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류노스케의 단편집

 류노스케의 단편집(라생문, 코, 두자춘, 밀차, 덤불속아쿠타가와 , 지옥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1892~1927) 지음/ 진웅기 옮김

출판사 : 범우사

2009년 1월 27일 00시 35분


설 연휴를 맞아 두 권의 책을 읽기로 하였다. 한권은 강신준 교수의 자본의 이해와 한권은 원숭이는 왜 철학 교사가 될 수 없을까라는 제목의 청소년 용 철학 교양 서적이다. 연휴의 첫날인 금요일부터 욕심을 내어 강신준 교수의 자본의 이해를 읽었다. 자본의 이해는 일요일 까지 욕심으로 다 읽었다. 그러나 외부 손님들이 많이 들락거리는 설에 철학 책은 어울리지도 않을뿐더러 휴대가 불편하다. 오랜 만에 들른 집에서 범우 문고의 작은 문고판 책을 발견했다. 라생문은 익히 어느 강연에서 죽음에 대한 짧은 단편임을 알고 있었으며 도서관에서 단편으로 읽은 기억이 있었으나 그 나생문을 쓴 작가의 단편을 모은 문고 판이 색이 바래 집에 있다니 참으로 이놈의 눈이라는 것이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이 맞지 않은가? 이 문고판 작은 책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어왔다. 누나가 아주 오래전에 사놓은 책이다.

어찌 되었든 라생문은 건너뛰고 수 페이지 분량의 짧은 단편들은 하나씩 읽어 갔다.

설날 큰집엘 가면 장가도 안 간 노총각에 대한 눈총이 예삿일이 아니다. 그럴라 치면 어느 곳에서 어떤 포즈로 있어야 할 지 안절부절 해진다. 큰집 작은방 한 구석에 둥지를 틀고 손바닥 만 한 문고판을 펼쳐들고 라생문을 건너뛰고 코라는 단편 소설부터 읽기 시작했다.

작가의 뛰어난 상상력~ 큰 코를 가진 스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을 드러낸다. 학교도 들어가지 않은 조카들에게 둘러싸여 피식 피식 웃으며 책을 넘긴다.

두자춘, 밀차, 덤불속을 읽으면서 이외수가 생각났다. 그래도 이외수는 상상력이 현실과 동떨어진 다른 세계 속에서 펼쳐지는 것이지만 류노스케의 소설은 현실에 굳건히 발을 딪고 있다. 간결한 문체와 속도 있는 이야기 전개는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다.


세 번이나 부자로 살았지만 인간에 대한 실망으로 귀농한 두자춘 그리고 이를 일깨운 모성의 이야기, 밀차를 타고 싶은 소년의 호기심과 낯선 곳을 향하는 두려움을 생생하게 그린 밀차, 덤불속 죽음을 둘러싸고 보여주는 각자의 다채로운 진술이 황당한 덤불속, 그리고 마지막, 지옥 병풍을 그리는 화가 요시히데의 이야기인 지옥변, 모두 대단한 작품들이다.


36세의 나이로 신경쇠약에 빠져 자살을 한 작가 류노스케~

지옥병풍을 그리라는 영주의 명을 받은 요시히데는 지옥의 모습을 그리기 위해 괴상망측한 일을 다한다. 자기가 직접 보고서야 그릴 수 있다며 지옥을 현실에 연출한다. 온갖 악몽에 시달리기도 한다. 아마 요시히데의 악몽이 류노스케에게도 보이지 않았을까?


마지막 지옥의 모습을 그리기 위해 수레 위에서 불에 타 죽은 여인의 모습을 그려야 하지만 그리지 못하고 영주에게 부탁을 한다. 그리고 영주는 그 화가의 딸을 수레에 실어 불을 지른 다음 화가의 눈앞에서 화가에게 지옥의 마지막 모습을 보여주고 화가는 그림을 완성하고 이틀 후 자기의 집에서 생을 마감한다. 지옥 그대로의 모습이다.


얼마 전 있었던 용산 철거민들의 죽음이 떠오른다. 생지옥이 따로 없다. 류노스케는 현실의 생지옥을 본 것일까? 궁금해졌다. 자살이라는 그의 이력이 요시히데의 자살과 일치하는 듯 하다. 작은 한권의 책이 26일 설날 하루를 두근거리게 만들었다.

새 배를 하면서도 음식을 먹으면서도 나는 류노스케의 다음 이야기가 궁금하였다.

오랜만에 본 소설~ 이런 단편은 정말 짱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