다. 이틀 전인 2월 16일 총을 가진 이슬람주의자들이 이탈한 육군대령의 도움으로 데르나의 군 보급창으로 쇄도하여 250개의 무기와 70대의 군용차량을 획득했다고 말했다. 이 습격으로 4명의 군인이 죽고 16명이 부상했다. 18일 밤 벵가지에서 카다피 충성파들이 모여 있는 유일한 지역은 카티바 단지 뿐이었다. 2월 19일 또 다른 장례행렬이 묘지로 가는 도중에 저항하는 행동으로 카티바 단지를 지나가다가 또다시 단지 안의 카다피 충성파들로부터 총격을 받았다. 2월 18일과 19일 반정부 세력들의 대대적인 반격이 있었다. 바이다에서는 50명의 용병15)이 시위대에 의해 처형되었다. 일부는 시위대가 경찰서를 잠그고 불을 질렀을 때 죽었고 15명은 법원 앞에서 맞아 죽었다. 시체들의 일부는 전시되었고 비디오에 찍혔다.

장례식에 대한 두 번째 공격에 뒤이어 반정부 시위대는 격심한 사격에 후퇴를 반복하면서도 불도저를 징발하여 카티바 단지의 벽을 부수려고 하였다. 싸움이 계속되자 한 무리의 군중은 벵가지 외곽의 군부대를 공격하여 군인들이 세대의 작은 탱크를 포함한 무기를 버리게 하였다. 반대파는 이들 탱크로 카티바 단지의 벽을 들이 받았다.

전투는 20일 아침에 끝났다. 하루 사이에 30명이 더 죽었다. 장례로 위장한 자살 폭탄차량이 단지의 입구를 공격하여 날려버렸다. 반정부 세력은 바이다와 데르나로 부터 보강을 받아 기지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 기지에 대한 마지막 공격 동안 42명이 죽었다. 오후에 내무장관인 유니스가 포위된 보안대를 구출하기 위하여 ‘벼락thunderbolt’라고 부르는 특전여단을 데리고 나타났다. 시 외곽에 기지를 둔 그의 군대는 기관총과 대공화기를 장착한 트럭과 함께 카티바 반대편에 도착했다. 두 대의 탱크가 뒤따랐다. 어쨌든 유니스는 (발포를 하지 않도록 하고 반정부 시위대와 협상 끝에-인용자 삽입) 반군에 가담하고 카다피 충성파들이 도시를 안전하게 빠져나가도록 허용했다.”16)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테르빌의 연행으로 벵가지에서 시작된 2월 15일과 16일의 항의시위는 구타와 물대포 수준이었다. 그런데 2월 17일 보안대가 총을 쏘고 8명이 죽자 시위대는 경찰서와 관공서를 방화하였고, 다음날에는 총격에도 불구하고 친카다피 세력이 모여 있는 군부대를 포위하였다. 바이다를 비롯한 동부의 다른 곳에서도 경찰서를 공격하고 군인들의 이탈이 있었고, 일부 시위대는 탱크를 비롯하여 총으로 무장을 하게 되었다. 결국 지역경찰과 보안대 그리고 군부대는 무너지고, 내무장관이자 육군소장인 유니스까지 반란에 가담하였다. 2월 20일에는 트리폴리에서도 시위가 시작되고 혁명위원회와 내무부 건물 그리고 ‘인민의 전당’을 불태우는 봉기가 있었다.17) 그리고 2월 21일부터 법무장관 잘릴Mustafa Abdul Jalil18)을 비롯한 정권핵심부와 수많은 외교관과 군대의 이탈이 뒤따랐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리비아인들은 벤 알리와 무바라크의 몰락을 보면서 자신들도 카다피를 끝장낼 때가 왔다고 생각하였고, 카다피의 심복과 군인들도 카다피가 못 버틸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또한 리비아의 초기 항쟁이 경찰서와 군부대 그리고 카다피의 혁명위원회 건물을 방화하고 보안대를 처형하는 등 튀니지나 이집트보다 훨씬 과격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그만큼 억눌려왔던 불만이 컸기 때문이기도 하고, 악랄한 카다피와의 투쟁을 사생결단의 투쟁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동부는 대부분 해방되었고, 미스라타를 비롯한 서부도 봉기에 가담하였다. 이 기세를 몰아붙이면 카다피는 도망갈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대중이 스스로를 해방시키는 즉 민중주도의 혁명은 2월 20일이 지나면서 왜곡되기 시작하였다.

 

2-3-3. 내전으로의 발전과 제국주의 개입전쟁

2-3-3-1. 제국주의의 개입을 이끌어낸 황색언론과 앞잡이들의 집요한 공작

바이다에서는 2월 16일부터 보안대에 의한 총격이 있었고, 벵가지에서는 2월 17일 보안대의 총격으로 8명이 죽었다. 2월 17일부터 19일까지 보안대의 총격에 분노한 시위대가 경찰서와 보안대와 군부대를 방화하고 공격하면서 일부 시위대는 화염병의 수준을 넘는 총기로 무장을 하고 있었다. 2월 20일 오후 시위대가 가스통을 싣고 군부대의 정문을 폭파시키자 친정부세력은 카티바 단지 안에 고립되었다. 이 상황에서 특전여단을 이끌고 현장에 급파된 유니스는 총기 사용을 금지하고 시위대와 협상하였다. 즉 이미 8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동부 전역은 물론 프리폴리와 미스라타까지 전국이 소요상태에 들어간 상황이었지만, 대화와 협상으로 마무리되었고 비록 트리폴리에서 시위대를 향한 보안대의 총질이 계속되고 있었기는 하지만, 군대를 동원한 유혈진압이 반드시 예정되어 있는 상황은 아니었던 것이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용병, 집단학살, 중무기, 비행기 등의 악선전이 알자지라를 비롯해서 서방 언론들이 집요하게 확대 재생산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카다피의 초기대응의 양상은 벤 알리의 무장경찰이 탈라를 탈환하기 위해 1주일 이상의 공방 끝에 62명의 사망자가 난 것과는 다르다. 카다피의 둘째 아들은 2월 20일 사실상의 내전을 경고하였고, 카다피는 2월 22일 시위대의 진압을 명령했다. 카다피 역시 무바라크처럼 시위의 초기에 과도한 진압이 역효과를 낼 것을 우려하여 보안대의 총질은 있었지만 소극적 대응을 하였고, 2월 하순부터 사실상의 내전상태에 있었음에도 유엔의 결의를 피하고자 혹은 서방 언론의 비난을 살만한 대응을 억제하였던 것이다. 즉 악마와 같은 카다피나 일선의 경찰과 군대는 동부가 반란상태에 빠질 때까지 적극적인 학살을 한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색언론들은 용병과 중무기, 대량학살, 비행기 등을 운운하며 마치 카다피가 항쟁의 초기부터 대량학살을 자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도하였고, ‘인도주의적 개입’을 유도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카다피의 악마화는 3월 중순 카다피군이 벵가지 근처까지 진격하자 극에 달했고 좌파들도 이러한 왜곡보도에 세뇌되었던 것이다.

 

황색언론-

2월 20일부터 22일 사이에 트리폴리와 미스라타에서는 보안대에 의한 총격이 있었다. 그러나 무슨 전투기에 의한 공중 공격은 전혀 근거가 없고 트리폴리에서만 소방헬기가 뜬 적이 있었을 뿐이었다. 그런데 알자지라의 보도를 살펴보자.

“(2월 21일) 7:56pm: 알자지라 아랍어방송은 지금 트리폴리의 활동가와 대화하고 있는데, 그는 지금 트리폴리 전체에 공중 공격이 행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거기에는 죽음과 두려움 그리고 여성들이 어디에서나 울고 있다. 공격은 도로 시위자들이 많이 나온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사람들에게 총을 쏘는 외국인 전사로 가득 찬 차량들이 있다. 그는 지난 24시간 동안 최소한 250명이 죽었으며 국제적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리폴리는 외국인 전사들이 장악하고 있으며 물과 전기도 끊어졌고 음식과 의료품도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것은 집단학살이라고 그는 말했다.

트리폴리 동부의 미스라타는 가장 최근에 전투기에 의해 공격받았다. 탱크가 시내로 들어와 중화기가 빌딩을 초토화하고 있다고 목격자들이 알자지라에 말했다.

9:51pm: 트리폴리의 줌후리아 도로에 새로운 공중 공격이 가해지고 있다고 목격자들이 알자지라 아랍어 방송에 말했다.

10:49pm: 또 다른 공중공격이 트리폴리 서부의 자위야의 시민들을 지금 목표로 하고 있다고 목격자들이 알자지라에 말했다. 사망자나 부상자의 수에 대하여는 아직 보도가 없다.

(2월 22일)1:20am: 알자지라 아랍어 방송은 기니아와 니제리아에서 용병이 되면 하루에 2,000불을 주겠다는 광고가 나타났다고 보도했다.”19)

그러나 전투기에 의한 공중공격과 대량학살 주장은 3월 1일 게이츠 미국방장관이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추궁에 “우리도 언론보도를 보고 알았는데, 어떠한 확증도 없다”고 하여 날조라는 것이 들어났다.20) 결국 알자지라는 익명의 목격자를 빙자하여 무고한 시민들이 전투기와 탱크로 유린되고 있다고 참으로 악의적이고 고의적인 조작방송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런 황색보도를 BBC를 비롯한 반동언론들은 알자지라의 보도를 운운하며 전지구인들의 가슴을 졸이게 하고 있었던 것이다.

 

앞잡이들-

2월 21일 유엔 주재 리비아 부대사는 “우리는 트리폴리에서 진정한 집단학살Genocide을 예상하고 있다. 항공기는 여전히 용병을 공항으로 실어 나르고 있다.”라고 주장하면서 카다피를 이탈하였다. 잘릴 또한 이미 군대가 총을 사용하지 않고 있고 카티바 협상이 마무리되던 시점에 카다피의 과도한 폭력의 사용을 비난하면서 사임하고 유니스도 군대가 인민의 정당한 요구에 부응해야한다고 반란을 선동하며 반란에 가담하였다. 이후 외교관들의 이탈이 줄을 이었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 리비아의 대다수의 민중들은 카다피를 증오하였지만 카다피는 트리폴리에서 친정부 시위대를 조직할 만큼 그리고 충성파 시민들에게 총을 나눠줄 만큼 나아가 나토의 9,600번에 달하는 지독한 공습에도 불구하고 내전을 8개월이나 끌만큼 충성파도 상당수에 달했다. 그런데 왜 이들은 그처럼 빨리 말을 바꿔 탔을까? 필자는 확증은 없지만 2월 중순부터 벵가지에서 파견된 CIA의 공작21)이 있었을 것으로 본다.

 

바람잡는 제국주의자들-

알자지라는 이제 마치 권위있는 당국자들도 확증을 가지고 얘기하는 것처럼 자신들의 조작극에 화답하는 제국주의자들의 흥분을 싣는다.

“(2월 22일) 12:15am: 미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은 “지금은 이처럼 받아들일 수 없는 피바다를 막을 때이다”고 말했다.

12:45am: 알자지라의 정규기고자인 마르크 린치는 리비아에 대한 외국개입의 장단점을 저울질하면서 “지금은 이미 피바다가 된 상황을 더 악화되지 않도록 미국과 나토, 유엔, 아랍 연합이 강력하게 행동에 나설 때이다.”라는 흥미있는 기사를 썼다.

1:40am: 유엔 부대사 다바쉬는 “비행금지구역No fly zone이 리비아에 설정되어야만 한다”고 유엔에 말했다.

1:42am: 반기문은 성명을 통해 리비아 당국이 전투기와 헬리콥터로 시위대에 사격했다는 보고에 분노했다면서 “그러한 공격은 국제인권법의 심각한 침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22)

이제 제국주의자들은 한 술 더 뜬다.

“2월 24일 이슬람 공화국 방송은 국제형사재판소ICC:International Criminal Court가 사망자를 10,000명으로 평가했다고 보도했다. 3월 2일 WTO는 대략 2,000명이 죽은 것으로 평가했다. 반군은 6,500명이 죽었다고 주장하고, 반군 대변인은 사망자가 8,000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23)

“비아그라 얘기는 처음에 카타르 정권의 지원을 받는 알자지라가 반군과 협동하여 퍼뜨렸고, 거의 모든 주요 서방언론에서 재분배되었다. 국제형사재판소의 소장인 오캄포Luis Moreno-Ocampo는 서방 언론에 “카다피가 강간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의 군대에게 비아그라를 나눠주고 수백 명의 여성을 강간하도록 명령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라이스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카다피가 대량강간을 고무하기 위하여 비아그라를 나눠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카다피 군대가 리비아에서 광범한 강간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강간과 물리적 위협, 성희롱 심지어 처녀성 검사까지 전국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24)

하지만 미군사당국과 정보당국은 강간설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없다고 말했다는 것은 이미 NBC 뉴스에 밝히고 있었고, 비아그라 박스는 반군들이 카다피군의 불타버린 탱크에서 주웠다고 하는데 박스만 그을리지도 않았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엠네스티는 3개월간의 현장조사보고서에서 “강간을 당했다는 단 한사람의 여성이나 강간당한 사람을 보았다는 단 한명의 의사도 발견할 수 없었고, 용병은 단 한사람도 확인할 수 없었다. 초기에 죽은 사람은 (만 명이 아니라-인용자 삽입) 벵가지 100-110명과 바이다 59-64명뿐이다”라고 밝혔다. 아프리카 연합African Union의 의장인 핑Jean Ping은 최근에 “NTC(과도국가위원회)는 흑인들을 용병과 혼동하는 것 같다. 모든 흑인들은 용병이라면 리비아 인구의 3분의 1인 흑인이 용병이라는 것을 뜻한다. 그들은 인간 즉 정상적인 노동자를 죽이고 있고 잘못 다루고 있다”고 주장하였다.25)

 

결국 아프리카 용병, 전투기, 공중공격, 대량학살, 강간 등등은 카다피 이탈파를 포함한 반군과 합작한 알자지라가 앞장서서 조작하고, 서방언론들이 집요하게 퍼뜨리고, 이런 뜬소문이 뻔한 거짓인줄 알면서도 반기문, 힐러리 클린턴, 수산 라이스, 오캄포 등 국제적으로 책임있는 당국자들이 자신들도 뭔가 증거가 있어서 믿는 것처럼 바람을 잡았던 것이다. 그리고 그 목적은 소위 ‘인도주의적 개입’을 끌어내는 것이었다.

