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후마니타스가 펴낸 이소선.여든의 기억 '지겹도록 고마운 사람들아'>

 

1.

같이 살기 시작한 이후 올 초까지만 해도 우리는 텔레비전을 보지 않았다. 심지어 작년에 춘천으로 이사를 하면서는 아예 텔레비전을 베란다 한쪽 구석 광에 처넣기까지 했다. 그러다 우연치 않게 텔레비전을 잠시 꺼내놓을 기회가 있었는데 어찌된 일인지 처음엔 작은 방 한쪽 구석에 놓여있던 텔레비전이 버젓이 마루 한복판을 차지하고 있는 게 아닌가. 뭐. 그렇다고 텔레비전을 하루 종일 켜놓고 있다던가, 얼토당토 않는 이야기를 늘어놓는 일일연속극에 빠져 있는 건 아니다. 그저 뉴스는 봐야지, 내일 날씨는 어떻지, 라는 핑계 아닌 핑계를 대며 다시 광으로 들여놓지 않고 있을 뿐이다.

 

헌데 이렇게 텔레비전이 눈에 띄는 곳에 나와 있으니 하루 종일 집에 있는 날이면 자연스레 리모컨에 손이 가게 된다. 뭐 재미난 거 없나, 하고 말이다. 하지만 기대는 잠시뿐 케이블까지 합하면 족히 서른 개가 넘는 채널을 위로 올리면서 눌러보고 아래로 내리면서 눌러봐도 어째 그리 ‘지겹도록’ 재미가 없을까.

 

2.

며칠 전 동네 아저씨께 밭을 갈아 달라 부탁을 했기에 엊그제는 하루 종일 밭 정리를 해야 했다. 작년에 농사를 지었던 분이 무슨 급한 일이 있으셨던지 고춧대며 옥수숫대를 뽑아내지도 않고 그대로 두셨고, 심지어는 관리기까지 밭 한가운데 놓고 가셨기 때문이다. 물론 지주대도 그대로이고 멀칭용 비닐도 여기저기 널려져 있다. 해서 아침부터 일찍 밭에 나가 밭 정리를 하는데 고춧대며, 옥수숫대 치우는 건 일도 아니다. 밭 여기저기 씌어져 있는 검정색 비닐, 참으로 난감하다.

 

처음엔 비닐 한쪽을 잡고 죽 잡아당기니 쉬이 치워지는 것 같았는데 그런 건 아주 운이 좋은 거였다. 조금 당기면 당긴 만큼만 손에 잡히고 그 나머지는 여전히 흙 속에 파묻혀 있는 게 아닌가. 게다가 바람이라도 불라치면 여기저기 날아다니고 겨우겨우 다 걷어 놓은 비닐을 한쪽으로 옮기려니 발에 걸려 넘어지고, 아주 난리도 아니다. 그렇게 하루 종일 땅 속에 들어가면 썩는데 100년도 넘게 걸린다는 비닐을 ‘지겹도록’ 치웠다.

 

3.

‘전태일’이라는 노동자의 어머니인 이소선은 지금껏 그 한 노동자의 어머니만이 아닌 이 땅 모든 ‘노동자의 어머니’로의 삶을 살아왔다. 이소선이 그렇게 서슬 퍼런 독재정권 시절에도, 남들은 민주화가 됐다던 지난 정권에서도 ‘노동자의 어머니’로 살 수 있었던 건 아마도 죽음을 앞에 두고서도 자신에게만은 다짐을 받아야겠다고 울부짖었던 ‘전태일’이 항상 늘 곁에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인지 이소선은 ‘민주노총’이 합법화되고 모든 노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노동자대회를 열었던 그 때에도 ‘전태일’이와 같은 생각을 같은 목소리로 높일 수 있다.

