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쿠바에서 혁명이 성공한 후 미국은 라틴아메리카 전역으로 혁명이 확산되는 걸 막기 위해 안간힘을 씁니다. 각 나라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을 통해 압력을 행사하기도 하고, 노골적으로 군부 쿠데타를 조장하기도 했지요. 하지만 독점자본과 미국의 후원을 받는 군부가 저지르는 횡포에 맞선 라틴 민중들은 되레 혁명으로 한발, 한발 나아갔습니다. 까닥 잘못하면 목숨도 잃고 나라도 망가질 수 있었는데 말이지요. 이런 분위기로 보자면 칠레 역시 마찬가지 길을 걸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게바라로 상징되는 무장봉기가 아닌 선거로 이룬 것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말하자면 ‘선거 혁명’이라 할 수 있는 것이지요.
 
1970년에 치러진 대통령선거에서 살바도르 아옌데는 인민연합 후보로 나서 36.2%의 득표율을 기록합니다. 이어 의회에서 열린 결선투표에 대통령으로 선출됩니다.
 
“내빈여러분, 여러분은 우리나라의 가난한 모습을 직접 보셨습니다. 칠레 역사의 전환점을 맞아 인민이 운명을 자신의 손에 쥐고 사회주의를 향한 민주주의적 길을 걷기 시작했습니다. 봄을 맞이한 칠레는 온 셰계사람들과 형제가 되기를 원합니다.”
  
‘선거 혁명’을 이룬 칠레가 겪게 될 고난과 시련은 이미 선거 기간 내내 예고가 됐었습니다. 국유화와 토지재분배 같은 혁명적인 공약과 함께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연대를 천명한 아옌데가 눈엣가시 같았던 미국이 저지른 일들 때문이었지요. 급기야 대통령 취임식을 전후해서는 쿠데타가 공공연히 나돌았습니다. 한편으론 구리 가격 폭락 조장 등을 통한 경제봉쇄를 하면서 말입니다. 
 
마침내 1973년 9월 11일 아침. 칠레 국영라디오는 “산티아고에 비가 내린다.”는 방송을 반복해서 내보냅니다.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라고 하지요. 바로 군의 행동 개시 신호이자 대통령 궁을 향한 폭격을 예고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맞서 아옌데 대통령은 끝까지 자리를 사수하겠다는 최후 방송으로 화답합니다.
 
“동포 여러분, 쿠데타군이 라디와 방송을 끊어버릴 수도 었습니다. 제가 여러분 곁을 떠나야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도 전투기가 상공을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총탄 세례를 퍼부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하십시오. 우리가 여기에 있다는 사실을. 적어도 이 나라에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하는 이들이 있다는 점을 말입니다. 저도 그렇게 하겠습니다. 인민이 부여한 대로, 제 양심이 시키는 대로 인민의 대통령으로서 존엄함 제 직무를 끝까지 수행해나겠습니다.”
 
그리고 피델 카스트로가 혁명을 지키라며 준 자동소총을 들고 쿠데타군에 맞서다 사살당하고 맙니다. 선거로 사회주의 혁명을 이뤄낸, 역사상 전후 무후했던 칠레 사회주의 혁명 정부는 그렇게 막을 내립니다.         
 
<칠레, 또 다른 9.11>이란 부제를 달고 있는 <기억하라, 우리가 이곳에 있음을>은 살바도르 아옌데가 마지막 방송을 통해 칠레 민중이 다시 일어나 혁명을 완수할 것이라는 목소리와 쿠데타  직후 군에 체포돼 처형된 빅토르 하라의 노래, 베트남과 쿠바에서 쫓겨나 칠레를 갉아먹으려는 자들을 심판해야 한다고 외친 파블로 네루다의 시가 함께 실려 있습니다. 또 ‘트랙 2’로 불리는, 미국이 주도면밀하게 준비한 군사쿠데타가 어떻게 진행됐는지도 알 수 있으며, 혁명 동지로 무한한 존경과 경의를 표했던 피델 카스트로와 혁명과 아버지를 잃은 슬픔에 자살로 생을 마감한 베아트리스 아옌데의 연설도 함께 들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몰랐던 다른 ‘9.11’이 여기에 모두 담겨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2001년 미국에서 벌어진 공중 테러뿐만 아니라, 1973년 칠레 대통령 궁에 가해졌던 폭격도 함께 기억하는 건 어떨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11/05 13:14 2012/11/05 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