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좋은 대가리와 나쁜 대가리..

일요일에 학회의 노선배 모친상 문상을 갔다.

거기서 아주 오랜만에 선배 한 분을 반갑게 만났다.

그 선배가 수염도 안 깎은 내 몰골을 보더니만 한마디 하셨다.

- 옛것을 좋아하는가?

- 네 좋아합니다.

그러니까, 이 선배께서 가방에서 무엇을 하나 꺼내어 나에게 건네신다.

책이다.

그러고선

- 너를 보자마자 너와 이 책이 참으로 잘 어울릴 것 같아서 준다.

알라딘에서 일천 원 주고 산 책인데, 소장하려고 산 책이었다.

도서관에서 빌려 읽고 있었는데...

책 이름은 <매월당 김시습>이다. 이문구 선생께서 1992년에 쓰신 역사소설이다.

처음 부분을 읽었는데, 통쾌한 부분이 있어서 옮겨 적어본다.

 

====================================================

 

매월당은 소주 두 종발을 거푸 들이켰다. 안주는 정인지의 소식(정인지가 죽었다는 소식)이었다.

- 좋은 대가리를 좋지 않게 굴리는 것은, 나쁜 대가리를 나쁘게 굴리는 것보다 훨씬 흉악한 법.

선행이 조심성 있는 어조로 곁다리를 들었다.

- 그이는 그래도 다소의 독서와 저작은 있지 않습니까.

매월당은 웃으면서 되묻지 않을 수가 없었다.

- 광에 추수를 모두 쟁여 놓았는데 쥐란 놈이 벽에 구멍을 내고 드나들면, 그 쥐구멍이 광의 통풍을 돕게 되니 다소의 득도 없지 않다는 말이것다.

선행은 점직스러운지 입을 다물었다.

매월당은 따라 놓은 잔을 비우고 나서 애써 성미를 누그려가지고 말했다.

- 인지는 그 다소의 독서와 저작으로 인하여 그 동안 쌓아올린 악이 더욱 돋보이게 될 것이니, 광에 뚫어 놓은 쥐구멍도 공덕이 전혀 없다고는 못하겠구나.

매월당은 취기가 오른 뒤에도 어조에는 높낮이를 두지 않았다.

- 대저 사람이 산에 오르면 먼저 그 높은 것을 배우려고 할 줄 알아야 하느니. 또 물을 만나면 그 맑음을 배울 걸 먼저 생각하고, 돌에 않으면 그 굳음을 배울 걸 생각하며, 소나무를 보게 되면 그 푸름을 배울 걸 생각하고, 달과 마주하게 되면 그 밝음을 먼저 배울 걸 생각하는 태도가 바로 대가리를 제대로 굴릴 줄 아는 자의 모습이니라. 허나 장차는 저 인지를 따라가서 대가리를 제대로 굴리려는 자가 매우 드물 터인즉, 두고 보면 알려니와 필경 산에 오르면 먼저 그 편한 길부터 알고자 기웃거리게 되리. 또 물을 만나면 그 흐름에 얹힐 꾀를 궁리하게 되고, 돌에 앉으면 그 차가움부터 생각하게 되며, 소나무를 보면 그 오래 사는 수를 생각하게 되고, 달을 마주하면 그 은밀함을 생각하게 되어, 좋은 대가리를 좋지 않게 굴리려는 자가 비온 물꼬에 송사리 몰리듯이 꿇을 터이니, 이것이 무엇인고. 이것이 장차 이 백성들에게 뿌리 내릴 불운의 싹이 아니겠느냐.

선행은 저만치에서도 들리게끔 숨을 내리쉬었다.

 

============================================================

<<매월당 김시습>>, 이문구 씀, 문이당, 1992, 30~1쪽에서 발췌

 

나는 좋은 대가리일까... 아니면 나쁜 대가리일가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