2월 26일 유엔 안보리는 알자지라 등이 만들어낸 이런 황색선동을 근거로 ‘카다피 일가의 자산을 동결하고 국재형사재판소의 조사를 위한 혐의’를 회부했다. 그리고 카디피군이 벵가지 근처까지 진격하자 카다피가 들어오면 피바다가 될 것이라고 애원하는 NTC와 황색언론이 조성한 여론을 바탕으로 3월 17일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는 유엔결의안 1973호를 의결하고, 이틀 뒤 프랑스를 필두로 나토와 미군이 공습에 나섰던 것이다.26)

결국 서방 언론들은 카다피가 전투기까지 동원하여 자국민을 학살하고 있는 것처럼 그리고 벵가지가 함락되면 피바다가 될 것처럼 바람을 잡았지만, 내란이 시작된 지 일주일이 지난 3월 1일까지 미국방부를 비롯한 아무도 카다피의 전투기가 시민을 무차별로 학살하는 것을 본 사람이 없는 것이다.27)

“엠네스티의 조사는 카다피 정권이 반대편을 야만적으로 억압해온 역사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집단학살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없다는 권위있는 국제위기그룹International Crisis Group의 최근 보고서를 확인시켜주고 있다. 보고서는 ‘많은 서방 언론들이 사건의 처음부터 시위 운동을 전적으로 평화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정권의 보안대가 안보에 대한 어떠한 도전도 보이지 않는 비무장한 시위대를 까닭도 없이 학살하고 있다는 아주 일방적인 시각을 보여 왔다고 덧붙였다.”28)

 

2-3-3-2. 카다피의 반격과 제국주의의 개입

2월 23일 이후 동부의 전 지역이 내전상태에 들어가자, 2월 26일 카다피는 충성파 시민들29)에게 무기를 지급하면서 반정부 시위 봉쇄에 나섰고, 3월 2일 벵가지에서는 유일합법정부를 자처하며 과도국가위원회(NTC :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가 출범하였다. 3월 10일 프랑스가 NTC를 유일합법정부로 인정하였고, 3월 16일엔 정부군이 벵가지 근처까지 진격하였다. 3월 17일 유엔결의안 1973호가 중국과 소련, 독일 등이 기권한 가운데 통과되어 비행금지구역이 설정되고, 3월 19일 프랑스의 공습이 시작되었다. 3월 28일 미국주도의 연합군의 공군작전 지휘권을 나토로 이양하였고, 나토는 반군을 무장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4월 1일 반군은 전세가 불리해지자 유엔의 조건부 정전 조건을 수락하였고, 4월 5일엔 카다피가 그리스와 터키를 통해 중재를 요청하였다. 4월 10일 아프리카 연합(AU)이 리비아를 방문하여 쌍방의 적대행위 중지 등 중재에 나섰으나 반군이 거부하였다. 이후 나토의 적극적인 공습과 지원 아래 정부군과 반군은 공방을 거듭하다가 8월 20일 트리폴리에서 민중들의 무장반란이 일어나고 반군은 8월 22일 거의 무혈입성하여 8월 24일에는 트리폴리를 장악할 수 있었다. 카다피는 자신의 출신지인 시르트에서 10월 20일 생포되었다가 사살되었다. 그리고 서방의 지도자들과 독점자본들은 앞 다투어 과도국가위원회를 방문하여 전리품을 챙기고 있는 중이다.

 

2-3-3. 트리폴리의 봉기와 카다피의 패전

나토의 공습이 계속되었지만, 카다피의 잘 훈련되고 잘 무장된 정규군을 민간인과 이탈한 병사로 이루어진 반군이 이길 수는 없었다. 반군은 계속 몰리고 있었고 지상전은 교착상태였다. 그러다가 내전이 시작된 지 6개월이 지난 8월 20일 트리폴리에서 민중들의 무장봉기가 일어났고 8월 22일 반군들은 트리폴리에 무혈 입성하였다.

“8월 20일 일몰 후 신도들이 단식을 끝내자 많은 교외에서 모스크가 울린 경종에 반응하였지만, (트리폴리 교외인-인용자) 줌마Suq al-Juma 지역의 봉기의 조직과 규모가 제일 컸다. 몇 분도 안지나 전 지역이 낡은 냉장고나 불타버린 차량들, 전쟁의 잔해들로 바리케이드를 만들고 입구에 무장한 사람들을 배치했다. 트럭들이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집에서 만든 화염병과 젤라틴이라고 부르는 수류탄을 나누어줬고, 늦은 밤에는 6개월 전에 한 자루에 3,000디나르를 주고 샀던 총을 나눠줬다. 미리 작성한 블랙리스트에 따라 자경단이 100여명의 정권의 앞잡이 즉 정보원들의 집에 쳐들어가 무장을 해제하고 끌고 갔다.”30)

“나토가 트리폴리의 함락에 완전히 놀랐다는 사실은 이것을 상상도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패트릭 커크번이 보고하였듯이 ‘심지어 반군 지휘관들도 놀랐었다. 카다피 지지자들로 득실거릴 것으로 생각했던 아부 살림Abu Salim과 같은 지역에서도 전투는 거의 없었다. 지방 은행의 은행원인 칼리드는 저격용 총을 들고 말했다. 우리는 그들이 강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전투는 두어 시간도 안 걸렸지요.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 순간에 편을 바꾸었지요.’ … ‘전에 병사였던 어떤 사람은 나토의 비행기가 끊임없이 친카다피 방어지를 공격할 때 나푸사 산Nafusa Mountain에서 반군의 공격 즉 자위야의 봉기에 직면하여 후퇴명령을 받았을 때, 어떻게 그가 탱크를 버렸는지 말했다. 게임은 끝났고 탱크 안에서 불에 타기를 기다릴 만한 장소도 없다고 간단히 결정하고 옷을 벗고 도망쳤다.’ ‘트리폴리 안의 정권의 지지자들도 끝나버린 명분을 위해 죽을 이유가 없다고 간단히 결론지었다. 줌마Souq al-Jumaa 지역을 책임졌던 이슬람주의자이고 트럭 소유자인 이삼Issam은 그의 동료들은 처음에는 무기도 거의 없었지만, 친카다피 사람들을 집집마다 찾아다니면서 무기를 넘기고 집에 있어라고 당부하여 무기를 갖게 됐는데 아무도 거절하지 않았다. 아부 살림의 칼리드는 초여름에 카다피가 미스라타를 장악하는데 실패하고 나토가 폭격을 강화하자 전쟁은 끝났다고 생각했다. 그 후 카다피측은 후퇴하였고 누가 최종 승리자를 선택하는 것은 쉬운 일이었다고 말했다.’ 마지막 순간에 정권은 마치 사상누각처럼 무너졌다. 트리폴리 방위군은 카다피의 병사들이 이미 잃어버린 대의를 위해서 싸우고 죽어야 할 이유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무너졌다.”31)

이처럼 카다피군은 반군의 전투나 나토의 공습에 의해서가 아니라 내부의 사기저하에 의해서 무너졌고, 트리폴리의 봉기에서 보듯 민중의 힘에 의해 쫓겨났다.

 

2-3-4. 항쟁의 분석과 전망과 과제

내전으로 발전한 이유-

리비아 민중이 항쟁에 나선 이유도 다른 아랍 국가들과 비슷하다. 42년에 걸친 장기독재와 지독한 부패와 억압,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인한 생활고와 절망적인 실업 등등. 문제는 왜 다른 나라와는 달리 내전으로 발전되었고, 서방 제국주의국들의 개입전쟁으로 확대되었는가이다.

튀니지에서도 지방도시에서 시위가 시작되었을 때 경찰의 발포가 있었고, 시위대는 돌과 화염병 그리고 바리케이드로 저항하였다. 탈라 전투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싸움은 어쨌든 시민과 경찰의 싸움이다. 1980년 광주의 시민군이 아무리 무기를 들어도 그것은 정권에 대한 항쟁이었지 내란은 아니었다. 그런데 리비아에서는 2월 20일 시위가 수도에 도착하기 이전에 이미 벵가지를 비롯한 동부지역에서 방화와 군부대의 이탈과 그로 인한 적극적인 무장으로 소요수준을 넘는 상태에 있었다. 그들은 탈취한 탱크 위에 올라가 구 왕정의 3색기를 흔들었다. 이러한 행동은 4.19혁명 때 반정부 시위대가 독재자 퇴진이나 이승만 타도에 멈추지 않고 북한의 인공기를 흔드는 것과 비슷한 행위인 것이다.

정권의 부정과 체제의 부정 그리고 국가의 부정은 성격이 다르다. 체제의 부정이 혁명이라면 국가의 부정은 내란인 것이다. 영국 제국주의의 꼭두각시였던 구 왕정의 복귀는 대다수 리비아인의 정서나 의식에 부응한 것이 아니었고 결코 바람직하지도 않았다. 3색기는 카다피로 하여금 외부의 사주에 의한 내란이라고 비난할 수 있는 명분을 주었고, 군대를 사용할 명분을 줄 수 있었다. 순수한 내전일 경우 외국은 개입할 권리가 없다. 이런 점에서 보면 분노한 벵가지의 대중들이 군부대를 공격하여 무장을 한 것은 당연하지만 3색기를 흔든 것은 실로 잘못된 일이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15-35세의 청년들이었다. 42년에 걸친 카다피 집권 동안 이들은 태어나기도 전에 사용되었던 3색기를 본 적도 없고 향수도 없었다. 바로 이 점이 미스터리이다.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3색기를 흔들었고 결국은 대부분의 대중이 반카다피의 상징으로서 흔들게 되었지만 이것은 실로 잘못된 일이었다.

역사는 되돌릴 수 없는 것이지만, 혁명은 수도에서 결판이 나는 것이다. 만약 수도에서 광범한 대중의 진출로 저항이 시작되었다면 설령 카다피가 무차별 사격으로 잔인한 진압을 시도하고 대중도 무장하여 싸웠다면 그것은 반란이 아니라 항쟁이었을 것이고, 제국주의의 개입없이 카다피를 타도할 수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지방도시가 아닌 수도는 폭격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총으로 시가전을 하더라도 시위대와 일반시민에 대해 중무장한 군사작전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카다피의 무장대가 아무리 총질을 하더라도 벵가지나 바이다나 미스라타에서 보는 것처럼 대중들이 폭발하면 공권력을 몰아내고 스스로를 해방시킬 수 있다. 이것은 8월 20일 트리폴리의 봉기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불과 2-3일도 안되어 동부 전역을 포함한 폭발적인 대중항쟁의 시기에 리비아 인민들은 무엇을 해야 했을까? 각 지역 세력의 연결․연합과 수도로의 집중 그리고 항쟁의 중심을 만드는 것이었다. 공권력을 몰아내거나 무력화시킨 공간에서는 파리코뮌이나 소비에트처럼 자발적인 대중의 투쟁조직과 자치조직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런 자생적인 대중의 투쟁체가 서로 연대하여 항쟁의 중심부나 지도부를 만들고 카다피를 몰아내었어야 했을 것이다.32) 그 중심부는 임시정부를 자칭할 것이 아니라 이집트에서 보았듯이 혁명방어위원회나 민중위원회 혹은 카다피퇴진운동본부 정도면 충분했다. 임시정부를 자칭하는 순간 내전이 된다는 것을 법무장관이나 내무장관은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내전으로 인정되는 순간 카다피에게 군대와 중화기를 사용할 명분을 주게 된다는 것도 잘 알고 있었다. 일반 민중은 오직 카다피의 퇴진만 바라고 투쟁하고 있을 때 NTC는 카다피의 유혈진압을 유도하여 제국주의자들이 개입할 명분을 주기 위해 유일합법정부를 자칭하면서 나토의 충실한 도구가 되었던 것이다.

“2월 24일 반정부 정치인, 이탈한 군 간부, 부족 지도자, 학자, 경제인들은 바이다에서 회합을 가졌다. 며칠 전 정부에서 사임한 잘릴이 의장이 된 이 회의에서 대표자들은 리비아 국가의 통일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트리폴리를 수도로 삼는다고 말했다. 그들은 리비아에 대한 유엔 개입을 요청할 많은 대표자들로 이루어진 과도정부에 대한 제안을 토의하였다. 회의장에는 구왕정의 깃발이 놓여 있었다. … 대체정부를 구성하려는 노력은 유엔주재 리비아 대사의 지지를 받았다. 부대사 다바쉬도 원칙상 새로운 대체정부를 지지한다고 말했다”33)

이처럼 NTC는 리비아 민중이 주도하는 혁명이 아니라 잘릴을 비롯한 카다피 정권의 낡은 지배계급들이 그 출발부터 제국주의자들의 개입을 애원하기 위해 그리하여 민중이 주도하는 혁명을 낡은 지배계급이 주도하는 더러운 거래가 되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다.

대중의 정당한 투쟁은 조작이 필요없다. 하지만 앞서 보았듯이 NTC는 대량 강간설을 유포하고자 알자지라와 함께 비아그라 박스 사건을 조작했다. 혁명은 정의라고 할 때 그들은 결코 정의에 기반한 투쟁을 보이지 않았다. 그들은 더러운 인종주의에 기반하여 정규군과 흑인을 아프리카 용병으로 둔갑시켜 수많은 흑인 동족과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인들을 살육하는 진정한 집단학살을 해왔다.34)

지난 10월 제국주의 세력의 적극적인 공습과 개입으로 카다피가 무너지기는 했지만, 3월 중순 카다피군의 벵가지 진격에서 보는 것처럼 제국주의 세력의 도움이 없었다면 무장반란은 한 달도 못되어 진압당할 운명에 있었다. 모름지기 현대 국가에서는 혹은 아무리 무도한 학살정권이라고 하더라도 군사력과 시민의 무장력 간에는 뛰어남을 수 없는 비대칭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군대가 개입할 명분을 안주고 중립화시키고 민중의 편으로 끌어당기려는 고려 즉 목적과 수단의 정당성을 확보하면서 광범한 대중의 지지와 참여로 권력을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카다피의 군대가 와해되고 패배한 것은 혹은 보안대나 군대가 총을 버리고 도망가는 것은 대중의 무장력이 그들을 군사력으로 압도했기 때문이 아니다. 공권력이란 최종적으로 민중의 투쟁이 갖는 압도적인 정당성 앞에서 무너지는 것이다.35) 현대국가의 공권력은 무장력으로 우월을 다투는 내전이 아니라 대중의 투쟁과 분노가 갖는 압도적인 정당성으로 무장한 혁명으로 무너지는 것이다.36)

NTC는 민중의 편에선 정의의 투쟁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제국주의자들이 개입할 여건을 만들어주기 위해 임시정부를 자칭하고 온갖 조작질을 일삼았던 것이다. 진정 NTC와 나토가 피바다를 두려워하고 피하려고 하였다면 카다피가 진지하게 정전과 중재를 제안했을 때 받아들였으면 된다. 하지만 혼자 힘으로는 도저히 이길 수 없음에도 제국주의에 기대기 위해서 휴전을 거부했던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항쟁은 기회주의 세력들에 의해 첫 단추가 잘못 꿰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잘못이 끝내 제국주의의 개입으로까지 발전하게 된 것이다.

