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새누리당, 말꼬투리 잡아 예산안 심의도 국정원개혁특위도 보이콧하나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3/12/10 08:13
  • 수정일
    2013/12/10 08:13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당 지도부, 의사일정 보이콧 검토..김한길·문재인 사과 및 입장 촉구하기도

박상희 기자 psh@vop.co.kr
입력 2013-12-09 14:47:41l수정 2013-12-09 20:36:36
기자 SNS
 
새누리당이 9일 가까스로 정상화시킨 국회 의사일정을 전면 보이콧 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새누리당은 '대선 불복 선언'을 한 민주당 장하나 의원과 '선친(박정희 전 대통령)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박근혜 대통령에 경고한 양승조 최고위원의 발언을 문제 삼고, 두 의원의 출당 조치 등이 없을 경우 향후 예산안 심의 등 모든 의사일정을 거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두 의원을 국회 윤리위에 제소하는 등 징계절차를 밟겠다는 입장까지도 내비쳤다.

새누리당 뿐만 아니라 청와대까지 나서서 양승조 최고위원이 '암살 가능성'을 언급한 것 아니냐며 민주당에 입장 발표를 요구했다. 민주당은 당 차원의 사과 입장을 밝히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 새누리당의 의사일정 거부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의사일정 보이콧 검토..김한길, 문재인 사과 및 입장 요구

장하나 의원의 '대선 불복 선언'이 있던 다음날 양승조 최고위원의 발언이 더해지자 새누리당 내 분위기는 급격히 냉랭해졌다. 민주당 양승조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은 '중정(중앙정보부)'이란 무기로 공안통치와 유신통치를 했지만, 자신이 만든 무기에 의해 암살당하는 비극적 결과를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박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의 교훈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하는데, 국정원을 무기로 신공안통치와 신유신통치로 박 전 대통령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경고를 새겨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장하나, 양승조 두 의원 발언을 '대통령을 저주하는 망언'으로 규정하고 총공세에 나섰다. 이에 당 지도부는 이날 오후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대선 불복 발언'과 내년도 예산안 심의 및 국정원 개혁 특위를 연계시키는 방안 등 국회 일정 중단 여부를 논의했다. 이날 곧바로 예산안 심의, 국정원 개혁 특위 등 의사일정을 중단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됐으나 일단 당 지도부는 민주당 김한길 대표의 '사과'를 전제로 내세웠다.

유일호 당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김한길 민주당 대표의 사과 △재발방지 조치 △문재인 민주당 의원의 입장표명 등을 전제로 하고 9일 중에 이 같은 조치가 없을 경우, 향후 발생하는 사태의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준예산' 사태 등이 발생될 경우, 민주당에 모든 책임을 돌리겠다는 것이다. 이날 본격적으로 시작한 국정원 개혁 특위 역시 중단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막말, 헌정질서를 중단하는 발언이 이어지는 중에 국정원 개혁 특위 같은 의사 일정이 진행할 필요가 있느냐"고 말했다.

당 지도부들은 최고위원회의 전에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도 장하나, 양승조 두 의원에 대한 맹비난이 쏟아졌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장하나, 양승조 두 의원의 발언을 묵과할 수 없다는 의견과 지도부에 의사일정 중단을 강하게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새누리당 내에서도 예산안 심의 등의 보이콧으로 받을 부담감도 없지 않은 눈치였다.

하지만 오후 들어서 청와대까지 가세해 총공세를 퍼붙자 분위기는 더욱 냉랭하게 변했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 위해를 선동·조장하는 무서운 테러라고 본다"며 "민주당은 지금이라도 대선과 양승조 최고위원의 '암살 가능성' 발언에 대한 분명한 입장 발표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청와대가 강경대응에 나서자 새누리당은 다시 최고위를 열어 후속조치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10일 오전을 '데드라인'으로 정해 민주당의 조치가 없으면 의사일정 거부 수순을 밟는 데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일단 10일 오전 비공개 최고위를 통해 당의 입장을 정하기로 했다. 하지만 당 대표가 직접 나서서 공식 사과 등은 하지 않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오늘 중으로 당 대표가 직접 나서서 입장을 표명하지는 않을 것 같다"며 "사과에 대한 부분은 내일 지도부 회의를 거쳐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승조 최고위원도 사과 입장을 표명하길 거부했다. 양 최고위원은 이날 저녁 성명을 통해 청와대가 자신의 발언을 두고 '대통령에 대해 위해를 선동조장하는 무서운 테러'라고 비난한 데 대해 "사실 왜곡과 과장이 심해도 너무 심하다"고 반박했다. 이어 "발언의 전문을 보셨다면 그러한 주장이 얼마나 왜곡 과장된 주장인지 알 수 있다"며, 이정현 홍보수석이 '대통령 암살 가능성'을 언급한 데 대해서 "지나치고 과한 상상력의 표현인 것 같다"고 꼬집었다.

"새누리당 제명 운운, 특검요구 물타기 위한 국면전환용"

정치권 안팎에선 새누리당의 이러한 반발을 야당의 특검 요구를 물타기 하기 위한 국면전환용 카드라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 초선의원 21명은 같은날 성명을 통해 "국정원 등 국가기관 대선개입을 비판하면 "대선불복"이라고 맞받아치는 새누리당의 행태는 얼마나 옹졸하고 군색한가"라며 "이런 새누리당이 장하나 의원의 발언을 적반하장식으로 공격하는 것은 의회주의를 부정하는 폭거이다. 특검요구를 물타기 하기 위한 국면전환용 호들갑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유창선 정치평론가도 "대선불복 프레임을 마음껏 들이댈 수 있게 된 것은 새누리당에게는 더 없는 호재이고 특검을 거부할 더 없이 좋은 핑계가 생긴 것"이라며 " 새누리당은 대선불복 문제를 내년 지방선거 때까지지속적으로 관리해나갈 것이다. 공방이 펼쳐지다 보면 국정원 개혁이나 특검같은 정국의 다른 이슈를 잠재우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에선 새누리당이 이번 사건을 지나치게 정쟁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새누리당에서 김한길 대표 등 지도부의 분명한 입장을 요구하고 있는 것에 대해 "더 이상 대표나 원내대표가 할 수 있는 조치는 제한적"이라고 거부 입장을 나타냈다.

김관영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어제 장하나 의원의 성명이 나온 뒤 즉각 사과성명을 냈고 지도부의 입장과 다르다고 분명히 이야기 했다"며 "새누리당이 지나치게 이 문제에 대해 (정쟁화)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특검을 수용했으면 여기까지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수현 원내대변인도 "새누리당이 기다렸다는 듯이 침소봉대하고 (예산 심의 일정 등에)발목을 잡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의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충심을 다해 충고한 양승조 최고위원의 발언까지도, 그 진의는 아랑곳하지 않고 대선불복 프레임을 덮어씌워 정쟁을 유발하는 것은 국정원개혁특위 마저도 변질시키려는 의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한편 민주당 일각에선 지도부가 장하나 의원의 '개인 생각'이라고 선을 그은 것을 두고 마뜩치 않아 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석현 의원은 ""장하나 의원 성명에, 선긋기에서 나아가 징계하자는 민주당원이 있다면 그가 바로 징계 받아야할 사람"이라고 했고, 정청래 의원도 " 조경태와 장하나 중에서 누구를 징계할 것인가? 내가 당 지도부면 이적행위 해당분자 조경태를 징계하겠다"고 꼬집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