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3월 11일(월) 맑음
 
한옥학교 첫날. 설렘 반, 두려움 반. 시간이 어떻게 지났는지도 모르겠다. 오랫동안 혼자 시간을 보낸 데다 이제껏 해오던 일과는 전혀 다른 일을 하는 것이기에 그랬을까. 고용센터에서 계좌제 카드를 받고는 학교에 두 번이나 방문하면서 나름 준비를 한다고 했는데도 그랬다. 그래도 자기소개 시간엔 평소 생각했던, 그리고 꿈꿔왔던 일을 동기들 앞에 다짐도 했고. 점심 먹을 때 서울에서 왔다는 한 동기와도 말을 트기까지 했으니. 절반은 성공한 셈.
 
게다가 “공포스럽지 않으세요?”라며 재미나게 ‘공포’를 설명하는 샘. 가만히 있어도 대목 포스가 풍기는 샘. 아마 한옥을 스케치업 프로그램을 이용해 설계를 하는 유일한 사람일 것 같은 샘까지. 짜임새 있게 꾸려진 교수진에, 60대 어르신부터 20대 젊은이들까지 다양한 연령층에 직업을 가졌던 이들이 한데 어우러진 동기들이 30여명이나 있으니. 나머지 절반도 성공할 것 같은 예감이다.
 
다만 11기까지 배출했다고는 하지만. 강의시간에 울려대는 학교 전화 벨 소리와 조금은 두서없이 진행되는 이론 교육 시간이. 어딘지 모르게 어설프기도 하고 안정적이지 않은 게 조금은 걱정이 되고. 또 점심은 각자 해결해야 하는데다 학교 청소에 커피 구입까지 학생들이 해야 한다는 게 조금은 성에 안 차지만.
 
이왕 시작했으니. 아침 6시부터 부산을 떠느라 점심 먹고 나면 급격히 졸리고 피곤해 집중력이 떨어지기도 하지만. 3개월. 정신력으로 버티고 하나하나 배워나가면. 동기들 앞에 다짐했던 일을 몇 년 안에 할 수 있을 터이니. 함 한 번 해보자.
 
*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 9자 내외, 기둥 굵기: 1/10, 즉 9치(5자→5치, 9자→9치)
* 추녀: 서까래 크기의 1.5배
* 대보: 전면 처마도리에서 후면 처마도리까지 거리의 1/10
* 연골벽(당골): 서까래 간격. 4치(아무리 굵어도 4치), 가장 굵은 것 8치, 간격은 4치
* 보의 굵기: 기둥과 기둥 사이의 1/12~1/10(집의 길이)
 
 
3월 12일(화) 맑음
 
어제에 이어 오늘도 하루 종일 강의실에서 이론 강의가 진행됐다. 파릇파릇한 젊은 친구들도 오후가 되니 슬슬 풀어지는데. 50, 60 되신 분들은 어쩔까. 꾸벅꾸벅 조는 건 기본, 쉬는 시간도 5분 늘었다. 하기야 앉아서 하는 일이라면 자신 있었건만. 순간순간 멍하니 있을 때도 늘고, 좀이 쑤셔 몸을 뒤척뒤척, 목을 이리 돌리고 저리 돌리고. 안간힘을 써 봐도 4시부턴 시계만 보게 되는데.
 
아무리 생소한 용어들이 끊임없이 튀어나오고. 익숙하지 않은 척도법이 나오는 게. 귀에 잘 안 들어오겠기도 하겠지만. 눈이 오면서부터 그만 둔 운동부족에서 오는 체력 저하 때문인 듯. 마음도 피곤하고 몸도 피곤하지만 주말부턴, 아니 오늘 저녁부터라도 조금씩 몸을 움직여야겠단 생각이 든다. 터미널에서 학교까지 왕복 자전거야 겨우 20분 남짓이니 운동이라 말할 것도 아니니.        
 