 

제국주의자들의 개입 이유-

왜 알자지라와 서방 언론과 제국주의자들은 이런 악선동을 조작해내었던 것일까? 서방이 왜 개입하였는가에 대하여는 많은 사람들이 석유이권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카다피도 석유이권은 충분히 보장하여 주었기 때문에 사실 서방 제국주의자들과 독점자본은 카다피 체제에 대하여 전혀 불만이 없었다. 아프리카인들의 불법이민에 대해서도 카다피는 철저하게 이탈리아와 EU를 만족시켜 왔다. 튀니지와 이집트 등에서 친제국주의적이 아닌 자주적 정부 혹은 민중의 눈치를 보아야 하기 때문에 노골적으로 제국주의를 편들 수 없는 정부가 들어설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리비아만이라도 서방 특히 미국의 군사동맹으로 만들거나 군사기지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37) 또한 카다피를 지원하여 이 지역에서 반미나 반제 감정을 악화시키는 것보다는 분노의 표적을 버림으로써 친서방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훨씬 더 나은 선택이기 때문에, 그리고 카다피는 언제든지 중국이나 인도, 소련 등과도 거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과 서방은 석유와 군사적 영향력의 배타적 확보를 위해, 바레인이나 예멘의 학살에는 눈을 감으면서도 ‘인도주의적 개입’38)을 운운하며 또 다른 꼭두각시 정권의 창출에 나선 것이다.39)

제국주의자들은 벤 알리와 무바라크의 몰락으로 중동의 질서가 흔들리고 있을 때 개입할 수 없었다. 패권이 흔들릴 때 반드시 무력을 시위해야만 하는 제국주의자들은 카다피를 버리기로 하고 그를 제물로 삼았지만 주권국가 내의 항쟁에 개입하는 데에는 명분이 필요했다. 지상전이 부담스러우니까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목표로, ‘비행기를 동원한 공중공격’과 ‘아프리카 용병을 나르는 비행기’가 필요했던 것이다. 잘 짜여진 각본처럼 2월 21일 알자지라는 비행기 한 대 떠 있지 않던 그 시각에 전투기에 의해 트리폴리가 피바다가 되고 있는 것처럼, 그리고 유엔 부대사는 용병을 나르는 비행기와 집단학살을 운운하며 비행금지구역의 설정을 주장했다. 잘릴 또한 시민에 대한 과도한 폭력을 운운하고 재빠르게 과도국가위원회를 만들어 피바다가 될 것이라면서 국제사회의 개입을 호소하였던 것이다. 전 세계를 상대로 벌인 이번 조작극은 인류 역사상 최대의 사기극이라고 해야 마땅하다.

 

제국주의 개입을 둘러싼 좌파의 분열-

제국주의의 군사개입이 시도되고 있을 때 많은 논쟁들이 벌어졌다. 전투기까지 동원하여 민중을 학살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방의 군사개입은 필요하다는 주장과, 제국주의의 군사개입은 또 다른 예속과 비극을 낳을 것이기 때문에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있었다. 어떤 좌파들은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필요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고, 어떤 좌파는 비행금지구역이 아니라 ‘리비아 인민을 무장시켜라’는 구호를 내세우기도 하였다.40)

“리비아에 대한 국제적인 군사개입은 특히 좌파진영을 둘로 분열시켰다. 개입찬성론자들은 이러한 개입이 없다면 봉기가 궤멸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개입반대론자들은 이러한 개입을 이라크 전쟁과 똑같은 군사적 공격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분열의 한 가운데에는 독재에 반대하는 인민의 혁명을 지지한다는 것과 서방의 위선을 비방하는 반제국주의적 입장 사이의 명백한 모순이 있다. 나는 한사람의 리비아인으로서 인민의 혁명을 위한 것이라고 선언하는 것과 그것(인민의 혁명-인용자 삽입)을 지탱해 온 개입에 반대하는 것에서 어떤 논리도 찾을 수 없다. … 개입반대론자들이 가장 즐겨 드는 것은 서방측의 두 개의 잣대에서 보이는 위선이다. 똑같이 살인적 폭력에 시달리고 있는 예멘이나 바레인이 아니라 왜 리비아냐는 것이다. … 리비아 인민들이 자신들의 역사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무시하고 있다는 개입찬성론자들에 대한 비난은, 개입에 대한 반대를 위해 리비아 시민들에게 카다피가 저지른 죄악을 간과하거나 최소화하여 어떠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입장을 정당화하려는 개입반대론자들에 의해 악화되고 있다. … 우리는 새로 태어난 혁명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혁명은 지구상에서 깨끗이 청소될 운명에 있기 때문이다. …‘외국간섭 반대, 리비아 인민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벵가지에 걸려있는 현수막에는 외국개입 반대는 전면적인 지상군과 리비아 점령을 반대한다는 의미에서 비행금지구역과 국제공동체로부터의 지원 요청이 함께 있었다.41) … 리비아 사람들이 보다나은 미래를 위해 서방의 개입을 받아들이기보다 최근까지 서방에 의해 옹호되었던 야만적인 체제에 의해 그들의 순수한 혁명이 박살이 나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생각은 망각이 심한 것 같다. 몇몇 좌파들은 서방은 그들 자신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많은 서방국가들이 카다피 체제를 도와왔다고 지적한다. 명백하게 그들의 사악한 이해관계는 개입과 함께 마법처럼 나타난 것이 아니고 그것들은 개입 후에도 마법처럼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개입에 의하여 이들 국가들은 그들 자신의 전략적 이해관계들 속에서 행동하고 있고, 새로운 거래를 하고 있지만 진실은 많은 서방 정부들이 쉽게 다른 길을 찾을 수 있었고, 카다피와의 거래를 통해 계속 이득을 볼 수 있었다는 점이다. … 혁명을 망치는 것은 분열이고, 리비아에 대한 (외국의) 개입은 ‘아랍의 봄’을 망칠 수 있다는 관념 속에 나타나고 있는 바로 그 언사가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 이 언사는 다음 문제를 회피하고 있다. 만약에 카다피가 리비아의 봉기를 짓밟는데 성공한다면 그것은 아랍의 봄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까? 보다 더 큰 자유를 위한 그들 인민의 커져가는 요구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고 있는 아랍의 독재자들은 카다피의 미친 행동 속에서 몇 가지 방법을 찾을 것이다. … 아무도 미래를 예측할 수 없지만, 만약 포스트 카다피에 대한 걱정이 중요하다면, 그것은 42년간에 걸친 억압적이고 권위적인 체제의 후의 민주적인 사회를 건설하는 길고도 어려운 과정일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나약한 사람들의 노력을 지지하는 것을 반대하는 주장이어서는 안 된다.”42)

결국 이 주장의 요지는 서방 제국주의자들은 그들의 사악한 이익에 따라 개입하는 것이 분명하지만, 그리고 과거에도 그래왔고 미래에도 그러할 것이지만, 당장 인민의 혁명이 카다피에 의해 짓밟힌다면 그 결과는 어떤 선택보다 참혹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혁명의 궤멸을 막을 수 있는 국제사회의의 개입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비록 그 개입이 비행금지구역의 설정에 멈추지 않고 공습으로까지 이어졌지만 이것은 카다피를 저지하기 위해 개입한 이상 필연적인 수순이었다. 카다피 체제는 결코 반제국주의적 입장에 충실한 무슨 진보적인 사회가 아니라 참으로 악랄하고 잔인한 체제였다. 그 체제는 동정할 가치도 없다. 그러나 그 때문에 개입을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결국 타스님 퀴테트Tasnim Qutait의 주장은 일국의 혁명이 제국주의에 의해 간섭받지 않아야 한다는 이상은 봉기에 나선 인민이 학살당하는 현실 앞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혁명이 압살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당위 앞에 무릎을 꿇어야 된다는 것이다. 제국주의의 개입없이 혹은 프랑스와 미국의 무자비한 공습이 없었다면 반군은 결코 승리할 수 없었고 궤멸되고 보복을 당했을 것임은 분명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엔결의안을 빙자한 ‘인도주의적 개입’은 날조된 이유에 기반한 것이고, 그 날조마저도 내전인 이상 결의안을 통과시킬 명분이 못되는 것이지만, 설령 서방 언론이 퍼뜨린 카다피의 학살만행이 사실이고, 현지의 리비아인들이 집단학살의 두려움을 느꼈다고 할지라도, 제국주의자의 개입을 요청하고 지지할 수는 없는 것이다. 혁명은 이길 수도 있고 질 수도 있다. 하지만 혁명이란 민중들이 외세의 힘을 빌어서가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해야 하는 것이다. 카다피가 아무리 악랄하고 무자비하다고 하여도 지구상의 어떤 민중도 학살을 그냥 당하고만 있지 않는다. 민중은 창조적인 지혜와 단결된 힘으로 끝내는 극복할 수 있다. 비록 NTC가 민중이 주도하는 혁명을 낡은 지배계급이 주도하는 내전으로 그 성격을 바꿔버렸지만, 총 군사력이 5만 명인 나라에서 이미 상당수의 군대가 이탈하여 민중이 무장을 한 상태에서 분산되고 고립되지만 않는다면 트리폴리 봉기에서 보듯 풀뿌리 대중에 기반한 혁명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이처럼 혁명이 위기에 처했을 때 좌파가 해야 할 일은 카다피의 악랄한 심성을 걱정하여 제국주의의 개입을 지지할 것인가 말 것인가로 논쟁할 것이 아니라, 카다피의 충성파보다 압도적인 대중에 기반한 투쟁을 만들기 위해 총을 들고 리비아 민중들과 함께 싸우는 것이다. 퀴테트가 제기한 지적은 어려운 문제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대중노선의 관점이 결여되어 있다. 만약 잔인한 학살자 때문에 제국주의의 개입이 없어서는 안된다면 수천 명이 학살당하고 있는 시리아나 예멘의 대중은 스스로의 힘으로 해방될 수 없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국지적인 학살은 대중을 겁주고 잠재울 수 있을지 몰라도 수도에 집중한 수만 명의 대중은 학살과 총질을 넘어설 수 있다.

 

항쟁의 주체-

리비아 항쟁의 주체는 누구였을까? 벵가지를 비롯한 동부지역에서 시위에 나서고 투쟁에 앞장 선 것은 리비아 민중들이다. 8개월이 넘는 내전에서 카다피의 정규군과 일선에서 싸운 사람들도 바로 그들이다. 반군이 진격하기 전에 스스로를 해방시킨 자위야나 트리폴리의 무장봉기도 리비아 민중들이 일으킨 것이다. 혁명의 주체와 반군의 대부분은 분명 민중들이지만, 이들의 상층부는 카다피군에서 이탈한 군지휘관들과 부족세력들이 장악하고 있고, 여기에 구정권에 충성하다가 말을 바꿔 탄 기회주의 세력들이 뭉쳐 제국주의자들의 앞잡이 노릇을 하는 과도국가위원회NTC가 있다.43)

 

NTC-

내란이 시작된 지 1주일도 안되어 임시정부를 자처하여 내전으로서의 성격을 분명히 하고 그리하여 카다피에게 내전을 진압하는 군대의 사용과 제국주의의 개입을 정당화시켜준 NTC의 실체는 무엇인가?

"벵가지의 NTC는 나토의 개입을 촉구하였다.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모든 혁명적 봉기에서 제국주의자들은 개입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제 그들은 상황에 개입할 기회가 왔다는 것을 알아 차렸다. 미국과 프랑스, 영국은 NTC와의 접촉에 들어갔고, 그들은 카다피 정권의 부르주아적 분자들과 전 장관들의 연합체였다. 이러한 행동은 완전히 반동적인 이 조직의 성격을 보여준다. 하지만 NTC의 역할을 과장하거나 완전한 통제권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면 잘못이다. NTC는 그들을 초기에는 의심스럽고 적대적으로 간주했던 반군세력에 대한 어떠한 장악력도 없다. 이것은 지난 3월 영국의 첩보부대가 NTC의 지도자들과 접촉하기 위해 벵가지로 들어가려다가 반군에 의해 체포된 사실에 의해서도 알 수 있다. 반군의 태도를 바꾼 것은 카다피의 끝장 공격이라는 즉각적인 위협이었다. 카다피의 아들 사이프는 항쟁의 초반 ‘리비아는 튀니지나 이집트가 아니다. 거리는 피로 물들 것이다’고 말했다. 카다피 자신도 집집마다 골목마다 반군을 쥐새끼처럼 쫓을 것이라고 말했던 것이다. 카다피의 연설로 인한 학살의 두려움 때문에 대중들과 처음에는 반대했던 사람들도 NTC가 요청한 제국주의의 무장개입에 반응을 보이게 된 것이다."44)

NTC가 얼마나 허접한 조직인가는 지난 8월 22일 트리폴리 민중들의 무장반란으로 반군들의 입성이 이루어진지 두 달이 넘도록 자신들의 본거지인 벵가지를 떠나지 못하고, 심지어 카다피가 죽은 뒤에도 리비아 해방을 공식선언하면서도 한 달 후에나 트리폴리로 옮기겠다고 말하는 데서도 알 수 있다. 그들이 그동안 카다피와 전투를 벌여온 반군들에 대한 아무런 통제력이 없다는 사실은 카다피의 시신을 둘러싼 갈등에서도 확인된다.45) 결국 NTC는 리비아 민중들이나 반군과 결합한 실체가 아니라 카다피 체제의 핵심이었던 사람들이 재빨리 말을 바꿔 탄 기회주의 세력들로써 제국주의 세력과 반군 간에 뚜쟁이 노릇을 하고 있는 반동세력들의 결집체인 것이다. 이들이 바로 나토의 도구로 기능하면서 온갖 악선동과 조작극을 벌여 제국주의의 개입을 이끌어내었던 것이다.

