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월 5일, 충주의 몇 군데를 답감(踏勘)했다.
그중 한 군데가 미륵리 절터였다.
잔설이 남아 있는 옛절터 너머 산이 깊었다.
절 입구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석재가 뒹굴고 있었다.
그걸 잘 수습해 한 군데 모아뒀는데, 모양으로 봐서 당간지주라 한다.
이렇게 당간지주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것은 본 적이 없다. 매우 특이한 형태다.
석재가 깨져 복원이 어려워 보였다.
미륵리사지에서 가장 귀여운 건, 역시 거북이다.
비석받침인 귀부인데, 엄청나게 크다. 한국에서 가장 큰 귀부가 아닐까 한다.
등껍질에 계단이 새겨져 있는 것도 특징적이지만,
작은 아기 거북이 어미 거북의 등껍질을 타고 오르는 모습이 백미다.
석탑과 석등은 그리 특징적이거나 하지는 않았다.
절터는 전체적으로 강한 임팩트를 줬지만, 하나 하나 따져볼 때 우수하다거나 한 건 아니다.
작은 석등 하나는 그 위치가 맞는지 의문시된다. 그런데 그보다, 석등에 새겨진 문양이 특이하다.
다른 곳에서 본 기억이 없는 문양이다.
석탑은 잘 다듬어지지 않은 석재를 썼다는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랄까.
큰 석등(중앙에 위치한 석등) 사이로 미륵리 절터 미륵부처의 얼굴이 들어온다.
부석사 석등 사이로 무량수전 현판이 들어오는 것처럼.
그런데 더 정겹다.
이 절터의 압권은 역시 미륵리 석불입상과 그 주위를 둘러싼 석축이다.
미륵부처는 보물 제96호인데, 충청 지역에 즐비한 미륵부처의 모습 그대로이다.
다만, 몸통에 낀 이끼들과는 달리, 얼굴에는 이끼가 전혀 끼지 않았고,
그 얼굴이 하얀 석재라서 영험하다고 신도들은 말한다.
한국에서 유일하게 북쪽을 바라보고 서 있는 불상이다.
높이는 10.6m에 이를 정도로 크다.
미륵부처를 둘러싼 석축 위로 건물을 세웠을 거로 추정하는데, 지금은 사라졌다.
13세기 몽고군이 쳐들어왔을 때 소실된 것으로 추정한다.
미륵리 절터의 석축은 부석사와 불국사의 그것처럼 정교하거나 세련되지 않았다.
그러나 그 거칠고 육중한 질감과 양감이 주는 느낌이 좋다.
미륵부처를 둘러싼 석축에는 특이한 모양의 작은 불상들이 있다.
조성자는 아마도 석축 사이사이를 일종의 감실로 생각했던 것 같고
거기에 넣을 불상들을 만든 것 같은데, 추상적이라 지금 시점에서 보면 모던하다.
또 어떤 불상은 아주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다.
다리를 꼬고 있는데, 반가사유상처럼 한 쪽 다리를 다른 쪽으로 얹은 것이 아니라
오금에 대고 있는 모습이다.
빛의 각도가 적절하지 않아 사진에서는 그 모습이 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