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민중문화운동연합

[전교조선생님이 안가르쳐주는 공부법] 쉬어가기

[현대민요] 민중문화운동연합 -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분다.mp3 (3.78 MB) 다운받기]

 

http://www.plsong.com

 

 

 

  다시 80년대 노래 얘길 해보겠습니다.  옛날 노래얘긴 뭐하러 하냐 하실 분들도 계실텐데요.  지금을 잘 살기 위해서.. 80년대 노래가 소중하고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냥 살면 되지 뭐하러 옛날 노래얘길 자꾸해? 하신다면..  그냥 80년대 사진 꺼내 본다고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27여년전..  보은의 한 마을에 가서 쉬고계신 할머님께 혹시 옛날 노래 아는거 있으시면 하나만 들려달라고 부탁을 드렸었는데..  할머님은 곧바로 흔쾌히 한 곡조 들려주셨습니다. 

 

   '영글렀네~ 영글렀네~ 영글러었네~~~  가마타고~ 시집가게~ 영글러었네~~~'

  27년전 일인데.. 그러고 보면 저도 어떤면에서는 기억력이 무척 좋은거 같습니다.

 

   예전 할머니 할아버지 분들은 아무나 이렇게 한 곡조 뽑으시거나 보릿대 춤을 멋지게 추셨었습니다. 그런 세대는 지금 모두 돌아가셨고요. ㅠㅠ   박정희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초가집도 부수고 전통도 망가졌습니다. 그런 70년대 반성을 통해 연장선상에서 80년대엔 민요조 노래들이 쏟아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나에 대한 정체성 찾기? 같은 마음이 아니었을까요? 마치 테레비 윤식당 잡채를 먹는 서양사람들을 보며.. 반응을 관심있게 살펴보듯이요.

 

  바람이 분다 라는 노래 또한 80년대 쏟아졌던 우리음계와 100% 일치하는 온전한 민요조 노래 중에 하나입니다.  이 노래가 언제 맨들어졌나는 모르겠습니다.  소방서원 이란 표현을 요즘은 하지 않으며 화재는 격어보지 않은 사람은 잘 모르는 엄청난 재앙인데 이렇게 신나고 가볍게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게 신기합니다.  로스케는 러시아 사람의 일본말 표현, 오적놈은 김지하 시에 나왔다는데..  누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녹음과 채록은 20대 초중반이 한거 같은데..  요즘 젊은이들과 많이 비교되시죠?  그러나 지금이나 그때 모두 젊은이들은 어려운 여건속에 각각 열심히 살아가고 있습니다. 

 


  80년대 노래중 완벽 민요조 노래로 기억나는 건..   코카콜라, 까치길, 가리봉시장 같은 좋은 노래가 있었습니다.

 

  민요조로 노래를 만드는 이유는  그래야 나에게 가장 자연스럽고 솔직한 모습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한 노력과 실행 자체로 이 땅을 딛고 살아가고 있는 구성원으로서의 함께 사는 공동체 복원 노력?의 의미도 있고요.

 

  부르는 이들이 함께 어울려 잘 살게 하면..  그러면 좋은 노래 아닌가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현대민요 - 함께 사는 세상

 

 

 

[민중문화운동연합_함께 사는 세상.mp3 (5.26 MB) 다운받기]

 

 

 

 

[류금신_함께 사는 세상.mp3 (3.67 MB) 다운받기]

 

http://www.plsong.com

 

 

  우리음계는 황태중림남 으로 부릅니다.  황은 중국 황제가 지정하는 음높이 인데..  조선시대부터는 율관이란 것을 스스로 맨들어 황음을 지정하였다합니다.  황음을 서양음계로 표현하면..  Eb4 정도 음높이 입니다.  태는 F4  중은 G#4... 서양음계는 수학에서 나왔고, 우리 음계는 어디서 나왔나 모르겠으나 각음의 차잇값은 같으며 서양음계서 표현하는 음높이를 우리음계로 200% 표현할 수 있습니다.

 

  우리음계서 주로 사용되는 음은 황태중림남 이라는 음인데..  이 음높이 들을 민요조라고도 부르는 것 같습니다.

