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3월 18일(월) 맑음
 
이번 주는 각종 전동공구를 실습하는 시간이다. 전동대패부터 원형톱, 체인톱, 직소기까지. 원목에 직접 사용하며 기능과 사용법을 익혀야 하는데. 먹칼이니 먹줄도 처음이지만 전동공구도 모두 처음. 당연 손에 익기까지 시간이 꽤 걸릴 것이다. 하지만 조급한 마음에 서두르다 보면 안전사고가 날 수 있으니. 차분히 하나하나 손에 익혀야 한다.
 
오후엔 학교 인근 제재소를 견학하는 시간도 가졌다. 때마침 한옥에 들어갈 부재를 치목하고 있어 좋은 견학 시간이었다. 능숙하게 먹을 놓고 전동대패에 원형톱을 사용하고. 때론 끌로 깎아내기도 하고. 누구하나 지시하지 않으나 각자 맡은 일을 능숙히 하는 모습을 보니. 한편으론 언제쯤 저렇게 될 수 있을까, 또 한편으론 잘 해낼 수 있을까. 두려움 반 기대 반이다.
   
* 목재가 평평할 때는 먹줄을 팽팽히 당기고 휘거나 들어간 부분이 있으면 먹줄을 느슨히 잡는다.
* 부재를 치목할 때에는 먹선을 잡아먹게 해서는 안 되며, 가운데는 약간(볼록하면 안 된다는 의미에서 아주 조금) 들어가게 한다.
 
3월 19일(화) 맑음
 
하루 종일 대패질만했다. 톱밥이 쌓이는 만큼 대패가 손에 익겠거니 잠깐 잠깐 쉴 뿐 교대로 대패질. 처음 굵었던 목재가 거의 각목 수준이 되니 어느덧 5시 반. 딱히 메모할 것도 없으리만치다.
 
* 팔각공식
도리간격 × 341 ÷ 141 = 답
보간격 × 141 ÷ 341 = 답
 
* 대각선공식
2×2=4  3×3=9  = 13
√  답은 3.605
 
3×3=9 4×4=16  =25
√  답은 5
 
3월 20일(수)
 
하루 종일 전동대패질만 했다.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는 공구 중 하나라는데. 수업 끝날 시간까지 별로 쉬지도 않았건만 손에 익질 않는다.
 
* 도리와 서까래는 힘이 받는 방향이 반대
 

사용자 삽입 이미지

  

3월 21일(금) 
 
어제 하루 이사 때문에 빠졌는데 얘기를 들어보니 또 전동대패질을 했다고 한다. 아무래도 가장 많이 쓰는 공구를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것 같으니. 오늘은 아침 내내 원형톱만 다뤘다. 샘 표현대로 하자면. 먹선이 보일락말락만큼 잘라내야 하는데. 음 역시 타고난 손재주를 가지고 있지 않는 이상 연습만이 살길. 날이 추워 환기도 제대로 하지 못해 목이 컬컬하지만 어쩌겠나. 켜고 또 켜고. 다행히 점심 먹을 때쯤 되니 먹선은 놔두고 그나마 톱이라도 손에 익는다.
 
실습수업이 다 끝나면 매번 스케치업 동영상 강의를 꼭 들어야겠다, 마음먹지만. 몸도 피곤한데다 이번 주엔 이사 때문에 통 강의를 듣지 못했다. 아니 그래도 이틀은 삼십분 이상씩은 해봤지만, 뭐가 잘 못된 건지 영 따라가지가 않았다. 해서 손을 놓고 있었는데. 다행히 지난주에 했던 내용을 방법은 조금 다르지만 처음부터 다시 복습해주시는 게 아닌가. 하지만 지난주 부분이 다 끝나고 나니 또 뒤처지기 시작. 초석과 창방, 도리까지는 잘 올려놓고 보를 만들지 못한다. 아, 차라리 대패질이 낫지 싶다.
 
* 원형톱의 경우 톱날이 처음 잘못 들어갔을 경우 무리하게 톱을 움직이지 말고 톱을 뒤로 뺏다 다시 넣었다 하면서 맞춰야 함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3/24 20:26 2013/03/24 20:26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