 

반군과 자경단-

리비아의 반군은 처음부터 반정부 시위에 적극 결합한 일반 민중들만이 아니라, 카다피에게서 이탈한 보안대와 경찰과 군인들이 상당한 수에 달한다. 카다피의 악랄한 분열정책 때문에 부족별로 반군을 구성하고 그 상층부에 부족 지도자들과 카다피를 이탈한 군고위급 간부들이 있다.46) 반군이 장악한 다른 지역들도 마찬가지지만 벵가지에도 주로 이탈한 경찰과 보안대로 구성된 수십 개의 자경단이 있다. 이들이 중화기로 무장한 픽업 트럭을 몰고 다니면서 혁명을 전복한다는 이유로 카다피 충성파나 무고한 흑인들을 색출하여 ‘카다피의 개’나 ‘용병’으로 비난하면서 살인행위와 사적 린치와 약탈을 저지르고 있다는 수많은 보고가 있다.47) 이들의 사적 테러는 이승만의 졸개였던 서북청년단과 비슷하다. 혁명은 불의에 분노하고 보다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열망으로 하는 것이다. 반군 속에는 분명 정의감에 불타는 민중들도 있겠지만, 참으로 비겁하고 타락한 기회주의적 반동세력들도 많고 그들이 반군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다.

 

전망과 과제-

이제 카다피는 제국주의 국가들의 개입으로 몰락하였다. NTC는 8개월 후에 민주정부 수립 구상을 밝혔다. 카다피 치하에서는 대중운동이나 사회운동 세력이 성장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온갖 기회주의적이고 반동적인 세력이 NTC와 반군의 상층부를 장악하고 있다. 그리고 하층마저도 결코 정의롭거나 도덕적이지 않은 전직 경찰이나 보안대원 출신들이 무고한 살인과 린치와 약탈을 하면서 설치고 있다. 카다피에서 이탈한 고위 관료와 군장성, 서로 헤게모니를 다투는 반동적인 부족 상층부 등은 친 민중적이라기보다는 본질적으로 기회주의적이고 친제국주의적이며, 서방과 긴밀히 협조하고 그들의 개입을 이끌어내고 이권을 약속하였다. 이처럼 타락한 세력들이 설칠 때에는 대중의 자발성은 급속하게 쇠퇴하고 만다. 대중의 자발성과 투쟁성이 한껏 고양되던 2월 하순 조금만 더 밀어 붙였으면 카다피를 몰아 낼 수 있었을 텐데도, 민중이 주도하는 혁명을 두려워한 제국주의와 기회주의 세력들이 이 혁명을 왜곡하고자 온갖 모략질과 황색선동을 일삼으면서 혁명이 아닌 내전으로 성격을 바꾼 뒤 끝내 제국주의의 개입전쟁으로 발전시켰다. 리비아 내전의 승자는 리비아 민중이 아니라 제국주의자와 기회주의 세력들이다. 결국 리비아 혁명은 낡은 지배계급과 제국주의 세력에 의해 강간당하고 타락한 혁명이 되어 버렸다. 리비아 민중은 이들 기회주의적 친제국주의 반동세력과 싸워 진정으로 자주적이고 민주적이고 민중적인 사회를 건설할 과제가 남아있다. 하지만 그 과제는 요원한 듯하다.

 

 


1) "카다피는 오래전에 그의 혁명적 유산(1969-1988)을 포기했고, 최소한 2003년에는(사실상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이 이끈 테러와의 전쟁에 그 자신을 받쳤다. 카다피의 감옥은 CIA와 유럽 정보기관과 이집트 정보부가 이용한 중요한 고문 센터였다."-Vijay Prashad, “NATO's Agenda for Libya : Qaddafi, From Beginning to End”, at http://www.counterpunch.org/2011/10/21/qaddafi-from-beginning-to-end/ (Weekend Edition October 21-23, 2011)


2) 위키리크스에는 페트로-캐나다가 30년간의 석유체굴권을 얻은 대가로 카다피 일당에게 10억 달러를 주기로 한 사실이 폭로되기도 했다.-John Riddell, “How Can We Aid Libya’s Freedom Movement?” at http://www.socialistvoice.ca/?p=1443 (February 28, 2011)에서 재인용


3) 김하영, “리비아혁명, 어떻게 볼 것인가?”,『마르크스21』, 책갈피, (2011년 봄), pp.148-158.


4) Urs Fruehauf, “EU-Libya Agreements on Refugees and Asylum Seekers : The Need for a Reassessment" in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Perspectives, (#2 May 2011, Special Issue), pp. 244-245.


5) 내전이 시작된 이후 리비아는 계급이나 계층 혹은 정당으로 분열한 것이 아니라, 친카다피 부족과 반카다피 부족으로 분열하였고 카다피 군대의 반군으로의 이탈은 심각한 수준이었다. 또한 리비아의 군대는 현대국가의 국군이라기보다는 개인에 대해 충성하는 친위대나 사병에 가까웠다. 그들은 국가와 국민에 대한 충성을 다짐하는 집단이 아니라 부대 이름부터 카다피 아들의 이름을 붙이고 카다피 일족에게 충성했다.


6) Lisa Anderson. op. cit., p. 6.


7) “2006년 2월 17일 벵가지에서 정치변화를 요구한 것이 아니라 단지 유럽에서 인쇄된 선지자 무하마드의 만화에 분노를 표시하는 시위가 일어나자 보안대는 12명을 죽였다. 2007년 트리폴리에서 10여명의 활동가들이 이 비극적인 사건을 기념하기 위하여 평화적 시위를 계획하였다가, ‘정치체제를 전복하려고 시도하고, 리비아 정권에 대한 헛소문을 퍼뜨리고, 적들과 교류하였다’는 죄목으로 6-25년의 징역형에 처해졌다.”-Amnesty International, "The battle for Libya : Killings, disappearances and torture", (September 2011. Index: MDE 19/025/2011) p. 13. at http://www.amnesty.org/en/library/asset/MDE19/025/2011/en/8f2e1c49-8f43-46d3-917d-383c17d36377/mde190252011en.pdf


8) “카다피 정권은 2월 18일부터 페이북과 트위터의 접속을 봉쇄하고 뒤이어 인터넷 접속을 방해했다. 2월 3주째엔 전화통신도 극심하게 방해했다. 트리폴리와 카다피 장악지역에서는 당국이 대화를 감시하는 위성전화를 이용할 수 있었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19.


9) Nahla Daoud, “Fear and Revolution in Libya" in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Perspectives, (#2 May 2011, Special Issue), pp. 209-210.


10) 유니스 소장은 내무장관을 겸하고 있는 서열 제2위의 실력자로 2월 20일부터 벵가지를 수습하려고 왔다가 2월 22일 “군대는 인민들의 정당한 요구에 응해야 한다”면서 반정부 시위대에 가담했다. 이후 반군 사령관으로 활동하다가 7월 29일 암살당했는데, NTC는 친카다피 측의 암살이라고 발표했지만, NTC의 대표인 잘릴이 유니스를 억류한 정황 등으로 보아 잘릴 측이 죽인 것 같다.


11) 이 주장은 데르나에서 있었던 사건을 착각한 것 같다. “(데르나에서 찍힌-인용자) 리비아 반군의 웹사이트에 올라온 동영상은 일부 군복을 입고 손이 뒤로 묶인 채로 죽음을 당한 사람들을 시위대에 대한 발포를 거부하였기 때문에 사살된 군인들이라고 주장하는데, 다른 동영상을 보면 시위대에 붙잡혀 심문받는 군인들과 똑 같은 사람들이었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71. 즉 시위대에 대한 발포를 거부하여 사살된 군인들이라는 주장은 반군측이 조작한 것이다. “아마추어들이 찍은 비디오는 포로가 된 카다피 지지자들이 사살되고 있는 장면과 심하게 불에 탄 8구의 시체가 벵가지 군 사령부의 잔해에서 발견되었는데 그들은 아마도 당시에 그 지역에서 실종된 지역의 소년들일 것이다. 비행기나 대공 중화기가 군중들에게 사용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시위대가 총에 맞은 뒤 수거된 빈 탄창은 (중화기가 아니라) 칼라쉬니코프나 혹은 그와 비슷한 캘리버 소총에서 나온 것이다.”-Patrick Cockburn, “Amnesty questions claim that Gaddafi ordered rape as weapon of war”, (Friday, 24 June 2011) at http://www.independent.co.uk/news/world/africa/amnesty-questions-claim-that-gaddafi-ordered-rape-as-weapon-of-war-2302037.html에서 재인용.


12) Alan Woods, “After the death of Gaddafi: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in Libya”, (21 October 2011) at http://www.marxist.com/gaddafi-dead-revolution-and-counter-revolution-in-libya.htm


13) 카티바 단지는 카다피 충성파들이 한 때 2,000명이 모여 살던 군부대가 있는 곳이다.


14) Wikipedia, “Libyan_Civil_War” at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 위키피디아의 자료는 심하게 오염되어 있다.


15) 이들은 용병이 아니라 포로가 된 리비아 정규군이었는데, 단지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자경단에 의해 학살당했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71.


16) Wikipedia, “First_Battle_of_Benghazi” at http://en.wikipedia.org/wiki/First_Battle_of_Benghazi 


17) International Crisis Group, Popular Protest in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V): Making Sense of Libya, (North Africa Report N°107, 6 June 2011) at http://www.crisisgroup.org/~/media/Files/Middle%20East%20North%20Africa/North%20Africa/107%20-%20Popular%20Protest%20in%20North%20Africa%20and%20the%20Middle%20East%20V%20-%20Making%20Sense%20of%20Libya.pdf. p. 4. 트리폴리에서도 2월 17일부터 시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미미했고, 2월 20일 녹색광장Green sqare을 둘러싼 공방전으로 비로소 의미있는 반정부시위가 폭발했다. 이날 보안대는 광장에 접근하는 시위대에 실탄을 쏘았다. 시위대는 경찰서와 인민의 전당 건물 일부를 불태웠다. 시위는 대략 2월 25일까지 진압되었다.-Wikipedia, “2011 Libyan civil war”at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 참조


18) 잘릴 역시 카티바 구출협상을 위해 벵가지에 왔다가 '카다피의 과도한 폭력의 사용'을 비난하면서 2월 21일 사임하고, NTC를 만들어 그 대표가 되었다.


19) Aljazeera, op. cit.


20) Maximilian C. Forte, “A Victory for the Libyan People? : The Top Ten Myths in the War Against Libya”, (August 31, 2011) at http://www.counterpunch.org/2011/08/31/the-top-ten-myths-in-the-war-against-libya/


21) “3월 30일 뉴욕 타임즈는 수 주 동안 CIA 작업팀이 리비아 내부에서 활동하였고, 이것은 2월 중순 즉 시위가 시작된 때부터 거기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십 명의 영국 특수부대와 M16(영국 정보기관-인용자) 정보원들과 함께 작업하였다는 것을 보도하였다. NYT는 같은 기사에서 수 주 전에(2월 중순경) 오바마 대통령이 가능한 비밀공작을 위한 다른 지원과 함께 CIA가 리비아인들에게 무기와 다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첩보활동에 서명하였다고 보도하였다.”-Maximilian C. Forte, op. cit.


22) Aljazeera, op. cit.


23) http://en.wikipedia.org/wiki/Libyan_Civil_War에서 재인용


24) Patrick Cockburn, op. cit.


25) Maximilian C. Forte, op. cit.에서 재인용


26) “카다피는 그의 군대가 벵가지에 진입할 것이며, 저항하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관용도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리비아 반군들에게 경고했다. ‘더 이상 두려워하지 말고 더 이상 망설이지 마라 진실의 순간이 왔다’고 선언했다. 동시에 그는 벵가지 주민들에게 ‘군대는 도시의 모든 집들을 수색할 것이다. (그러나) 무기를 갖지 않은 인민들은 두려워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Guardian, "Libya crisis: Britain, France and US prepare for air strikes against Gaddafi",  (2011.3.17.) at http://www.guardian.co.uk/world/2011/mar/17/libya-no-fly-zone-united-nations?INTCMP=SRCH


27) 3월 초부터 반격에 나선 카다피는 미스라타 등을 장악한 탱크와 로켓포로 중무장한 반군과의 전투에서 전투기와 탱크를 사용했다. 당시 카다피는 미스라타의 3면을 포위한 상황에서 시민들의 유일한 탈출구이자 생필품 획득 통로인 북쪽의 항구를 폭격하여 비인도적 처사라는 비난을 받았다.


28) Patrick Cockburn, op. cit.에서 재인용.


29) 카다피는 모든 동네와 직장과 학교에 혁명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들을 충성파로 만들었다. 이들과 보안대(정보경찰 혹은 국내안보국:ISA, Internal Security Agency)가 분노의 표적이 되었고, 벵가지를 비롯하여 반군이 장악한 지역에서는 이들에 대한 납치와 살인이 엄청나게 벌어졌다.


30) Alan Woods, op. cit.


31) ibid.


32) 하지만 이러한 자생적인 투쟁조직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카다피의 악랄한 분할통치로 인하여 시민사회보다 부족적 질서가 강하게 작용한데다, 행정 경험이 있는 전직 경찰이나 보안대 등 카다피 이탈파들이 반군에 대거 합류하여 골간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33) http://en.wikipedia.org/wiki/Mustafa_Abdel-Jalil에서 재인용


34) 650만 명의 리비아 인구 중 흑인은 3분의 1에 달하며, 이주노동자들은 150-250만 명에 달한다. 이들 수많은 흑인들은 단지 피부색 때문에 용병으로 몰려 반군과 자경단에게 살해당하고 있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p. 70-75., “승굽타Kim Sengupta는 인디펜던트Independent지 기사에서 트리폴리에 있는 30구의 시체에 대해 보고했다. 카다피의 용병이라고 말해진 사람들의 절대 다수는 흑인이었다. 그들은 임시 병원이나 들 것이나 구급차에서 죽었다. 흑인의 연행에 대해 한 민병대원은 “리비아인들은 검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아요”라고 말했다. 이 일의 뿌리에는 항쟁 초기 퍼진 아프리카 용병들이 반대파를 자극하고 있다는 루머가 있다. 엠네스티의 로베라는 이러한 주장을 조사하고 아무런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인권감시단의 부커트Peter Bouckaert도 연행되어 언론에 의하여 딱지 붙여진 수많은 사람 중에 단 한사람의 용병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행동의 뒤에 인종주의가 있다. 리비아는 여하튼 아프리카 국가이지만, 리비아에서 ‘아프리카인’이라는 말은 이 나라의 흑인 소수자들을 뜻한다. 엠네스티 조사관 Diana Eltahawy은 리비아를 장악한 반군들은 실제로 외국인 혐오증으로 다가가고 있다고 말했다. The New York Times는 인종주의적 색채를 얘기하지만 때때로 인종주의는 명백하다. 미스라타에서의 반군의 슬로간은 “노예들, 검은 피부를 숙청하는 여단”이라고 페인트 되어 있다. 이러한 인종주의의 결과로 인권기구가 비난하는 반군이 저지른 잔혹한 행위 중의 일부인 많은 흑인들이 대량 연행과 끔직한 살인이 있어 왔다. 이러한 갈등의 인종주의화는 아프리카인에 대한 증오로 끝나지 않는다. 반군의 낙서는 카다피를 유대인 악마로 묘사하고 있다.”-Richard Seymour, “Libya's spectacular revolution has been disgraced by racism”, Guardian, (Tuesday 30 August 2011), at http://www.guardian.co.uk/world/libya?page=29


35) "2월 17일 벵가지에서 시위가 일어나자 비무장한 시위대에 발포하여 사망자와 부상자가 발생했다. 경찰들 대부분은 발포를 억제하고 일부는 시위대에 가담하였다. 보안대는 도망가거나 탈영하여 시위대에 가담했다. 일부는 그들의 총구를 군인들 쪽으로 돌렸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37.


