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번 수업, 목록 공시된 유기자재들에 대한 설명이 끝나면 1년간 진행 됐던 과정이 모두 끝난다. 30여명으로 시작했던 인원이 지금은 10여명 남짓. 바쁜 농사일도 농사일이지만 실습보다는 이론 위주였기에 나타난 결과일 듯. 해서 유기농업에 대한 보다 성찰적인 내용이 한 두 강의 쯤 있었으면, 또 유기자재를 직접 만들어보는 시간이 있었다면 더 좋았을지 싶다. 산업기사 시험 준비 때 어설프게 암기만 했던 내용을 찬찬히 따져가며 이해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지만.
 
․ 해조추출물: 해조추출물은 세계적으로 기상이 악조건인 곳으로 유명한 캐나다의 아카디안만, 프랑스 해안 등에서 자라는 ‘아스코필름노도섬’이라는 海藻(해조)를 원료로 해 제조 과정이나 제조 후 제품에 어떤 화학적 과정이나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해조추출물 원재 임
 
- 100% 천연해조추출물 제품으로 국제유기농인증단체(IFORAM)의 유기농자재 인증서를 가지고 있는 제품이 안전
- SM6, 알게, 아카디안29 등은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의 기술과 생산력을 가진 해조추출물 원료생산 회사 제품
- 양질의 해조류는 모든 성분의 비료, 농약 등과의 혼용이 용이하며 혼용하는 물질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해야 함
- 고급 해조류는 직접 액상으로 추추하는 해조추출물이 좋은 제품
- 수입 원재를 그대로 제품화해야 성능 변화가 적음
 
․ 양질의 해조류
- 천연 생장촉진제
- 검증된 천연 유기농자재
- 1차, 2차 영양분의 강력한 원료
- 여러 가지 생리활성제로 구성
- 고농도의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100% 해조추출물
- Ascophyllum nodosmu에서 추출: 천연 생장촉진과 활력 회복에 필요한 물질을 가장 많이 함유
 
․ 해조추출물의 구성 성분
- 천연식물호르몬, 생장촉진성분
- 1차, 2차 대사에 필수적인 영양분 복합체: 식물의 생육과정에서 생육촉진제 또는 유사한 역할을 함
- 여러 가지 비타민
- 생산물의 황산화 강화제
- 아미노산-유기산
- 각종 탄수화물
- 다당류: 아르기닌 산(Aliginic Acid), 매니톨(Mannitol), 라민아린(Laminarin)
- 각종 필수 미량원소 복합체: 식물에 쉽게 흡수되는 형태
- 싸이토카이닌: 옥신과 함께 세포 분열 촉진, 세포의 신장과 생육 촉진을 유인, 단백질 합성 촉진, 생육 초기의 세포 발육 촉진, 위험한 생육 단계의 작물 생육을 안정화, 과일의 낙과 예방
- 폴리아민: 식물 생장 호르몬과 유사한 효과(stimulants), 아스코필름 노도섬 추출물의 효과로 식물체 내에서 생산, 세포막의 활성 강화, 자연 재해에 대한 방어력 강화
- 베타인: 작물의 전 생육 과정에 효과, 세포막 보호, 메틸기 기증, 세포의 삼투 효과 향상, 모든 식물 생장 조절제 및 싸이토카이닌과 비슷한 효과
 
․ 목록 공시된 해조추출물
- 해조추출물: 에스엠6, 아카디안29, 뉴트리켈프, 정착(해조류+부식산), 보이네, 씨크롭케이, 씨믹스, 해조보감탕, 아그리엔에프, 알게나, 해조에끼스, 엑스티-40, 지에이14, 켈팍, 해조-2000, 알가팜, 슈퍼파워골드, 비에스7000골드, 큐크린3000, 알게아, 그린앙상블, 알기발바이오, 루트업, 바이오피쉬, 알가추, 지성감천, 미네랄과학, 슈퍼50, 타이탄, 여무러, 미아티스, 씨위드100, 피토마레바이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3/23 17:58 2015/03/23 17:58
친환경농업과정에 참가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이제 막 농사를 시작한 까닭에 기초 작물 재배법에 관심이 많다. 다행히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강의를 하니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다만 관행농법으로 답변하는 경우가 많아 친환경농업과정이 맞나 싶기도 한다. 하지만 관행농법이라고 모두 제쳐놓기보다는 원리를 알면 오히려 도움이 되는 것도 있으니 잘 알아두어야 하겠다.
 
