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역판 <자연스러운 경제질서> 출간 예정

칼럼

개역판 <자연스러운 경제질서> 마무리 작업을 하였다. 오역을 바로잡고, 문장구조를 다듬고, 조사를 추가하고, 표준맞춤법에 어긋나는 부분을 바로잡고, 기존 학계에서 정립된 번역어로 바꾸고, 연보의 오류를 바로잡고 보강하고, 숫자 표기를 바꾸고, 챕터 이름의 글씨체를 바꾸고 , 표지디자인을 새로 하는 등 대공사를 했다. 역자서문은 뒤로 빼서 역자후기로 넣었고 그 중 지나치게 번잡한 내용은 삭제하거나 대폭 줄였다. 또 조지 소로스가 언급한 재귀성, 바라바시가 이야기한 네트워크이론으로 게젤 이론이 갖는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등 더한 부분도 있다.

여전히 입말번역을 유지하고 있다. 입말번역은 중요하고 필자는 이것을 포기할 생각이 전혀 없다. 고리타분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라면 입말번역에 거부감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런 분들은 좀 더 정제된 언어, 모든 리비도를 제거한 생명이 없는 언어로 책을 써야 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만 필자는 그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영문판의 원문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게젤의 언어 자체가 결코 그런 언어가 아니다. 게젤은 때때로 신랄하게 비꼬기도 하고 뜨겁게 부르짖기도 하고 아주 날카롭게 파고들기도 한다. 이런 언어의 역동성을 어떻게 문어체文語體로 담아낼 수 있다는 말인가? 그리고 필자가 생각할 때 책이 읽히려면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첫째로 책의 주제가 독자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와야 하고, 둘째로 책이 읽기 쉬워야 한다. 입말은 두 번째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읽기 어렵다면 번역에 문제가 있는 것이지 입말이어서가 아니다.

새로운 판은 예전 번역본보다 조금 더 섬세해졌다. 예를 들어 새로운 번역본에서는 ware, commodity를 상품, goods를 재화로 옮겼다. 이 낱말은 모두 "상품"으로 번역이 될 수 있지만 The Natural Economic Order에서는 조금씩 다른 맥락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ware와 goods는 정말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ware는 팔려고 내놓은 "상품"으로, goods는 소비하는데 쓰는 "재화"의 뜻으로 사용된다. instruments of production과 means of production도 마찬가지다. 둘 다 "생산수단"으로 번역될 수 있지만 뉘앙스의 차이를 살리기 위해서 전자는 "생산도구", 후자는 "생산수단"으로 옮겼다. 문장 하나 하나를 대조하여 작업했기 때문에 책을 처음부터 다시 쓰는 것과 다를 바 없었다.

역주를 추가하였다. 경제에 문외한인 독자가 볼 때 사전을 봐야 할 것 같은 개념 몇 가지에 대해 표준국어대사전을 참조하여 역주를 추가했다. 처음에는 <경제학사전>에서 인용하려고 하였지만 찾으려는 단어 풀이가 가치이론에 쩔어있는 걸 발견하고 본서의 관점과 배치되는 듯 하여(실비오 게젤은 가치이론을 철저히 부정한다.) 차라리 좀 더 단순하게 풀이되어 있는 <표준국어대사전>을 참조했다. 사전은 가능한 중립적이어야 한다.

읽다가 조금이라도 애매했던 부분은 모두 손을 보았다. 적어도 필자가 봐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한 곳도 없다. 필자는 지금 The Natural Economic Order의 모든 디테일을 이해하고 있다.

개역판은 글자 크기가 10포인트로 예정되어 있다. 예전판은 9포인트인데 나이든 분들은 읽기 불편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역으로 활동하는 지식인들의 나이와 시력을 고려할 때 당연히 10포인트로 글자 크기를 키워야 한다. 이 과정에서 쪽수가 600쪽 이상으로 늘었다.

이 번역본은 적어도 올해 8월 중으로는 나오게 할 예정이다.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 Licens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5/09 20:45 2015/05/09 20:45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silviogesell/trackback/107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