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
IMF 구제금융 이후 우리 사회는 극단적인 양극화로 치닫고 있습니다. 굳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은 기존 소득계층을 유지하겠지만 중산층은 감소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아니라도. 팍팍한 살림살이에 동전회수율은 높아지는 반면 공항이용객은 해가 갈수록 늘어만 가는 것만 봐도. 80대 20을 넘어 90대 10으로까지 진행됐다는 얘기가 결코 빈말은 아닐 듯합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나아지기는커녕 더 심화될 거란 우울한 전망만이 나오는 이유는, 맞습니다. 지난 20여년의 시간 속에서 체념되고 내면화된, ‘나만 잘살면 되는 겨’ 식의 삶이 너무나 보편화됐기 때문입니다. 경쟁, 아니 정확하게는 무한경쟁만이 사회를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라는 믿음이 맹신이 된 겁니다.
 
게다가 어느 도지사가 스스럼없이 내뱉는 말마따나 신분사회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걸 감안하면, 어느 순간 절망으로 떨어지곤 합니다. “상류층의 부와 신분 대물림”이라는 게 고작 아이들 밥그릇 빼앗아 교육복지에 써서 될 거였다면. 지금껏 해왔던 그 많은 ‘서민복지’들은 다 뭐였단 말입니까.
 
2.
글쓴이는 경상도 단성현의 ‘호적대장’에서 발견한 한 인물로부터 이야기를 풀어나갑니다. ‘김홍발’이라는 이가 바로 그 사람인데요, 실은 ‘김홍발’보다는 그의 조부 ‘김수봉’이 이 책의 주인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김홍발’은 ‘김수봉’이 평민으로 신분상승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양반이 될 수 없었기 때문이지요.
 
다 알다시피 조선 시대는 신분제 사회였습니다. 왕을 최고 정점으로 양반과 중인, 평민, 천민으로 이루어지는 피라미드형 사회였던 겁니다. 책 제목과 부제에서 잘 드러나듯. 피라미드에서 가장 밑바닥이라고 할 노비였던 ‘김수봉’, 그리고 그의 자손들이 피라미드의 제일 윗부분인 양반으로 올라서기까지 과정을 추적한 것이 바로 이 책입니다.
 
대대로 주인 집안에 예속된 소유물로 신분적 억압을 숙명으로 받아들이고 생계를 보장받아야 했던 대부분의 다른 노비들과는 다른 삶을 이어갔던 ‘김수봉’과 그 후손들. 상공업이 발달하면서 급격히 신분제가 흔들리기 시작하던 때임을 감안해도. 그들이 거친 과정은 그야말로 ‘머나먼 여정’이었음이 틀림없을 터이고, 글쓴이는 그 긴 여정을 꼼꼼히 기록한 겁니다.
 
3.
‘개천에서 용났다.’는 말이 심심찮게 들리던 때가 있었습니다. ‘자수성가’라는 말도 흔하지 않았구요. 검정고시로 사법고시에 합격하고 대통령까지 됐던 사람도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요즘엔 개천에서 용은커녕 모 항공사 회항사건에서 보이듯 새로운 신분사회를 알리는 말과 행동이 스스럼없습니다.
 
반면 ‘가난은 대물림된다.’는 말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할 수 없다.’는 말도 복지 지출을 줄이려하는 정부를 옹호하는 데 쓰고 있구요. 물론 자기들이 하는 복지는 신분상승을 위한 ‘희망의 사다리’인 반면, 남들이 하고자하는 복지는 ‘포퓰리즘’이라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노비 ‘김수봉’과 그 후손들이 보여준 신분상승을 향한 의지와 오늘날 우리 젊은이들이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해 쌓는 ‘스펙’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책에는 조선 후기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들도 있지만 결국 노비에서 양반으로 올라선 이들의 이야기입니다.
 
그러면서 보자면, 어찌됐거나 ‘김수봉’에서 ‘김홍발’로 이어지는 어느 한 노비 가계(家系)는 결국 양반으로 신분상승을 이뤘지만. 한 집 건너 볼 수 있는 ‘장그래’들은 과연 ‘정규직’이라도 될 수 있는 걸까요. 어찌 보면 조선시대보다도 더 한 신분사회, 그 속에서 신분상승은 꿈도 못 꿀 일인 듯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4/14 10:19 2015/04/14 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