<키토산 만들기와 특성 및 활용> 
 
․ 키틴/키토산의 제조 방법
- 키틴: 가재, 게, 새우와 같은 갑각류의 껍질, 풍뎅이, 매미, 메뚜기와 같은 곤충의 외피, 버섯이나 미생물의 세포벽 등에 존재하는 천연 다당류(당분)
- 원료: 주로 게 껍질을 사용
- 추출 과정: 껍질 → 세척, 건조 → 탄산칼슘 제거(염산용액, 약 5%) → 세척 → 단백질 제거(수산화나트륨 50%) → 세척 → 키틴 → 틸아세일화(수산화나트륨 50%) → 키토산
* 키토산을 제조할 때 수산화나트륨 용액 속에서 끓이는 시간에 따라 그 분자량이 달라짐
* 키토산이 체내의 혈관으로 흡수 되려면 단당, 2당, 3당, 4당, 5당, 6당 정도까지만 흡수
* 키토산은 고분자이며 이 상태 그대로가 가장 효과적
* 키토산은 섬유질이며 섬유질은 분자량이 높을수록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함
 
․ 키토산의 특징
- 원료, 제조 방법, 분자량, 정제도, 순도, 점성 등의 차이나 화학적으로 변형시켜 농업용, 의료용 및 식품용 재료 등 여러 방면으로 이용
- 키틴은 식물의 cellulose(섬유소)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분자량 100만 이상의 고분자 다당류로 동물성 식이섬유(dietary fiber)이고 화학적으로 글루코사민의 여러 분자가 결합해 이루어진 고분자 물질임
- 키토산의 pH는 3.5 내외이며, 다량 원소 함량은 낮으나 미량 원소 중 철 함량이 비교적 많음
 
․ 사용시 주의사항
- 바람을 등지고 살포
- 눈에 들어갔을 경우 식염수로 씻고 안과의사의 치료를 받을 것
- 석회유황합제 등 알칼리성 농약 및 미량 요소 복비 등 비료와 혼합할 경우 침전 및 약해를 입을 수 있음
- 과다 사용 시 웃자라거나 약해가 날 수 있음(희석 배수 준수)
- 고온기 비닐하우스 내에는 이른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사용
- 병충해 방제는 효과가 낮고 병 발생시에는 살포 중지
- 토성과 식물 특성에 따라 효과에 차이
- 제조 회사의 사용 설명서에 있는 방법대로 사용(키토산 함유량, 점도가 다름)
- 화훼류에는 1,200배 이상으로 희석해 살포
- 농림부에서 고시한 품질규격(협회 인증품)에 합격한 제품 이외 품질 보증 못함
- 살포액을 만든 후에는 신속히 사용하고 적용 대상 작물 이외에는 사용하지 말 것
- 발아기나 채아기에 넣어 사용 시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침종만 할 것
- 화훼류에 꽃봉오리가 생길 때 진하게 분무하면 봉오리가 안 필 수 있으니 꽃이 질 무렵 사용
- 남은 자재는 냉장 또는 냉암소에 보관
 
․ 키토산의 품질 기준
- 키토산(총 글루코사민) 또는 키토올리고당의 최소량: 1% 이상
- 중금속 위해 기준: 크롬 20mg/kg, 납 20mg/kg, 카드뮴 0,4mg/kg, 수은 0.2mg/kg, 비소 4mg/kg, 니켈 20mg/kg 이하
- 대장균: 음성
- 사용한 용제 표시
- 보존기간: 2년
- 키토산의 점도(cps): 1이상 100이하
- 키토산의 순도: 800mg/g이상
- 키토올리고당의 순도: 200mg/g 이상
* 키토산(글루코사민) 단당은 제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12/28 14:23 2014/12/28 14:23

일주일 사이에 날씨가 확 풀렸다. 3월에 벚꽃은 처음이라는 말도 나오고, 한낮엔 초여름 날씨 같기도 하니. 봄 농사가 바쁠 만도 하다. 그래서일까. 오늘은 자리가 많이 빈다. 강의 끝 무렵엔 기술센터 담당자가 나와 출석상황에 이런 말, 저런 말을 한다. 비싼 돈 들여 하는 일이니 걱정하는 게 당연한 거겠지만. 내실 있는 강의였다면 저리 많이 빠졌을까, 생각은 해보려나. 설명 보다는 한 번이라도 해보는 게 더 좋겠는 거 말이다. 물론 이제 겨우 두 번째 수업이니, 이런 말도 성급한 것일 수 있겠지만.   