36) 이점에서 일부 한국의 골방 사회주의자들 혹은 자칭 혁명가들이 무장봉기나 무력양성론을 운운하면서 혁명을 무력이나 폭력의 대립으로 보는 관점은 권력의 타도와 장악을 중심에 놓고 사고하는 맑스주의적 방법론과는 아무런 인연이 없다. 투쟁이 고양되고 격화되는 과정의 특수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무장 등의 특정 투쟁형태에 대한 집착은 그러한 형태로 발전하게 하는 힘과 조건에 대한 고려가 없는 본질의 우월성이 아닌 현상에 매몰되고, 내용의 우월성이 아닌 형식에 대한 집착으로 유물변증법적 사고방식과는 거리가 멀다.


37) James Petras and Robin E. Abaya, “The Euro-US War on Libya: Official Lies and Misconceptions of Critics” at http://petras.lahaine.org/?p=1847 참조


38) 이들의 인도주의적 수사의 허구성은 엠네스티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유럽 쪽으로 탈출하려는 리비아 난민을 거부하여 1,500명 이상이 지중해에서 빠져 죽게 만든 사실에서도 잘 알 수 있다.-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 9.


39) 리비아의 석유는 고품질이고 주로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수출되며, 일반 석유와는 달리 별도의 정유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특히 석유수입의 50% 이상을 리비아로부터 수입하는 프랑스는 리비아에 사활적 이해관계가 있다.


40) internationalviewpoint 홈페이지의 <Libya, the resistance, the no-fly zone>라는 토론방에서 진행된 여러 논쟁들 (http://www.internationalviewpoint.org/spip.php?rubrique169). 국내의 관련글로는, 임필수, “리비아 공격을 둘러 싼 국제좌파의 분열에 대한 우리의 시각”, 『사회운동 』(2011, 5·6, 통권 100호), 김하영, 앞의 책, pp.143-164, 등을 참고하라.


41) 이 해석은 Qutait의 주관적인 해석인 것 같다. “중요한 것은 군사개입의 요청이 리비아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민족적 주권을 보호할 필요에 가득찬 반정부 운동에 대한 제국주의적 영향력이 결여를 보여준다.”-John Riddell, op. cit.


42) Tasnim Qutait, “The Price of the Divide on Libya : Why I support the No Fly Zone” in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Perspectives, (#2 May 2011, Special Issue), pp. 248-250.


43)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는 그동안 ‘카다피 제거’라는 목적 아래 일시적으로 단합돼 있었지만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극심한 분열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과도국가위는 반정부 인사와 해외 망명자, 아랍민족주의 세력과 카다피 체제에서 이탈한 인사, 여러 부족의 전사 등 다양한 계층과 부족이 결합돼 있다. 이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강력한 구심점이 생기지 않을 경우 카다피 정권 붕괴 후 더 큰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또 과도국가위 내에는 친서방세력과 반미세력이 얽혀 있는 데다, 알카에다 지부까지 반군의 일원으로 포함돼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경향신문>, “리비아 과도정부 구심점 약화로 ‘제2 아프간’ 우려”, (2011.10.20.), 국제면.


44) Alan Woods, op. cit.


45) “일각에서는 서부 시민군이 내전에서 얻은 최고의 전리품으로 인식되는 카다피의 시신을 NTC와의 협의 없이 미스라타로 옮겼고, 이 시신이 시민군 간 주도권 싸움에 이용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수도 트리폴리, 동부 시민군 거점인 벵가지, 서부 시민군 거점인 미스라타 등 세 도시가 전후 정국 주도권을 두고 치열한 다툼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현재 시신을 지키고 있는 서부 시민군이 시신 처리와 관련된 협상 과정에서 영향력을 넓히려 할 수 있다는 것이다.”-<경향신문>, “카다피 시신 유족에 인계될 듯…매장 여부 불투명”, (2011.10.23.), 국제면.


46) “무장그룹들은 크게 동부 벵가지, 중부 미스라타, 서부 트리폴리와 젠탄 출신 등 3대 주요 세력으로 나뉜다. 지난 8월 트리폴리 함락은 서부 세력이 앞장선 반면, 이번 카다피 제거는 미스라타 세력이 중심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미스라타 세력은 벵가지 출신 중심의 과도국가평의회를 겨냥해 총리가 미스라타에서 나와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들은 카다피 체제에 대한 평가와 리비아의 미래상에 대한 생각이 엇갈린다. 다른 군소 무장그룹들도 새 리비아에서 나름의 대표성을 주장한다. 이같은 분열은 지리적인 차이 뿐 아니라, 이슬람주의 대 세속주의, 베르베르인 대 아랍족 등 정파와 종파, 민족 갈등이 중첩돼 있다.”-“무장세력 난립·분열 ‘재건 걸림돌’ 과도정부 리더십 취약…말 안먹혀”, <한겨레신문>, “리비아 혼란 계속”, (2011.10.23.), 국제면.


47) Amnesty International, op. cit., pp. 70-7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집트 : 수도의 첫 집회를 성사시켜 승기를 잡은 혁명

2-2. 이집트 : 수도의 첫 집회를 성사시켜 승기를 잡은 혁명

 

2-2-1. 이집트 혁명의 배경

1952년 나세르가 이끄는 자유장교단은 쿠데타를 일으켜 친영 이집트왕조를 무너뜨렸다, 나세르 체제는 토지를 재분배하고 기초 생필품에 대한 보조금, 무상교육, 공공부문 주도의 일자리 창출 등 재분배정책을 추진하면서 집권당(해방당-나중에 국민민주당NDP로 이름을 바꿈) 이외의 모든 정당을 금지하고 노동운동을 포함한 대중운동과 좌파를 철저히 억압하고 배제한 권위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체제였다.1) 나세르는 1956년 스에즈 운하의 국유화와 뒤이은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의 보복전쟁에 승리함으로써 서방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아랍민중의 자존심을 대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절치부심하던 이스라엘은 1967년 기습적인 공격으로 이집트와 시리아, 요르단에 궤멸적인 타격을 가하고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 시나이반도, 골란 고원을 점령하였다. 이 전쟁이 준 패배감은 컸고 국가주도의 경제발전이 한계에 부딪치자 1970년대 초 이집트는 막대한 부채와 고물과, 고유가 등 경제위기에 처했다. 1970년 나세르가 죽자 권력을 이어받은 사다트는 사적 투자를 촉진하는 여러 조치와 사유화 등 개방정책(인피타)과 이스라엘과의 화해를 추진하였다. 1979년에는 미국의 주선으로 이스라엘과의 평화협정(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제 이스라엘은 배후의 이집트의 군사력에 대한 불안없이 주변 아랍국들을 유린하고 팔레스타인을 억압할 수 있게 되었다.2) 이 사건은 이스라엘과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아랍민중의 대의를 배반한 것이었다. 이집트는 미국으로부터 막대한 군사원조를 받았고3), 1993년과 2000년 미국이 일으킨 이라크 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하였다. 심지어 이라크 포로들의 고문까지 대리하였다. 이때의 내무부 장관이 현재 과도정부를 이끌고 있는 술레이만이다.

“90년대 초반 감당할 수 없는 외채수준 때문에 야기된 경제위기는 세계은행과 경제개혁에 관한 협정에 서명할 수밖에 없었다. 지난 20년간 이집트 정부는 사회적 프로그램에 대한 지출을 삭감하고 무역과 상품가격, 이자율을 자유화하고, 오랫동안 시행되어 온 대졸자에 대한 정부고용을 보류하고, 수많은 공공부문 회사를 사유화하고, 많은 상품에 대한 보조금을 보류하는 일련의 구조조정 정책을 시행하였다. 국가 지출이 감소하자 교육, 의료, 교통을 포함하는 사회서비스에 대한 공적 지출이 정체되고 이들 서비스의 질이 악화되었다.4) 공장 노동자들, 무토지 농민들 그리고 수출이 아닌 내수시장을 위한 상품을 생산하는 사람들이 가장 큰 고통을 받았다. 그들은 정부의 서비스와 보조금 그리고 시장보호에 의존하였기에, 그들의 고통을 경제자유화의 결과로 보았다. 이와 동시에 새로운 경제 엘리트가 형성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경제개혁과 개방을 이용하여 정권이나 세계시장과의 계약으로 거대한 부를 이루었다. 이들 새로운 경제적 귀족들 아래에 중간계급 또한 발전하였다. 이렇게 해서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사회가 생겼다. 이집트 인구의 소수는 유례없는 번영을 하는 동안 다수는 점차로 주변화 되었다. 경제개혁과 자유화는 지배 엘리트와 경제 엘리트 간의 사악한 동맹으로 이끌었다. 집권당인 NDP와 밀접하게 동맹을 맺은 선택받은 소수는 공적 소유의 땅과 회사를 사는 특권과 국가 면허와 계약을 따는 지름길을 발견하였다.

지난 5년 동안 블루칼라 노동자들과 교육받은 전문직 노동자들은 파업과 항의를 조직하여 자신들에 대한 경제적 차별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였다. 이러한 항의는 파업이나 시위를 할 자유를 제약하는 법률에 의해 통제받는 노조의 통제 밖에서 일어났다. 2008년 재산세 수금원들은 1959년 이래 처음으로 독립노조를 결성하였다. 2010년에만 전국에서 노동자들의 파업과 시위가 700건이나 일어났다.

2010년 선거는 심하게 조작되었다. NDP는 97%의 의석을 얻었다. 2010년 선거는 2011년 무바라크(82)의 아들 가말에게 권력 승계를 보장하기 위한 사전작업이었다. 권력승계에 대해 야당만이 아니라 권력 내부의 군대와 관료들도 회의적이었다.”5)

 

이상으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인구 8,300만 명의 이집트 경제는 197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그나마 있던 사회보장정책은 약화되었고, 극심한 빈부 격차와 실업, 권력의 부패와 야만적인 억압 그리고 2008년 이후 세계대공황의 위기와 석유가격과 식량가격의 폭등 등이 이집트 민중의 저항을 강요하고 있었다.

 

2-2-2. 이집트 혁명의 전개

1월 14일 튀니지 민중이 벤 알리를 축출하자,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29년 장기집권과 독재에 대한 분노의 시위가 시작되고, 1월 18일 세 사람이 분신하고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었다. ‘4.6 청년운동April 6 Youth Movement’은6) ‘경찰의 날’인 1월 25일에 대규모 봉기를 일으키자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호소하였고, (네가지 요구. 첫째, 비상계엄령(1981년)의 해제와 사법부의 독립, 둘째, 고문과 인권탄압으로 악명 높은 내무부 장관의 해임, 셋째, 대통령 임기의 제한을 비롯한 정치개혁, 넷째, 지난해 11월 대규모 부정선거로 선출된 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를 실시할 것.) 며칠도 안 되어 9만 명이 넘는 젊은이들이 지지를 표명하고 이집트 전국에서 시위에 참가하였다.

1월 25일 이집트에서는 수만 명의 사람들이 무바라크 정권에 맞서 시위하였다. 카이로에서만 1만 5천명 이상이 거리로 나왔고 알렉산드리아, 아수안, 만수라 그리고 이스마일리아 등 다른 도시들에서도 시위자들이 함께 거리를 점거하고 행진하였고, 다시 이슬람교도들이 합동예배를 드리는 안식일인 금요일(1월 28일)에 ‘분노의 날’을 갖자고 요청하였다. 최대 야당인 무슬림형제단을 포함한 모든 야당이 시위에 참가하였고, 시위에 참가한 즉시 수백 명의 지도자들은 체포 구금되었다. 1월 27일과 28일 시위로 62명 사망하였고, 1월 30일에는 노동자 계급이 이집트 독립노동조합연맹(FETU)을 건설하고 전국 총파업을 호소하였다. 2월 1일 이미 총 300명 이상 사망하였고, 이집트 군부는 시위대에 무력사용을 않겠다고 선언하였다. 2월 2일에는 최대 반정부 시위인 ‘100만인 행진’에서 친정부시위대와의 충돌로 카이로 15명, 알렉산드리아 52명, 수에즈 13명이 살해되었다. 2월 4일 수십만 명이 시위하였고, 이날 5,000명이 부상하였다. 2월 5일 이집트 총리는 강제해산을 않겠다고 발표하였고, 2월 6일과 7일 야권은 ‘정권교체협의 25인 위원회’를 구성하고 개헌위원회 등의 설치에 합의했지만 시위주도단체는 정부와 협상을 거부하고 혁명방어위원회를 발의하였다. 2월 8일 두 번째 100만인 행진이 있었고 수에즈운하 노동자들이 파업하였다. 무바라크는 2월 11일 군에 권력이양을 발표하고 다음날 사임하였다. 2월 18일 승리의 행진이 있었고, 군부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독립노동조합연맹은 파업을 계속하였다. 군부는 양원을 해산하고 헌법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6개월 내에 선거와 정권이양을 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상은 외신보도를 종합한 항쟁의 흐름이다. 보다 상세한 사정을 알기 위해 당시에 현장에 있었던 주로 아랍출신 취재단들의 관찰기를 살펴보자.7)

“1월 25일은 ‘분노의 날’로 명명되었다. 이집트에서는 수백 명의 항의자를 수천 명의 검정제복의 진압 경찰로 압도해버리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이날 처음으로 시위대가 경찰의 수를 압도했다. 팔짱을 낀 시위대에 최루가스로 대응했다. 군중들은 과거와 달리 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 무슬림과 기독교인이 뒤섞여 있었다. 대학에 다니는 자녀들을 데리고 나온 50대의 한 여성은 “변화를 위해 평화롭게 시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나왔다”고 말했다.

