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째 날, 아름다운 길, 597번 지방도로와 36번 국도, 그리고 82번 지방도로를 따라 물태리까지(2006년 10월 3일)
 
<전날부터 함께 하고 있는 월악산 자락>
 
덕주사 입구를 출발한지 1시간이 조금 못 미쳐 송계에 도착했다. 어제 점심 반주로 마신 동동주만 아니었어도 송계까지는 무난히 왔을 텐데. 하지만 맛난 된장찌개에 아침을 먹고 월악산 영봉을 뒤로 두고 길을 나서니 아쉬움은 금방 잊혀 진다.
 
지난 번 여행 때는 계곡 아래까지 내려가 손을 담그고 물장구를 치며 한참을 놀았던 송계계곡은 가을 가뭄에 물이 마른 데다, 군데군데 여름 호우 피해 복구공사로 물길이 심히 탁해 이번엔 눈 구경이다. 그래도 계곡 주위로 울긋불긋 단풍이 들어있어 나름 운치가 있다. 쉬엄쉬엄 걸으며 때 아닌 단풍놀이를 즐긴다.
 
송계계곡을 다 빠져나오니 길은 어느새 충주호를 끼고 돈다. 길 양옆으로는 코스모스가 한 창 제 멋을 뽐내고 있고 가을 하늘에는 구름 한 점 없는 새파란 색이다. 게다가 지금은 옛 정취를 찾아볼 수 없으나 가을 가뭄 덕분에 물 아래 가라앉아 있던 옛 길과 다리를 보게 되는 뜻밖의 수확을 월악나루터에서 거둘 수 있었으니 걷는 즐거움이 이루 말할 수 없다.
 
 
 
 
 
 
 
 
 
 
 
 
 
 
 
 
 
 
1시가 조금 넘었는데도 아침을 든든히 먹어서인지 배고픈 줄 모른다. 또 오티고개를 넘는 산길을 넘는데도 힘이 드는 줄 모른다. 다만 여기저기서 짖어대는 강아지 소리만 아니면 어제 맛보지 못했던 새재 길만큼이나 고즈넉한 맛을 맛볼 수 있을 것인데, 하는 아쉬움이다.
 
<오티고개를 넘어가는 길>
 
동쪽으로는 한티재와 구실재, 서쪽으로는 봉화재, 남쪽과 북쪽으로는 각각 말구리재와 하너물재 다섯 고개와 한길가, 배갈말, 안말, 매차골, 청풍나드리의 다섯 마을을 일컫는 오티마을에 도착하니 점심때가 넘어도 훨씬 넘어섰다. 마땅히 요기를 할 만한 곳이 없다는 걸 지난 번 여행 때 경험했으면서도 무작정 길을 나선 우둔함에 뱃속이 고생이다.
 
마을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오티상회에서 간단히 과자와 빵 등으로 요기를 하고는 무작정 또 길을 나선다. 기억으로는 여기서부터 물태리까지는 그리 가깝지 않은 거리인데다 길마저 한없이 꾸불꾸불 이어지는 지루한 길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간상으로도 별로 여유가 없다.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고갯길을 꼬부랑 꼬부랑 고개를 고개를 넘어 간다’
 
돌아서면 나타나고 또 돌아서면 나타나는 고갯길에 지지 않으려고 노래를 불러본다. 누가 이기나, 다. 결국 저 고개를 넘으면 곧 보일 것도 같은 고개를 몇 고개를 더 돌아서서야 겨우 물태리에 도착했다. 시계를 보니 5시다. 어제, 그제에 비하면 시간상으로는 꽤 일찍 도착했지만 대신 몸이 말이 아니다. 꼬부랑길을 기를 쓰고 걸은 데다 꼬박 사흘하고도 반나절을 더 걸었더니 그렇다. 알게 모르게 체력이 좋아졌다 싶었는데 아직은 아닌가보다.
 
 
 
 
 
 
 
 
 
                                                                                                             
다섯째 날, 작고 예쁜 마을 물태리를 뒤로 두고 단양으로(2006년 10월 3일)
 
아직 해 뜰 기미는 없고 별만 초롱초롱하다. 새벽 4시. 대충 씻고 컵라면 하나씩을 먹으며 해가 뜨기를 기다리지만 금방 해가 고개를 내밀 것 같진 않다.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 도담역에서 9시 39분에 출발하는 기차를 놓쳐서는 안 되기에. 5시 15분. 출발이다.
 
