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조직화 의식화

계급으로서의 조직화

계급으로서의 의식화를 이야기 했는데...

 

사실 모든 활동가들이 다 하는 뻔한 말을 그저 되풀이 한 것에 불과하다.

 

그런데 다 알고 있고, 다 애쓰고 있는 이 말을 또 떠들어 대는 건,

그 알고 있는 것과 애씀이 어떤 원칙과 방법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 때문이다.

 

원칙과 방법이 결국 조직화 의식화의 결과를 만들기 때문이다.

 

그저 나름대로 생각하고 있는 몇가지 원칙

- 이것 역시 뻔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지만 - 을

메모로 우선 적어 둔다.

 

 

1. 당사자성
1-1. 활동대상이 아닌 활동 주체로서의 당사자
1-2. 의사결정과 그 실천 주체로서의 당사자
1-3. 자신의 힘-조직화 의식화-을 스스로 키워가는 당사자

 

2. 지역(현장)성
2-1. 당사자의 삶의 공간으로서의 지역과 현장
2-1. 당사자 조직의 근거지로서의 지역과 현장
2-3. 구체적인 문제와 대안이 교차하는 지역과 현장
2-4. 당사자들의 힘이 실현되는 지역과 현장
2-5. 연대의 기본단위로서의 지역과 현장

 

3. 계급성
3-1. 자기 정체와 자기 이해를 분명히 하는 계급의식
3-2. 근본적 변화-발전-를 향한 대안 세력으로서의 계급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