늦은 오후 타흐릴 광장으로 방향을 바꾸고 광장을 장악하려는 시위대에게 경찰은 물대포, 최루가스, 곤봉을 사용했지만, 이른 저녁 수천 명의 시위대는 광장으로 들어갔다. 무슬림형제단은 주초부터 회원들이 개별적으로 참가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조직적으로는 참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8)

“시위 초기에 경찰들은 매우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이는 정부가 튀니지에서와 같은 민중봉기를 피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많은 시위자들이 여러 곳에서 경찰저지선을 부수고 타흐릴 광장에 도착하자 경찰은 전술을 바꿨고 상황은 심각해졌다. 경찰은 방패와 곤봉 그리고 최루탄과 물대포로 시위자들을 해산시키고자 했다.

이집트 내무부 장관 하비브 알-아들리는 도심을 방어하기 위해 3만 명의 경찰을 소집했다. 특히 상당한 수의 경찰이 정부청사와 의회를 에워쌓았다. 그는 사전에 시위자들에 대해 정부재산이 파괴되고 경비대가 위협될 경우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선언했었다. … 외신의 현장 보도를 종합하면, 이집트 야당과 인권연합은 ‘혁명과 자유, 고문, 빈곤, 부패 그리고 실업에 맞선 혁명의 날’이라는 구호로 이날 시위를 제안했다.9)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만 9만 명 이상이 시위 참가에 동의했다. 시위는 무엇보다 부패, 빈곤, 고문 그리고 실업을 문제화했다. 몇몇 조직들은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과 30년 동안 지속하고 있는 국가비상사태의 종식을 요구했다. 주최 측은 명백하게 튀니지에서의 저항이 빈곤과 억압에 맞서 거리로 나서도록 이집트인들에게 용기를 불어넣었다고 분석했다.”10)

“2월 1일 밤 무바라크는 두 번째 연설에서 가을에 시작되는 6번째 임기를 포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밤에도 수천 명의 시위대는 ‘정권 타도’를 외치며 타흐릴 광장을 지켰다.”11)

“어제(2월 1일)부터 친무바라크 데모가 나타나 시위대와 가투가 벌어졌다. 2월 2일 점심때 인터넷 서비스가 회복되고 모두가 들떠 있었지만. 해질녘 타흐힐 광장은 부상당한 사람들로 가득 찼다. 주로 카이로 외곽의 관광객 호객꾼으로 보이는 말이나 낙타를 탄 1,000명 정도 되는 사람들이 “우리는 무바라크를 사랑한다, 그는 떠나지 않는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나타나, 돌과 시멘트 덩이를 던지면서 시위대를 유린하려 했다.12) 충돌이 있기 전 군 대변인은 시위대에게 귀가하여 일상에 복귀하라고 성명을 발표했다. 군인들은 시위대의 호소를 무표정하게 바라만 보고 있었다. 군인들에 대해 분노가 터져 나오기도 했지만, 군대를 자극하지 않으려고 신경쓰는 사람들도 있었다. 지난 며칠 동안 군대와 자원봉사대는 검색대를 세우고 광장 출입자들의 신분증과 무기검사를 하였는데, 2월 2일부터는 신분증을 등 뒤로 보이면서 몇 번이나 몸수색을 받아야 했다.”13)

“1월 28일부터 시위대는 타흐릴 광장을 고수하였다. 2월 3일 친무바라크 시위대는 광장으로 향하는 두 개의 다리를 장악하고, 음식과 의료품을 광장으로 반입하려는 사람들을 가로 막았다. 2월 4일 금요일 거대한 금속 바리케이드가 타흐릴 광장으로 향하는 모든 도로를 가로 막았다. 시위대는 공사장 두 곳을 확보하고 투석전을 위해 돌과 시멘트 덩이를 쌓았다. 친정부 시위대는 쫓겨났고, 시위대가 광장으로 향하는 다리 하나를 해방시켜 경찰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수천 명의 사람들이 합류할 수 있게 됐다. 광장 안에는 임시 치료소가 여러 개 설치되었다. 이날 최대한 많은 군중이 모여 행진했다. 친무바라크 시위대의 공격은 국제적으로 많은 비난을 받았고 실패했다. 시위대는 금요일까지만 버티면 거대한 지원자들이 합류할 것으로 판단했다.”14)

“(2월 4일) 광장에는 ‘대통령 사임,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새로운 헌법’이라고 적힌 거대한 배너가 걸려 있었다.”15)

“1월 27일 고흐님Wael Ghonim(30)은 튀위터에 “#이집트를 위해 기도하자!16), 겁에 질진 정부는 내일 인민에 대한 전쟁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는 모두 죽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올린 뒤 소식이 두절됐다. 다음날 수많은 사람들이 최루가스와 소방호스 고무탄 실탄을 무릅쓰고 수천 명의 진압부대를 압도하면서 광장으로 쇄도했다. 고흐님은 국제적인 석방운동 뒤 2월 7일 풀려났다. 고흐님은 두바이에 있는 구글 회사의 간부이다.

고흐님이 2월 7일 밤 방송(사영 채널)에 출연하여 “이것은 모든 이집트 청년들의 혁명이다. 나는 지도자가 아니다.”고 말하고, 희생자들의 영정을 보면서 “우리 모두의 잘못”이라고 흐느낀 것은 많은 이집트인들에게 감명을 주었다.

많은 사람들이 고흐님을 페이스북 페이지 ‘우리 모두가 칼레드 사이드다We Are All Khaled Said’의 운영자로 생각했다. 이 페이지는 2010년 6월 6일 당시 28세의 칼레드 사이드17)가 알렉산드리아의 인터넷 카페에서 경찰에게 심하게 폭행당해 죽은 날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고흐님을 유괴하고 억류하고 석방한 이 사건은 고흐님을 영웅으로 만들었다. 지난 일주일 동안 국영 TV에서는 시위대를 위험한 이슬람주의자나 이스라엘 첩자로 선전했다.

광장 그 자체를 운영하는 조직은 가끔 투쟁을 선동할 때 신뢰를 받았던 페이스북 그룹이나 정당 혹은 운동들과는 완전히 절연된 하나의 실체다. 1,000명이 넘는 타흐릴 운영위원회의 멤버의 한사람이 말한 바에 따르면, 소수의 자원봉사자들이 바리케이드를 만들고, 프락치를 색출하고, 임시 의료소를 운영하고 있고, 100명 정도인 조정위원회가 중요한 결정을 하는데, 이들은 대부분 1주일 전만해도 서로 몰랐던 사람들이고, 활동가들도 아니다. 임시 조직자들은 조정위원회의 내부 서클에 대표단을 만들려는 시도에 반대해 왔다.

청년 그룹 중엔 자칭 ‘현자Wise Men’-장년층들로 이루어진 위원회는 정부와의 중개를 자임했다-들과 연계를 맺고 있는 그룹도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청년그룹들이 광장에 모인 사람들을 대표하는 것도 아니고, 나와 대화한 사람들 중엔 아무도 술레이만을 만난 ‘1월 25일 청년들January 25 youth’이나, 일요일날 기자회견을 열어 협상에 대한 입장을 밝힌 ‘분노한 청년연합Coalition of Angry Youth’을 아는 사람은 없었다.

주말이 지나자 군인들은 탱크로 시위대를 이집트 박물관 남쪽으로 밀어 붙이기 시작했고, 여기에 십여 명의 무슬림형제단의 청년회원들이 상급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탱크 아래로 몸을 던져 막았다.

타흐릴 광장 안에서는 점차 구역이 나뉘게 되고, 메가폰을 든 무슬림형제단은 광장 남쪽, 완전한 스피커 장비를 갖춘 죄파들은 광장 서쪽, 그리고 그보다 작은 그룹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18)

“2월 8일 수요일 거대한 군중이 무바라크의 축출과 근본적인 정치개혁을 외치며 타흐릴 광장으로 쇄도했다. 페이스북에서 고흐님을 이집트 혁명의 대변인이라고 지명하는 페이지가 만들어지자 거의 14만 명의 지지를 얻었다. 그러는 동안 새로운 혁명위원회는 단일전선과 합의된 요구사항을 만들려고 모였다. 오전엔 카이로 대학의 수백 명의 교수들이 무바라크 타도를 외치며 광장으로 들어왔다.”19)

“(2월 9일) 수십만 명의 이집트인들이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 등지에서 ‘인민은 정권의 퇴진을 요구한다’를 외치며 행진했다. 정부는 TV와 라디오를 통해 외국에 의해 사주된 음모라고 악선동을 하였고, 기자들을 포함한 외국인이나 관광객들이 억류되고 위협받았고, 알자지라 사무실을 급습하여 모사드(이스라엘 첩보기관) 스파이와의 관련자를 찾는다면서 장비를 압수하고 8명의 주재원을 억류하였다.

정보부는 전화망을 이용하여 모든 이동전화 가입자들에게 ‘군대는 이집트의 충성스런 사람들이 배반자와 범죄자에 대항하여 우리들의 가족과 명예와 소중한 이집트를 지켜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문자를 전송하기도 하였다.”20)

“(2월 10일) 아침 9시 수만 명의 사람들이 광장을 가득 메웠다. 깃발을 든 젊은이들이 콩가 춤을 추면서 ‘오늘밤 호스니는 떠난다’는 구호를 외치기도 하였다. 다른 쪽의 젊은이들은 북을 치면서 ‘우리들이 인터넷의 젊은이다. 우리들이 자유의 젊은이다’는 구호를 외쳤다. 초저녁부터 대통령이 굴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늘어갔다. 광장 한편엔 무바라크의 연설을 생방송하는 알자지라를 보여주는 프로젝터가 돌아가고 있었다. 그러는 동안 어떤 시위대들은 군대와 충돌을 일으킬 수도 있는 새로운 지역을 빼앗으려고 하고 있었고, 어떤 그룹들은 정보부를 포위하려고 이동하고 있었고, 다른 그룹은 대통령궁으로 가려고 결정한 것 같았다. 두 곳 모두 군대가 엄중하게 지키고 있는 곳이었고 그들의 행동을 군대가 허용할 것 같지 않았다.

국제원자력위원회 위원장이었던 엘바라데이ElBaradei는 “이집트는 폭발할 것이다. 군대는 지금 국가를 구해야만 한다”고 트위터에 남겼다. 무바라크의 연설동안 어떤 시위 조직자는 분노한 군중의 감정을 가라앉히려 하였다. 어떤 사람은 “어떠한 도발이 있더라도 내일의 시위는 평화적이어야 합니다.”고 메가폰으로 외치고 있었다.”21)

“2월 2일 알자지라에서는 채찍과 단도와 체인과, 화염병으로 무장한 사람들이 타흐릴 광장의 시위대를 몰아내려고 하고 있는 장면을 보여줬다. 2월 4일은 낙관적으로 ‘퇴임의 날’로 정해졌지만, 인터넷이 차단되었다. 대여섯 대의 경찰 차량이 불에 탔다. 시위대 중에는 “나는 운전면허를 따려고 600 이집트 파운드를 뇌물로 줬다”는 사람도 있었다. 주말인 2월 5일 무슬림형제단을 포함한 자칭 현자들이 술레이만과 협상하려고 하였다. 그동안 300여 명이 죽었다. ‘순교자의 날’인 2월 6일 타흐릴 광장에는 거대한 영정이 걸렸고, 시위대는 무바라크의 퇴진 전에는 어떠한 협상도 거절하였다. 만약 변환점이 있다면 2월 7일 월요일 밤에 있었던 고흐님의 인터뷰였다. 2월 8일 가장 규모가 컸고, 2월 8일 이후 새로운 시민 그룹들이 혁명에 참여하였고, 시위와 파업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갑자기 전국의 수많은 교수와 판사와 의원들이 타흐릴 광장으로 행진하였다. 2월 9일 시위대는 의사당 앞 도로를 장악하고 텐트를 치고 연좌에 들어갔다. 2월 10일 무바라크의 사임예상이 비관으로 바뀌자 시위대는 국영TV빌딩을 봉쇄했다. 그리고 2월 11일 무바라크가 이집트는 아닐지라도 카이로를 떠났다는 소문이 나돌자 아마도 거의 전 국민이 거리로 나왔다.”22)

 

2-2-3. 이집트 혁명의 분석

무바라크에게 승리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 첫 번째 이유는 이집트 민중이 1월 14일 튀니지 민중의 승리에 고무되어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1월 25일(화) 집회 선동에 적극 호응하였다는 점이다. 첫 집회가 경찰을 압도하지 못했다면 그리고 그 흐름을 1월 28일(금)로 이어가지 못했다면 승리는 없었을 것이다. 1월 27일과 28일에 경찰의 발포로 이미 62명이 사망하였고 2월 1일까지 300명이 희생되었다. 1월 28일부터 타흐릴 광장에 출동하였던 군부는 2월 1일 발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2월 1일부터 3일간 경찰이 동원한 용역깡패들이 타흐릴 광장의 시위대를 유린하였고 많은 부상자가 나왔다. 시위대는 2월 4일까지만 버티면 된다고 생각하였다. 금요일은 무슬림들이 광장에 모여 기도하는 날이다. 따라서 1월 28일과 2월 4일, 2월 11일 등 금요일마다 더욱 확대된 시위대가 공권력을 압도할 수 있었던 것은 이집트 민중의 행운이다.23) 항쟁의 큰 흐름을 보면 1월 25일 시위가 시작되었고,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노골적인 진압으로 300명의 희생자가 나온 뒤 군부가 중립을 선언하고, 이후 2월 4일까지 용역깡패와 경찰과의 충돌은 5,000명의 부상자를 낳았고, 다음날 술레이만은 강제해산을 포기하고 야당과의 협상에 들어갔다.

