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자신을 생산한다는 것 3..

허균의 혁명 과정을 그리는 역사소설 <<허균, 최후의 19일>>(김탁환 지음,  민음사, 2009) 중 상권의 내용 중에서 발췌함(268~270쪽). 

 

================================================================== 

 

허균이 천천히 자리에서 일어서자 박치의도 말없이 몸을 일으켰다. 

"한 가지만 묻겠네." 

"뭔가?" 

"자네가 세상을 바꾸려는 진짜 이유가 뭔가?" 

교산(허균의 호)! 그 이유를 몰라서 던진 질문이 아니라네. 자넨 너무 멀리, 너무 깊게, 너무 오랫동안 생각하는 나쁜 버릇이 있어. 최초의 마음만 생각하게. 무륜당의 봄과 변산의 낙조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은가? 

"허허허, 오 년 전에 이미 다 보여 주었는데, 새삼스럽게 뭘 그런 걸 묻나?" 

허균은 잠시 말을 끊고 오른손을 들어 도성의 불빛을 가리켰다. 

"처음에는 저 소박한 백성들의 행복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생각했었네. 그들을 불행에 빠뜨린 왕실과 조정에 분노했지. 잠깐이지만 금상이 왕위에 올랐을 때 기대를 했던 것도 사실이네. 전쟁의 상처를 씻어 내고 새 살이 돋는 공경을 상상하곤 했으니까. 허나 아무리 군왕이 훌륭해도 그 아래가 온통 썩고 병들었다면 어떻게 상처를 치유할 수 있겠는가. 왜 세상을 바꾸려느냐고 물었나? 이대로 대충 당상관으로서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금강산이나 변산에서 말년을 보내고 싶지는 않은가 이 말이지? 솔직히 그런 생각을 한 적도 있네. 허나 나는 이 세상을 바꾸고 싶어. 더 이상 인간에게 실망하지 않기 위해서!" 

"인간에게 실망하지 않기 위해서라고?" 

"그래! 오십 평생 나는 인간이라는 족속에게 실망만 하며 살아왔네. 왜란을 겪은 이십 대, 이리저리 외직을 떠돈 삼십 대, 그리고 다시 도성으로 돌아와 관송의 개로 지낸 사십 대까지, 모조리 실망뿐이었네. 나는 마지막으로 인간이라는 족속을, 그리하여 나 자신을 믿어 보고 싶어. 서로가 서로를 괴롭히고 욕하고 죽이기 위하여 존재하는 인간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기쁨이 되고 아름다움이 되는 인간을 보고 싶으이. 그날을 향한 갈망이 있는 한 나는 언제나 자네와 함께 할 걸세." 

박치의가 허균의 손을 굳게 마주 잡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