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펌]새만금..

경향신문에 들어갔다가 발견하고는 퍼왔다. 새만금에 가본지 꽤 오래되었고,

새만금 사람들을 만난지도 오래되었다. 진짜 오랫만에 새만금 모습을 사진으로

보고는 묘한 감정이 밀려오지만 그 감정을 말로 설명하기란 참 어렵다.

떠오르는 사람이 참 많은 곳..

언제쯤 다시 가게 되려나..

 

 

 

[포토다큐 세상 2008]그 차지던 갯벌“이젠 끝나부렀어”  
입력: 2008년 07월 27일 17:52:22
ㆍ물막이 2년 3개월 새만금의 ‘소리없는 절규’

“도장도 필요 없는 저금통장이었제. 거기서 자식 키우고 살림도 불렸는디…. 이젠 끝났어. 불쌍하게 돼부렀어.”

황량한 녹지로 변한 갯벌 마른 갯벌에서 먼지가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지난해 뿌린 퉁퉁마디, 나문재, 칠면초 등 염생식물들이 자라나 갯벌의 모습을 지우고 있다. 환경캠프에 참가한 서울 방산고등학교 학생들이 풀 사이로 난 흙길을 걷고 있다.

전북 부안군 계화도 어민 이순덕씨(60)의 말에는 긴 한숨이 배어 있었다. 새만금 방조제가 물을 막은 지 2년 3개월. 바다에 일 나간 지 오래됐다는 이씨는 변해버린 갯벌을 보는 것이 속상해 근처에도 가지 않는다고 했다. 어민들 삶의 근간이었던 풍요롭던 갯벌은 볼품없이 야위어 도리어 어민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어민들의 삶은 새만금 갯벌처럼 하루하루 말라가고 있었다.

짠물을 머금어 윤기가 흐르던 갯벌은 없었다. 대신 붉고 푸른 풀들이 넓은 초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지난해 마른 갯벌에서 흙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뿌린 염생식물의 풀씨들이 길게는 무릎 높이까지 자랐다. 갯벌 들머리에는 예전에 볼 수 없었던 부들, 갈대 같은 민물 식물들이 눈에 띄었다. 염생식물 사이로 난 길을 밟았다. 감싸듯 당기는 부드러운 갯벌의 감촉은 없어지고 푸석거리는 바닥에는 먼지가 일었다. 걷고 걸어도 단단한 땅이다. 불어오는 바람에 바다생명들의 썩은 냄새가 묻어났다. 길섶 군데군데 쌓인 조개더미와 언제 다시 나갈 기약도 없이 아무렇게나 널브러진 배들이 하루 두 차례 물이 들고 나던 갯벌이었음을 짐작하게 했다.

메말라버린 숭어 새만금 방조제가 하루 두 차례씩 들고 나는 물을 막은 지 2년이 넘었다. 황량한 사막을 연상케 하는 전북 부안군 계화도 갯벌에 숭어 한 마리가 갯벌처럼 앙상하게 말라가고 있다.

마른 땅이 끝나는 곳에는 염도가 떨어진 바닷물이 아직 고여 있었다. 고인 물 위에는 부유물들이 거품 띠를 이루며 이리저리 흘렀다. 갯벌 생명들의 활동이 잦아들면서 자체 정화능력도 잃고 있었다. 갯벌 위에 웃음과 활력을 드리우던 어민들의 ‘그레질(그레를 이용해 물 빠진 갯벌에서 조개를 캐는 맨손어업)’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다. 대신 몇몇 어민들이 물속에서 양수기 펌프를 이용해 바닥을 긁는 ‘차차차’라는 신종어업이 나타났다. 고인 물마저 빼버리면 끝이라는 듯 불볕더위 속에서 바닥의 조개를 싹쓸이 하고 있었다.

학교에서 진행하는 환경캠프의 일환으로 갯벌을 찾은 김승태군(서울 방산고 2)은 “길게 봐서 무엇이 이익인지 따져봤어야 했다. 어머니처럼 넉넉한 곳이 썩어가는 모습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야성을 잃고 망가져가는 갯벌을 체험하며 자연과 생명의 가치를 배우고 있었다.
짱뚱어 솟대 ‘갯벌을 살리자’며 세웠던 새만금 생명의 상징, ‘짱뚱어 솟대’가 갯벌 위로 지는 해를 바라보고 있다. 그동안 어민들의 삶처럼 잘리고 부러졌지만 다시 서서 갯벌을 지키고 있다.

최근 ‘전국의 새만금화’라 할 만한 ‘한반도 대운하’의 논란 속에 새만금의 외침은 묻히고 있다. 그러는 동안 새만금 갯벌에 기대어 살아온 생명들의 요구는 개발이라는 강력한 힘 앞에 날이 갈수록 무기력해지고 있다. 바다를 사랑하고 갯벌에서 더없이 행복했다던 이씨는 “그래도 둑을 터서 물이 들어오면…”하고 실낱같은 희망을 얘기했다.
녹슨 그레 계화도 어민 이순덕씨가 뒷마당에 놓여 있는 녹슨 그레와 물이 마른 지 언젠지도 모를 망태기를 바라보고 있다. 이씨는 갯벌에 나간 지 오래됐다고 했다.


막판 조개 싹쓸이 물 빠진 뒤 갯벌의 바닥을 긁는 ‘그레질’ 대신, 고인 물속에서 양수기 펌프를 이용해 바닥을 뒤엎어 조개를 싹쓸이하는 ‘차차차’라는 신종어업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글 강윤중기자 yaja@kyunghyang.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