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文대통령 "억울한 죽음 낳은 병영 폐습 송구"

공군 성추행 피해자 사망에 사과…"보훈은 인권과 일상 지켜주는 것"

군내에 이어지고 있는 부실 급식 문제, 성추행을 당한 공군 부사관 사망 사건에 대해 군통수권자로서 처음 사과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6회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보훈은 지금 이 순간, 이 땅에서 나라를 지키는 일에 헌신하신 분들의 인권과 일상을 온전히 지켜주는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군 장병들의 인권뿐 아니라 사기와 국가안보를 위해서도 반드시 바로 잡겠다"고 했다.

 

현충일 추념사를 통한 문 대통령의 발언은 잇따르는 군 성추행 사건에 대한 엄정 수사·조치를 지시한 데 이어 목숨을 잃은 피해자와 유가족, 국민들을 향해 공식적으로 사과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현충일 추념식 직후 경기 성남시 국군수도병원에 마련된 공군 성추행 피해 부사관의 추모소를 찾아 조문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사망한 부사관의 유가족들에게 "얼마나 애통하시냐"는 위로의 말과 함께 "국가가 지켜주지 못해 죄송하다"는 뜻을 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에 유족들은 "딸의 한을 풀고 명예를 회복시켜 달라", "철저하게 조사해 달라"고 요청했고, 문 대통령은 "철저하게 조사하겠다"면서 "부모님의 건강이 많이 상했을 텐데, 건강 유의하시기 바란다"고 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함께 추모소를 방문한 서욱 국방부 장관에게 "철저한 조사 뿐 아니라 이번 계기로 병영문화가 달라지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한반도 비핵화 다시 큰 걸음을"


 

현충일 추념사에서 문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가진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강화한 한미동맹 의미를 강조하며 "정부는 튼튼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국제질서와 안보환경에 더욱 주도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과 나는 강력한 '백신동맹'으로 코로나를 함께 극복하기로 했고, 대화와 외교가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이루는 유일한 길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향해 다시 큰 걸음을 내디딜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번 회담에서 '미사일 지침'을 종료한 것은 미사일 주권을 확보했다는 의미와 동시에 우주로 향한 도전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뜻한다"며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우주 분야 협력을 확대하고, 독자적인 우주발사체 개발을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우주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제 애국심도, 국경을 넘어 국제사회와 연대하고 협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2001년, 일본 도쿄 전철역 선로에서 국경을 넘은 인간애를 실현한 아름다운 청년 이수현의 희생은 언젠가 한일 양국의 협력의 정신으로 부활할 것"이라고 했다.



출처: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1060611451903470#0DKU 프레시안(http://www.pressian.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