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박정희의 날(2)
- 은수
- 2009
-
- 디스트릭트 9(2)
- 은수
- 2009
-
- 2009/10/23(4)
- 은수
- 2009
-
- 꾸물꾸물 말하고 싶을 때(4)
- 은수
- 2009
-
- 참, 닮은 꼴(6)
- 은수
- 2009
며칠 전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을 텍스트로 이야기가 오고갔다.
나혜석, 윤심덕과 같은 신여성에 대해서는 솔직하게 그동안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냥 이름만, 그리고 그 유명한 동반자살설 정도는 어디서인가 본 정도.
책을 보고
그녀들을 자아분열로 몰고 가게했던 고통과, 사회적 비난들은
단순히 그녀들에게 '부르주아'의 계급적 특권 딱지를 붙이기 전에
다시금 신여성과 근대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었다.
근대성 규정에 대한 페미니즘적 제기에 대해선 좀 더 고민해봐야겠지만.
문제는 '된장녀'와 관련된 것이었다.
지난 시간, 나는 된장녀 논란에 대해 여성에 대한 비난이라는 측면이 강하지만
요즘 20대가(남/여 할것없이) 미국의 중산층을 모델로 삼고 일종의 신분상승을 꿈꾸며
그들의 옷, 그들의 가방, 그들의 커피까지도 동경하는 현실에 대해 비판적이라고 말했다.
그들 개인에 대한 비난보단, 그렇게 만드는 사회에 대한 이야기였지만 어쨌든.
그런데 한 친구는 지난 시간 내 말이 '불편했다'고 털어놓았다.
친구는 이렇게 말했다. "난 내가 된장녀라고 생각해."
그 순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충격이 있었다.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 모두, '된장녀'논란을 이야기하면서도
내가 아닌 '타자', '사회적 현상'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했었으니까.
친구의 말을 간단하게 요약해보자면, 이러했다.
"난 명품 보면 예쁘고 갖고 싶고, 나중에 돈벌면 갖고 싶은거 다 살꺼야.
예뻐지고 싶어 성형수술 할까도 생각했어. 그런데 그게 왜 잘못됐지?
여성주의하는 사람은 그렇게 하면 안되는거야?
넌 욕망이 없니? 그걸 억누르면서 살아야한다면 고통스럽지 않니?
난 자기 욕망을 긍정하고 실현하는 여성주의자가 되고 싶다"
자기 욕망이라. 자기 욕망이라.
그 문제에 대해 한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실은 하루에도 몇번씩 생각하고 있는지도.
운동을 하면서는 일종의 '윤리의식'과 '자기검열'로 억눌렀던 부분도 있고.
(다른 사람들의 눈에는 어떻게 보였을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만나면 부담스런 친구들을 끊어가면서, 나 자신을 통제했던 적도 있었다.
견물생심이라고 안보면 욕망도 안생기는게 사람 마음이니까.
나한테는 그게 차라리 맘 편한것이기도 했다.
지금도 여전히 개인들의 욕망을 집단적으로 획일적으로 생산하고 부추기는 건
자본주의의 사회적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나의 욕망'에 대해서는 좀 더 생각을 해봐야겠다.
정이현의 소설을 가장 좋아하는 그녀와 나의 '차이'에 대해서도.
댓글 목록
joplin
관리 메뉴
본문
샘.. 아무리 읽어봐도 그녀가 했다는 저말은.. 함부로 말할건 아니지만 갑갑하네요ㅠ.ㅠ 명품보면 다 갖고 싶어서 돈 벌면 다 산다...게다가 여성주의하는 사람은 그렇게 하면 안된다..저 분은 여성주의를 여성의 이기심에 대한 긍정 쯤으로나 아는 것 같군요. 비정상적 소비문화를 지탱하는 희생-이를테면 제3국의 저임금 노동자-을 모르는 것이거나, 안다면'착취-억압'구조를 긍정한다는 말이겠죠. 여성주의가 어디 그런거랍디까? 게다가 자기 욕망을 긍정하고 실천한다고 했을 때, 그녀가 설마 그 욕망이 '자기 욕망'이라고 생각하는 건 아니겠죠? 미디어가 만든 욕망이라도 나만 행복하면 된다는 논리는 전혀 지성인답지 못한 생각이네요. 지금이 근대성을 반성하는 시대이긴 해도 반성의 잣대는 여전히 근대가 만든 이념들이잖아요. 정치적인 면에서 '주체'는 아직 굳건한 것인데. 흠. 여성학 공부하기 전에 인문학이 뭔지 알아야 할 분 같네요. '욕망'이란 걸 파헤치고 또 파헤치다 보면 그 실체는 결국 '사회성'이라는 건 알아요. 채식주의자가 육식이라는 생태적 본능을 겨냥하는 게 아니라 육류소비의 불균형성을 겨냥하는 것처럼, 우리가 저런 소비를 경계하는 것도 욕망 자체가 아니라 현대의 욕망이(혹은 조장된 욕망이) 삶의 구체성을 해치고 다른 가치들을 덮어버린다는 데 문제가 있어서죠.함부로 말할 게 못되는데 함부로 말해서 죄송해요.. ^^;;
부가 정보
은수
관리 메뉴
본문
흠, 개인의 욕망이 '사회적으로 창출'되는 것이라고 저도 생각해요. 샘 말에 동감. 코멘트 좀 자주 해주세요. 재밌어요.제가 저 친구의 말을 너무 단순화시켜서 써버린건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저 친구에게 뭔가 이해할 수 있는 부분- 누구나 그 '사회가 창출한 욕망'과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에-도 있고, 또 나의 욕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도 되고,,,하지만 넘을 수 없는 선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ㅋㅋ 그래요^^
부가 정보
joplin
관리 메뉴
본문
오토 아펠이라는 사람이 이렇게 말했대요.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는 자연적 사건들의 해명과는 대조적으로 하나의 규범적인 정당화에 대한 요청을 함축해야 한다.' 샘이 말한 '넘을 수 없는 선'이란 건 바로 이런 요청이겠죠?^^ 인간이 '사회가 창출한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비판적 시각을 의문시할 이유가 되진 않는다고 생각해요. ^^저도 글쓰기 전에, 그 친구의 말을 직접 들은게 아니라서 함부로 말하기가 좀 뭣하다 생각하긴 했답니다..^^
쌤 글도 다 재밌고 공감가는 것이 많아요~ 종종 들를게요~~^^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