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web ad_gimpo
- 껌뻑
- 2010
-
- 2010 성적소수자 차별 및 혐...
- 껌뻑
- 2010
-
- 음악과 만나버린 라디오.
- 껌뻑
- 2010
-
- 시
- 껌뻑
- 2010
-
- 젠더+미술+그리고 살아남기=...
- 껌뻑
- 2010
1. 8년 전, 서울 시립대에서 집회를 마치고 다시 학교로 돌아가는 길에 버스를 탔다. 버스 노선상 집결지인 미아리라는 곳을 지나가게 되었을 때, 당시 경영대 회장이란 놈이 벌떡 일어서더니 하던말 "(휘파람을 불어 제끼며)어이, 누나들, 오랜 만이야, 내 곧 갈께..."
2. 총학생회에서 사무구장을 하던 "그 형"은 학생회 여성임원에게 성폭력을 가했다. 물론 사건의 해결은 너무도 어처구니 없었지만 - 사상수위가 낮아 발생한 일이라나 뭐라나 .@.@- 졸업후 뭐하나 했더니 노조로 들어가 간부를 하고 있더구만. 여성노동자대회 선언문을 너무도 비장하게 읽어 내리더라.
3. 학교를 방문한 한 장기수..그 분은 꽤 존경받는 분이었다. 하나의 역할모델이랄까. 그 분이 소개를 부탁해서, 여학생회를 준비하고 있다고 소개했더니만 그 분 말씀 " 여학생회들이 여학우들을 조직화해서 총학생회에 몰아주는 역할을 하는 거구만" 뭔가 반박할 말을 찾으려 하자 콕콕 옆구리를 찌르던 또 다른 "그 형"은 지금 뭘하고 있을까.
4. 당시 전투적 노동계급운동을 하고 있다..뭐 이런 소문 달고 있던 조직과 연대를 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벌어진 또 하나의 성폭력 사건. 그 조직에서는 가해자를 조직에서 퇴출하는 것만으로 모든 상황 종료시키다. 그 조직은 지금 뭘하고 있나..조금은 바뀌었을까
5.조직에 대한 헌신, 신념에 대한 진정성, 대중의지지도, 실천을 통한 자기 성찰...이중 어느 것 하나 게을리 하지 않았던 어떤 여성활동가를 제쳐두고 거의 반 년 만에 얼굴을 디민 웬 남자는, 남성운동가들에 의해 지역 대표로 추대되었었다. 그런 상황은 좀 변한 걸까.
6. 노스텔지아..항상 자기연민에 휩싸인 몇몇 EX 운동가들은, 자신들을 바라봐주고 가엾게 여겨 줄 누군가가 필요한 듯. 한 5년 만에 현장에 찾아와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멀쩡한 여성들에게 질질 짜기를 시작하더니, 결국은 여성활동가들 술자리 옆에 앉혀 주물럭 주물럭..귀하고 또 귀했던 내 동지들 다 쫓아냈던 그 남자 "선배"란 인간..지금은 뭘하고 있나.
무척 비장한 목소리로 "우리 여성동지들이 너무나 기쁜 마음으로 무슨무슨 대표(혹은)회장, 의장...-을 위해 기쁨조를 하시겠답니다." 이런 일은 무척 다반사였기 때문에 딱히 어느 지점을 꼽기 어려울 정도였는데..
정말이지..그 때 그 시절 주역들은 다들 뭐하고 있나..참으로 궁금하다..
가끔..그 사람들 중 몇은 너무나 높은 자리에들 가계셔서 차라리 다행이라도 안도할 때도 있다.
적어도 얼굴 볼 기회는 없으니까.
그래, 그런게 다행일지도 모르겠다.
앨리슨 래퍼_Angel_컬러인화_120×165cm_1999
앨리슨 래퍼_untitled_컬러인화_21×21cm_2000
앨리슨 래퍼_Purple Hands series_컬러인화_48×48cm_2000
_2006_0428_금요일_04:00pm
전시장소_예술마을 헤이리 Lee&Park 갤러리
개막행사 및 출판기념회 장소_헤이리 커뮤니티 하우스 다목적 홀
주최_경기영어마을 파주캠프_세계속의 경기도
주관_사단법인 헤이리
헤이리라는 곳..
그다지 호감갈 수 없는 곳이지만, 앨리슨 래퍼의 작업을 보기 위해 가볼까 생각중이다.
그녀의 작품은 이불의 사이보그 시리즈보다도 훨씬 깊숙이 파고든다.
