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배들과 했던 첫 술자리가 기억납니다. 정각원(正覺院)인가요. 그 아래 잔디밭이었습니다. 입학식이 끝난 지 두 시간도 되지 않은, 벌건 대낮에 한두 명을 빼곤 모두 모였는데. 딱 보기에도 꽤나 나이 살 먹어 보이는 선배들이 신입생들을 둥글게 앉혔더랬습니다. 그리고는 다섯, 아니 두서너 명 사이로 소주 한 병과 새우깡 한 봉지를 놓았구요. 대체 뭘 하려는 거지, 라는 생각이 채 들기도 전, 선배들은 술병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술잔은 없었고, 다들 처음이었겠지만 일명 병나발이라는 걸 봤더랬습니다. 어떤 선배는 반 넘게 마시기도 했고 또 어떤 선배는 그냥 마시는 시늉만 하기도 했지만. 눈이 휘둥그레, 입이 쩍. 가관이 아니었습니다. 어쩌러고들 저러지, 그때였나요. 개 중 제일 늙수그레해 보이는 선배가 일어나 딱 한마디를 하더군요. “지금부터 술병을 옆으로 돌리는데 다음 선배가 술을 마시게 된다면, 오늘 집에들 못 간다.” 허걱.
 
2. 
기필코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고야 말겠다는 일념은 어디서 나오는 건가요. 부디 2018년에도 올 겨울처럼 눈이 많이 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건만, 그것조차 사치스런 고민이란 걸 올림픽에 눈먼 사람들만 외면하고 있나봅니다. 게다가 구제역으로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 농민들은 생각지도 않고 연신 축제분위기를 띄우는 모습에. 또 뭔 일이 터져도 그저 대책이라곤 외국에서 사 가져오면 되는 것 마냥, 그러면서도 죽어도 잘못은 해외여행 갔다 온 사람만 따지고 드는 데. 더 가관인 건 파렴치한 범죄인이, 안하무인 재벌총수가 또 얼굴을 내밀고 있는 거 아닙니까. 이러니 때때로, 아니 번번이 그 일념이란 게 도대체 뭐 길래 이리도 혼란스럽기 만드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
지진 이후에 터져 나온 핵발전소 사고 때문에 정작 지진으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을 볼 수가 없습니다. 1만 명이 넘었다고도 하고 1만 5천명이 넘었다고도 하는데도 말입니다. 대신 연일 냉각수가 어떻느니, 요오드가 어떻느니, 방사능 피폭량이 얼마냐느니. 이거 가만 보아하니 핵 공포가 지진과 쓰나미를 넘어선 것 같습니다. 하긴 체르노빌을 기억하자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이 사태가 일, 이십년 안에 해결되지 않을 게 뻔한 일이니 여간 우려스러운 일이 아니지요. 하지만 우리 정부는 단군신화에나 나오는 풍백(風伯)을 여전히 믿고 있나봅니다. 또 그렇게 애타게 찾고 목메어 매달리는 미국도 자국민 철수를 얘기하는데 일기예보로 풍향발표만 열심히 하고 있으니요. 그리고 대체 뭔 이득을 취했는지는 조사해보면 알겠지만. 비록 극미량라고 해도 이젠 유럽에서도 방사능 물질이 검출 됐다고 하는 판에 ‘허위사실’ 유포자를 처벌할 방법이나 찾고 있으니.  
 
4. 
‘나는 가수다’라는 프로그램이 인기입니다. 모처럼 일요일 저녁시간에 노래 꽤나 한다는 사람들이 나와 노래를 한다는 것, 그것도 제 노래가 아닌 노래를 부른다는 것만 봐도 눈길을 끌만한데. ‘경쟁’과 ‘탈락’이라는, 방송에서조차 유행인 돼 버린 서바이벌을 넣었다는 데서 이미 시작하기 전부터 말들이 많았지만. 뭐 누군 ‘공정’한 ‘경쟁’을 통해 ‘스타’가 될 수 있다며 이런 방식을 옹호하기도 하지만. 노래를 꼭 그런 ‘경쟁’에서 살아남은 사람들만 부르라는 법도 없는 거고. 누구나 부르고 싶을 때 맘껏 부르면 그만 인 것이니. 뭐, 굳이 더 말할 필요도 없겠지만. 아무튼, 이제 겨우 시작했는데도 여기저기 설왕설래 말들이 많습니다. 김건모라는 가수도 가수지만. 그리고 아무리 시청률에 사로잡힌 사람들이라 해도 그렇지요. 만든 사람들부터 시작해서 출연한 다른 가수들에 코메디언들까지 덩달아 한 목소리로. 그래두요, 그렇게 딴 소리들을 하는 게 그렇게도 큰 문제인가요.  
 
5.
정치판에 기웃거리는 학자들을 일컬어 ‘폴리페서’라고들 하지요. 정치라는 게 원래 정치인들만이 하는 게 아니니 굳이 ‘폴리페서’라 이름 붙일 필요도 없겠지만. 이상하게 이 정권 들어서는 ‘폴리페서’에 못지않게 ‘폴리테이너’라는 말도 심심치 않게 들립니다. 하지만 ‘폴리페서’와 ‘폴리테이너’는 참 다른 뉘앙스를 풍기고 있지 않습니까.  
  
하다못해 기자라는 직함이라도 가져야 할 것입니다. 애널리스트라는 작자들이 나와 떠들어대는 말들은 버젓이 전파를 타고 사람들을 현혹하지만. ‘허위사실’과 ‘고급정보’라는 기준이란 게 고작 이따위로 가늠되는 것이라면.
 
오죽하면 ‘삼성공화국’이란 말까지 나올까요. 하기야 총수가 두 번씩이나 사면을 받을 정도니 이만하면 법위에 있다는 게 맞는 말일 겝니다. 범법행위를 한다 해도 알아서 죗값을 다 털어주니 안하무인은 기본이요, 파렴치는 서비스지요.
 
정각원아래서 시작된 그런 류의 폭력은 술자리에서만 있었던 게 아니었습니다. 지금 같았으면 어림도 없는 일이었을까, 여전히 의문으로 남지만. 커피 심부름에 대리출석, 도서관 책 반납, 개강파티니 MT 참석 강요까지. 서울대에서 내쳐진 모 교수는 이런 말을 했다지요. “이런 일이 있을 때 ‘못 버티겠으면 나가라’고 했지만 아무도 나가지 않아 교육방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6.
자격이니 학위라는 것 따위가 진실을 가름하는 시대입니다. 또 패배한 자들이 하면 ‘불륜’이 되지만 승리한 자들이 하면 ‘로맨스’가 되는 시대이기도 하구요. 하지만 무엇보다 돈 많은 게 장땡인 사회입니다. 이도저도 아니면 하다못해 나잇살이라도 많거나 학번이라도 빨라야 살아남는 사회이지요. 자격, 학위, 승리한 자, 나잇살, 학번..... 20년도 더 된 선배들의 모습 속에서 또 이건희 회장과 김영희 PD, 가수 김건모의 얼굴에서 새삼 들여다보게 되는 ‘권력’의 다양한 모습들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3/23 15:17 2011/03/23 1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