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날, ‘유두류록(遊頭流錄)’길?, ‘빨치산루트’길?(2016년 5월 5일)
 
여전히 반대방향으로 걷느라 들머리가 된 동강마을에서 늦은 점심을 합니다. 당체 오가는 사투리가 암호마냥 알아들을 수 없는 긴 했지만요. 그래도 재미난 얘기도 듣고 반대쪽 길 소식도 좀 듣고요. 오늘처럼 햇볕이 따가운 날이 아니라도 잠시 쉬어가기 딱 좋은 팽나무를 못보고 시작하긴 했지만요. 오르막길 내내 선선히 부는 바람이 발걸음을 가볍게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둘레길 금계-동강 구간은 김종직(金宗直)이 쓴 '유두류록'을 따라 걷는 길로 알려졌습니다. 그가 함양군수로 있을 때 만든 <관영차밭조성터>가 가까운 동호마을에 있는 것부터 그렇구요. 동강마을 팽나무, 운서마을로 넘어가는 구시락재, 송대마을 함양독바위들은 고증을 거쳐 찾아낸 곳들이라고 하니요. 그도 그럴만 합니다.  
 
앞에 그냥 지나쳤던 팽나무도 그렇습니다. 수령이 600년이나 됐다는데요, 계온(季溫)이 관아를 출발해 이곳을 거쳐 지리산에 올랐다는 얘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헌데 무엇이 그리 급했던지 그걸 놓친 거였지요. 필시 해가 지기 전에 금계를 거쳐 창원마을까지 가야한다는 부담 때문이었겠지요.   
 
사실 동강에는 지난번에도 지나친 재미난 얘기가 하나 더 있는데요. 바로 마을 입구에 있는, 엄천사 스님들이 '중이 바랑을 메고 가는 형국'이라며 깨려고 했다고도 하는, 짚신을 삼는데 쓰는 나무틀처럼 생겼다는 신틀바위가 그겁니다. 나중에야 여간해선 눈에 들어오지 않아 그냥 지나치기 일쑤라는 걸 알긴 했지만 말입니다.
 
구시락재까지는 아무리 오르막길이라 해도 뒤를 돌아보면 엄천강이 시원하게 보여 걸을만하지만요. 운서마을 쉼터를 지날 때까진 오르막과 내리막이 반복되면서 힘을 뺍니다. 그것도 경사가 급합니다. 결국 자주 쉬어 가야겠는데, 어찌된 게 아무렇게나 앉아 쉬었다 출발하면 바로 앞에 정자(亭子)가, 의자가 있습니다. 조금 약이 오르지만 하는 수 없지요.
 
다음날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는 하지만, 송문교까지 가는 길에선 둘레길꾼들을 가장 많이 만나지 않았나 싶습니다. 짝지어 오거나 단체로 때론 혼자서. 어색하지만 인사말도 건네 보고요, 커피까지 타 먹게 해 놓은 쉼터에서 급한 볼일도 보고요, 용을 닮아 와룡대라 불리는 소나무 바위도 너머보고요. 심심할 새가 없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데도 세동마을서 모전마을까진 안내판이 친절하지 않습니다. 그냥 아스팔트길을 따라 가면 되긴 하지만요. 난데없이 나타난 [지리산 둘레길 전설 탐방로]라는 표지가 헛갈리게 합니다. 뭐 뜨끈한 길에서 내려다보자면요. 농로로 이어지기도 하고 강가에 바짝 붙어 있기도 하니요. 그쪽이 훨씬 걷는 재미가 많아 보이긴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동강-금계 구간은 ‘빨치산루트’라고도 불립니다. 전쟁이 끝나고도 10년이나 더 산속에 있었던 이은조가 죽었다는 선녀골과 그 주변 비트들 때문입니다. 또 가까운 벽송사 뒤편 능선을 따라서도 흔적이 여기저기 있습니다. 물론 산청 쪽에도 마지막 빨치산 정순덕이 사로잡혔던 고향 집이 있으며, 하동 쪽도 꽤 많은 자취들이 남아있습니다.*
 
그러니 시간만 된다면야 그 길들을 되짚어 가는 것도 좋을 듯싶습니다만. 송대마을까지 올라야 제대로 된 안내판을 만나게 되니까요. 갈림길인 모전마을에선 알 수가 없다는 핑계, 서둘러 걷지 않으면 숙소로 정한 창원마을까지 어렵겠다는 판단. 벽송사로 이어지는 산길 대신 둘러가는 길로 접어드니 못내 아쉽기만 합니다.     
 
그늘 하나 없던 딱딱한 길을 버리고 숲길로 들어서기 전 잠시 쉬어갑니다. 하지만 철모르게 일찍 나온 모기 때들이 어찌나 극성이던지요. 곧 만나게 될 급한 오르막과 너덜겅을 앞두고, 아홉 마리 용과 마적도사 얘기는 그렇다해도. 별 소용도 없는 댐 짓겠다고 아우성치는 바람에 몸살을 앓고 있는 용유담도 제대로 못봅니다. 첫 여행 때도 그랬는데 지리산 모기, 꽤나 성가십니다.
 
매번 그랬지만 안내 책자나 둘레길 홈페이지에 나온 거리에 따른 시간은 별 도움이 안 된다는 걸 또 겪습니다. 4시간이면 충분할 거라던데, 모전마을에서부터 시작된 숲길을 지나 의중마을에 내려서니 벌써 6시 입니다. 급한 오르막길 이후 너덜겅과 오르막, 내리막이 이어져 생각보다 오래 걸었다고 해도, 4시간 반이나 지났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둘레길 함양센터 앞에서 미리 예약한 민박집에 연락하니 40분이면 올라올 수 있을 거라 합니다. 후아, 40분이라. 줄기차게 올라야 하는 산길임을 감안하면 쉬고 있을 때가 아닌 것 같습니다. 헌데 무슨 깡인지 평상에 올라 대(大)자로 눕습니다. 아마 오르막길이 험하면 얼마나 험할까 얕잡아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정말 숨이 턱 밑까지 차오르는 산길을 한 번 제대로 쉬지 않고 내리 걸어 숲길에서 나오니 딱 40분이 걸렸습니다. 다행히 어둑어둑해지기 전에 도착했지만요. 또 민박집 주인장 걷는 모양새를 보고나서야 왜 40분이라고 했는지 알게 됐지만요. 역시 지리산 둘레길은 순례길이란 생각에 고개가 절래절래. 밥이고 뭐고 또 팔다리 쫙 펴고 눕습니다.       
 
 
 
* 인민군 야전병원으로도 사용됐던 벽송사 뒷산의 선녀굴로 피한 마지막 빨치산은 이은조와 정순덕 외에 이홍이가 있었습니다. 휴전이 되고도 근 10년 가까이 은신했던 이들 가운데 1962년 이은조가 가장 먼저 사살됐습니다. 살아남은 정순덕과 이홍이는 고향인 산청으로 피신하게 되구요. 하지만 다음해 이홍이 역시 경찰에 피살됩니다. 정순덕만이 총에 맞은 채 붙잡히게 된 것이지요. 체포된 정순덕은 무기징역형을 선고받고 20년 넘게 옥살이 하다 1985년에야 전향서를 쓰고 출옥합니다. 하지만 이 전향서 때문에 미전향장기수들이 북으로 돌아갈 수 있었음에도 거부당하게 됩니다. 마지막 빨치산 정순덕은 2004년 인천의 한 병원에서 파란만장했던 삶을 마감하게 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7/07/26 13:38 2017/07/26 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