외신들은 군부가 무바라크에게 등을 돌린 것은 미국의 적극적인 개입이었다고 보도하였다. 그것은 사실이다. 다만 현상적 사실이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중의 분노가 폭발할 때, 피지배계급이 노도와 같이 달려들 때, 더 이상 폭력으로 민중의 힘을 억압할 수 없을 때 지배계급들이 분노의 표적을 버리는 것이다. 이것이 현상을 규정하는 본질(현상과 본질의 변증법)이다. 폭발적인 대중의 봉기 앞에서 지배계급과 군부는 무바라크만 피신시킨 것이었다.

 

이집트 민중의 항쟁 역시 몇 번의 고비가 있었다. 첫 번째는 1월 25일 첫 집회가 대중의 압도적 참가로 성공한 것과, 1월 27일과 28일의 경찰의 발포에도 불구하고 1월 28일 집회를 성사시키고 타흐릴 광장을 사수한 것, 2월 1일부터 3일간 깡패들과의 싸움을 이겨낸 것 그리고 2월 4일 이후 지배계급-술레이만의 회유에 일부 야당인사들의 타협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흔들리지 않고 단결을 유지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2월 1일부터의 깡패들과의 싸움은 많은 부상자가 난 치열한 싸움이기는 했지만 투석전으로도 해볼 만한 싸움이었고 2월 4일까지만 버티면 희망이 있다는 확신이 있었고, 무엇보다 군부가 2월 1일부터 무력사용을 않겠다고 발표한 직후였다. 그리고 1월 27일부터 5일간의 300여 명의 희생자는 군대가 진주한 타흐릴 광장이 아니라 카이로를 비롯한 다른 도시에서 경찰에 의해 발생했다. 무바라크는 시위대를 학살하면서도 항쟁의 상징인 타흐릴 광장을 점거하고 있는 농성자들을 살육할 수가 없었다. 승패는 여기에서 결정되었다. 결국 승리의 결정적인 요인은 1월 25일의 수도 집중집회를 성사시킨 것과 그 흐름을 깨지 않고 1월 28일부터 타흐릴을 끝까지 사수한 것이다. 결국 이집트 혁명이 승리한 것은 첫 집회의 압도적인 동원의 성공과 흐름을 깨지 않은 확산 때문이다. 그 이후 지배계급은 반격은 했지만 한 번도 전세를 역전시키지 못했다. 결국 이집트 민중의 승리는 1월 25일 카이로의 15,000명이라는 아주 많다고는 볼 수 없지만 이집트에서는 이례적으로 많은 대중이 경찰의 저지선을 뚫었을 때, 그리고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5일간 경찰의 학살에 굴하지 않고 이겨냈을 때 결정되었던 것이다.

공권력의 노골적인 폭력에는 자위무장이 등장하지 않을 수 없다. 폭압에 맞서 화염병과 돌멩이라도 들고 뚫고 나가느냐 아니면 위축되어 집으로 돌아가느냐 혹은 투쟁파가 소수가 되어 고립되느냐는 당시의 상황과 대중의 의지와 감정에 좌우되겠지만, 이집트 혁명은 대중이 힘을 자각하고 있을 때 즉 압도적인 숫자로 공권력을 압도하고 있고 자신들의 정당성을 확신하고 있을 때 항쟁의 의지는 꺾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혹자는 현상만을 보면서 ‘페이스북 혁명’이라는 말을 지어내기도 하고, 혹자는 승리의 요인을 무바라크의 사임 이틀 전 수에즈 운하와 알렉산드리아 등지에서 있었던 강력한 노동자 계급의 총파업이 결정적이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노동자들의 총파업이 승패가 거의 결정난 1월말 이후인 2월 8일부터였다는 점과 항쟁의 초점이 타흐릴 광장이었다는 점에서24) 지방도시의 총파업만으로 승리의 결정적 요인이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승리는 타흐릴 광장의 시민들(주로 카이로의 도시빈민들과 청년들)이 목숨을 걸고 쟁취한 것이다. 따라서 이 투쟁에서 절반의 승리를 확보한 1월 25일 집회의 동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25)

 

“1990년대 이슬람주의자들에 대한 국가의 격심한 탄압 후26)에 젊은 활동가들은 어떠한 이데올로기적인 배경에도 열려 있고 특정한 이데올로기를 전혀 갖지 않은 사람에게도 열려 있는 항의 운동의 새로운 세대를 통해 그들의 불만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운동 중의 하나가 수많은 비정치적인 젊은이들을 끌어당긴 '케파야Kefaya'(이제 그만)27)이다. 2004년과 2005년에 케파야는 대통령의 임기와 비상조치법의 끝낼 것을 요구하는 주목받는 항의를 조직했다.”28) 2004년 무바라크가 5번째 임기에 도전하기 위해 국민투표를 발의했다. 이 시점은 무슬림형제단을 비롯한 야당은 물론 노동운동과 대중운동이 내무부와 정보경찰에 의해 거의 질식당한 상태였다. 이때에 정치적인 색깔이나 종교적인 색깔에 개방적인 즉 반독재 민주화운동을 최우선으로 하는 청년활동가들을 중심으로 ‘케파야’라는 연대체가 꾸려졌고,29) 이들은 주로 200-300명 정도의 기습시위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에 이들을 모방하는 많은 조직들이 생겨났고 서로 연대하였다. 2005년 총선결과를 승인하기를 거부하고 100명이 넘는 판사들이 항거하자 이들의 징계재판에 많은 사람들이 연대하고 시위하였다. 이 투쟁으로 250명 이상이 구속되자 2006년 5월 무슬림형제단이 대중집회에 동참하여 카이로 시내를 마비시켰고 격심한 탄압을 받았다.30) 2006년부터 노동자들의 투쟁이 터져 나왔다.

“2008년 초 마할라El-Mahalla el-Kubra에 있는 국영 섬유공장 노동자들은 높은 식품가격과 낮은 임금에 항의하기 위해 4월 첫 일요일(6일)에 파업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관심을 보인 젊은이들이 제분 노동자들과 연대하여 4월 6일 항의와 파업을 조직하는 페이스북 그룹을 만들었고, 7만 명의 지지를 받았다. 경찰은 공장을 점령하고 파업을 막았다. 시위대는 건물에 불을 질렀고, 경찰이 발포하면서 두 명이 죽었다. 이집트 전역의 연대 시위는 경찰에 막혀 흐지부지 되었다. 페이스북 조직자들은 뭔가를 해야 한다는 것은 알았지만, 집에 있어야 할지 거리로 나아가야 할지 결코 합의할 수 없었다. 대실패로 끝난 4월 6일 항의는 민주주의 혁명의 도구로서 사회적 네트워크의 한계를 알으켜 주었다. 페이스북은 수만 명의 지지자들 모을 수 있지만, 그들이 로그아웃을 하면 조직할 방법이 없다.”31)

“2008년 초 2005년 대통령 선거에서 강력한 무바라크 반대운동을 벌인 케파야 운동의 젊은 멤버였던 살라Ahmed Salah와 마헤르Ahmed Maher는 '4.6 청년운동'을 조직하였다. 파업을 고무하기 위해서 그들은 페이스북과 트위터, 블로그 등을 사용하여 사건을 알리고, 참가자들에게 위험상항을 알리고, 보안부대에 둘러싸인 사람들에게 합법적인 도움을 주었다. 이들은 2010년 11월의 국회의원 선거에도 개입하였다. 2009년 말에는 지지자가 7만 명에 달했다.”32)

 

케파야나 4.6 청년운동은 기층노동운동에도 연대하고 때로는 자유주의자인 엘마라데이에게 지지를 보내기도 하는 한마디로 민주화를 열망하는 활동가들이 주축이 된 광범한 네트워크이고, 페이스북과 인터넷을 활용하는데도 익숙한 청년들이었다. 또한 그들의 핵심에는 다양한 조직이 참여하고 있는 느슨한 연대체였다.33)

결국 케파야와 4.6 청년운동은 이미 대중에게 알려지고 신뢰를 얻은 집단이자 페이스북 모임이었고, 1월 14일 튀니지의 승리가 전해지자 1월 25일 집회를 제안한 것이고,34) 여기에 많은 단체들이 인터넷상에서 호응하자 야당을 비롯한 여러 단체들도 호응한 것이다. 이들은 집회를 제안한 뒤 일체의 인터넷 접속을 자제하고 지하로 숨은 뒤 중요활동가들이 전술을 논의하였다. “조직자들은 오래전부터 경찰을 오도하기 위해 내무부 외곽에서 모일 것이라고 밝혔지만, 점심 직후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통해 집결장소를 바꾸었다. 인터넷에서는 ‘#jan25’라는 태그를 사용했고, 대오는 150명부터 1,000명이 넘는 경우까지 다양했다.35) NDP 건물 앞에서는 ‘무바라크, 너를 위한 비행기가 기다린다’고 외쳤다. 알렉산드리아와 마할라에서도 같은 시위가 이루어졌다. 구호는 무바라크 퇴진, 대통령 임기제한, 비상사태법 폐지 등이었다.”36)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1월 25일의 동원은 단순히 페이스북에서 집회의 제안과 선동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핵심활동가들의 긴밀하고 치밀한 작업에 의해 성사된 것이다. 인터넷상에서 9만 명이 넘는 호응을 얻고, 거짓정보를 흘리며 경찰을 혼란시키면서 여러 곳에서 모여 대중을 타흐릴로 인도한 것이 결정적이었고, 여기에 체제의 변화를 갈망하는 도시빈민과 청년들이 합류하여 전투력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무슨 페이스북 혁명을 운운하며 동원의 현상적 형태를 물신화하는 것도 우스운 얘기지만, 그렇다고 현대인의 문화적 조건인 인터넷 공간이나 소셜 미디어의 역할을 너무 폄하하는 것도 잘못이다.(이점에 대하여는 ‘3-4. SNS와 대중의 존재 양식’에서 상론할 것이다)

 

2-2-4. 이집트 혁명의 전망

“‘1월 25일 청년연합Coalition of January 25 Youth’37)의 요구조건은 대통령의 사임, 비상조치법 종식, 모든 정치범 석방, 국회 해산, 독립적인 전문가로 정부 구성, 새 헌법 초안 작성, 폭력 책임자 처벌이었다. 이집트의 젊은 활동가들은 1월 29일 총리로 선임된 술레이만Omar Suleiman과의 협상을 거부하였다.

케파야, 변화를 위한 전국연합National Association for Change, 민주전선당Democratic Front Party, 내일당Tomorrow Party, 신와프드당New Wafd Party은 시위에 참가하였고, 이들은 무바라크가 물러날 날 때까지 정권과의 협상을 거부했지만, 무슬림형제단과 타감무 좌파당Leftist Tagammu Party은 1월 28일까지 공식적으로 시위에 참가하지 않았다. (이들 조직의 청년 회원들의 많은 사람들은 1월 25일 시위에 참가하였다.) 후자는 술레이만과 협상에 나섰다.

무슬림형제단은 누구보다 시위에 열심이었지만, 눈에 띄지 않으려고 하였다. 청년회원들은 항의를 조직하는 연합의 핵심이었고, 어떤 조직가에 따르면 무슬림형제 지지자들이 타흐릴 광장을 점거한 군중의 3분의 1이었다. 무슬림형제단은 자신들의 세력이 강했던 알렉산드리아와 만수라에서 시위대의 큰 부분을 차지했다. 그들은 시위에서 종교적인 슬로건이나 시위를 추동하고 있는 세속적인 혹은 친 민주적인 활동가들을 압도하려고 하지 않았다.

처음 2주 동안 노동운동과 전문가 그룹은 눈에 띄는 역할은 하지 않았지만, 마지막 주에는 파업을 조직하기 시작했다. 무바라크의 사임 이틀 전 운송, 통신의 총파업과 함께 이집트는 총체적인 시민불복종의 상황에 이르렀고, 산업부문, 판사, 의사, 대학 교수, 언론인 그리고 예술가들까지 시위를 조직했다.

이슬람주의자와 세속주의자, 자유주의자와 좌파는 과거에 경쟁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일부 정파가 정권과 거래할 위기감이 있었지만, 무바라크 정부가 어떤 양보도 거부하고 폭력을 사용할 의지가 분명했기 때문에 사태의 전환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군부로 하여금 무바라크를 몰아내게 한 것은 반대세력의 단결과 광범위한 대중동원이었다.

무바라크를 몰아낸 혁명은 정권의 일부만 해체했다. 무바라크의 가족과 그들과 연계된 경제인 그리고 국가 관료제와 NDP의 중요인사, 국가보안기구의 많은 사람들과 정권의 기본 구조는 그대로이고 군부와 국가 관료제는 국가를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고 과도기간의 이행과정을 지배하는 위치에 있다.”38)

 

이상으로 살펴보는 바와 같이 4.6 청년운동 등의 청년활동가들은 초기 동원에는 성공하였지만, 무슬림형제단을 비롯한 특정 세력이 주도하거나 혹은 기왕의 운동세력이나 활동가들이 이후의 투쟁을 주도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무바라크가 떠난 뒤 군사최고위원회가 권력을 장악하고, “자유롭고 민주적이며 시민적인 당국에 권력을 넘겨주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다. 군부는 모든 지역적 국제적 협정은 존중될 것이라고 밝혔다. 가자지구의 하마스 지도자는 시위대를 찬양하면서 무바라크가 봉쇄한 가자지구를 개방해야한다고 요청했다.”39) 최근 무슬림과의 참사로 이끌었던 콥트교 시위40)의 무력진압, 새 정부 구성 지연, 국가비상조치법 재가동 등 잇따른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이집트 군사최고위원회가 최근 외환보유고 하락 때문에 IMF 대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고 이집트 민중들은 반대하고 있다는 외신보도가 있었다.41) 이것은 미국에 의해 매수된 군부가 이집트 민중의 혁명에 최대의 장애인 것을 의미한다. 이 사실은 항쟁의 절정기 때 혹은 무바라크가 사임한 직후에 단지 RCD나 부패인사의 청산만이 아니라 군부지도자의 축출과 무력화를 전면에 내걸고 싸워야 했음을 의미한다. 이집트 혁명은 튀니지처럼 단지 독재자만 몰아냈을 뿐 혁명운동의 주도권을 군부에 빼앗겨 버리고 말았다. 물론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는 노동계급의 경제투쟁을 결집하여 군부와의 대립화를 첨예화하면서 전면적 대결로 나아가야 하나 기회주의적인 노조 상층부의 문제 등 이집트 노동계급의 총체적 역량은 부족한 듯하다.

