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으로 “‘평화국가로서 살상무기 수출은 안 된다’는 원칙적 입장을 쉽게 포기하면 안 된다. 대통령의 방미가 한·미 동맹을 확인하는 중요한 외교 행사인 만큼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 하지만 미국 방문은 국가 목표를 달성하는 한 수단”이라며 “우리가 한·미 정상회담 때까지만 사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라고 했다.
한겨레도 <‘우크라 무기 지원’ 가능성 언급, 우려 커지는 방미> 사설에서 “대통령이 외신 인터뷰 형태로 불쑥 꺼내는 방식을 도저히 이해하기 힘들다”며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을 향해 보내는 메시지이거나, 지난주 미국을 다녀온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미국과 논의를 거친 것 아니냐는 추측을 하게 된다”고 했다.
윤 대통령 4·19 기념식 ‘가짜뉴스’ 발언에 조선일보 한겨레 보도 엇갈려
윤 대통령은 19일 오전 제63회 4·19혁명 기념식에서 “지금 세계는 허위 선동, 가짜뉴스, 협박, 폭력, 선동이 진실과 자유로운 여론 형성에 기반해야 하는 민주적 의사결정 시스템을 왜곡하고 위협하고 있다”며 “거짓 선동과 날조 이런 것들로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세력들이 독재와 전체주의 편을 들면서도 겉으로는 민주주의 운동가, 인권운동가 행세하는 것을 세계 곳곳에서 우리는 많이 봐왔다. 이런 거짓과 위장에 절대 속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에 20일자 1면에 조선일보는 폭스뉴스가 가짜뉴스를 보도했다가 1조 원을 물게 된 소식을 다뤘고, 한겨레는 정부에 비판적인 야당이나 시민사회단체, 노조 등을 겨눠 발언했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가짜뉴스 보도했다가 1조원 물게 된 폭스뉴스> 기사에서 “2020년 미국 대선에 대해 개표기 조작 가능성을 수차례 보도했던 폭스사가 투·개표기 제조업체에 1조원에 달하는 돈을 물어주기로 합의했다. 언론·출판의 자유를 규정한 수정헌법 1조를 절대 가치로 여기며 표현의 자유를 폭넓게 인정해온 미국에서 언론 보도 관련 재판이 이처럼 거액의 배상으로 마무리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보도했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