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쳐 돌아가는 꼴을 보고 있자니 화가 날만도 한데 어찌된 게 점점 더 무섭기만 해지네요. 뭐, 민간인을 향해 포탄을 날린 쪽을 두둔하거나 옹호하는 건 아니지만. 또 이런 짓거리는 결코 용서받지 못할 일이다,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때는 이때다, 마치 전쟁이라도 하려는 듯 온갖 과격한 말을 다 동원해 난리 법석을 떠는 모양새가. 그래요 처음엔 화가 났지요. 민간인이 죽어나갔는데도 최신형 포만 더 갖다 놓을 생각만 하고. 결국 목숨을 담보로 해야만 하는 이들을 고작 찜질방에 몰아놓고는 전투기를 동원해 폭격해야 한단 말만 늘어놓고. 이럴 때일수록 ‘응징’을 외기기 보단 ‘대화’를 하자고 해야 할 터인데, 또 미국을 등에 업고 무력시위를 하기보단 얼굴을 마주하고 얘길 해야 할 터인데 말이지요. 결국 국방부장관에 임명된 사람이나 뭔 일이 터질 때마다 지하로 내려가는 사람이나 연일 무서운 말만 쏟아내더니. 두려움에 떨던 날이 엊그제 같은 데 무슨 또 사격훈련을 한다고 합니다. 이러니 이거 정말 ‘전쟁’ 나는 건 아닌지 두렵기만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2.
롤란트는 부모님, 누나 유디트, 여동생 게스틴과 함께 들뜬 마음으로 여름 휴가를 떠납니다.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가 살고 계시는 세벤보른으로 말이지요. 하지만 롤란트 가족은 외갓집을 코앞에 두고 그 전에는 상상조차 못했던 일을 당하고 맙니다. “그것은 부모들이나 어른들이 상상하고 있었던 대로 되어가지 않았다. 예를 들어 거듭 반복되는 경고문이나 선전포고도 없었다. 알프스 산속이나 지중해의 섬으로 피난갈 수 있을 만한 충분한 시간 여유도 주어지지 않았다”(p.9)는 말처럼 말이지요. 그리고 그것은 “당신들 때문에 핵폭탄이 떨어진 거야! 아이들이야 어떻게 되든 아무런 관심도 없었겠지. 자기들만 좋으면 상관없다는 거겠지. 우리가 이렇게 비참한 상태가 되어도 아무런 관심도 두지 않아. 그러면 우리들은 어떻게 하란 말이야?”(pp.128-129)라고 말하는 양쪽 다리를 잃은 소년의 말처럼. 일은 벌어졌으나 책임을 지는 사람은 없는, 그런 일이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그 일은 그처럼 쉽게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말로 다하기 어려운, 너무나 무시무시한, 사람으로써는 도저히 감당하기 힘든 일들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걸 의미합니다. 폭발과 함께 녹아버린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 폭풍이 지나간 후 발병한 전염병에 죽어간 여동생. 방사능 오염으로 온 머리카락이 듬벙듬벙 빠지고 온 몸에 반점이 돋은 채 숨을 거둔 누나. 눈과 양팔이 없는 아이를 낳고는 아이와 함께 하늘나라로 올라간 어머니와 막내 동생처럼 말이지요. 그리고 이런 일들은 롤란트 가족들만 겪은 참상이 아니었습니다. 독일 전역에서 아니 전 유럽에 걸쳐서 일어났던  것이지요. 
 
3 
한나라당 대표라는 사람은 전쟁나면 입대해 싸우겠다고 했다지요. 또 한나라당 모 의원은 연평 포격 사건 때 대통령에게 확전되지 않게 하라고 건의했던 청와대와 정부 내 사람들에게 욕설을 했다고 하구요. ‘망둥이가 뛰면 꼴뚜기도 뛴다’고. 재협상은 없다고, 글자 하나 고치지 않겠다고 강변하던 통상교섭본부장마저 FTA협상이 잘못됐다면 해병대에 지원하겠다고 말했답니다. 뭐, 너도나도 입대하겠다는 사람들 굳이 말릴 생각은 없지만요. 이번 기회에 무기 만들어 돈 버는 기업들. 아니 정확히 말하면 동네 상권부터 나라를 상대로 한 상권까지 깡그리 틀어쥐고 있는 재벌들에게 또 막대한 돈다발을 안겨주려고 안달이 났거나, 아니지요. 이번 기회에 아예 한반도를 요새화하려고 맘먹은 사람들. 연평도 말고도 사람들 마음속에도 연일 폭탄을 떨어뜨리는데 광분한 이 사람들에게 꼭 한 번 물어보고 싶은 게 있습니다. 핵폭발이 있은 지 3년이나 지난 뒤에야 겨우 세워진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롤란트의 아버지에게 어느 여자 아이가 했던 질문입니다.
 
“선생님은 평화를 위해 무엇을 하셨나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2/18 19:06 2010/12/18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