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Relative Rsk (Odds ratio and risk ratio)

이름을 밝힐 수 없는 누군가가 물어왔다

Odds ratio를 쓰려면 rare disease assumption이 충족이 되어야 한다고 배웠는데,

그 가정을 충족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가 사실인가 하는...

으, 역학 배운지 너무 오래돼서 다 잊어버렸는데...

그래도 옛날에 여기서 역학을 처음 배울 때,

그 문제를 가지고 Alex Walker인가가 열강을 했던 기억이 있어서

무작정 모른다고 하기는 좀...

(도대체 아는 게 없군. 흑)

 



물어본 다음, 단시간 내에 뭔가가 안 나와서

내 역학 조교였던 친구에게 물어봤다. (옛날 노트 뒤지는 건 절대 할 수 없지!)

허나

그 친구도 가물가물 거의 써본 적이 없어서 잘 기억이 안 난단다.

우리는 주로 cohort study를 가지고 연구하는 데다가

혹시 nested case-control study를 한다 해도

rare disease assumption을 충족시키는 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그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다시 google로 돌아가서

논문 몇 개를 찾아봤다.

이게 나온 논문들...

 

Greenland, S. (2004). Model-based estimation of relative risks and other epidemiologic measures in studies of common outcomes and in case-control studies. Am J Epidemiol, 160(4), 301-305.

Greenland, S., & Thomas, D. C. (1982). On the need for the rare disease assumption in case-control studies. Am J Epidemiol, 116(3), 547-553.

Greenland, S., Thomas, D. C., & Morgenstern, H. (1986). The rare-disease assumption revisited. A critique of "estimators of relative risk for case-control studies". Am J Epidemiol, 124(6), 869-883.

Khoury, M. J., Flanders, W. D., Greenland, S., & Adams, M. J. (1989). On the measurement of susceptibility in epidemiologic studies. Am J Epidemiol, 129(1), 183-190.

Miettinen, O. (1976). Estimability and estimation in case-referent studies. Am J Epidemiol, 103(2), 226-235.

Rodrigues, L., & Kirkwood, B. R. (1990). Case-control designs in the study of common diseases: updates on the demise of the rare disease assumption and the choice of sampling scheme for controls. Int J Epidemiol, 19(1), 205-213.

 

그러고 보니,

내가 쓰고 있는 smoking이나 violence를 outcome으로 할 경우에는

prevalence가 10%가 훌쩍 넘어가기 때문에

rare disease assumption 을 적용할 수 없으니 Logistic regression을 쓰지 말고

GEE를 써서 prevalence ratio을 계산해야 한다고 했던 기억이...

 

여기 Harvard의 Donna Spiegelman이

"이렇게 쉽게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놓았으니,

발생률 혹은 유병률이 높은 질병을 outcome으로 쓸 경우, OR 쓰지 말고

내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마음껏 퍼가서 써라" 이렇게 AJE에 올려놓았다.

(http://www.hsph.harvard.edu/faculty/spiegelman/relrisk8.html)

나도 이것 쓰고 있다.

필요하신 분은 갖다 쓰시오...

 

그리고 prevalence/incidence가 높아지면 OR이 점점 진실에서 멀어진다는 걸

보여주는 논문들도 있다. (더 있는데 귀찮아서...)

 

McNutt, L. A., Wu, C., Xue, X., & Hafner, J. P. (2003). Estimating the relative risk in cohort studies and clinical trials of common outcomes. Am J Epidemiol, 157(10), 940-94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