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거철입니다. 여기저기서 시끄럽게 홍보영상물이며 연설이 흘러나오고. 색색 옷을 입은 사람들은 노래에 맞춰 이리저리 몸을 흔들고 손가락을 치켜세우고 있으니요. 또 되도 않는 공약(空約)과 사탕발림 말잔치로 골목골목을 헤집고 다니는. 몇 달 전만해도 어림도 없다는 식으로 치부했던 무상급식이며 무상교육을 뻔뻔히 자기네도 하겠다고 나서고 있는. 선거만 끝나면 통 보이지도 않는, 어깨에 힘 ‘빡’ 들어가는 동네 유지들을 보고 있자니요.
 
여기 강원도로, 춘천으로 오고 나서 첫 선거이니. 관심이 꽤나 갑니다. 간간이 들려오는 진보정당 혹은 시민운동 활동들이 있어서였을까요. 은근히 진보신당이나 민주노동당 후보들이 있나 살펴보게 되더라구요. 그리구. 그래요. 부르주아 선거판에서 표 찍는 것이 민주주의의 전부인 양 선전해대는 보수 언론들. 정치꾼들. 그래서 이런 선거는 의미가 없다, 고만 하기엔. 삶이 너무 팍팍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때론 신자유주의자들과 손을 맞잡는 정치적 자살행위를 한다고 하더라도 관심을 둘 수밖에 없는 노릇이지요.     
 
2.
종종 생태학과 경제학은 서로 상극인 것처럼 얘기되곤 합니다. 하지만 프란츠 알트가 쓴 <생태적 경제기적>의 추천사를 쓴 헤르만 세어는 이렇게 말합니다.
 
인간 삶에 대한 원초적인 물음, 즉 ‘현재와 미래의 인간 존재를 인간답게 하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이해의 출발로 ‘생태학’은 지구상의 외적인 조건이 지속적이고 믿음직하게 작용하는 것, ‘경제학’은 이 조건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방식이라 한다면 경제와 생태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도 아니며 둘 사이의 화해가 중요한 것도 아니며 단지 나쁜 경제와 좋은 경제, 즉 생태적인 경제와 비생태적인 경제 사의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경제는 생태의 하위 부문이다. (<생태적 경제기적>, 프란츠 알트, 6-7쪽)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생태라는 것이 그저 자연을 보호하자, 자연을 그대로 두자, 는 것은 아닐 겁니다. 그것은 인간의 삶이, 자연과 조화로운 삶이 지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요. 그리고 이런 시각을 바탕으로 한 생태적인 노동, 태양에너지로의 전환, 생태적 교통정책, 생태농업을 통한 완전고용이라는 주장은. 생태를 경제보다 우선시하는. 생태를 경제의 상위 부문으로 위치지우는 일이구요. 또한 작금의 경제위기를, 대량실업의 사회를 극복하는 길은 생태적인 상상력을 활짝 열어젖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전지구적인 생태적 사고와 윤리를 기반으로 생태적인 경제기적을 이룩하자’는 알트의 주장은 금세 큰 울림을 얻습니다. 
 
3.
너도나도 경제 이야기입니다. 보수꼴통들도 경제를 살리자, 진보정당들도 경제를 살리자. 누가 베꼈는지 모를 정도로 기업 유치에, 일자리 창출, 대규모 국책 사업, 초고층 아파트 건설까지. 어찌 이리도 한결 같은지요. 한편으론 살기가 참 팍팍하다, 는 얘기일 수도 있겠지만. 대체 언제까지 이 죽일 놈의 ‘성장’, ‘개발’, ‘건설’이 화두가 되어야 하는 건지요. 하긴 강원도 도지사로 나섰다는 이가 여전히 “자연보호가 중요하지만, 쑥부쟁이 때문에, 전국에 수억 마리가 있는 도룡뇽 몇 마리 죽는다고” 설쳐대고 있으니 더 말해 무엇 하겠습니까.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말이지요.
 
원자력대신 태양광, 바람, 물, 바이오매스로부터 얻어지는 에너지로의 전환을 이야기하고, 자동차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 교통수단 말고 철도와 버스, 자전거에 더 많은 돈을 쓰자는, 토양과 물과, 공기와 동물, 식물과의 평화로운 생태농업에서 미래를 보자고 말하는 이들은. 오로지 돈을 벌기 위해 하는 노동이 아니라 영적인 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노동하자는 후보자들은. 정말 없는 것인지요.      
 
모처럼 바람 쐬러 갔다 왔더니 어느새 아파트 입구 담벼락에 한결 같은 얼굴 표정들이 끝 간 데 없이 늘어서 있더군요. 그리고 플래카드도 부쩍 늘었구요. 조용히 책이라도 볼라치면 언제 나타났는지 시끄러운 노랫소리가 흘러나오고.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저 아까운 플래카드들 다 걷어다가 내년 농사지을 때나 쓰면 딱 좋겠다는 생각만 드니. 이러다 이거 선거 때, 산에나 가게 되는 거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5/26 13:13 2010/05/26 1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