어둠을 헤치며 조심조심 청풍대교 앞에 서니 새벽안개가 짙게 끼어 있는 게 다리를 건너기가 쉽지만은 않을 듯하다. 제법 빠른 속도로 질주하는 차량들에 커다란 공사차량들까지 함께 오가서 그렇다. 그래도 다리를 지나 학현마을로 향하는 오르막길에 접어드니 그제서야 어둠도 조금씩 거치고 서늘한 바람마저 불어 걷기는 편하다. 잘하면 기차 시간을 맞출 수 있을 것 같다.
  
헌데 마을 입구에서 만난 고갯길부터 예사롭지 않다 싶었는데 마을을 지나 단양으로 향하는 이 길의 오르막은 상학현에 이르러 급기야 전혀 맛보지 못한 급경사를 보여준다. 지리산을, 덕유산을 넘었고, 엊그제는 새재에서 마폐봉까지 넘었던 발걸음이, 더디다 못해 나아가지 못한다. 조금 쉬다 또 걷고 조금 쉬다 또 걷기를 반복한다.
 
갑오고개 정상에 오르니 여기서부터는 단양군이다. 가쁜 숨을 몰아쉬며 저 발아래 지나온 길을 내려다보는데. 허걱. 산악마라톤? 걸어서 오르기도 힘든 이 길보다 더 한 산길들을 뛰어 다닌다고? 다리에 힘이 풀린다. 대체 어떤 사람들이 이런 델 뛰어 다닐까? 한참을 그렇게 멍하니 마라톤 코스를 알려주는 표지판을 들여다보다 언뜻 시계를 보니 아차, 벌써 8시다. 아무리 빨리 걷는다 해도 두 시간은 걸릴 듯한데, 큰일이다. 서둘러야 한다. 맘이 급한 만큼 발걸음도 빠르다. 쉼 없이 내리막길을 내려선다.
  
결국 도담역 못 미쳐 평동이라는 마을 입구에서 차를 얻어 타고서야 겨우 기차 시간에 맞출 수 있었다. 30분만 더 시간이 있었더라면 애초 예정했던 도담역까지 올 수 있었을 텐데. 아쉬움이 크다. 하지만 어쩌랴. 맘씨 좋은 청년을 만나 역 바로 앞까지 쉽게 왔다는 걸로 위안을 삼으며 기차에 오를 수밖에. 밀려오는 피곤함 때문인지 자리를 잡자마자 머리가 떨궈지는데 눈을 뜨니 어느새 아파트 숲 한가운데다.
 
* 열다섯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 첫째 날 : 괴산의 화양동계곡에서 문경의 용추계곡 입구까지 약 23km.
- 둘째 날 : 용추계곡에서 새재 바로 아래 읍내까지 약 24km.
- 셋째 날 : 마폐봉을 넘어 월악산 자락 덕주사 입구까지 약 20km.
- 넷째 날 : 덕주사에서 물태리까지 아름다운 길 약 20km.
- 다섯째 날 : 새벽녘 물태리를 출발해 단양 평동마을 입구까지 약 20km.
 
* 가고, 오고
화양구곡 입구까지는 청주를 거쳐 다시 화양동 입구까지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하거나 괴산, 청천을 거쳐 화양동 계곡으로 가는 괴산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아무래도 후자의 경우 괴산, 청천을 거치는 동안 배차 시간을 맞추는 게 쉽지는 않을 듯해서 우리는 청주를 거쳐 화양동으로 갔다. 강남터미널에서 청주행 고속버스는 거의 10여 분 간격으로 있으며, 청주에서 화양동계곡은 한 시간 혹은 두 시간 간격으로 있으니 미리 시간표를 확인해야 한다. 도담에서 출발하는 청량리행 열차는 아침 9시 39분, 오후 3시 16분 단 두 차례뿐이니 시간을 잘 맞추어야 한다.
 
* 잠잘 곳
문경 용추계곡과 선유동계곡 인근에는 음식점을 겸해 민박을 하는 곳이 몇 되나 공동화장실을 사용해야 하거나 조립식 주택이어서 편히 쉴 요량이라면 문경읍이나 점촌으로 나가야 한다. 문경읍과 문경새재 입구에는 저렴한 가격의 깨끗하고 다양한 숙박시설과 음식점이 있으니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월악산 자락 미륵사지터, 덕주사, 송계계곡 등지에도 역시 음식점과 민박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다만 송계를 지나 제천 물태리까지는 변변한 음식점 하나 찾아보기 힘들며, 구명가게도 그리 많지 않다. 물태리에는 청풍문화재단지가 바로 코앞에 있어 그런지 숙박시설이 꽤 많은 편이며, 인근 학현아름마을에도 민박과 펜션이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12/08 20:37 2009/12/08 2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