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핵발전소를 모두 세웠다고 합니다. 54기나 되는 걸 다 멈췄다고 하니 여름 전력 수요는커녕 당장 쓸 전기도 모자랄 터인데. 어찌된 영문인지 조용하기만 한 게 도통 이상합니다. 아니 조용한 걸 넘어 담담하고 차분한 일본 사회를 보고 있으니 이건 뭐, 당체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어떻게 해서든 다시 가동하려는 정부나 전력회사들이 되레 불안을 조장할 수도 있고. 기업들은 공장을 돌릴 수 없다고 아우성을 칠 수도 있는데 말이지요. 하기사 남들은 핵발전 포기에 대해 시비 선악을 가리어서 결정한 마당인데. 무슨 거꾸로 타는 보일러도 아니고, 르네상스를 열어젖히고 있는 나라에 살고 있으니. 이해가 되질 않는 게 당연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또 값싼 전기 펑펑 써가며 매년 수 조원씩 돈 남는 장사하는 재벌들이 떵떵거리고 있는 나라에서 살고 있으니, 이런 게 뭐 기삿거리나 되겠습니까. 하지만 말입니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요.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인데도 그저 우스갯소리로. “국산화율 100%면 납품되는 거 전부다 단물 빨아 먹겠네”라는 말이 나도는 마당인데. 무신 거창하게 ‘원전 기술 자립’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착공식을 하는 건 뭐랍니까. 정말 그런 일이 일어나선 안 되겠지만. 아무래도 늘어만 가는 핵발전소를 보고 있으려니. 이구동성으로 다음 차례는 우리가 될 수도 있다는 전문가들 말을 제쳐놓더라도. 걱정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차라리 말입니다. 돌아가는 모양새를 보고 있으려니 말입니다. 제발 전기 좀 적게 쓰자 징징대는 꼴을 보고 있는 게 낫지, 싶습니다.

 
판때리다 : 시비 선악을 가리어서 결정하다.
 
일본이 핵발전소 가동을 모두 정지시켰습니다. 하지만 독일이나, 벨기에, 스웨덴, 스위스처럼 당장에 탈핵을 선언하지는 않을 겁니다. 핵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데다, 가동 중지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난을 다른 에너지로 메꾸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중동에 수출되는 핵발전소에 대해 핵무기 제조에 악용될 수도 있다는 우려들과 후쿠시마 발전소에 핵무기가 숨겨져 있을 것이라는 의혹들이 제기되는 걸 보건데. 상황이 잠잠해지길 기다리며 재가동할 틈만 노리고 있을 뿐이지 결코 핵무장 정책을 포기하진 않을 것이란 얘깁니다. 물론 당장에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보급이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고, 우리가 생각하는 거보다도 이미 많은 양의 전기를 쓰지 않고 있는 마당에 더 절전할 수 있는 여유가 없기도 하고. 또 핵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나라가 모두 핵무기를 갖고 있거나 개발, 제조할 생각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 역시 성급한 일반화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지금 상황에서 섣불리 이렇다, 저렇다 말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나가사키와 히로시마로부터 핵폭탄의 공포를 체험했던 일본 사회가 한 세대도 채 지나기 전에 프랑스와 미국 다음으로 핵발전 강국이 된 것이나. 그로부터 또 불과 두 세대가 채 지나기도 전에 또다시 후쿠시마 폭발을 경험했음에도 핵발전에 대해 판때리기를 하지 않는 걸 보면. 뭔가 다른 속셈이 있는 건 아닌가, 의심하는 건 다소 억지스러운 일일까요. 거기다 일본 다음으로 많은 핵발전소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이제는 ‘황금알’ 낳는 수출 주력 산업으로 대통령까지 나서는 우리나라까지 덧붙인다면. 그래요, 망상이라면 참말로 좋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5/11 13:34 2012/05/11 13:34
사용자 삽입 이미지일본이 결국 후쿠시마를 포기했다고 합니다. 도저히 어찌할 방도가 없다는 걸 인정한 셈인데요. 20여 년 전 체르노빌을 떠올리자면 너무나 당연한 반응일지도 모릅니다. 다만 거짓말에 거짓말로 사건을 축소하고, 또 위기를 넘길 수 있을 것처럼 말해왔던 건. 핵발전을 포기하기 쉽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겁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정부도 첨단과학기술을 제쳐놓고 편서풍을 죽어라 외쳤던 건. 그래요. 마찬가지로 핵발전 정책을 포기하기 싫어서였겠지요. 난데없이 등장한 전력난이 여름을 지나 겨울에까지 계속되고. 한국형 원전은 다르다며 새삼 안전성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며. UAE에 이어 터키, 요르단, 인도까지 언급하며 원전 수출을 외치는 것들 말입니다. 그래도 아무리 편서풍 때문에 안전하다 해도 말이지요. 이쯤 되면 그야말로 ‘닥치고’ 원전 수준인데. 그 꼴을 보고 있으려니.
 
타산지석(他山之石) 
 
난데없이 이 말이 떠올랐습니다. 아마 얼마 전에 읽은. 독일이 어떤 과정을 거쳐 핵 발전을 포기하고 재생가능에너지로 전환을 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에너지 전환의 현장을 찾아서>란 책 때문이었을 겁니다. 책에는 독일의 정책전환 과정에서 체르노빌이 등장을 합니다. 물론 체르노빌이 결정적인 전환의 계기가 된 건 아니라고 하지만. 인식의 변화, 이미 시작된 전환의 물꼬를 확 열게 한 것은 분명하다는 걸 알 수 있지요.
 
그리고 그런 변화는 독일뿐만이 아니었습니다. 말하자면 전 유럽적으로 반핵, 재생에너지 열풍이 분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아무리 안전, 안전하다고 해도 단 한 번의 사고로 전 유럽이 세계대전 이후 가장 끔직한 공포와 충격에 빠졌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그 와중에서도 거꾸로 가는 나라가 있었으니. 후쿠시마 사고 때 호들갑을 떨었던 프랑스가 바로 그렇습니다. 일본이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지만 사고 발생 직후부터 핵 강국 미국을 제치고 더 관심을 보였던 핵 발전 강국 프랑스 말입니다. 지금도 프랑스는 꼭 어느 나라마냥 핵 발전을 포기하기보단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길을 걷고 있으니.
 
어째 얘길 하다 보니 독일이 어떤 과정을 거쳐 풍력, 태양열, 지열,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을 했는지가 쓰여 있는 책 소개보다는. 과거에 있었던 일을 앞으로 나갈 방향으로 삼지 않고 있는 두 나라에 대한 얘기가 됐습니다. 허나, 뭐 어떻습니까. 내용이야 직접 책을 읽어보시면 될 것이고. 덤으로 옳은 길이 어떤 길인지도 알 수 있으니 제쳐놓고. 반성은커녕 아니 되려 위험과 죽음의 재가 뒤덮인 길로만 가고자 하는 이들이 있으니. 무엇보다도 제대로 꼬집어주고 회초리를 들어야 하는 게 지금으로선 더 시급한 일이니.   
 
타산지석(他山之石)
 
이 옛말을 꼭 좀 들려줘야겠습니다, 그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1/29 20:36 2012/01/29 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