  온전히 우리 음높이에 정확히 일치하는 노래중 하나는 바로 이 함께 사는 세상이란 노래입니다.  이는 작곡자가 의도적으로 우리음계를 사용한 노래입니다.  아침이슬 작곡가 김민기의 노래에 민요조는 많이 등장하고..  온전히 우리 음계로 이루어진 노래로 생각나는 노래로는 투사의 유언 (한평생 후회없이 싸우다간다..) 같은 노래가 있습니다.  현재 민요조로 노래만드는 분은 비정규직철폐연대가 작곡가 김성만 가수 같은 분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노래들은..  형식이 민요랑 일치하는 노래입니다.  예.. 음높이 쌓는 방식이 민요랑 일치하는노래들은.. 공동창작이 아닌 '현대민요' 라 이름 매길 수 있을 것입니다.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지고 부르는 노래는 노랫말이 부르는 이에 따라 바뀌기도 하는데..  이것을 한때는 노가바(노래가사바꿔부르기) 운동 이라고 하기도 했습니다.

 

  40여년이 다되어가는 노래를 PLSong  이라는 곳이세 다시 꺼내 듣게되었습니다.   이게 민요야? 하실분이 계실 것 만 같습니다.  예.. 민요 맞습니다.   도라지도라지 백도라지 하는 민요랑 온전히 같은 음계를 갖는 노래입니다.   비정규노동자의노래 에 나오는 곡의 노랫말이 약간 바뀌었습니다.  어떻게 바뀌었냐면요..

 

  - 민중문화운동연합 11집 -

  물에 빠져버린 돈 없는 자 당신은 건질 줄 아오.

  오다가다 만난 그 사람의 슬픔을 당신은 아오.

  지나칠 수 없는 그 고통을 어이해 피해 가려오.

  혼자 살려하는 그런 세상은 어디에도 없구려.

 

  꿈을 실은 저기 저 큰 배는 떠날 줄을 모르오.

  줄이 썩어 떠나 큰 바다를 헤매일지 모르오.

  지나칠 수 없는 그 큰 꿈을 어이해 모른척하오.

  혼자 살려하는 그런 세상은 어디에도 없구려.

 

  함께 살아가는 우리의 세상 그 누가 막으려하오.

  억압 탄압하는 저들의 세상 정말 살기 힘드오.

  지나칠 수 없는 우리의 세상 우리가 뭉쳐야하오.

  함께 살아가는 즐거운 세상 어디에나 있구려.

 

  - 비정규노동자의 노래 -

  물에 빠져버린 돈 없는 자 당신은 건질 줄 아오.

  오다가다 만난 그 사람의 슬픔을 당신은 아오.

  지나칠 수 없는 그 고통을 어이해 피해가려오.

  혼자 살려하는 그런 세상은 어디에도 없구려.

 

  함께 살아가는 우리의 세상 구 누가 막으려하오.

  탄압 착취하는 자본의 세상 정말 살기가 힘드오.

  지나칠 수 없는 우리의 세상 우리가 뭉쳐야하오.

  함께 살아가는 즐거운 세상 어디에나 있구려.

  함께 살아가는 즐거운 세상 여기에도 있구려.

 

  비정규노동자의노래 함께사는세상은 곡자체가 갖는 긍정성을 편곡과 녹음, 가수의 노래힘?으로 잘 살렸습니다만     저들의 세상이 자본의 세상 으로..  어디에나 가 여기에도 로 바뀌었는데..  왠지 민문연 노래는 솔직히 내 얘기를 하는 느낌이라면 비정규 노래는 타인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듯 얘기하는 느낌입니다.  나는 잘 살고있는데 너는 뭐니? 하는 느낌이랄까요?  이러면 노래가 재미없어집니다. 활동가들이 반복하는 실수중에 하나도.. 스스로는 쏙빠지고 타인을 대상화한다는 겁니다. 

 

  이러면 왜 재미가 없어지냐면요.. 내 얘기를 노래가 들어주는 여지를 없애버리거든요.  누구에게 감동을 주기 위해서는 노래도 개개인들의 얘기를 잘 들어야합니다. (노래는 무생물이지만 생명체가 느끼기에 마치 내 얘길 잘 들어주는 느낌같은 상호작용)  그리고..  자본의 세상이란 말을 우리는 흔히 쓰게되는 말이 아닙니다. 마치 재미없는 책을 억지로 붙잡고 벌서는 느낌입니다.  사장님 세상 같은 좀더 쉬운 말은 없었을까요?  그리고 제 경험으로는 자본은 사람을 힘들게 하려고 하지않습니다.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사람은 아예 안중에도 없고 돈만 쫓으며 돈이 곧 선이며, 하늘님 일테니까요. 

