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5일(월) 눈
 
4월이 코앞인데 함박눈이다. 바람도 불고 기온도 떨어졌으니 도로 겨울인 듯싶다. 덕분에 실습실로 쓰고 있는 하우스에 환기를 못해 먼지를 제대로 먹고 있다. 오늘부턴 본격적으로 서까래를 깎아내는데 도리가 없다. 자주 쉬면서 들락날락 하는 수밖에.
 
다행히 원래 4인 1조로 실습이 진행됐었는데 오늘은 2개조씩 더 나누어 오전, 오후 작업을 진행했다. 덕분에 더 많이 연습이 된 것 같으니 이건 덤보다 크다. 다만 일을 하다 보니 이상스레 경쟁의식이 생기는 건지 서까래 깎는 속도가 너무 빠르다. 어떤 조는 오전에만 2개, 오후에 3, 4개씩 깎아냈으니.
 
잘 깎은 건지 어떤 건지 통 모르는 수준이니, 잘하고 있는 건지 어떤 건지 알 수도 없고. 나중에 짜 맞추고 나갈 때 아쉬워해도 지금은 어찌할 도리도 없고. 하는 수 없다. 남이야 어떻게 하던 배운 데로, 차분히, 조급해하지 말고, 늘 생각하며 해나가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서까래 치목 요령:

- 평고대가 올라갈 자리는 평평하게 다듬는다.

- 4치 굵기 서까래의 경우 4자 정도 되는 부분은 4치 5푼이 되도록 한다(4치와 똑같이 깎다 보면 결국 서까래가 작아지게 되므로).

- 서까래의 등과 배는 조금 굵게 깎는다 해도 좌와 우는 평평하게 한다.

- 임의의 십반을 긋고 1/4씩 깎아나간다(처음 1/4은 배, 다음 1/4은 좌, 다음은 등, 마지막 우이므로 처음과 세 번째는 조금 굵게 한다는 느낌으로 깎고 두 번째와 마지막은 평평하게 깎는다.).     

 
3월 26일(화) 맑음
 
어제에 이어 오늘도 서까래 깎기다. 틈틈이 체인톱을 이용해서 원목을 다양하게 깎는 요령을 배우기는 해도 주로 하는 일은 서까래 깎기다. 하지만 홈대패도 그렇고 전동대패도 무게가 꽤 무거운데다 손대패로 마무리까지 하고 나면 손목이 시큰한 게.
 
학교장은 하루에 15개도 깎아낸다고 하던데 그건 먼 훗날에나 가능할 거고. 지금으로선 하루 3개도 벅차다. 그래도 다들 이틀 깎아보니 요령도 생긴데다. 어차피 두 사람 이상이 동시에 하기도 힘드니. 원목을 깎고 다듬으면서 생기는 각재니 판재를 이용해 뭔가를 만드는 것 같은데.
 
마지막 사용한 홈대패와 전동대패 날을 갈고 끼우는데 큰 실수를 한 걸 보면. 역시나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되겠단 생각과 배운 데로 차분히 해야겠단 마음이 다시 다져진다.
 
* 동연(단연)은 장연과 달리 위, 아래를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
 
3월 27일(수) 바람 셈, 맑음
 
원래 오후 반나절 체육대회 일정이었는데 오전부터 어긋났다. 그렇다고 수업을 아예 안 한 건 아니다. 다만 싱숭생숭한 마음에 실습이 잘 이뤄지지 못했다. 레벨기라는 다소 생소하지만, 기둥을 세우는 데 꼭 필요한 공구인데도 어영부영 원리만 파악하고 넘어간 것. 한 사람 한 사람 직접 손으로 수평도 맞춰보고 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니. 친목을 다지자고 한 족구대회가 수업을 방해한 셈. 게다가 여럿 병원까지 가는 무리들을 했으니.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우는 건가, 집 짓는 거 배우러 왔다 몸만 다치는 건가. 당장 내일 수업이 걱정이다. 서까래 깎을 나무가 두 차나 들어왔으니.  
 
* 9자 기둥일 경우 가공석 주초의 경우에는 보통 9자보타 1치 정도 크게 하고, 자연석 주초의 경우에는 1치 반에서 2치 정도 크게 한다.
 
* 레벨기 사용법
① 레벨기가 최대한 수평이 되도록 삼각대(다리)를 고정한다.
② 레벨기 레버를 이용해 물수평을 잡는다(물방울이 최대한 가운데로 오게 하되 빨간 원 안에 있으면 된다. 이때 레벨기를 좌, 우 또는 360°를 돌리면서 어느 방향에서도 수평이 잡혔는지를 확인한다.).
③ 초점 레버를 이용해 초점을 맞춘다.  
 
3월 28일(목) 맑음
 
우려했던 바가 현실이 됐다. 운동회 전, 운동회 중 다친 사람도 다친 사람이지만. 뒷풀이 때 마신 술들로 출석률이 저조하다. 또 나온 사람들 가운데도 미처 술이 덜 깨 작업을 하지 못하는 사람도 꽤 된다. 덕분에 서까래 깎는 연습을 더 할 수 있긴 했지만, 이건 좀 아닌 듯싶다. 점심 먹고 나니 그래도 좀 나아보이긴 해도 여전히 활기가 없으니 말이다.
 
* 서까래 나이매김: 서까래가 휘어진 정도를 표시해나가면서 치목하는 것으로 일정 간격 눈금이 매겨진 좌판을 이용해 앙곡에 따라 눈금을 맞춰 서까래를 치목함.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주부터 치목한 서까래를 차곡차곡 쌓아놨다>

 

3월 29일(금) 맑음
 
어제는 체육대회 후유증 탓이겠지만, 오늘은 금요일어서인가? 오전부터 사람들이 많이 보이질 않는다. 한 조당 거의 2명 꼴? 덕분에 오늘도 어제처럼 서까래 치목을 더 할 수 있어 좋긴 하지만. 설마 벌써 서까래 깎는 것에 치졌을까? 대체 무슨 일들이 있을까? 이래저래 걱정된다.
 
오후 스케치업 시간엔 다행히 잘 하는 사람 도움으로 지난 주 보단 많이 따라갈 수 있었다. 자칫 필요하면 나중에 동영상 보면서 해야지 하며 포기할 뻔 했는데. 교육하기 전 샘이 준 스케치업 책도 그렇고, 옆 자리에 앉아 차근차근 가르쳐 준 같은 조 막내도 그렇고. 스케치업도 지금보단 더 신경을 써야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3/31 11:02 2013/03/31 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