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근황 2015/5/11

아마도 블로그에 글을 쓰지 못하게 된 데는 주요하게 생각의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졌던 상황이 핵심적인 원인으로 있었던 것 같다. 생각을 하지 못함은 어느정도는 불필요하게 말을 많이 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일의 과중 때문이라기 보다는 적절한 생활양식이 여전히 구축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 같다. 생활양식의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소 착잡한 기분이 들긴 하지만, 그래도 기운을 내야지 생각한다. 사실 그동안 현재 상황을 정리하면서, 다시 다잡는 공간이 블로그이기도 했다. 늘 현실의 긴장을 감당하면서 일정한 맺고 끊음을 통해서 반복해서 무한히 미래를 다시 그리고 계획을 다시 세웠던 것처럼 한번 주변 정리가 필요해지는 시기인 듯 싶다.

 

시간이 너무 늦어져 과정의 축적이 수포로 돌아가지만 않는다면 일정한 지향을 유지하면서 조금 늦게 실현되는 것은 괜찮다. 박사논문이 그러한데, 많이 늦었지만 6월 중에 돌아가 계획서를 발표하기로 했다. 7년 연한 가운데 6년차를 마칠 즈음 계획서를 낸다는게 참 부끄러운 일이지만 나로서는 참 준비를 많이 했다. 아쉽게도 계획서는 전혀 준비를 많이 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객관적 약점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수준이 그 정도라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그렇게 해야만 그나마 양심에 거슬리지 않고 역사에 충실하면서 윤리적 실천의 일환으로 지식작업을 하는 연구자로서 출발할 수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사실 그동안은 논문을 쓰기 위한 준비라기 보다는 어떤 삶을 위한 준비를 한 것 같다. 그래서 더더욱 여러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 

 

조정로 선생의 <민주수업>[民主課]의 한국어판 작업도 2교를 앞두고 있다. 기본적인 사항은 저자와 협의 하에 기본적으로 정리된 상태이다. 번역은 늘 그렇듯이 스승을 한 분 더 얻는 작업이다. 

 

수업 중에 만나는 학생들을 통해서 좁히기 어려운 거리를 좁히는 노력이 간단치 않음을 경험하지만, 반복되는 노력의 축적 속에서 조금씩 가능성과 한계의 지점들을 확인하게 되는 것 같다. 강의 속에서도 나 자신에 대한 충실의 정도가 소통의 가능성을 좌우함을 확인한다.

 

한편, 박현채 선생의 사상이 출발점이 된다는 점이 초래할 여러 현실적 곤경에 대한 조언들도 예상된다. 감사한 마음으로 현실의 조건을 다시 검토할 수 밖에 없다. 현실에의 개입은 그만큼의 물질성을 만들어내는 실력을 요구함을 명철하게 인식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집필에 들어가기 전에 한번 점검이 필요하다.

 

논문은 1부에서 박현채 선생의 <민족경제론의 기초이론> 1부와 2부 전체를 번역하여 싣는다. 2부는 본래의 계획대로 세워두었다. 2부의 예상 목차는 다음과 같다.

 

第二部 朴玄埰思想의 當代意義—陳映真文學을 參照點으로[20151015수정]

 

제1장 緒論

1. 문제설정: 歷史의 우위와 권역적 參照 研究

2. 參照點으로서의 台灣:歷史中間物 陳映真(1937-)

3. 陳映真文學이 南韓에 주는 參照意義

4. 歷史적 中間物로서의 朴玄埰(1934-1995)

5. 研究課題:南韓思想史 속에서 朴玄埰思想의 意義

6. 論文構造

7. 研究資料

 

제2장 1980년대와 脫冷戰의 패러독스—‘社會性格論爭矛盾中心으로

1. 問題의 提起

1) 1980년 5.18 光州의 역사적 의의

2) ‘民衆’의 대두: ‘民族’ 및 ‘民主’와의 관계 속에서

3) 남한 민중 구성의 개별적 특수성: 하나의 상호참조적 과제인식

4) ‘탈냉전’의 지평과 사회성격논쟁

 

2. 陳映真의 南韓 콤플렉스와 대만사회성격논쟁

1) 진영진의 제3세계인식과 남한 콤플렉스

2) 진영진의 ‘워싱턴 빌딩 시리즈’와 사상적 인식

3) 논쟁으로부터 본 진영진의 대만사회성격론

4) 소결: 참조의 함의

 

3. 박현채의 사회구성체론과 사회성격론

1) 1980년대 남한의 사상과제와 박현채의 위상

2) 사회구성체론: ‘의도된 논쟁/의외의 파장’

3) 박현채의 고독: 일시적 ‘개방’과 ‘단절’의 심화

4) 소결: 참조을 통한 성찰적 과제 인식

 

4. 결어: 知識倫理의 問題設定(민중주의의 모순/민족민중론의 함의)

 

제3장 冷戰/分斷體制下 思想 繼承矛盾—‘知的 植民性認識中心으로

 

1. 문제의 제기

1) 1960년 4.19 혁명의 역사적 의의

2) ‘민주’의 대두: ‘민족’ 및 ‘민중’과의 관계에서

3) ‘민주’의 탈역사성: 하나의 상호참조적 과제인식

4) 민족경제론의 사상적 계승성과 주체성

 

2. 진영진 문학에서 ‘민주’의 형상—역사와 지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1) 진영진 문학의 식민주의 지식 비판

2) 역사/지식과 ‘사랑’의 문제설정

3) ‘향토’와 ‘민주’: 진영진과 향토문학 논쟁

 

3. 박현채 민족경제론의 준비와 전개

1) 4.19와 1960년대 박현채의 경제이론: 신식민성의 인식

2) <후진국경제론>의 체계와 함의

3) <민족경제론>의 재독해: 중소기업론과 농업론을 중심으로

4) 민족경제론과 ‘민주’

 

4. 결어: 80년대 ‘민족민중론’의 이론적 준비

 

제4장 가상적 사상대화—박현채의 <민족경제론의 기초이론>과 진영진의 ‘충효공원’ 시리즈

1. 언어문화의 현대성과 식민성

2. ‘충효공원’ 시리즈의 참조적 함의

3. <민족경제론의 기초이론> 독해의 방법과 실제

4. <민족경제론의 기초이론>의 사상사적 의의

5. 결어

 

◎ 보론: 논쟁사로 본 박현채의 사상 지향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