왜냐하면 그녀는 정상에 대비되는 '잡종'들을 나열하면서,
보는 자들에게 불쾌"감"을 통해 얻어지는
거리두기나 자기 냉소..그래서 획득하게 되는
자기연민의 쾌감 따윈 의도하지 않기 때문에.
그녀는 거리두기가 아닌 그 반대의 방향으로 사람들을 흡입한다.
그녀의 삶은 구경거리이길 거부하고, 관음하는 위치로 상징되는 남성관객성은
강력한 인력을 느끼게 된다.
비너스라는 수사가 그녀의 작업을 다시 그 안에 가둔다는 느낌은 들지만..
*위의 사진은 www.neolook.com,에서 퍼온 것입니다.
이 곳에도 노란 바람이 불었다.
목이 칼칼하다.
이 도시는,
노란 먼지가 끼는 게
전혀 낯설지가 않다.
워낙에 노란 빛을 띠던 곳이라
그런 건가
허연 얼굴보다
노란 얼굴이 더 많고
허연 하늘보다
노란 네온이 번쩍이고
허연 밥보다는
노란 밥이
허연 벽보다는
노란 때가 낀 이 곳이
빨간 하늘의 그곳보다
위급해 보이지만
할머니의 노란 이나
어린 아이의 잘 익은 노란 살결, 황금색 스팽글의 드레스가 있는 이 곳은
황사가 왔어도 흰 마스크를 쓰지 않는다.
언니, 오늘은 황사바람이 부니 집에 가서 쉬어요.
여성사, 여성운동사에 빼곡하게, -언제나 충분치 않아보이지만- 들어차 있는 인명들을 볼 대마다 시금털털한 느낌이 든다.
훌륭한 여성들이야 물론 많다.
그 여성들이 왜 훌륭한가에 대해 동의하지 않은 적 없고-그렇다고 분명히 동의한적 또한 없지만
시기별로 급진적인 문제제기의 내용들과 행동의 방식들 또한 달라질 수 밖에 없음을,
인간적 이해를 들먹이기 전에도 운동의 연속성이나 계승-가끔은 그냥 업보라고 여기면 맘 편하다 - 을 생각하다 보면, 심지어 감사할 때조차 있다. 그건 앞으로도 마찬가지리라..
예를 들면 20세기 초의 여성참정권 투쟁없이 지금의 내 고민과 활동이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니까..뭐 지금도 어느 곳에선 여성참정권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고 있을지도 모르거니와..나혜석이 미친년이라는 소릴 들으면서도 당시에서 보면 '지랄발광'이었을 문제제기들을 하지 않았더라면 다른 누군가가 미친년 소리를 계속 들어야 했을 것이다.
그치만 위대한 여성들의 줄서기가 필요하다고는 해도 또 그게 우리를, 나를 외롭게 하지 않는다고는 해도, 그 줄서기 또한 뭔가 석연치 않은 점이 없지가 않다.
그러니까,'위대한' 여성들에게 부여되는 훈장의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선 가끔 의문이 든다 이말이다.'위대한'은 뭐가 위대하다는 건지, 왜 위대한건지, 누가 위대하다고 말하는 건지 기타등등..
그러니까, 일본군성노예 운동을 이야기할 때 위안부 문제를 처음 재기했다는 이효재님은 '선생님'이고 성노예의 생존자로써 첫 증인이자, 열렬한 운동가였던 김학순님은 계속'할머니'다.
이효재님과 김학순님의 활동을 비교해서 뭐가 더 대단하다..이걸 이야기하고 싶은 게 아니라, 보다 많은 여성들이 인명사전에 이름을 차지했으면 하는 소망과, 언어가 없고 발화통로가 없는 여성들에게도, 아니 그런 여성들이야말로 언명과 역사화가 필요하지 않나 싶어서.
쫍.
퀴어들이 해태로 행세, 퀴어가 아닌 척 하는 걸 위장(passing)이라고 한다.더라.
위장은, 속임수라기 보다는 일종의 생존수단으로써의 방어기제같은 거다.
왜냐하면 한국에는 동성애자가 없다..라는 사고방식을 가진 분들이 많이 생존해계시고
트랜스젠더는 임신초기 어머니의 잘못때문에 생기는 일종의 장애다 라고 생각하는 양반도 생존중이시다. 그런 상황에서,
나 여기 있소라고 말하는 건 사회적 자살행위가 될 확률이 매우 높다.
따가 되는 건 기본이고, 회사에서 짤리고, 가족들과 의절하는 등의 일련사태를 겪으면
사회적으로 자살인 셈인데,
이런 걸 감당할 뭔가가 없을 바엔 "예방"이 필요하다..그래서 위장 같은 걸 한다.
