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2차 세계대전 후 전쟁을 일으킨 두 나라, 즉 독일과 일본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두고 미국이 보여준 태도는 매우 상반된 것이었습니다. 독일은 뉴른베르크 재판 과정만 보더라도 A급 전범은 물론이고 나치에 단순 부역한 이들도 어떤 형태로든 그 대가를 치르게 했습니다. 반면 일본은 천황에 대해 기소조차 하지 않았던 토쿄 재판을 통해 B, C급을 포함 A급 전범 대부분을 풀어줍니다. 독일에 대한 전쟁 책임 추궁은 매우 혹독했던 반면 일본에게는 매우 관대했던 겁니다.
 
일이 이렇게 처리될 수밖에 없었던 데에는 당시 유럽과 아시아 사이에 존재했던 정치.사회적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보인 이 이중성은 이후 독일과 일본이 과거에 대한 서로 다른 두 길, <독일과 일본, 그 두 개의 전후>라는 부제가 달린 이 책 제목 ‘기억과 망각’과 같은 서로 다른 두 길을 가게 합니다. 
 
물론 두 재판 이후 독일과 일본 사회가 보여준 과거 극복을 위한 노력이 다르게 진행된 것에는 딱히 그런 이유만 있었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모든 책임을 미국에만 떠넘기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니까요. 예를 들어 68혁명으로 대변되는 격동의 시기에 보여준 독일 지식인들의 역할,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폭의 이미지가 증폭되고 내면화된 일본 국민들의 피해의식과 같은 것들은 다른 설명을 필요로 하지요. 요컨대 2차 대전 후 ‘전쟁 책임과 전후 책임’ 문제를 얘기할 땐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앞서 지적했듯, 전후 처리과정에서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준 미국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하는 건 중요한 일입니다. 특히나 일본으로부터 식민지 지배를 당했던 우리나라로써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많은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입니다.
 
가령 위안부 할머니에서부터 강제 동원된 노동자들에 대한 사죄와 배상문제를 두고 한일청구권협정을 앞세워 발뺌하는 일본에게 역사에 대한 책임의식과 윤리의식만을 지적하는 일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답변을 받아내기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일본, 일본인들에게는 과거 자신들이 저지른 죄에 대해 이미 그 대가를 치렀다는 생각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아니 자신들이 오히려 피해자임을 공공연히 주장하는 이들도 있으니 말입니다.
 
몇 년 전, 인천 앞바다를 바라보고 서 있는 맥아더 - 일본 천황의 전범 소추에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 731부대로 잘 알려진 세균전 부대에 대해서도 전범 면책 보증을 해주었던 인물입니다 - 동상을 두고 없애야 하느니, 놔둬야 하느니 하며 몸싸움까지 일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에도 그랬지만 이 문제가 해프닝 내지는 한바탕 소동으로 끝나고 만 것은, 여전히 우리 역시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 깊은 고민과 토론, 반성, 성찰을 하지 않았기 때문일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과연 누가 누구에게 과거에 잘못한 일을 따끔하게 지적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있을 겁니다. 또 미국이라면 역사적 사실마저 눈감고 두둔하는 일이 정말 옳은 일이고 잘하는 일인지도 알 수 있을 터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4/20 08:38 2012/04/20 0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