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리영희 대담집 [대화]

원래 다소 오만방자하고 심지어 의심까지 많아서(ㅡ.ㅡ) 존경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아마도 오만방자보다는 이 의심...

그래도 나이가 들면서 존경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건,

그 분들이 워낙 훌륭해서이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사는게 그리 만만치 않다는 걸 자각함으로써 그게 얼마나 훌륭한 건지를 새삼 깨달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리영희 교수의 대담집 [대화]를 읽으면서 시종일관 들었던 생각은...

"이 분은 자격이 있다"는 것...

동시대의 남한 사람들, 그리고 특히 (소위) 지식인들을 야단칠 자격이 있다는...

 

사실, 리영희 교수의 글은 초기 한겨레에 실린 짤막한 글들밖에 읽지 않았었다.

학교 다닐 때에도 그의 책들 - 이를테면 전환시대의 논리- 이 학교 한구석에 굴러다니고,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 같은 책을 다른 이들에게 선물로 건낸 적은 있지만...

내가 학교를 다니던 시절만 해도, 그의 글이 그닥 충격적이거나 충분히(!) 과격하지 않았기에 흥미가 없었던 거다. "원전을 읽기도 힘든 마당에, 이런 교양서적 정도야... 흥..."

돌아보면 좀 어처구니 없지..

 

그도 그럴 것이..

한국사회에 대한 구체적(!) 이해가 일천하고, 더구나 그의 글이 쓰여졌던 "맥락"을 충분히 알지 못했기 때문에 그 가치를 몰라봤던 것...

부끄러운 일이야.... ㅡ.ㅡ (어렸던 나이 탓으로 돌리자..)

 

숙연하거나, 혹은 뜨끔하게 만든 이야기들이 많았지만, 특히 공부를 업으로 삼은 사람으로써 기억해두어야 할 몇 가지 부분...

 

 

 

 

 

 



".. 그렇지만 언론계 생활과 대학에서의 삼십여 년 생활과정에서 나도 세파를 헤치며 살다보니까 적당히 타락했지. '하늘을 우러러 부끄럽지 않고 땅을 굽어보아 뉘우침 없는' 시인 윤동주와 같은 삶은 나에게서 멀어져갔어요. 나도 적당히 '이중인격자'가 되어갔고 위선자가 되었어. 윤동주는 멀리 하늘과 땅을 보면서 부끄러움이 없었지만 나는 멀리 볼 것도 없이 바로 내 마음 속에 있는 거울 앞에서 부끄러운 내 자신의 얼굴을 마주해요. 서글픈 일이지"

 

내 마음 속에 있는 거울이라...... ㅡ.ㅡ;;

 

 

"국제정세의 어떤 문제나 운동양식 등을 파악하고자 할 때, 흔히 '미국 교수 누구누구는 이렇게 말했다'는 식으로 외국인 지식에 대한 권위주의적 노예가 되요. 학문연구의 주체의식이 희박해. 큰 문제야. 자기 나름의 문제의식이나 분석방식 없이 남의 이론을 빌려서 자기의 권위로 이용하는 작태를 나는 멸시해요. 내 글에는 누구는 이렇게 말했다는 식이 없어. 정치이론도 사회비평도 다각도로 교차검증한 다음에 일단 소화하고 내 머릿속에서 내 것으로 만들고 충분히 반죽해서 자신의 누룩을 가미해서 발효시켜서 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지요... 나는 현학적인 것을 제일 싫어하는데, 그런 현학적인 글을 쓰는 사람들은 그 인용한 누구의 이름에 자기를 동일시하려는 허영에서 출발해요. 자기의 지식이 돼버린 것은 굳이 누구의 것이라고할 수 없어요. 대신 뼈를 깎는 노력을 통한 철저한 '자기화'가 필요하지.."

 

아... 뜨끔....

 

 

"누구나 자신의 특기와 장점을 살려서 사회에 공헌해야지. 나는 스스로 직접적, 현장적 행동으로써가 아니라 남들보다 앞선 지적 봉사, 즉 머리와 지식과 글로써 남이 못하는 선구적 계몽자 역할의 큰 일을 할 수 있다고 믿었으니까. 실제로 그랬고"

 

음......

 

 

"글을 쓰는 나의 유일한 목적은 '진실'을 추구하는 오직 그것에서 시작하고 그것에서 그친다. 진실은 한 사람의 소유물일 수 없고 이웃과 나누어야하는 까닭에 그것을 위해서는 글을 써야 했다. 글을 쓴다는 것은 '우상'에 도전하는 행위이다. 그것은 언제나 어디서나 고통을 무릅써야 했다.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고, 영원히 그럴 것이다. 그러나 그 괴로움 없이 인간의 해방과 행복, 사회의 진보와 영광은 있을 수 없다."

 

음....

 

"내가 늘 지식인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어요. 실제로 그렇게 이야기를 해왔고. 지식이 아무리 많아도 '의식'이 없으면 그 지식은 죽은 지식이다. 국제법을 몇십년을 공부해도, 박사학위를 몇 개씩 받아도, 아무런 '회의'도 없이 그저 정부가 내놓은 대로만 '지식화'하면 영원히 무식자로 남을 뿐이라. 그것이 우리 교수들, 전문가들, 박사들의 실정입니다."

 

또 뜨끔...

 

"하느님이라는 실이 만물을 창조했다거나, 자기가 만든 남자의 늑골을 하나 빼서 여자를 만들었다거나, 에덴동산의 남녀와 사과와 뱀 따위의 성경 기록이라던가, 선인과 악인을 가려서 하나님나라 천당이나 지옥으로 보낸다는 따위의 이야기도 나의 이성과는 무관한 일이야"

 

앗, 좋아라...

 

 

"그런데 나에게는 신문에서도 무시되고 인류의 관심을 거의 건드리지 않고 지나간 '작은 일'처럼 감격적이고 중요한 '사건'은 없었어. 1988년 9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명예회복 결정을 내린 것이오. 기독교의 미신성, 반과학성, 반지성, 열성, 독존성, 비인간성, 반관용, 잔인성, 이중인격성, 반동성 등 모든, 그리고 온갖 악적 과거를 간접적으로 그러나 공개적으로 고백한 중대사이지. 종교적 야만과 미신에 대한 인간이성의 승리선고였지. 거꾸로 인간이성과 과학적 사고에 대한 기독교적 무지와 폭력의 패배선고이기도 하고"

 

웬지 진짜 나와 한 편인 거 같은 느낌이란.... ???

 

 

"내가 할 역할은 다 했고, 남은 역할은 내가 변치 않고 그 자리에 그 모습으로 있어주는 것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어. 이 나라, 사회의 변화와 전진을 지켜보면서, 혹시 요구가 있으면 몇 마디를 해주는 것으로 족하지. '족한 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는 성현의  가르침은 지금 바로 나에게 한 말이라고 생각하게 됐어요."

 

숙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