 

“입으로만 노동자는 하나라고 외치면 뭐하냐, 가장 밑바닥에서 소외받고 고통당하는 비정규직을 나 몰라라 해서 어찌 민주노총이라 할 수 있냐, 지금 정규직이라고 천년만년 정규직 할 것 같냐, 정규직이 비정규직과 손을 잡고 싸우지 않으면 얼마 못가 정규직도 비정규직 신세가 되어 발목에 쇠사슬 차고 노예처럼 일하게 된다” -<지겹도록 고마운 사람들아> p. 70

 

그러나 이소선은 이야기 한다. 자신이 가장 사랑했던, 사랑하는 ‘전태일’이 죽고 난 뒤엔 그저 “미쳐서 지금까지 이러고 살지만 남들이 어떻게 나처럼 평생 미쳐서 살겠냐”고. 그랬다. 어머니 이소선은 사랑하는 ‘태일’이가 죽음을 앞에 두고서도 자신에게만은 끝내 약속을, 다짐을 받아야겠다며 울부짖은 이후로는 ‘미쳐서’ 살아왔다. 아니 ‘미쳐서’ 살 수 밖에 없었다. 그가 얼마나 사랑했던 ‘태일’이었는데. 하지만 이소선에게는 어느새 하나 둘 늘어나는 자식들이 ‘태일’이의 빈자리를 메워주었다.

 

“나 걔네들 없었으면 지금 살아있지도 못했어. 태일이가 죽고 병원에 찾아와서 이제 지네들이 내 아들이라고 그라는 거야. 정말 태일이 친구들을 내 아들이라고 생각했어. 얼마나 나한테 잘해 줬다고. 배곯아 가며 두들겨 맞아 가며 청계를 만들고 지켜 오지 않았으면 내가 태일이하고 한 약속을 어떻게 지킬 수도 없었지. 난 그냥 미쳐서 죽었을 거야. 어머니니라고 얼마나 챙겨 주는지 몰라. 순덕이 결혼할 때도, 동준이랑 동명이 대학 들어갈 때도 개들이 태일이 노릇 다 해줬지” -<지겹도록 고마운 사람들아> pp. 273-274

 

그리고 이소선은 또 이렇게 이야기 한다. 홍성우 변호사, 조영래 변호사, 남산에 잡혀갔을 때 동상이 심한 자기의 발을 보고 약을 구해와 발에 발라주었던 이름 모를 친구, 이석규 때 수배당하면서 결핵에 걸려 고생했는데 자기 집에 숨겨 두고 주사도 나주고 했던 간호사, 그때 나와서 택시를 탔는데 나를 알아보고 돈을 쥐어주던 젊은 부부, 참 많이 아껴주었던 문익환 목사님, 자식 잃고 남편 잃고 운동이 뭔지도 모르면서 함께 싸워온 유가협 어머니, 아버지들, 이 사람들이 ‘전태일’과의 약속을 지키게 해주었다고.

 

4.

사람들은 흔히 하기 싫거나 보고 싶지 않은 걸 두고 ‘지겹다’는 표현을 쓴다. “텔레비전에 MB 좀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어. 여기 틀어도 나오고, 저기 틀어도 나오고, 아주 지겹다. 지겨워.”, “하루 웬 종일 비닐과 씨름했더니 이젠 비닐만 봐도 구토나 나려고 하네. 저리 치워라 비닐. 아주 지겹다.” 하지만 이 ‘지겹다’는 말을 평생을 두고 고마운 사람들에게 쓸 때에도 같은 어감일까? “그 사람들, 내겐 아주 지겹도록 고마운 사람들이야.”

 

전태일기념사업회에 갔다 별 생각 없이 인사만 드리고 나오려는데 문 앞까지 따라 나선 이소선이 “이제 일 년이나 살겠어. 이게 마지막이지”라는 말에 만 이년을 함께 하며 어머니가 간직한 여든의 기억을 꼼꼼히 적어낸 <지겹도록 고마운 사람들아>는 ‘지겹다’는 말이 이렇게 아름답게도 쓰일 수 있다는 걸 새삼 깨닫게 해준다. 또 때로는 이소선 그 자신의 목소리로 또 때로는 작가의 목소리로 꾸미지도, 덧붙이지도 않으며 담담하게 써내려간 이 ‘여든의 기억’은 매일 매일의 힘든 싸움에 지쳐가는 이들에게 저마다의 소중한 삶과 사람과 그리고 관계를 다시금 생각하게 해줄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5/05 22:34 2009/05/05 2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