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생각은 ‘심상정’이라면 마땅치는 않으나 투표하겠다고 마음먹고 있었다. 물론 이것은 누군가를 ‘지지’한다는 것과는 다르다. 그라면 적어도 말은 통하겠지 싶었다. 나는 그 누구도 ‘지지’하지 않는다.
어쩌면 선거야말로 민주주의라는 제도의 재앙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오래되었으나 짧은 제도는 그야말로 사람들을 제대로 길들였다는 생각이다. 어쨌건 찍을 사람이 없는 이 선거, 그렇다면 찍을 필요가 없다는 것은 정답인 동시에 오답이다.
한 사람의 투표 거부는 ‘기권’일 뿐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의 투표 거부는 정치 행위가 된다. 수능을 거부한 고등학생은 ‘고졸’이 되지만, 전체 고등학생이 수능을 거부한다면 거대한 운동이 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이것으로 세상이 변할 것이라는 생각은 오만이다. 세상은 그렇게 쉽사리 변하지 않는다. 대신 지배하려는 힘에 대항하는 다른 힘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반발력이 정치 행위로 등장했을 때 지배력은 그 힘을 무시하기 어려워진다.
정치가들의 입맛에 따라 바뀌는 법률은 대다수 사람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는 힘이 정치가들과 기업들에 있다는 판단이 있기 때문이다. 힘들더라도 사람들은 따라올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 서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로 사람들은 투덜거리면서도 따라가고 점차 익숙해진다. 익숙해진다는 것은 길든다는 것이다. 만약 사람들이 이 이끌림을 거부하고 대다수가 멈춰 선다면 이 이끄는 자는 다른 방안을 고민해야만 한다. 이 다른 방안이 독일지 당근일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그러나 한 번의 반발은 다음 반발을 예상하게 한다. 이제 지배력은 반발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현 민주주의라는 제도에서 가장 큰 반발은 단연코 선거를 거부하는 것이다. 이는 오늘날의 ‘선거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선거’만이 민주주의를 가능케 하는가? 물론 그렇지 않다. 민주주의라는 제도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모르겠으나 어쨌건 이 제도는 개인의 자발성이 한데 묶여 집단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고 이를 구체화한 것이 선거이나 꼭 선거일 필요는 없다. 우리가 ‘늘’ 여기에 있고, 우리가 ‘원하는’ 방향이 있음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지도자를 자리에 앉히고자 이놈 저놈 한 번씩 다 찔러보는 것으로 변하는 건 아무것도 없다.
난 투표 안 한다. 기권이 아니라 거부다. 난 몇몇 잡것들이 세상을 짜맞추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물론 누군가는 대표의 자리에 앉을 것이고 잡것들의 구성은 세상을 짜맞추려 할 것이나 적어도 그 손놀림이 가시에 찔릴 수도 있음을 고려하게는 해야 한다. 한 사람의 거부는 그저 웹상의 쓰레기 데이터로 뿌려질 뿐이겠으나 집단의 거부는 세상을 주물이려는 손을 베게하는 날 선 칼이 되게 한다. 적어도 어떤 정책을 시도하려면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본문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
- 2007/12/19
- 지난 대선 Vs 오늘 대선
-
- 2007/10/30
- 나도 투표 하기 싫다.(뽐)(2)
10월 28th, 2007 at 11:10 pm
정말 집단거부가 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전 워낙 정치쪽으론 아는게 없어서(자랑은 아닙니다만) 만나는 사람마다 누굴 찍어야 하냐고 물어보고 있는데 다들 아무 이름도 대지를 못하지요.
요즘 우석훈님 책을 하나씩 읽고 있는데 갑갑하고 겁납니다. 이 나라가 속속들이 이 지경인가 싶어서 말이죠. ㅠ_ㅠ
10월 29th, 2007 at 12:18 am
우석훈 선생이 책에서 언급한 것처럼 고등학생들이 집단으로 수능을 거부하는 게 변화를 향한 최선이겠으나 역시 가능성이 극히 희박하겠죠. 세상이 어떻게 변해갈지는 알 수 없지만 그다지 밝아 보이지는 않습니다.
10월 29th, 2007 at 12:28 am
기분은 이해합니다만, 그 결단이 오히려 더 말이 통하지 않는 세상을 만드는 원인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선거 같은 걸로 이 나라가 별반 바뀌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변화가 아주 없었던 것도 아니거든요. 더구나, 정치 행위로서의 ‘거부’가 일어날 가능성은 선거로 말이 통하는 세상이 만들어질 가능성만큼이나 낮아보이거든요. 결국 그저 ‘기권’에 그치고 말 수도 있단 말입니다… 더구나 사회적 입장 표명 없는 집단 거부가 이뤄진다고 해도 미디어를 통하지 않고는 ‘선거일에 놀러 간 사람’처럼 비칠 수도 있거든요… 결국 판단은 스스로의 몫입니다만, 조금이라도 좋은 세상을 바라는 마음에서 한 말씀 올려봅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늘 좋은 글 잘 읽고 있습니다.
10월 29th, 2007 at 2:04 am
세상의 변화는 지도자에 의해서 변했다기보다 사람들이 변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그게 긍정적이던 부정적이던 간에 말이죠. 때문에 대선은 거부하지만 총선에서는 투표를 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만약 대다수의 블로거가 선거 거부를 표명하게 된다면 분명 유의미한 결과가 있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단지 ‘난 투표 안 해’라고 생각만 한다면 아무 변화도 없겠지만 ‘난 투표를 거부한다’고 선언하는 것은 또 다른 것이니까 말이죠. 아무튼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10월 29th, 2007 at 12:15 pm
요즘은 그런 공상을 합니다. 투표를 거부한 사람들이 아무런 의제도 내걸지 않고 선거 당일에 모여서 노래하고 춤추고 영화를 보면서 노는 판이 여기 저기서 다발적으로 열리는 것 말이죠. 뭐, 공상이죠.–;
10월 29th, 2007 at 5:10 pm
선거 당일 투표를 거부한 채 공개적으로 놀이 판을 벌인다면 더 강하고 즐거운 의사 표현이 될 수도 있겠군요.^^
10월 30th, 2007 at 1:41 am EDIT
안경은 오리무중. 선거도 오리무중.
선거 당일 멀하고 놀아야할지 고민하는게 더 즐거울수도 있겠군요.
노상 전에는 아침 일찍 투표하고 놀러가자였었는데…
혼자만의 웹상의 궁시렁거림이 아니라 조금이라도
거부의 물결을 치게 했스면 하는 맘 굴뚝입니다.
그래서 퍼갑니다. 왜 난 닥두님처럼 의사 표현을
똑부러지게 글로 몬 옮겨 적는걸까나?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