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야권 단일화 방안 협상과 관련해 후보 간 담판으로 합의점을 도출하기로 했다.

문 후보는 21일 밤 서울 효창동 백범기념관에서 진행된 후보 단일화 토론에서 “안 후보께서 아까 방송기자클럽 토론에서 협상이 잘 안되면 후보 간 담판을 통해 방식을 합의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지금까지 협상이 지지부진한데 내일 만나보시겠나”라며 안 후보에게 후보 간 담판 회동을 전격 제안했다. 이에 안 후보는 “그렇게 하면 좋겠다. 많은 국민들이 답답해하신다”며 “같이 만나 뵙고 좋은 방안들이 도출되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양측은 지난 19일부터 시작된 단일화 방식 실무 협상에서 소위 공론조사 대상과 여론조사 설문 문항 두 가지 쟁점에서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앞서 안 후보는 이날 오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주최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단일화 방식 협상과 관련, “협상이 잘 진행되지 않고 부작용이 우려될 경우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만나 두 사람이 푸는 게 바람직하다”며 담판 합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야권 단일화 막판 협상에서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었던 이날 단일화 토론에서, 문 후보와 안 후보는 단일화 협상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시작부터 치열한 기 싸움을 벌였다.

   
▲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가 21일 오후 서울 효창동 백범기념관에서 지상파 방송 3사의 공동 생중계로 100분간 진행되는 후보단일화 TV토론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후보는 각 후보에게 7분씩 주도권을 주는 정책검증 토론이 시작되자마자 담판 회동 ‘선(先) 제안’이라는 승부수를 던진 뒤, “월요일(19일) 처음 만났을 때 안 후보 측이 공론조사와 여론조사를 하자고 해서 저희가 동의를 했다”면서 “그런데 공론조사의 대상을 모집하는 방법과 여론조사의 문항에 대해 안 후보 측이 처음 주장하는 것에서 전혀 달라지지 않고 있다. 조금 절충이 필요할 것 같은데 안 후보께서 동의해주시는 게 어떻겠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문 후보는 이어 “협상이라는 것이 서로 양보해가면서 절충점을 찾아야 하는데 안 후보 측이 처음 주장하는 것에서 조금도 달라지지 않고 있다”며 “처음 주장을 계속 되풀이하면서 저희 쪽이 재량이 없다고 하면 저희는 갑갑하다”고 화살을 날렸다.

이에 안 후보는 “제가 알기론 사실이 아니다”라며 “저희가 제안을 했고 (문 후보 측이)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하셔서 계속 협상이 진행 중인 걸로 알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처음 월요일 만나 뵙고 나서 협상실무팀에 모든 것들을 일임하자고 연락을 했다”며 “저는 (단일후보 선출 방식에 있어) 공정하고 객관적이고 실행가능하고 누가 박근혜 후보를 이길 수 있는 후보인지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했는데 안타깝게도 의견 접근이 이뤄지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단일후보 선출 방식과 관련해 문 후보는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으로부터 누가 더 많이 지지를 받느냐가 기준"이라고 주장했으나, 안 후보는 "마지막 투표 순간에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단일후보가 있을 때 누구에게 지지를 보낼 것인가가 현장 상황을 제일 잘 반영할 수 있다"고 팽팽히 맞섰다.

단일화 여론조사 문항을 정하는 것과 관련해 문 후보 측은 적합도, 안 후보 측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의 양자 가상대결 방식을 주장하며 대립해왔다. 지금까지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 후보가 적합도, 안 후보가 가상대결 방식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협상장에서 해당 쟁점으로 논의가 진전되지 않자 문 후보 측은 지지도를 조사하는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안 후보 측이 가상대결 방식의 원안을 고수했다는 것이 문 후보 측 설명이다. 그러나 안 후보 측은 문 후보 측이 지지도를 꺼내놓지 않았다는 상반된 입장이다.

한편 문 후보는 이날 단일화 토론 모두발언에서 "국정은 실패나 시행착오를 허락하지 않는다. 연습할 시간도 없다"며 "좋은 뜻과 의지만으로 되는 건 아니다"라고 국정 경험을 내세웠다. 안 후보는 `시내버스 운행 중단 사태'에 대해 "정치가 왜 이런 일을 조정 못하는지 답답하다. 많은 분들이 제 손을 꼭 잡고 정치를 바꿔달라고 한다"고 ‘새 정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