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반공우익'의 사상화

내 나름의 해석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게 최원식 선생님이 한문체와 한글체에 대해 각각 전통과 서구화를 표현한다는 비판을 했고, 나름의 조선적 근대성을 반영하는 국한문혼용체가 한글체에 밀려난 지점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적한 바 있다. 나는 내 나름대로 이 고민을 계속 해왔는데, 최원식 선생님의 문제의식을 만나면서 매우 반가웠다.

 

나는 이 문제를 좀더 깊이 파고 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 하나의 매개로서 중한번역을 고민하고 있다. 이 부분은 앞으로 별도로 세심하게 접근하여 논의를 만들고 싶다. 그래서 '중한번역의 실천과 지식윤리'라는 주제를 마음 속에 품고 있다. 적당한 시기에 조건이 되면 나름의 방식으로 논의를 열어내고자 한다. 

 

물론 나는 궁극적으로는 국한문혼용의 복원이 조선적 근대성에 부합한다는 생각이고, 현재의 곤경을 돌파하는 중요한 실천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그런 노력이 있어야 지식은 지식대로, 대중은 대중대로, 그리고 그 실천의 총합으로서의 역사는 그 나름대로, 윤리적 관계 설정 하에서, 내부의 평화와 공존 속에서, 진보의 길을 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근래 다시 든 생각은 남한의 이러한 서구화된 언어체제가 형성되어 공고화되는 과정이 대체적으로 냉전 과정과 일치하는데, 이것이 지식인과 대중, 그리고 대중 내부(특히 세대 사이, 계급계층 사이) 의 소통 장애의 핵심적 원인 가운데 하나라는 가설이다.

 

전통적 의미에서의 '반공/우익' 세대의 주력인 장년층과 노년층이 세대적 단절+계층계급적 단절 하에서 굳건하게 자신의 이념적 위치를 견지한 채 건재함이 이를 방증한다. 다시 말하면 이른바 '진보'의 이념은 과거 세대와의 이중적 단절을 전제했다는 점에서 자기 근거가 박약한 것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노년층이 생리적 수명을 다하여 사라진다고 하더라도, 우리 내부의 반공/우익주의는 스스로의 힘에 의해 극복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결국 다른 형태로 재생산되지 않는가라는 지점이다.

 

다시 말해 '반공주의' 세대의 소멸이 내부적 소통과 화해 그리고 혁신을 통한 것이 아니라, 서구화된 언어/지식 체계의 급격하고 강제/동의적인 도입 속에서 소통의 단절에 의한 것이었으며, 이는 오히려 상호적대를 심화하고 있다. 물론 우리 사회 내부의 적대는 '내전' 경험의 트라우마로 이해 정상적 적대의 형태를 취하지 못한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서 보면 이들 '반공/우익' 세대가 이렇게 역사 속으로 소멸되어 간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중요한 계기의 상실일 수도 있다. 현재의 상황은 역사를 비판적으로 계승하지 못하고 오히려 주도적으로 '망각'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반공/우익'을 지금이라도 내재적으로 '사상화'하여 극복할 수 있을 것인지 고민이 필요하다. 어쩌면 그것은 진정한 '화해'의 과정일 수도 있고, 민족적 '사상' 과제의 공유 과정이 될 수도 있다. '사랑'을 배우는 과정일수도 있고, 진정한 '투쟁'을 배울 수도 있을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