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우길 ③ 나눠서 걷는 사천둑방길: 여우비 맞으며 사천에서 해살이마을까지(2012년 6월 17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강릉 사천(沙川)은 모래가 많은 냇물이 흐른다해 모래내라고 불렸던 곳이다. 하지만 지금은 사천진리 해변가 모래만 해도 예전만 못하고. 사천천(沙川川)가도 여기저기 아스팔트로 포장된 반듯한 둑방과 보(洑)들로 그 이름이 무색하다. 지금이야 고개만 돌리면 보이는 간판들로 한과로 유명한 마을이구나 싶지만, 그것도.
 
‘호당 농가소득이 인근 전업농에 비해 월등히 높은데다 부채마저 없는, 고소득 마을’로 바뀐 터라. 또 강릉 시내와 가까운 곳이어서인지 돈깨나 있는 사람들이 여기저기 길을 내고 호사스런 집들을 지어 대고 있어. 지나는 사람들을 깜짝깜짝 놀라게 하는, 덩치가 산만하고 소리 하나로도 기를 팍 꺾게 만드는 개들이 심심찮게 많다. 해서 조용히 걷기엔 그닥 좋지만은 않다.     
 
또 둑방길이란 이름이 붙어 있긴 하지만. 구불구불 모래톱을 만들며 흘러가는 물 대신, 철마다 흐드러진 꽃을 피워내는 보드라운 흙 대신. 반듯하게 흐르는 강물에, 아스팔트로 발라진 둑방이라 걷는 맛은 덜할지 모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앞쪽으로는 깨끗한 바다가, 뒤로는 준엄한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과 마을 뒷산, 사천천 양쪽으로 펼쳐진 너른 들판사이로 난 농로와 둑방길을 번갈아 걸으며,  
 
하평마을은 강릉 시내에서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전형적인 해안 농촌마을이다. 강릉 곳곳에 허균과 허난설헌 남매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있듯. 이곳 역시 허 남매의 외가인 애일당(愛日堂) 김참판이 살았던 곳으로도 알려졌다.
 
이 마을에서는 음력 2월 초엿새 좀생이날* 저녁이면 마을 주민들이 다리에 모여 횃불을 들고 그 해 농사가 잘 되기를 빌며 다리밟기를 했다. 이런 횃불놀이, 불놀이, 다리밟기는 다른 지방과 다를 바가 없긴 한 것이지만 좀생이날에 행하는 것은 이 마을이 유일하다. 풍년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으로 종교적이면서도 놀이적인 것들이 어우러진 하평답교놀이는 횃불, 솔문 같은 것들을 태워 황덕불을 해놓고는 밤을 새워가며 축제를 즐긴다.
 
는, <사천둑방길>이 끝나는 곳. 아니 거꾸로 걸으면 시작하는 곳에서 만나는, 하평마을과 답교놀이 얘기와.
 
높은 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쳐진 사기막리 마을은 200년 전 사기 막사발을 만들던 움막이 많아 ‘사그막’ 또는 ‘사기막’이라고 불렸던 곳으로 지금도 가마터와 사기그릇 잔흔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마을에서 빚은 사기 막사발은 ‘옛날 서민들의 마음을 담은 밥그릇이 되기도 했고, 애환을 달래줄 술잔이 되기도 했으며, 그윽한 향기를 담은 찻잔이 되기도 했다.’
 
해살이라는 이름은 요즘은 희귀식물이 된 창포가 마을 곳곳에서 볼 수 있어서 붙여진 것이다. 볕이 들기만 하면 잘 자란다 하여 "해살이풀" 이라고도 하고 여러 증상에 도움을 주는 약초로 아픈 것의 해답이 된다 하여 "해답이풀" 이라 불리기도 한 것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는, 명주군왕릉에서 산을 넘어 처음 만나는. 반대로 걸으면서 그것도 나눠 걷느라 오늘은 여기까지다, 멈춰 선. 해살이마을과 ‘사기막’ 얘기를 찾아간다면. 아무리 천천히 둘러보며 걷는다 해도 세 시간이면 넉넉할 만큼 짧은 길이라도, 걷는 재미만큼은 쏠쏠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 처음 길을 나설 땐 등 뒤가 따가우리만치 해가 쨍쨍 떴는데. 농로에서, 둑방에서 두어 차례 여우비를 맞으며 걷다가. 허기질 때쯤 나타난 막국수집에서 목도 축이고 배도 채우고. 어느새 먹구름이 잔뜩, 해도 뉘엿뉘엿. 버스 정류장에 앉아 담아둔 사진을 한 장, 한 장 넘겨보고 있으니. 왠지 모르게 아쉬움이 많이, 많이 남으니. 내처 명주군왕릉까지 걸어 볼까, 싶기도 하다.  

 
* 좀생이날은 음력으로 이월 초엿새 날이다. 이날 서쪽 하늘에 모여 있는 작은 별들을 보고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 있는데, 이 별들을 좀생이라 부르기 때문에 좀생이날이라고 한다.
 
* 아홉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바우길 4구간 사천둑방길을 또 거꾸로 걸었다. 사천 해변에서 해살이마을까지 약 12km.
 
* 가고, 오고
지난 번 여행과 마찬가지.
 
* 잠잘 곳
사천 해변에는 잠잘 곳이 많으나 해살이마을, 명주군왕릉까진 식당만 몇 개 있을 뿐이고 숙박할 곳이 없다. 다만 걸어서 한 기간 거리에 저렴한 가격에 아침까지 먹을 수 있는 바우길 게스트 하우스가 있긴 하다. 그렇지 않으면 어디에서고 하루에 몇 번 다니지 않는 버스 시간을 꼭 확인해야 하고, 또 시간보다 미리미리 정류장에 나와 있어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12/22 17:59 2012/12/22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