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나, 사회주의자/ 서준식

 
나, 사회주의자/ 서준식


험한 세상을 살다보면 때로 몸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꾸며야 할 경우도 있다. 그러나 나는 험한 세상에 가슴을 펴고 나서는 일보다 꾸밈으로써 자신을 보호하는 일이 더 두려울 때가 있다. 꾸밈에 익숙해질 때 그 꾸밈은 어느새 나의 실체가 될 수도 있으며 일상화된 꾸밈 속에서 나의 삶 자체가 위선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이렇게 써놓고 고백하건대 나는 사회주의자다.

어린 시절 나에게는 작은 `커밍아웃(coming-out)' 사건이 있었다. 재일 한국인 2세로 일본에서 태어나 유·소년기를 일본에서 보낸 나는 코흘리개 시절부터 박해받는 소수자로 사는 일의 슬픔을 알았다. 당시 `조선'은 그들의 대화 속에서 모든 열등한 것, 야비한 것, 난폭한 것, 냄새 나는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이다시피 했다. 중학교 3학년, 나는 비겁했던 나의 침묵과 눈치보기를 깨고 수많은 일본인 학우들 앞에서 떨리는 목소리로 내가 `조센징'임을 고백했다. 그 `커밍아웃'은 분명 16살 소년에게 가혹한 시련이었지만 나에게는 그보다 50이 넘은 내가 오늘의 한국사회에서 `사회주의자'임을 고백하는 일은 한층 더 가혹한 시련이라고 느껴진다.

실은 나는 김만제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의 `사회주의' 발언이 나왔을 때 이 고백을 하고 싶었다. 닥치는 대로 `사회주의'로 몰아대는 소리들과 핏대를 세우고 `사회주의'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소리들이 소용돌이쳐 순식간에 집단 히스테리 속으로 빨려 들어갔던 그 때, “너 사회주의자!”라는 말은 사실 거의 아무런 의미도 없는 말이었다. 그것은 `사회주의'라는 언어가 갖는 본래 의미와 아무런 상관없는, 차라리 미운 놈에게 증오와 공포의 이미지를 한꺼번에 뒤집어씌우기 위한 하나의 저열한 욕설에 가까웠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런 광기 속에서 나는 어린 시절의 나보다 더 비겁한 침묵을 지킬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내가 알고 있는 상식으로는 사회주의는 자유·평등이라는 인권의 근본이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근대 시민혁명을 거쳐 인류에게 보편적인 가치로서 제시된 자유·평등 이념은 시민혁명의 귀결인 초기 자본주의국가의 출현과 더불어 `보편적인' 것이 아닌 `재산과 교양 있는 시민'의 전유물로 낙착되었다. 이런 현상을 두고 당연히 당시 `재산과 교양'이 없는 민중들은 “혁명에 대한 배신”이라며 신랄한 비판을 가했으며, 시민혁명의 이념을 완성시키고 보편적인 자유·평등을 이루기 위한 대안적 시스템을 모색하게 되었다. 즉 사적 소유, 시장, 임노동, 이윤 등에 상징되는 시스템 대신에 여러 가지 형태의 협동사회에 대한 모색이 그것이다. 이렇게 시작된 운동이 바로 근대적인 의미의 사회주의운동에 다름이 아니며 따라서 원래 사회주의의 핵심을 이루는 이념은 `보편적 자유·평등'이다. 논리적으로 사적 소유, 시장, 임노동, 이윤으로 상징되는 시스템 내에서 `보편적 자유와 평등'의 이념이 실현되지 않는 이상 온갖 종류의 사회주의적 희망은 지구상에서 사라질 수가 없게 돼 있는 것이다. 그래서 사회주의자는 언제나 실패해도 역사 속에서 다시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날 사회주의를 꿈꾼다.

많은 종류의 소수자가 그렇듯이, 예를 들어 이국에서 차별과 싸우며 살아가는 16살 소년이 그렇듯이, `자유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자유와 인권을 억압당하는 50대 인권운동가도 한 사회의 지배구조 속에서 그 사회의 폭력성과 불합리함을 그 몸으로 직접 보여주는 억압정치의 피해자이다. 모든 소수자의 `커밍아웃'이 역사적으로 정당했듯이 나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주의자'임을 고백하는 나의 행동이 최소한 병든 사회의 광기에 맞서는 자유로운 인간의 책임 있는 행동이라고 믿고 싶다.

누가 이렇게 묻는다. “너 사회주의자냐?”. 나는 대답한다. 자연스럽게, 담담하게 그리고 어깨에 힘을 빼고 “그래, 나 사회주의자”. 이런 사회가 빨리 오기를 소망한다.

서준식/인권운동사랑방 대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