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프레시안]외교부 vs 미 대사관 북 위폐문제로 충돌

외교부 "미 대사관, 침소봉대하지 마라"
"23일 협의서 '대북금융제재 동참' 요구받은 적 없다"
등록일자 : 2006년 01 월 25 일 (수) 17 : 43   
 

  외교통상부와 미 대사관이 지난 23일 있었던 위폐 문제에 대한 한미 양국 간의 협의를 두고 다른 목소리를 내면서 '충돌'하고 있다.
  
  외교부 "정확하지 않은 보도자료…적절치 않다" 강한 비판
  
  대니얼 글래이서 미 재무부 테러자금 및 금융범죄 담당 부차관보가 방한 기간 중 외교부와 가진 북한 위폐 문제 관련 협의에서 한국정부에 북한 금융제재 조치에 동참해달라고 요구했다는 주한 미대사관의 24일 보도자료에 대해 내용이 과장됐다며 외교부가 정식으로 반박하고 나선 것.
  
  외교부는 25일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1월 23일 개최한 미 재무부 팀과 우리측과의 회의결과에 대해 주한 미 대사관측이 배포한 보도자료는 한미 양측간 논의된 내용을 일부 과장하는 등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정식으로 비판했다.
  
  외교부는 이어 "미 재무부팀은 중국, 홍콩, 마카오 방문결과를 우리측에 설명하면서 불법금융 및 테러자금 거래 방지 등을 위한 일반적 협조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으나 우리 정부에 대해 구체적 조치를 취해줄 것을 공식이든 비공식이든 요청한(urge) 바는 없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미 재무부팀이 우리측과 협의결과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은 보도자료를 발표했다"며 "이는 한미간 사전 양해에 비춰 볼 때 적절치 않다고 본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앞서 지난 23일 미 재무부팀과 외교부의 회의 직후 외교부 당국자는 "순수한 브리핑"이었다며 여러 문제에 대한 협의라고 볼 수 없는 회의였음을 시사했었다.
  
  그러나 미 대사관은 다음날 보도자료를 통해 글레이서 부차관보는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대응체제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한국이 WMD 확산 주범과 그들을 돕는 지원망을 재정적으로 고립시키는 데 더욱 힘을 써달라"고 요청했으며 북한의 불법활동을 막기 위해 한국정부에도 비슷한 조치를 요청했다고 밝힌 바 있다.
  
  ☞ 관련기사 보기 : "미 금융범죄단속반 '업무소개'만 했다"더니…
  
  이를 두고 외교부가 다시 논평을 내 "적절치 않다"는 외교상 이례적 표현을 사용하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이다.
  
  미 대사관, 여전히 "24일 발표내용 지지한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논평을 낸 데 이어 "미 대사관의 보도자료가 회동의 내용을 침소봉대했다"고 또 한번 강조하고 양국간 협의 내용을 균형 있게 반영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미 대사관측의 주장처럼 미 재무부팀이 한국측에 특별한 조치를 요구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23일 협의에서는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BDA)은행 조사와 관련된 부분을 주로 논의했다"며 "중국으로부터도 이 사안과 관련해 협의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의 판단의 근거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 대사관이 배포한 보도자료에 촉구(urge)했다고 하는데, '촉구'는 우리가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는 "이 같은 우리 정부의 입장을 미 대사관측에 충분히 설명했다"며 "미국도 그에 대해 우리가 기대했던 수준의 반응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주한 미대사관 로버트 오그번 대변인이 "미국 대사관은 24일 발표한 보도자료를 지지한다(stand by)"며 "미 대사관은 그 외에 추가할 말이 없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논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여정민/기자
ⓒ 2001-2005 PRESSian. All right reserved.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