 

  사람은 함께 하고 나를 이해하는 단 한사람이 있어야만이 살기 힘들지 않고 살만하다고 느끼게 되며 함께 살 수 밖에 없는 존재 같습니다.  경험상 노동자들에게 가장 큰 상처를 주는 것은 회사도 임원 악질 자본도 아닌 같은 조합원들입니다.  사람을 통해서 정말 살기가 힘들어 지지만.. 결국 사람을 통해서 함께 살 수밖에 없는 내 얘기하고 싶었던게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음계를 사용하면서..  전혀 민요?같지 않는 힘있는 곡을 만들 수 있는게 신기하기만 합니다.  

 

  왜? 노래를 맨드는데 우리음계를 사용해야하는가? 는 천천히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민중가요를 맨들었던 사람들

 

 

[민중문화운동연합_우리_이야기.mp3 (4.02 MB) 다운받기]

 

http://plsong.com

 

 

  87년 노동자 대투쟁은..  세계경제호황과 6월항쟁의 영향, 누구네 아빠는 어디 다닌데..  하며 직장이 보장? 받았던, 상대적 박탈감이 적으며.. 아직 공동체가 깨지지 않았던 골목길 정서 등의 영향을 받았겠지만 무엇보다도 민중가요의 르네상스기인 80년대를 지나 민중가요를 통해 다져진 정서로써 꽃을 피운게 아닌가 싶다. 

 

  당시 무수한 민중가요들이 쏟아졌고..  그러한 노래를 작곡한 사람들 중 일부는 나의 바람과는 달리 지금은 기업CEO로 살아가고 있다.  그런 노래를 맨들었다면 최소 그 비슷하게 살았으면 하는 나의 어시룩한 바람은 엘리트 주의적인 발상이다. 아니 그때 한말은 뭐여? 하며 그들을 욕하는 것은.. 마치 노동조합은 뭔가 고상한 사항을 주장하려는 식자들이 시작하는..  세상을 이끄는건 식자들이라는 발상이 숨어 있는 듯 하다.  그때 그들은 그.렇.게.  살아버린 것이니 더욱 뭐라할 수 없다.  당시에 최선을 다해 살았지만..  어찌된 이유인지 다른 삶을 살고 있는 이들이 있다.  

 

  나의 소박한 바램에 그들은 지금도 삶으로 반박한다.  그들이 최소한 악질 자본가로 살고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물론 악질 자본가, 쓰레기 정치인을 사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마음으로 받아들인 이들은 최소한 노동자들을 무시하진 않는다.   이건 정서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들이 나름 이렇게 저렇게 살아간다는데.. 인생은 제잘난 멋에 사는 것인데..  그때 한말은 뭐여? 라고 얘기할 문제 역시 아니다. 

 

   외연의 확장. 그렇다 이런저런 생각을 갖는 사람들 많은 사람이 민중가요를 맨들고 삶을 고민하고 정서로 받아들인 것이다.  노동조합이라고 무슨 특별한 의식있는 사람만 하는게 아닌 것처럼..  그들도 다양한 사람들 중에 단지 그 한 사람으로서 당시에 나름 열심히 살았을 뿐인게다. 지금은 아니더래도.  이런 까닭에 노동자들을 위해 노래를 맨든 사람이.. 우리 국민의 40대 이상 연령대에 50%가 넘어간다면 우리나라는 벌써 엄청나게 바뀌어 있을게 자명하다.  절박하게 노래를 만들었던 과정과 살아버린 삶들이 어딘가에 백히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이건 이성이 아닌 정서상의 문제이기도 하다. 당장 나서지 않는다 해도.

 

  문제가 있으면 당사자가 나서야 해결이 되지..  활동가나 식자들이 해결할 수는 있는 일은 없다.  바꿔 얘기해 활동가나 식자들은 당사자가 해결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곳까지가 최대로 할 수 있는 곳이다. 

 

  졸리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