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936년, 스페인에서는 사회당과 공산당을 포함한 좌파 정당들과 무정부주의자들, 자유주의 정당과 자치주의자들이 연합한 <인민전선>이 선거에서 승리를 합니다. 흔히 알고 있는 칠레 아옌데 사회주의 정부보다 앞선 것이지요. 그리고 또 잘 알고 있듯이 <인민전선> 또한 낡은 사회관계를 과감히 변화시켜 나갔습니다. 토지개혁을 단행했으며 지배세력과 함께 하고 있었던 가톨릭에 맞섰던 것입니다. 하지만 너무나도 또 또렷이 기억하고 있듯, <인민전선> 역시 프랑코를 중심으로 한 파시스트 세력들이 일으킨 반동에 맞닥뜨리게 됩니다.
 
내전은 곧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 독일이 군대와 무기를 지원함으로써 2차 세계대전의 전초전 적인 성격을 띠게 됩니다. 하지만 파시즘에 맞선 이들은 같은 이름을 가졌던 프랑스의 <인민전선> 정부도, 되레 프랑코에게 호감을 표하고 있었던 영국도 아니었습니다. 소련은 무기를 팔아먹는 데만 급급했을 뿐만 아니라, 내전을 통해 자신들의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만 있을 뿐이었지요.
 
스페인 동부의 대도시에서 “기관총 진지를 택시들이 시속 백 킬로미터로 달려가 부수어(「카탈로니아 찬가」, p.70)” 버리며 파시스트들을 물리친 노동자, 농민들은 “노동자 순찰대, 노동조합에 기반을 둔 노동자 의용군 등을 통해 거칠게나마 노동자 정부를 세워보려는 시도(「카탈로니아 찬가」, p.70)”를 합니다. 봉기에 우왕좌왕하던 <인민전선>을 대신해 혁명을 더욱 앞으로 밀고 나가기 시작한 것입니다. 하지만 스페인 내전은 이로 인해 더 복잡한 양상을 때게 됩니다. 조지 오웰이 「카탈로니아 찬가」를 “솔직히 정치적인 소설(「동물농장」,, <나는 왜 쓰는가>, 민음사, 2005, p.142)”이라고 한 이유가 되는 제11장을 비롯해, 제5장에 쓰여 있듯 말입니다.
 
오웰, 헤밍웨이, 앙드레 말로, 파블로 네루다 등 전 세계 지식인들뿐만 아니라 스페인 혁명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총을 든 이들에게 “만화경 같은 정당과 노동조합들, 그리고 그 짜증나는 이름들 - P.S.U.C., P.O.U.M., F.A.I., C.N.T., U.G.T., J.C.I., J.S.U., A.I.T. - 은” 좀체 이해하기 힘들었습니다. 오웰이 말한 바대로 「파시즘과 싸우기 위해서」 또는  「공동의 품위를 위해서」라는 대의 앞에는 예상치 못했던 장벽이 놓여있었던 것이지요. 결국 혁명에 대한 약속은 너무 쉽게 깨졌고 배신과 좌절이 뒤를 따르게 됩니다.
 
「카탈로니아 찬가」는 조지 오웰이 스페인 내전에 직접 참전해 겪은 일을 기록한 ‘소설’입니다. 하지만 “스탈린주의에 적대적인 사회주의자들의 책을 많이 내는 바람에 공산주의자들의 따돌림으로 운영도 어렵던 프레드릭 워버그의 출판사에서 1928년 4월”이 돼서야 나온 것만 보더라도. 또 공공연히 오웰 자신이 정치적인 목적에 의해 썼다고 말했듯이 ‘소설’ 그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아니 <나는 왜 쓰는가>에서 말했던 ‘역사적 충동’과 ‘정치적 목적’의 동기를 가장 충실히 따른 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전체주의에 <반대>하고 내가 아는 민주적 사회주의를 <위해>(「동물농장」,, <나는 왜 쓰는가>, 민음사, 2005, p.141)” 쓴 글인 겁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11/25 15:09 2012/11/25 1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