* 전체 건축물 중 목조 건축은 1%, 목조 건축 중 한옥은 10%
* 20평 형 규모 한옥: 약 1만 2천 재(1재: 1치(3cm)×1치(3cm)×12자(3.6m))
* 원목의 크기 측정 / 길이 측정
크기: 말구(짧은 쪽)의 직경
길이: 원구 쪽의 짧은 쪽에서 말구 쪽의 짧은 쪽까지의 길이
* 물매: 지부의 낙수면이 이루어지는 비탈진 경사도(흘림)
싸다: 급한 경사도
뜨다: 완만한 경사도
 
 
3월 13일(수) 눈, 비
 
회장과 총무도 뽑고 4인 1조, 총 7조로 나누고 나니 자리가 잡히는 듯하다.
 
또래 끼리나 같은 숙소를 쓰는 사람들로 자연스레 모이기도 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하곤 여전히 서먹서먹했었는데.
 
임원진 선출하고 건의사항도 하나씩 정리하고. 필요한 물품 목록도 만들고 연락망도 파악하고. 학교 여기저기 청소할 순번도 정하고.
 
이틀간 앉은자리에서 강의만 듣다 이런저런 말들도 하고 또 의견들도 내놓고 하니.
 
어딘지 모르게 그새 친해진 것 듯.
 
다음 주부턴 본격적으로 실습에 들어갈 예정이니 서두를 필요는 없겠지만. 그래도 이만치라도 자리를 잡아야 순조롭게 일정을 소화할 수 있으니.
 
늦지 않게 딱 맞춰 일이 진행 것 같아 다행이다. 
 
* 장혀: 민도리집의 경우 장혀가 없는 경우도 있다. 비교적 작은 규모의 경우 하중이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규모가 큰 경우 보의 굵기나 크기, 간격 등이 넓고 크기 때문에 도리 만으로는 하중을 견디기 어려우므로 장혀를 넣는다. 장혀의 두께는 벽을 어느 정도의 두께로 할 것인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 처마곡이 있다 하더라도 빗방울은 기와골을 따라 흐르므로 가운데로 모이지 않는다.
*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대패는 몸 쪽으로 당겨서 사용하는 일본식임.
* 대패에서 중요한 것은 대패 몸체이며, 그 다음 덧날, 날이 잘 들고 안 들고는 그 다음.
* 본날과 덧날을 다 갈아 겹쳐 놓고 봤을 때 빛이 들어오면 대패 시 밥이 엉켜서 나오지 않는다.
* 창대패: 본날만 있는 대패로 매끈하지 않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3월 14일(목) 맑음

 
역시 이론과 실제는 많이 달랐다. 어제 오후부터 오늘 오전까지 꽤나 많은 시간을 대패에 대해 배웠는데 막상 오후 실습 시간이 되니. 전 선생님이 나서지 않으면 도무지 진도가 나가질 않는다. 물론 배운 만큼, 아니 그 보다 앞서가는 사람도 있지만. 또 주문받아 온 대패에 문제가 좀 있기도 했지만.
 
선생님 손을 거친 것과 그렇지 않은 것들이 확연히 다르니. 아무래도 이러다간 선생님이 무지 바빠질 듯하다. 더구나 사람이 많아서인지. 분명 하지 말라고 했는데도 먼저 시작하는 사람. 이렇게 하라고 했는데 저렇게 하는 사람. 정해진 수업 시간이 애매해지니 아무렇게 누군 쉬고 누군 하던 거 하고. 대패 하나가지고 이러니 원형톱이니 전기톱 가지고 하는 실습에 어쩔까 걱정도 된다.
 
아무래도 선생님 말로는 일주일을 꼬박 대패날만 갈아야 하는 곳도 있다던데. 그만큼은 아니라도 대패 하나만 가지고도 며칠은 꼬박 연습도 해야겠고, 더 배우고 혼도 나야겠지 싶은데. 가만 보니 학교장도 그렇고 선생님들도 그렇고. 너무 무른 게, 일을 이렇게 만드는 것 같기도 싶다. 물론 영 손재주 없는 사람들이 더디게 만드는 것도 있고.
 
