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아큐

오랜만에 '문화연구'라 포장된 창백한 이론과 지식의 '향연'을 접하면서, 거의 20년 전 시간과 단절 없이 닿아 있는 지식 작업의 왜곡된 양상을 잠시 고민해보았다. 마침 남북 관계가 돌출되어 이를 고민할 또다른 지평을 열어주었던 듯 하다.

 

그 양상을 구성하는 핵심 원리는 익숙하게도 엘리트주의와 포퓰리즘의 동일성이었다. 그러한 지식 작업은 궁극에는 대중을 지식에서 배제하는 효과에 복무하기 때문에 그 모순을 조금은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우리 세대 '지식인'들에게는 사실상 조금 뼈아픈 것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는 '사람'과 '세계'에 대한 이해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그들이 갖는 '철학'적이고 '보편'적인 인식 안에 존재하는 '사람'은 사실 사람이 아니다. '세계' 또한 세계가 아니다. 이유는 그 안에서 사람은 자유를 갖지 않고, 세계는 멈춰있기 때문이다. 개체와 세계를 맞대면시키는 그들의 논의 속에서 사람은 차이를 갖지 않고, 따라서 자유로울 수 없는 무차별화된 개체이다. 물론 사람을 이러한 개체로 다룰 수 있는 전제가 바로 개체와 세계 사이의 매개를 무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무화된 개체에 대해서도, 또는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그 비참함을 동정하고자 한다. 차별을 규탄하고 시정하고자 한다. 온갖 '진보'적인 현학과 수사학이 난무한다. 그 내부에 존재할 법한 현실 비판성에 관한 논의는 내파의 계기이기는 하지만 가능성은 매우 낮아보인다.

 

그래서 그들의 눈에는 '조중동'이라 불리는 보수언론, 또는 새누리당과 같은 우익정당, 나아가 그들에의 핵심 지지층으로서의 우익 대중들의 인식이 '기괴'하게만 느껴진다. 그러나 그들은 현실에서 한번도 이겨본 적이 없다. 그렇지만 늘 그들을 무시한다. 이기지 못하면서 무시하는 아큐들, 그 창백한 이론과 지식은 여전히 횡행하고 있다. 

 

남북관계의 위기 속에서 난무하는 수많은 북에 대한 '무시'의 담론들과 이 담론의 주체들을 무시하는 위와 같은 '진보'적 지식 담론은 참으로 닮았다. 그 가상성이 너무 닮았고, 또 자기 확신 또한 그토록 닮았다. 물론 보시다시피, 정세에서 보수 우익의 '무시' 담론은 정세라 칭할 만한 힘의 균형을 거의 정확히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현실적이다. 그에 반해 '진보'의 무시 담론은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적 담론일 뿐이다. 오히려 '진보'의 무시 담론은 현실성의 차원에서 보면 보수 우익의 '무시' 담론과 일체화되는 경향을 보이기 까지 한다. 그래서 그나마 남아 있는 가능성으로서의 현실적 진보 담론은 가상적 진보 담론에 의해 구축되기도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