 
<액비 제조와 사용 방법>
 
- 수용성 칼슘제:
① 재료: 40L 항아리, 패화석 분말 10kg(조개 껍데기), 게 껍데기 3kg, 달걀 껍질 2kg, 숙성된 목초액 30L
② 제조: 폐화석 분말에 게 껍데기, 달걀 껍질을 잘 혼합해 항아리에 켜켜이 쌓은 후 목초액을 천천히 붓고(갑자기 부으면 끓어 넘칠 수 있으므로 주의)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밀봉
③ 이용: 토마토는 300:1, 배추는 500:1, 고추는 300:1 엽면시비. 그 밖의 작물은 웃자라거나 칼슘이 부족하다고 느낄 때 500:1로 섞어 엽면시비하거나 관수. 
* 칼슘은 수분이 없으면 이동하지 않으므로 토양수분을 충분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
 
- 생선 아미노산:
① 제조: 생선(특히 등 푸른 생선)의 머리, 뼈, 내장 등을 모아 항아리에 담고 같은 양의 흙설탕을 혼합해 발효시킴
② 이용: 1,000배 희석 후 옆면, 전•후면에 안개 분무
③ 효과: 질소 성분이 많고 풍부한 영양과 다양한 아미노산이 있어 미생물 활성화에 좋으며, 진득이와 온실가루 퇴치에도 효과
* 발효 과정에서 생기는 기름은 토창미생물이나 천연유화제를 사용해 제거하거나 섞어서 사용
* 생선 아미노산은 비린내로 해충기피제로도 사용
 
<친환경 살균제 제조>
 
- 병해충 관리를 위해 사용이 가능한 자재:
※ 미네랄 13종
① 보르도액(황산구리+생석회), 수산화동 및 산염화동
② 부르고뉴액
③ 구리염
④ 유황
⑤ 맥반석 등 광물질 분말
⑥ 규조토
⑦ 규산염 및 벤토나이트
⑧ 규산나트륨
⑨ 중탄산나트륨 및 생석회
⑩ 과망간산 칼륨
⑪ 탄산칼슘
⑫ 파라핀유
⑬ 키토산
 
※ 기타 7종
① 이산화탄소 및 질소
② 비눗물
③ 에틸알콜
④ 동종요법 및 아유베딕(Ayurvedic) 제제
⑤ 웅성불임 곤충
⑥ 기계유제
 
※ 덫 3종
① 성유인물질(페르몬)
② 메타알테하이드를 주성분으로 한 제제
③ 그 밖에 농림부장관이 고시한 자재
 
- 아인산(H3PO3)
① 제조: 아인산을 물에 완전히 녹인 후 수산화칼륨을 소량씩 첨가해 천천히 녹임, 혼합비율은 1:09(아인산 40g과 수산화칼륨 33.2g을 물 20L에 희석), 산도는 5.5-6.5
② 이용: 병 발생 전(예방)은 1,000배 희석, 병 발생 후(치료)는 500배 희석
③ 효과: 토마토 등의 잎마름역병에 적용 가능(고추 탄저병, 상추 역병, 토마토 시들음병 등), 식물체의 저항성 증대 효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4/02 15:39 2014/04/02 15:39
오늘은 작물 생육에 필요한 영양제 즉 액비의 제조와 활용에 대한 강의가 진행됐다. 실습 위주가 아닌 것이 아쉽고. 강사 말마따나 직접 만들어보는 게 중요할 터인데, 당분간은 어려우니 또 아쉽다. 그래도 자료와 함께 정리는 잘 해둬야 한다. 꼭 필요한 것이니.
 
<액비 제조와 사용 방법>
 
- 전체 양분 소요량 가운데 퇴비 60%, 액비 40% 비율이 적당
- 액비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농산부산물, 축산부산물, 임산부산물, 어류부산물, 광물부산물, 토양, 효소, 미생물, 활성액 등
- 질소, 가리, 인산(골분), 생리활성 액비와 혈분, 모분, 골분, 어분, 채종유박, 면실박, 피마자박, 대두박, 게박(게껍질), 구아노, 배트구아노, 난각분말, 폐화석, 쌀겨, 해초, 당밀 등의 액비가 있음
- 활성액으로는 당밀, 주정액, 설탕, 목초액, 식초 등을 이용
- 액비의 기대 효과로는 연작장애, 염류직접 해소와 착과 촉진, 과실 비대 등이 있으며, 풍부한 미생물에 의한 작물성장과 뿌리 발육강화, 농약사용량 및 화학비료 사용량 절감에 따른 친환경 농업 실천이 가장 큼
 
