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역사와 현실 안에서 좌파이고자 한다면, 운동에서의 기층 대중 운동이라는 관점과 이론에서의 반보편주의의 관점의 결합이 필수적이다. 그래서 정치사회운동의 상층, 즉 '당' 운동은 늘 '기층' 또는 '민간'의 정세적 능동성으로부터 정당성을 찾아야지, 자신의 이론적 선명성이나 입장으로 기층 운동을 재단해서는 안 된다. 노선 간의 싸움은 단지 '이론 내부의 논쟁'에 그쳐야지, 근래에 보여준 것처럼 기층 대중과 유리된 채 '운동의 분리'로 나아가서도 절대 안 되는 것이다.
그랬었던 이유는 바로 '당' 및 지식인 운동의 책임성의 결여에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겉으로는 모종의 보편주의에서 이러한 분리의 정당성을 찾고자 했다.(패권주의의 문제는 담론의 수준에서는 오히려 나중에 부각된 것 같은데, 사실 '패권주의' 라는 문제제기는 그 자체로서 문제적이다. 운동을 너무 순진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당 운동 내부에서 영원히 대면해야 하는 문제가 아닐까. 그래서 난데 없이 '종북주의'를 끌여들였던 것이 아닐까. 그렇게 보면 '종북주의' 또한 하나의 패권주의의 수단이었던 셈인데, 내가 보기엔 더욱 악질적이다.) '종북주의'는 어떤 논자의 말처럼, '냉전' 논리의 '진보좌파' 버전이었던 셈이다. 물론 거기에는 의회주의적 개량화의 물질적 힘을 얻고자 했던 세력(대략 현 '정의당')과 탈역사/탈현실적 좌익보편주의를 견지하고자 했던 세력(대략 현 '노동당')이 결합된 측면이 있다. 그들 사이의 관계가 하나였다가 결국 둘이 되었지만...
이번 사태를 마주하며, '좌익 당 운동'에 대한 탄압에 대해 아주 강력한 엄호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그것이 쉽지는 않을 것 같다. 우선 '종북주의'에 대한 반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고, 그것의 기초가 되었던 '좌익 보편주의'의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가야하기 때문이다. 이는 다름 아닌 역사적으로 좌우익이 공유한 '북조선'에 대한 '냉전적 이해'이다. 나는 만약 진정한 '탈냉전'의 입장에 선다면, 누구도 절대 남한이 북조선 보다 '낫다'는 얼토당토한 판단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본다. 그러한 논리는 '북'에 대한 외부 제국주의 세력의 개입의 명분이 되기도 하지만, 나아가 남한의 '현대적 국가'와 '분단체제'를 재생산하는 이데올로기적 근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랬을 때, 우리가 유럽의 좌익운동이든, 남미의 것이든, 적극적으로 동시에 '주체'적으로 참조할 필요가 있는 것처럼, 북조선의 경험도 참조할 필요성이 정당하게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현실의 담론에서는 이 정도까지만이라도 먼저 나아가야 할 것이다.
물론 이론의 차원에서는 더욱 과제가 크고 복잡하다. 왜냐하면 북조선이라는 역사와 현실의 개별특수적 대상은 그것이 우리의 역사의 일부이기도 했지만, 지금은 '분단' 속에서 왜곡된 대상으로 존재한다는 남한 사회의 종별성을 중심으로 역사의 구조를 새로 짜야 하기 때문이다.
댓글 목록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진보’는 어쩜 ‘오염’될 수밖에 없는지 모른다. ‘진보의 오염’을 운운하면서 역사의 현실에서 사라지는 국면에 서 있는 한국의 일부 자칭 ‘진보’.‘진보의 오염’이란 표현에서 러시아, 중국, 남미, 아프리카, 아랍, 그리고 이북에서의 사회주의의 현실적, 실질적 경험에서 후퇴하고, 그리고 마르크스주의를 현실에서 발전시킨, 최소한 발전시키려고 노력한 사상들을 멀리하고 칸트로 떨어져 ‘순수’를 운운하는 ‘진보’. 처녀성은 지키면서 아이는 갖고 싶다? ‘진보’란 이름은 떼고 차라리 ‘신천지’와 같은 교단을 세우지. 그럼 밥벌이문제는 해결될 텐데.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떨어짐 혹은 후퇴 자체를 문제 삼는 게 아니다. 현실사회주의 붕괴에 동작정지 안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중력에 의해서 떨어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자연의 법칙에 의한 매우 자연적인 일이다. 근데,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한다. 의식적으로 확실히 더 떨어져야 한다. 헤겔 밑으로, 칸트 밑으로, 스피노자 밑으로... 그리고 기층[민중] 밑으로 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 떨어짐은 다시 올라오기 위한 떨어짐이다. 나는 이 떨어짐의 바탕에 유적이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올라오면서 이 유적이성은 더욱 풍부하게 규정되어 유적존재가 되어야 한다. 현재 추상적으로나마 형성된 ‘인류’를 풍부하게 규정하는 상승이어야 한다.藝術人生
관리 메뉴
본문
반복되는 역사가 아닌 새로움을 더 하는 역사에 기반한 사회 속의 '개체'와 세계 속의 '민족'의 변증법이 인식론/존재론적으로 주는 풍부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