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과정에 참가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이제 막 농사를 시작한 까닭에 기초 작물 재배법에 관심이 많다. 다행히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강의를 하니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다만 관행농법으로 답변하는 경우가 많아 친환경농업과정이 맞나 싶기도 한다. 하지만 관행농법이라고 모두 제쳐놓기보다는 원리를 알면 오히려 도움이 되는 것도 있으니 잘 알아두어야 하겠다.
 
<키토산 만들기와 특성 및 활용> 
 
․ 키틴/키토산의 제조 방법
- 키틴: 가재, 게, 새우와 같은 갑각류의 껍질, 풍뎅이, 매미, 메뚜기와 같은 곤충의 외피, 버섯이나 미생물의 세포벽 등에 존재하는 천연 다당류(당분)
- 원료: 주로 게 껍질을 사용
- 추출 과정: 껍질 → 세척, 건조 → 탄산칼슘 제거(염산용액, 약 5%) → 세척 → 단백질 제거(수산화나트륨 50%) → 세척 → 키틴 → 틸아세일화(수산화나트륨 50%) → 키토산
* 키토산을 제조할 때 수산화나트륨 용액 속에서 끓이는 시간에 따라 그 분자량이 달라짐
* 키토산이 체내의 혈관으로 흡수 되려면 단당, 2당, 3당, 4당, 5당, 6당 정도까지만 흡수
* 키토산은 고분자이며 이 상태 그대로가 가장 효과적
* 키토산은 섬유질이며 섬유질은 분자량이 높을수록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함
 
․ 키토산의 특징
- 원료, 제조 방법, 분자량, 정제도, 순도, 점성 등의 차이나 화학적으로 변형시켜 농업용, 의료용 및 식품용 재료 등 여러 방면으로 이용
- 키틴은 식물의 cellulose(섬유소)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분자량 100만 이상의 고분자 다당류로 동물성 식이섬유(dietary fiber)이고 화학적으로 글루코사민의 여러 분자가 결합해 이루어진 고분자 물질임
- 키토산의 pH는 3.5 내외이며, 다량 원소 함량은 낮으나 미량 원소 중 철 함량이 비교적 많음
 
․ 사용시 주의사항
- 바람을 등지고 살포
- 눈에 들어갔을 경우 식염수로 씻고 안과의사의 치료를 받을 것
- 석회유황합제 등 알칼리성 농약 및 미량 요소 복비 등 비료와 혼합할 경우 침전 및 약해를 입을 수 있음
- 과다 사용 시 웃자라거나 약해가 날 수 있음(희석 배수 준수)
- 고온기 비닐하우스 내에는 이른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사용
- 병충해 방제는 효과가 낮고 병 발생시에는 살포 중지
- 토성과 식물 특성에 따라 효과에 차이
- 제조 회사의 사용 설명서에 있는 방법대로 사용(키토산 함유량, 점도가 다름)
- 화훼류에는 1,200배 이상으로 희석해 살포
- 농림부에서 고시한 품질규격(협회 인증품)에 합격한 제품 이외 품질 보증 못함
- 살포액을 만든 후에는 신속히 사용하고 적용 대상 작물 이외에는 사용하지 말 것
- 발아기나 채아기에 넣어 사용 시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침종만 할 것
- 화훼류에 꽃봉오리가 생길 때 진하게 분무하면 봉오리가 안 필 수 있으니 꽃이 질 무렵 사용
- 남은 자재는 냉장 또는 냉암소에 보관
 
․ 키토산의 품질 기준
- 키토산(총 글루코사민) 또는 키토올리고당의 최소량: 1% 이상
- 중금속 위해 기준: 크롬 20mg/kg, 납 20mg/kg, 카드뮴 0,4mg/kg, 수은 0.2mg/kg, 비소 4mg/kg, 니켈 20mg/kg 이하
- 대장균: 음성
- 사용한 용제 표시
- 보존기간: 2년
- 키토산의 점도(cps): 1이상 100이하
- 키토산의 순도: 800mg/g이상
- 키토올리고당의 순도: 200mg/g 이상
* 키토산(글루코사민) 단당은 제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12/28 14:23 2014/12/28 14:23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