- 기본액비: 어분, 골분, 썰포마그, 당밀, 미생물을 재료로 물을 채운 다음 온도를 30℃로 조정한 후 기포기와 순환펌프를 이용 발효 한 다음 PH 4.5 확인 후 사용
- 질소액비: 주로 생선이나 혈분 액비로 만들며 비용으로 조금씩 자주 사용
- 가리액비: 가리성분이 풍부한 유기태 원료가 거의 없으므로(깻대, 콩대, 담뱃대 등) 썰포마그를 80℃ 이상으로 온도를 맞춘 후 기포기와 순환펌프를 연속 24시간 가동해 녹인 후 발효
- 혈분: 광우병 발병 후 초식성 반추동물 사료 첨가가 금지되면서 농업용 비료로 개발, 시설재배에서 관주 처리 시 피비린내가 나 기피되기도 함
- 골분: 증제골분(쪄냄)과 소성골분(태움)의 경우 인산과 칼슘 성분이 매우 높음(증제골분: 2-23-0.3-25, 소성골분: 0-35-0.3-35
- 채종유박: 미발효 된 상태로 건조, 포장, 판매되므로 본포에 사용 시 15일 전 살포, 경운 후 파종 또는 정식해야 함
- 난각분말: 계란껍질을 재료로 유기산으로 녹여 사용, 동물성 천연 탄산칼슘(칼슘 흡수는 수분이 충분해야 함)
- 폐화석: 알칼리도가 강하므로 암모니아 염류나 수용성 인산을 함유한 비료와 배합할 경우 질소분이 모두 날아가므로 배합하지 않으며, 폐화석을 먼저 시비한 후 유박이나 퇴비를 시비함
 
- 고급 액비 제조와 사용 예
① 3.5t 물탱크에 재료를 넣고 기포기로 공기방울을 24시간 주입
② 비닐하우스의 경우 20일, 외부에서는 2개월 가량 발효
③ 사용하기 전날 기포기 발생기 가동 중단 후 펌프를 이용 해 위의 것부터 사용(펌프 호수 끝에 180메쉬망을 사용하면 펌프와 여과기의 막힘 방지)
④ 고추의 경우 액비와 물을 25:1로 섞어 모를 심고 난 후 1주일 뒤에 한 번, 그 후 과실 비대기에 1일 간격 사용
⑤ 토마토는 액비와 물을 50:1로 섞어 과실 비대기에 1주일에 한 번씩 뿌려줌
⑥ 액비 살포량은 고추와 토마토 등 모든 작물에 300평 당 4t을 기본으로 토양수분 상태와 작물 상태 및 특성에 따라 가감
※ 재료
- 유기농: 혼합유박 5포, 어분 3포, 폐화석 2포, 목초액 2말, 미생물 2봉지, 당밀 1말
- 무농약: 혈분 3포, 유박 3포, 어분 3포, 골분 2포, 목초액 2말, 미생물 2봉지, 당밀 1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3/27 12:26 2014/03/27 12:26

 

언제 다 녹으려나 싶었던 눈들이 조금씩 사그라질 때 쯤, 농업평생학습대학 친환경농업과정에 등록했다. 자격증 때문만은 아니었지만 몇 년 전 들여다봤었던 책도 다시 꺼내고. 농진청에서 주관하는 사이버 강의도 신청하고. 가물가물한 기억도 다시 되살려보고자 하는 것이다. 지난 3년 간 경험을 정리해보는 의미도 있겠고, 외우기만 했던 것들을 직접 해보는 시간이 있을 것도 같으니. 두루두루 좋은 기회일지 싶어서다. 
 
게다가 어찌된 게 춘천에서보다 더 밭 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을 어떻게든 벗어나보고자 함이니. 이번 기회에 두루두루 안면도 넓히고 동네도 차분히 알아보면 좋겠다, 싶은데. 입학식이라는, 생각지도 않았던 거창한 행사(?)를 치르고 함께 1년간 공부할 사람들을 만나고보니. 벌써 수년 째 유기농사를 지어오신 분들도 있고. 이제 막 농사를 시작하는 사람, 농사짓는 걸 고민하는 사람, 텃밭농사 짓는 사람 등등. 사는 곳들도 농사짓는 곳들도 사람만큼이나 다양하니. 사뭇 기대가 된다. 
 
다만 일 년 간 공부할 내용을 보니 만만치가 않은데. 한여름 한 달을 빼고 주 1회씩 진행되는 수업이 조금은 아쉽다. 하지만 이 과정이 원래 농사짓는 분들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아니 어떻게 보면 4시간, 아니 왔다, 갔다하는 시간까지 하면 꼬박 반나절을 빼야 하니 농부들에겐 큰 부담일 수 있겠다. 한 창 바쁠 땐 고사리 손도 아쉬운 게 농사니. 그러니 이론 중심보단 실습 중심이었으면 더 좋겠단 생각인데. 글쎄 어떻게 진행될는지. 
 
각자 자기소개도 하고, 회장 뽑고 총무 정했지만 아직은 서먹하다. 몇 몇 서글서글한 분들과 함께 온 사람이 있는 이들은 삼삼오오 모여 얘기꽃도 피우지만. 콩 종자 판다는 말에 그것 사러 가는 사람에, 벌써 시작된 봄 농사 준비하러 서둘러 자리를 뜬 분들이 있으니. 몇 주는 더 지나야 어색함이 사라지겠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3/18 16:09 2014/03/18 1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