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보다 보름 이상 빨리 찾아온 추석 연휴가 끝났다. 낮 기온은 27-8도까지 올랐고, 일찍 제사를 지낸다고 했는데도 절 몇 번 했더니 해가 쨍쨍. 여름 추석인가 싶을 정도였으니, 농사짓는 분들 이래저래 또 고생했을 터. 시기에 맞춰 농작물 내 놓으랴, 가을걷이 준비하랴. 편하게 마트에서 시장에서 사먹는 사람들은 잘 모르겠지.
 
<연작 장해 원인과 친환경적 대책>
 
․ 연작(이어짓기) 장해: 같은 작목을 연속해서 재배하거나 한 두 작기 다른 작물을 재배하고 다시 재배할 경우 또는 같은 속(유전적 연혁이 가까움) 작물을 연속해서 재배함에 따라 작물 생육환경이 악화되고 이에 따라 나타나는 생육 상의 각종 피해 증상을 통틀어 연작(이어짓기, 기지(忌地)현상) 장해라고 한다.
 
․ 작물 재배 후 필요한 휴작 연수
- 거의 없음: 무, 당근, 양파, 양배추, 딸기, 미나리: 거의 없음
- 1년: 쪽파, 시금치, 콩
- 2년: 감자, 오이, 땅콩
- 3년: 고추, 참외, 쑥갓, 토마토, 강낭, 토란
- 5~7년: 수박, 가지, 우엉, 완두
- 10년 이상: 인삼, 아마
 
․ 연작 장해 피해 원인과 피해 양상
- 토양 전염성 병해충 집적(청고병, 역병, 위조병, 균핵병, 선충 등)
- 토양 물리성(고상, 기상, 액상 균형 파괴), 화학성(pH, EC. ECC저하, 인산 및 칼슘 집적), 미생물상(유용미생물 감소, 병균 수 증가) 악화
- 유해 물질 축적(파라하이드록시안식향산, Alleopathy(타감작용) 축적)
- 유해 가스 발생(암모니아, 아초산가스 등)
- 토양 병해충 집적 및 생리생육 장해 발생
 
․ 연작 장해 대응 토양 관리
- 토양 전염성 병충해: 윤작, 밀기울 소독, 호맥, 불휘, 땅거미
- 토양 물리성 개선: 심경, 심토파쇄, 유기물 투여
- 토양 화학성 개선: 토양 검정에 의한 시비, 미량 요소 투여
- 토양 미생물상 개선: 퇴비, 유박 살포 후 미생물 투여, 깊이갈이
- 유해 물질 축적: 토양 소독, 윤작, 호맥, 옥수수, 클로버 재배
- 유해 가스 발생: 윤작, 심토파쇄, 흙향, 광합성균, SM 투여
 
․ 연작지 토양 친환경적 병충해 방제
- 경종적 방제: 답전윤환 및 적지 적작 재배, 윤작 및 간․혼작에 의한 피해 경감, 정식기 이동 및 저항성 품종과 대목 이용, 양질의 유기물 시용에 의한 방제, 심경으로 토양 생물상 개선
- 물리적 방제: 태양열 소독, 증기 소독, 담수 처리
- 생물적 방제: 미생물 유도 저항성, 비병원성균 접종, 길항균 이용, 휴한기 목초 재배로 유용 미생물 복원, 흙향, 청고탄, 키토나이스 투여
 
․ 돌려짓기(윤작): 여러 작물을 규칙적인 순서로 재배하는 것으로 생태적으로 다른 여러 종류의 작물을 재배해 지력 유지를 꾀함으로써 토양 양분의 균형을 유지하고, 작물 뿌리가 배출하는 독성물질이 뒷그루(後作) 생육을 저해하거나 병해충이 창궐하는 것을 감소시켜 작물이 건전하게 생육하고 수량이 안정화 됨
- 토양 유기물 공급과 유지: 양질의 토양 유기물이 작물 잔사(수확 후 남은 뿌리나 잎, 줄기 등)에서 만들어짐
- 질소 함량 증대: 콩, 팥, 알팔파, 클로버, 헤어리베치 등 콩과 작물은 유기물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뿌리혹박테리아로 불리는 질소 고정균이 공중 질소를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암모니아태 질소로 변환시켜 식물에 공급
- 토양 물리성 개선: 작물에 따라 뿌리의 분포가 다를 뿐만 아니라 미생물 활동을 촉진하는 물질을 분비해 토양의 투수성과 통기성 개선(알팔파와 클로버는 토양을 떼알(입단) 구조로 만드는 효과가 뛰어남)
- 토양 양분의 균형 유지: 화본과 작물은 양분 흡수량이 많은 반면 두과 작물은 질소를 공급하며, 근채류는 토양에 많은 양분을 남김
- 병해충 발생의 억제: 토양 미생물상과 토양 병해충 발생이 억제
- 잡초 방제: 작물에 따라 발생하는 잡초 초종이 달라 특정 잡초가 번성하는 문제가 적어짐
- 토지 이용률 향상: 전․후작을 적절히 조절해 시장의 수요 및 공급을 안정시키고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음
 
* 밀기울 처리를 통한 시설 채소 연작 장해 경감
  
․ 밀기울 처리 방법
- 2,000kg/10a의 밀기울을 고르게 살포
- 밀기울과 토양을 잘 혼합
- 측면에 롤비닐이 들어갈 고랑 조성
- 30cm 깊이까지 충분히 관수
- 전면이 잘 덮이도록 멀칭
- 고랑을 물주머니 비닐로 눌러 밀봉
 
․ 주의사항
- 밀기울 처리는 토양과 혼합 혐기조건(공기차단)에서 발효를 유도하는 것이므로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하고 롤비닐 혹은 흙을 이용해 비닐로 토양을 밀봉하도록 함
- 높은 탄산가스와 상당량의 약산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닐 개봉 후 충분히 관수하고 4-7일 후 정식해야 함
- 밀기울이 유기물이고 양분과 기존 양분이 그대로 이용되므로 추가적인 기비와 유기물 퉁입이 필요하지 않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11/16 14:40 2014/11/16 1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