이런 실질적인 이유 이외에도, 중요한 이유가 또 있다.
뭐냐하면, 나를 긍정하고 지킬 내부의 힘이 항상 100% 충전되어 있을 리 없으니까.
게다가 퀴어 대표 노릇을 하기는 정말 싫으니까. (저 여자가 레즈비언이래..레즈비언들은 저 여자같이..먹고, 자고, 싸고, 행동하고..등등의 꼬리말들)
그런데, 이런 실질적인 이유들을 넘어서서 가끔 미친척 커밍아웃을 할 때가 있는데
(주로 인간답게 살아보자는 소망에서 기원한다. 판타지도 작용하고..)
신기하게도, 커밍아웃을 한 다음 사람들은 화를 버럭 내곤 한다.
뭐라면서 화를 내냐면,
"네가 동성애자라는 사실 때문에 화가 나는 게 아니라, 네가 날 속여왔다는 게 화가 나는 거야!"
아..사실 이런 어불성설에 답을 하는 열정따위까지 계산에 넣어 커밍아웃 사전 준비를 해도
들을 때마다 다리에 힘이 빠지고 몇 초간은 할 말을 잃게 된다.
"나는 네가 해태로라는 사실 때문에 화가 나는 게 아니라, 내 자신을 해태로처럼 가장해야 했다는 게 화가 나"
내가 이런 반문을 할려면, 아마도 몇 년의 시간은 더 흘러야 할 것 같다.
그 전까지는 가슴 속에 꼬깃꼬깃.
여성들이 언어를 통해 자신을 주조하는 것만큼이나,
소리와 색을 통해,
자신을 해석하는 것도
어디서 본 전례가 없는 일이어서,
이제까지 불가능했고, 지금도 딱히 쉬운 일이 아니라서,
희귀하고 아름답고 용감하다 그런 느낌이 든다.
스윙걸즈는 시스터 액트같은, 억지설정의 감동실화 구성이었음에도
유쾌하고 감동스런 구석이 있었는데, 아마도 그런 이유가 아닐까 싶다.
게다가 재즈라는데!
재즈의 어원이 '찰스'-섹스를 뜻한다나 뭐라나-라는 말이 있는데,
그래서인지 10대 여성들이 재즈를 연주한다는게 더 발칙한 느낌도 든다.
그것도 빅밴드다.
현악기도 아니고 건반도 아니고 금속악기들과 드럼, 전자기타.
어여쁜 짧은 치마를 입고 일렬로 줄지어가지 않아도 되는
플레이할때 조신할수만은 없는 그런 악기들.
그리고 엇박의 변칙들과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오가는 눈빛들(클래식에선 좀체 볼 수 없는)
스윙걸즈는 그것 만으로도 신났다.
방송을 듣고 단상.
1. 콩트에서 '전업주' 캐릭터, 대학생이라는 인물, 이영개 설정 등이 진부하다는 생각이 듬. 조금 더 날선 캐릭터들과 섬세한 정치성이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 잠깐.
2. 정통한 소식통(뉴스)의 뉴스. 좀 더 (현장성있는) 편향된 뉴스들을 수집할 필요. 그리고 그것에 대한 시선들이 정확하게 드러남 좋겠다는 생각..
3. 어린이 명작동화시리즈..이야기를 더 역설적으로 재미있게 구성함 좋겠다는 생각.
4. DJ 구성 이외에 피쳐나 다큐멘터리형식 등등 방송 번외로 제작하고 그럼 좋겠다는 생각.
그래도 다양한 사람들이 구성하는 점은 좋다고 생
봄이다.
어깨에 내려 앉는 햇살이 간지러운 걸 보니.
비록 내 것은 아니지만
친구의 자전거를 타고
동네를 슁슁 달려본다.
세상 색깔이 붉어지고
사람들 얼굴에도 홍조가 돈다.
너무 게으를 필요도 없이
약간은 찬바람이 도는,
아..이른 봄이다.
그래서 자전거가 슁슁 돈다.
http://www.unninet.co.kr/Upload/Bbs/Community/아트락%2011-15.%20김정미%20-%20봄.mp3
댓글 목록
rivermi
관리 메뉴
본문
우주를 날아다니는 그녀의 날개달린 모습이 정말 잼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도 가끔 심심할때 광활한 우주를 날라다니는 상상을 하곤하는뎅...마지막 작품은 넘 슬프네요...뉴스로 알게된 작가인데 실제 작품을 보니 더 좋네요^^ 저두 헤이리 가고싶네요~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