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는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이 김 여사 쪽과 조사 방식 등을 조율하던 민감한 시기”였다며 “두 사람의 통화 나흘 뒤인 지난해 7월7일 이원석 당시 검찰총장이 박성재 법무부 장관에게, 문재인 정부 시절 검찰총장의 수사지휘권이 배제됐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에 대한 지휘권을 회복해달라고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이렇게 검찰총장이 배제된 상황에서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대통령실을 통해 김 여사 조사 방식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고 했다.
12·3 내란사태 수사로 김 여사 비화폰 사용 사실이 드러났지만 구체적인 통화 내역이 밝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겨레는 민정수석은 김 여사 행사나 의전과 무관한 대통령 참모인 데다, 비화폰은 서로 통화 대상을 설정할 수 있어 민정수석 외 다른 수석비서관이나 장관과도 통화가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동아 “검찰총장에 웬 비화폰, 적당히 넘어갈 일 아냐”
한편 심우정 검찰총장과 김주현 전 대통령민정수석이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 의혹이 불거지던 지난해 10월 비화폰으로 2차례 통화했다는 전날 한겨레 보도에 동아일보와 경향신문, 한겨레, 조선일보가 관련 사설을 내놨다. 조선일보를 제외한 신문들이 “적당히 넘어갈 일이 아니다”라고 밝히거나 심 총장 사퇴 및 특검 수사를 주문했다.
경향신문은 <심우정·김주현 의심스런 비화폰 통화, 특검서 밝혀라>에서 ‘민정수석으로부터 인사차 비화폰으로 연락이 와 검찰 행정 정책 관련 대화를 했다’는 대검의 해명을 반박했다. “통화기록상 심 총장이 먼저 전화를 걸었다”는 것이다. 이어 “대통령경호처가 검찰총장에게 비화폰을 지급한 건 전례가 없다. 심 총장과 대통령실 간 상시적 비밀 소통을 염두에 둔 것으로, 이 자체가 검찰 독립 취지에 정면으로 반한다”며 “‘김건희 특검’을 맡은 민중기 특검은 두 사람 통화가 검찰의 김씨 봐주기와 관련된 게 아닌지 밝혀야 한다”고 했다.
동아일보도 사설에서 “해명 한두 마디로 적당히 넘어갈 일이 아니다”라며 “국가 안보와 직접 관련이 없는 검찰의 수장에게 비화폰을 준 것부터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했다. 이어 “통화 일주일 뒤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개입 의혹에 대해 검찰이 불기소 처분을 한 것도 석연치 않다”며 “김 전 수석이 심 총장을 통해 이들 사건에 은밀하게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면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흔드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했다. “그동안 명태균 게이트 수사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처분을 놓고 검찰의 봐주기 논란이 적지 않았다”는 에유에서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