* 대패질 요령:
① 원구 쪽을 앞쪽으로 말구 쪽을 뒤쪽으로 놓는다.
② 부재와 몸을 평행하게 한다.
③ 말구 쪽부터 시작해서 원구 쪽으로 해나간다.
 - 대패질을 처음 시작할 때 생기는 자국을 지워 마감하는데 용이함
④ 대패가 끝나는 부분은 옆구리에 오게 한다.
⑤ 몸을 굽힘과 동시에 팔을 뻗고 당기면서 몸을 같이 움직인다.
* 곡척: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는 곡척법을 쓰지 않기 때문에 일본에서 만든 것을 사용.
* 장척: 긴 부재의 치목 시 유용하게 사용됨.
* 이동스퀘어: 깎아낸 홈이 직각을 이루는 지 확인 하는 데 쓰이며 45° 각을 그리는데 유용하게 사용.
* 자유자: 자유롭게 각도를 잡을 수 있어 선자서까래 치목 시 거의 필수적으로 쓰임.


 

사용자 삽입 이미지

 

 

3월 15일(금) 맑음

 
오전 실습 시간엔 대나무를 쪼개 먹칼을 만들었다. 보기엔 별 거 아닌 것처럼 보여도. 대나무의 단단한 쪽을 가늘게 대패질을 해야 하는데다. 가늘게 쪼개는 데 쓰이는 도구 명칭이 정확히 뭔지 모르겠지만. 끌로 최대한 가늘게 쪼개기 위해 눈을 크게 부릅뜨고 신중히 작업을 해야 한다. 거기에 다시 끌로 둥글게 마무리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게 또 대패날 세우는 것 마냥 쉽질 않다. 결국 한 사람 당 2개의 먹칼 만들고 나니 먹줄 놓기는, 전 선생님 시범만 보고 실습은 진행하지 못했다.
 
오후엔 스케치업 강의가 진행됐다. 이미 동영상 강의를 들은 사람들은 능숙하게 강의를 따라가지만. 나이가 좀 들어 컴퓨터에 능숙하지 못하거나. 미처 강의를 듣지 못한 사람들은 좀체 진도가 나가질 못한다. 가뜩이나 익숙지 않은 프로그램을 쓰는 데다 잠깐이라도 한눈을 팔기만 해도. 어김없이 다음 일을 진행하지 못한다. 한두 번 그렇게 되다보면 결국. 손을 놓고 강의만 듣는 상태가 된다. 아니면 강의와 상관없이 동영상 강의를 듣거나. 아무래도 강의 속도가 너무 빠르지 않나 싶다. 강의를 하는 입장에선 최대한 쉽고 천천히 한다 해도. 처음 스케치업을 접한 사람으로선 쉽지 않으니. 물론 그렇다고 가장 늦게 이해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하잔 건 아니다. 하지만 최소 절반 이상은 이해하고 따라 할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어쩔 수 없다. 주말에 동영상 강의를 들으며 보충해야지.
 
* 먹칼 만들기
: 대패로 3mm가 되도록 깎아낸 후 끌로 처음 1mm, 이후 최대한 얇게(약0.5mm 내외) 쪼갠다. 마지막으로 끌을 이용해 쪼갠 부분을 둥글게 다듬는다. 
 
* 먹줄 놓기: 7치로 깎기
① 좁은 쪽은 중심에 맞춘다.
② 넓은 쪽은 나무가 들어가고 나온 상태를 잘 살펴보고 들어간 곳을 염두에 놓고 줄을 맞춘다.
③ 수평계를 이용해 수직선을 긋는다.
④ 나온 쪽을 먼저 3치 5푼을 잡고, 들어간 쪽도 3치 5푼을 잡는다.
⑤ 반대쪽은 나온 쪽을 조금 희생하더라도 들어간 쪽을 먼저 3치 5푼 잡다.
⑥ 먹줄을 놓을 때 나온 쪽 모자란 부분은 각대를 대고 3치 5푼을 맞춘다.
⑦ 양쪽 먹선을 이어 먹줄을 놓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3/17 16:49 2013/03/17 1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