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우리 땅을 품은 이름, 백두대간

산맥이 아니라, 산경 

 

 산맥의 뜻을 국어사전에서 살펴보면‘여러 산들이 이어져 줄기를 이룬 지대’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산‘줄기’이지요.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한반도의 산맥 이름은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의 지질학자 고토 분지로에 의해 붙여진 것입니다.

고토 분지로는 1900년과 1902년, 두 차례에 걸쳐 14개월간 한반도의 지질을 조사하고 1903년 <조선산악론>이라는 논문과 지질구조도(1:2,000,000)를 발표합니다. 그의 논문에 기초해 수립된 것이 지금까지 우리가 가르치고 배우고 있는 산맥체계인 것이지요.

그런데 이 산맥도를 살펴보자니 조금 이상합니다.

산맥이란 산이 이어진 줄기라고 했는데, 곳곳에서 강과 만나 산줄기가 끊어집니다. 그것은 바로 이 산맥도가 땅위의 산 모양이 아니라 땅속의 지질 구조선을 그려 놓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말하자면 고토의 산맥도는 지리 개념이 아니라 지질 개념인 것이지요. 지질학으로 지리학을 설명하자니 모순이 생길 수밖에요.


고토 분지로가 산맥 이름을 붙이기 전, 우리 땅의 산줄기는 대간과 정간, 정맥의 이름으로 불리었습니다.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내달리는 한반도의 중심 줄기인 백두대간과 장백정간, 그리고 13개의 정맥이 바로 그것입니다.

  산맥이 땅 속의 지질구조선에 따라 땅 위의 산들을 인위적으로 분류한 지질학의 표현인 반면, 백두대간의 지형도는 땅 위의 산줄기와 물줄기를 있는 모양새 그대로 그리고 있습니다.

 백두대간과 정맥들을 지도에 그려보면, 험한 산줄기와 물줄기를 경계로 사투리가 다르고 먹는 것이 다르고 사는 집이 달랐던 우리네 옛 삶의 경계가 한 눈에 들어옵니다.

그 자체로 우리 생활권역의 자연스런 분계가 되는 것이지요.

백두대간과 정맥을 표시한 산경도는 사투리와 음식, 가옥 형태는 물론, 오일장과 보부상의 상권, 절기와 꽃피는 시기까지, 한반도의 삶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똑똑한 그림입니다. 

백두대간을 체계화, 도표화한 것이 바로 1769년 편찬된 『산경표』입니다.

현존하는 지도 가운데 가장 오래된 1402년의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우리나라 부분과 우리나라 전도로서 가장 오래된 1557년경의 <조선방역지도>는 『산경표』에 기록된 대간, 정간, 정맥 그리고 그로부터 가지 친 기맥까지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산경 개념은 이후 여지도류와 도별 군현도 등에서도 그대로 나타납니다. 특히 김정호도 그의 <동여도>와 <대동여지도>의 제작에도『산경표』의 원리를 적용하였습니다.

고지도에서 알 수 있듯, 산경원리는 글로 정리된 『산경표』보다 지도에서 지형표현으로, 300~400년 전인 1500년대 이전에 이미 정립되어 널리 쓰이고 있었습니다.


백두대간 개념은 우리 선조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이 땅을 이해해온 전통적인 지리체계입니다.

우리 민족의 산에 대한 각별한 철학이자, 땅을 살아있는 생명체로, 사람과 함께 사는 존재로 여기고 살아온 우리 조상들의 세계관이 녹아있는 것이지요.

땅을 지하자원의 창고로 본 태백산맥과 산을 삶의 터로 여겼던 백두대간은 같은 것을 부르는 두 개의 이름이 아닙니다.

지리인식의 출발점도, 분류방법도, 포함되는 산들도 다른, 완전히 다른 지리인식체계인 것입니다.

우리 산줄기의 옛 이름을 찾아주는 것은, 일제에 의해 훼손된 이 땅의 명예를 되찾는 일인 동시에, 우리 삶의 터인 땅을 바로 이해하는 그 바탕을 세우는 일입니다.  

 

(문은정) 

지도에 '태백산맥' 대신 '백두대간'을 표기하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