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하를 ‘나의 영웅’이었다고 말 할 수 있는 사람이 어찌 김동춘 샘 한 분뿐이겠습니까. 그이 말마따나 그이 시대 청춘들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많은 이들이 그의 글로부터 ‘박정희 체제를 비웃을 수’있었고, ‘민주화 투쟁 의지를 불태울 수’있었기 때문이었지요.

 
그런 그가 아버지 박정희를 등에 업은 박근혜를 지지하고 나섰으니 세상 일, 참 알다가도 모를 일입니다. 하지만 1991년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워라’며 호통 치던 김지하를 떠올리면 세상 일, 결국 다 제 갈 길대로 가는 것이구나 싶습니다.
 
그런데도 걱정이 되는 건. 기실 조선일보에 글을 쓸 때부터 ‘변절’이니 ‘전향’이니 하는 말들이 돌기는 했어도, 이번만큼이나 싶겠거니 했지만. 백낙청 선생에겐 열 가지나 되는 이유를 대며 ‘깡통 빨갱이’이라 비난하고, 리영희 선생에겐 ‘깡통 저널리스트’라는 막말까지 하는 걸 보니.
 
이러다 김동춘 샘은 ‘그를 따뜻하게 품어주지 못한 운동 세력의 좁은 품’이라고 안타까워했건만, 되레 더 험한 말이 나오지나 않을까 싶어서 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해야 할 말은 좀 하는 게 낫겠다 싶은데. 
 
따지고 보면 딱 김지하만이 아니라도 김문수니, 황석영이니, 김정환까지도. 예전 자신 모습을 부정하는, 아니 삶을 지탱해주고 사회를 진보(進步)시켜줬던 사상까지 다 내팽개치고. 싸움의 대상이었던 자들을 이제는 치켜세우는 자들이 심심치 않게 나타나니. 육당(六堂)과 춘원(春園)이 백년 후에 다시 등장한 것 마냥. 일견 개인들의 문제를 넘어 우리 사회가 가진 병리현상이 아닌가도 싶습니다.  
 
게다가 백낙청 선생을 욕하며 ‘못난 쑥부쟁이’에 비유를 하는 모습을 보면서는. 본인이야 무슨 구구절절한 사연까지도 잘 알고 있으니 이런 비유를 들었겠지만. 실은 처음 들어보는 절들은 눈에도 들어오질 않았고. 다만 빌어먹을 삽질, 사(死)대강 사업을 하면서 밀어버린 ‘단양 쑥부쟁이’가 떠올랐던 건.
 
‘생명사상’이니 ‘후천개벽사상’이니 하는 게 결국 ‘자본론’과 ‘경제학․철학 본고’, ‘도이치 이데올로기’를 읽지 않은 사람이라면 이해할 수도 없는. ‘지하실에 가본 적이 한 번이라도’ 없는 이들에겐 넘을 수도 없는 심오한 사상이었구나, 무릎이 딱 쳐질 뿐이니.
 
‘나의 여웅’이란 이미 십 수 년 전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아니 이제와 삿대질 하며 저긴 내가 살던 곳이 아니다 몸부림치는 원로(遠老)가 아닌가 싶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12/04 19:59 2012/12/04 1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