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dure79

2237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8/10/15
    17 . 묻고 답하기 - 넷
    dure79
  2. 2008/10/15
    16 . 묻고 답하기 - 셋
    dure79
  3. 2008/10/15
    66 . 스스로 바로잡기 ① --- 다리띠 매기
    dure79
  4. 2008/10/10
    이소가이 전문가가 되려면
    dure79
  5. 2008/10/10
    15 . 둘의 이어짐
    dure79
  6. 2008/10/10
    14 . 묻고 답하기 - 둘
    dure79
  7. 2008/10/10
    13 . 하나의 이어짐
    dure79
  8. 2008/10/10
    12 . 묻고 답하기 - 하나
    dure79
  9. 2008/10/10
    11 . 저도 쓰고 있어요
    dure79
  10. 2008/10/10
    10 . 언제라도 , 어디서라도
    dure79

16 . 묻고 답하기 - 셋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66 . 스스로 바로잡기 ① --- 다리띠 매기

 

   스스로 바로잡기 ① --- 다리띠 매기 

   그러면 , 실제로 밤에 자기 전에 , 스스로 다리를 매어 묶을 경우 , 어떻게 하면 좋은가를 설명합니다  ( 매는 방법은 68 ~ 69 쪽 )
   두 다리를 정확히 좌우 대칭이 되도록 가지런히 하여 , 무릎 위 , 아래 , 발목의 3 곳을 띠로 매어 , 되도록이면 바로 누워 자는 것이 기본입니다 . 단지 , 처음부터 3 곳을 매어버리면 , 답답하게 느끼는 경우가 있으니까 , 처음에는 띠 하나로 , 무릎 위 한 곳만을 매는 것부터 시작하여 , 조금씩 익숙해져 갈 것을 권합니다 ( 옮 : 매는 게 답답하지 않게 되는 것은 , 사람마다 다른데 , 보통 2 ~ 6 개월입니다 ) 

   ◆ 3 곳을 매는 이유 
   이소가이  다리띠 매기 바로잡기법에서는 , 바로 누워 자는 것이 가장 좋은데 , 좌우 다리가 불균형한 사람은 , 자세가 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 오랫동안 바로 누워 자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 아무래도 옆으로 눕는 자세가 자기 쉽기 때문입니다 .
   그런데 , 무릎 바로 위의 한 곳만을 묶고 옆으로 누워 자면 , 반드시 어느 한쪽의 무릎이 앞으로 나오고  ( 왼다리가 긴 사람은 왼다리가 , 오른다리가 긴 사람은 오른다리가 앞으로 ) , 발목도 앞으로 나와 버립니다 . 결국 한 곳만을 맨다 라는 것은 , 엉덩관절 위치바뀜을 크게 하는 자세를 취하는 결과가 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읍니다 .
   또한 무릎 바로 위와 바로 아래의 두 곳을 매는 경우도 , 옆으로 누워 자고 있는 동안에 , 아무래도 발목이 앞으로 나오고 , 그 힘으로 무릎마저 어긋나서 , 다리가 비틀어진 상태로 되어 버립니다 . 
   그러나 , 
무릎 위 , 아래 , 발목의 세곳을 꽉 묶으면 , 예를 들어 옆으로 누워 잔다 하여도 , 두 다리는 골반에 대하여 늘 균등한 엉덩관절 각도를 유지하게끔 됩니다 . 그 결과 , 골반에 이어진 척주도 바르고 생리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입니다
   그리되면 , 자고 있는 동안에 , 좋은 사슬작용이 다음다음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 척주의 

6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소가이 전문가가 되려면

 

옮 : 전문가가 되려는 분들을 위한 글이라 , 직역합니다 .   

   인류의 90 % 이상의 사람이 , 역학적으로 참 건강체이지 않기 때문에 , 그 사람들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 64 종류의 다리 이상 각도를 각각에 맞추어서 , 정반대로 바로잡아 갈 필요가 있다 .  

   따라서 , 바로잡기에 임하는 시술자는 , 충분히 , 실제의 바로잡기를 경험하지 않으면 , 라고  한다면 착각을 일으킨다 . 

   요사이 , 의사 , 맛사지 , 침 ,  뜸 따위의 선생분인 견학자가 급증하고 있다 . 일본인은 흉내내는 것을 잘하는데 , 이소가이 건강법은 언뜻보아 단순해 보여도 ,
 아주 미묘한 주의가 필요해서 , 바로잡기 풍경을 견학하는 것만으로 , 단순히 흉내낼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 빨리 삼킨 사람이 있어 , 재빨리 실험하고 실패하신 예도 있어서 ,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

  
엉덩관절의 전위각도를 , 잘 이해한 위에서 , 늘 몸 전체의 균형과 , 내과적 , 외과적 , 그 밖의 온몸의 종합증상을 머리에 두고 , 바로잡지 않으면 안된다 . 실패는 결코 허용되지 않는다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5 . 둘의 이어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4 . 묻고 답하기 - 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3 . 하나의 이어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2 . 묻고 답하기 - 하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1 . 저도 쓰고 있어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0 . 언제라도 , 어디서라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9 . 여러분도 건강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