선거 일정이 잡혀있고42) 수많은 급조된 정당들이 난립하는 현 상태라면 무슬림형제단이 가장 많은 수혜를 볼 것이고, 그들은 범아랍 민족주의적인 정서 하에 이스라엘에 반대하고 팔레스타인에는 우호적인 입장이겠지만, 이슬람 극단주의나 여성차별을 고집하지 않는 터키형의 세속적인 친자본의 자유주의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일반인의 시위에는 폭력의 사용을 자제하면서도 노동자들의 파업에는 적대적인 ‘무바라크 없는 무바라크 체제’에서 지배계급의 반민중적이고 기만적인 민주화 책동을 막기 위해서는 계급운동을 재정비하고 체계적인 투쟁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1) 이러한 체제를 국가자본주의로 보는 시각도 있고, 일종의 지배협상이나 코포라티즘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50년대와 60년대의 권위적이고 대중적인 나세르 체제는 노동자계급과 중간계급과 지배협상을 낳았다. 모든 정당은 금지되고 노조를 포함한 시민사회기구는 정권의 직접적 통제 하에 들어왔다. 그 대가로 국가는 정부 고용의 형태로 식량과 에너지와 주택 대중교통, 자유 교육, 의료와 같은 사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였다.”-Dina Shehata, "The Fall of the Pharaoh : How Hosni Mubarak’s Reign Came to an End" in Foreign Affairs, (may / june 2011 volume 90, number 3), p. 27.-든지, “1956년 프랑스의 식민통치로부터 독립한 튀니지의 하비브 부르기바 정권은 1970년대 코포라티즘에 기반한 수출주도 경제정책을 추진하였다. … 신자유주의 정책개혁이 본격화하면서 부르기바 정권의 코포라티즘은 그 기반이 붕괴한다.”(임월산·조은석, “북아프리카 민주화 운동과 노동자 운동의 역할”, 『사회운동』, (2011.5·6)는 서술이 그것이다. 그러나 서구적 의미의 코포라티즘은 국가와 자본과 노동의 3자간 힘의 균형 속에서 이루어진 협약이라고 볼 때, 2차 대전 후 제국주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아랍민중들의 열망과 무상교육과 무상의료 등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이 힘을 발휘하던 시기, 아랍의 권력집단이 대중운동을 철저히 억압하면서 대중의 열망을 일정 정도 수용한 이러한 형태를 지배협상이나 코포라티즘이라고 부르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런데 국가자본주란 개념은 국가나 엘리트집단인 당이나 관료조직이 자본가를 대신하다는 것으로 이러한 틀로는 하나의 사회구성체의 내의 계급모순과 그에 따르는 운동을 도저히 파악할 수 없는 비과학적 개념이다.


2) 이스라엘은 이집트와의 평화협상으로 군사비 부담을 GDP의 25%에서 7%로 줄일 수 있었다. 최근 한국의 경우 보편적 복지와 재원부담을 둘러 싼 논쟁이 많다. 그런데 남북이 서로 적대하지 않고 평화협정을 체결하여 GDP의 30% 달하는 군사비를 절약할 수 있다면 재원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군사적 긴장과 대립이란 이처럼 양측 민중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다.


3) “1979년 이후 미국은 해마다 이집트에 군사원조 13억 달러, 군사원조 8억 1,500만 달러씩을 제공했다. 1975년 이후 이집트가 미국에서 받은 돈은 모두 합쳐 500억 달러가 넘는다”-Chales Levinson, "$50 billion later, taking stock of U.S. aid to Egypt", Christian Science Monitor, (April 12, 2004.) 에릭 루더, “나세르에서 무바라크까지”, 『마르크스21』, 책갈피, (2011년 봄), p. 214.에서 재인용.


4) “이집트에서는 모든 것이 공식적으로는 매우 싸지만 운전면허부터 교육까지 뇌물이 오고간다. 정부는 교사들에게 매우 낮은 임금을 지급하고 교사들은 학교시험을 준비하는데 필수적인 과외학습으로 그들의 급여를 보충한다. 경찰은 오래 전부터 전국적으로 삥땅 뜯기(보호비 뜯기)로 악명이 높다. 이집트인들은 경찰이 걸핏하면 면허를 압수하거나 폭력을 휘두르기 때문에 뇌물을 받쳐야만 한다.”-Lisa Anderson. op. cit., p. 5.


5) Dina Shehata, op. cit., p. 27.


6) 처음 제안을 ‘케파야’가 했다는 글도 많은데, ‘케파야’나 ‘4.6 청년운동’이나 서로 활동가들이 겹치고, 여러 사정을 살펴볼 때 특정단체가 주도한 것이 아니라 여러 단체들도 거의 동시적으로 함께 했다고 본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7) 이 부분은 주로 Foreign Policy지에 실린 카이로 주재원들의 현장 관찰기들을 발췌한 것이다.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8) Ashraf Khalil, "January 25: Tear Gas on the Day of Rage" in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73-74.


9) 바로 앞의 Ashraf Khalil의 묘사에서 보듯, 야당과 인권연합이 제안한 것이 아니라 페이스북 등 인터넷상의 제안을 이들이 호응한 것이다.


10) 정은희, “튀니지 혁명, 이집트와 북아프리카로 혁명의 물결 확산”, <참세상>, 2011.1.26.에서 재인용


11) Ashraf Khalil, "February 1: A Wounded Father Figure", op. cit., p. 76.


12) “2000년 수천 명의 학생들이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처사를 비난하는 시위를 한 적이 있었다. 10년 전 나일 뎉타 지역에서는 부유한 지주가 용역 깡패를 동원하여 소농들을 쫒아냈고, 농민들은 경찰에 호소했지만, 경찰은 농민들을 습격하고, 곡식을 불태우고, 재물을 강탈했다. 농민들이 카이로에 있는 인권단체의 도움을 받으려하자 군대가 다시 마을을 습격하고 주모자의 아내를 발가벗겨 마을로 끌고 다녔다. 2005년 5월 25일 경찰은 군중통제의 방법으로 용역깡패의 사용을 확대하는 결정을 했다. 2006년엔 케파야(이제 그만) 활동가인 샤르카위Mohamad al-Sharqawi가 비밀경찰에게 고문당하고 빗자루로 (항문을-인용자 삽입. 항문공격은 이슬람 사회에서 엄청난 모욕에 해당한다. 카다피도 생포된 후 이런 공격을 받았다.) 강간당한 사건도 있었다. 이날(2월 2일) 시위 현장에서 시위대를 괴롭히다가 붙들린 사람 중엔 전날 소매치기를 하다가 유치장에 갇혔던 사람도 있었다. 경찰은 이들 범죄자들을 풀어주고 통닭을 대접했다. 어떤 폭력배는 경찰이 보고 있는 가운데 여성 시위자의 옷을 찢고 더듬는 경우도 있었다.”-Amil Khan, February 2: With Eyes Red from Rage" in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78-81.


13) Ashraf Khalil, "Later February 2: Day of the Thugs", op. cit., pp. 83-85.


14) Ashraf Khalil, “February 4: Fortress Tahrir" op. cit., pp. 89-91.


15) Blake Hounshell, "February 4: Two Cups of Tea" in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 95.


16) ‘Pray for #Egypt’, 이집트 앞에 해쉬태그인 #을 붙였다. 촛불항쟁 때 인터넷 포탈 다음 Daum의 토론방에서 글의 제목 앞에 [명박타도]와 같은 말머리를 붙인 것과 비슷하다.


17) 칼레드 사이드는 경찰의 마약거래를 폭로하는 동영상을 인터넷에 올렸다가 사복경찰에게 보복을 당해 죽었다. ‘우리 모두가 칼레드 사이드다’는 페이스북 그룹은 지지자가 47만 명에 달했다.


18) Blake Hounshell, "February 7: A New Leader for Egypt’s Protesters", op. cit., pp. 96-99.


19) Blake Hounshell, "February 8: The Revolution Is Not Over", op. cit., p. 100.


20) Peter Bouckaert, "February 9: Egypt’s Foreigner Blame Game", op. cit., pp. 104-105.


21) Ashraf Khalil, "February 10: ‘We Need to Drag Him from His Palace", op. cit., pp. 107-109.


22) Blake Hounshell, "February 11: Pharaoh Is Dead, Long Live Pharaoh?", op. cit., pp. 110-113.


23) 시리아에서 3,000명이 넘게 학살당하면서도 저항을 이어갈 수 있는 것은 수도의 중심광장에서 금요예배를 빙자하여 사람들이 계속 모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술적으로 볼 때에 금요일마다 충돌을 반복하면서 해산할 것이 아니라 압도적인 군중이 모였을 때 해산하지 않고 끝장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2008년 촛불항쟁도 주말집회가 반복되었지만 5만이나 10만 이상이 모였을 때 끝장을 보았으면 이길 수 있었을 텐데 대책회의의 기회주의적 상층부 때문에 음악감상회나 하고 집으로 돌아간 것이 승리를 가로 막았다. 박석삼, 앞의 책 참조


24) 나중에 독립노총을 만드는 노조 간부들이 1월말부터 타흐릴 광장에 결합하기는 했지만 그들의 존재는 미약했다.


25) 2008년 촛불항쟁 역시 첫 집회부터 성공적인 동원이 이루어졌지만, 특히 대책회의의 상층부의 기회주의적 태도가 끊임없이 투쟁의 고양을 가로막았기 때문에 분노를 고양시키지 못했고 결국은 패퇴하고 말았다. 그들은 투쟁의 집행위원장이 아니라 투쟁의 관리위원장들이었다.-박석삼, 앞의 책, pp. 77-81.


26) 이집트의 대통령 선거는 찬반투표였지만, 국회는 형식적으로 다당제였다. 장기집권 등에 대한 불만으로 무슬림형제단이 약진하자, 경찰은 2010년 선거에 노골적으로 개입하고 선거결과를 조작하였다.


27) 케파야를 흔히 ‘충분하다Enough’고 번역하는데, '이제 그만'이라는 뜻이다.


28) Dina Shehata, op. cit., p. 28.


29) “2004년 민주화 운동에서 케파야는 수천 명의 중간계급 전문직, 학생, 교사, 판사, 언론인을 동원했다. 그들은 비상조치법 폐지, 정치범 석방, 고문 종식, 무바라크의 임기 종식 등을 요구했다. 팔레스타인 연대를 위한 대중위원회의 행동 위에 직접적으로 건설된 이러한 운동은 전통적인 야당과는 다른 대중세력과 작업하는 것을 선택하고 지도부로부터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거리 속에서 캠페인을 하고 단순히 국제적인 요구보다 지역적 이슈에 집중했다.”-Asef Bayat, "A New Arab Street in Post-Islamist Times" in Political analysis and commentary from the Middle East, Perspectives, (#2 May 2011, Special Issue), p. 51. “2003년 이라크 침략 직전에는 5만 명 이상이 카이로 도심 광장을 점거하고 반전 시위를 벌였다. 나중에 ‘타흐리르 인티파다’라고 불린 이 시위는 이집트 사회에 가득한 [무바라크 독재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게 만들었고 키파야[아랍어로 ‘이제 그만’] 운동이 탄생하는 계기가 됐다.”- 호쌈 엘하말라위, "이집트의 반제국주의·민주화 투쟁", 『이집트 혁명과 중동의 민중 반란』, 책갈피, 2011. p. 69.에서 재인용


30) 라밥 엘 마흐디, “이집트 민주화 운동”, 『마르크스21』, 책갈피, (2011년 봄), pp. 244-245.


31) Tina Rosenberg, "Revolution U" in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 127.


32) Maryam Ishani, "The Hopeful Network" in Revolution in the arab world-A Special Report from Foreign Policy, Foreign Policy, 2011, pp. 143-144.


33) “2004년 12월 12일 키파야는 첫 (침묵)집회를 열었다. 이 집회는 마르크스주의자, 나세르주의자, 이슬람주의자, 자유주의자 등 고참활동가 일곱명이 저녁모임에서 대중운동 단체에 관한 생각과 ‘키파야’라는 구호를 처음 논의하고 난 뒤 석 달도 안 되어 성사됐다.”-키파야 사무국장인 조지 이사크와 한 인터뷰 2006년 8월 9일 카이로- 라밥 엘 마흐디, 앞의 글에서 재인용


34) 1월 25일 이전에도 이집트에서는 3명이나 분신을 한다든지 산발적인 시위가 있었다.


35) 즉 애초의 제안에는 날짜만 있었고 장소가 없었다. 그리고 1월 25일 정오에 내무부 건물로 모인다는 소문을 흘린 뒤 인터넷과 문자 등을 통하여 집결장소를 분산하였고, 각 집결장소에는 적게는 100명 많게는 1,000명 정도가 모였다. 이들은 끊임없이 이동하였고 오후 6시쯤 각본에 따라 일제히 타흐릴 광장으로 쇄도한 것이었다. 따라서 각 집결장소에는 활동가들이 리더를 맡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6) Ashraf Khalil, "January 25: Tear Gas on the Day of Rage", op. cit., p. 74.


37) ‘1월 25일 청년연합’은 케파야와 4.6 청년운동 등이 만든 임시 공투체(공동투쟁체)이다.


38) Dina Shehata, op. cit., pp. 30-32.


39) Ashraf Khalil, “February 12: After the Party”, op. cit., pp. 117-118.


40) 2011년 10월 9일 카이로에서 이집트인구의 10%를 차지하는 콥트교도와 이슬람교도와의 충돌로 24명이 사망하고 200여명이 부상당하는 유혈 충돌이 있었다. 2011년 1월 1일에도 이슬람교도의 콥트교도에 대한 폭탄 공격으로 인한 충돌이 있었다.


41) <비지니스위크>, <로이터>와 이집트 언론 <알마스리 알리오움> 등을 인용한 “IMF가 이집트 혁명을 흔드나?”<참세상>, (2011.10.13.)에서 재인용


42) “이집트에서는 지난달 27일 군 최고위원회가 무바라크 퇴진 이후 첫 하원의원 선거를 오는 11월 28일에, 상원선거는 내년 1월 29일에 실시한다고 밝힌 이후 야권이 반발하면서 정정불안이 계속되고 있다. 야권은 특히 군부가 총선에서 전체 의석 중 정당별 비례대표제로 3분의 2를, 개인 후보제로 3분의 1을 선출한다고 발표하자 무바라크 정권인사들에게 정계복귀기회를 줄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지난 달 30일에는 야당과 시민단체 회원 3,000여명이 타흐릴 광장에 모여 개혁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경향신문>, “콥트교 - 무슬림 충돌…이집트 또 유혈사태”, (2011.10.11.), 10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