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날, 남한강을 따라 걷는 길, 단양 매포 평동에서 가곡 향산까지(2006년 11월 5일)
 
아침 날씨가 공기부터 다르다. 요 며칠 사이 쌀쌀해졌다는 느낌이었는데 여기 와서야 실감한다. 나름 옷가지에 신경을 쓰긴 했지만 내일과 모래 사이에 비가 한차례 오고 나면 기온이 영하로 내려간다는 일기예보에 자꾸만 신경이 쓰인다. 9월, 10월 좋은 날씨 다 보내고 뒤늦게 길을 걷자니 당연 감수해야 할 몫이다.
 
단양팔경의 제1경이라는 도담삼봉에 당도하니 햇살이 많이 퍼져서인지, 바람이 잦아들어서인지 다행히 춥지는 않다. 삼봉을 배경으로 멋쩍은 우편엽서 사진 한 장 박고, 된장국으로 늦은 아침을 해결하니 한결 몸이 녹는다.
 
<어찌나 물이 맑던지.....사진으로 다 온전히 드러나지 않아 아쉽기만 하다>
 
단양읍을 지나 고수대교를 건너니 고수동굴이 지척이다. 당초 오늘 말고 내일 인근에 있는 고씨동굴을 구경할까 했지만 그래도 이름난 곳을 둘러보는 게 제대로 된 동굴구경이 아닌가 싶어 잠시 관광안내소에서 쉬었다 동굴 구경에 나서는데.
 
이런, 동굴 입구 주차장에 가득한 관광버스부터 매표소 앞에 죽 늘어선 사람들의 행렬에 꽤나 복작복작할 거라 예상은 했어도, 이리 많은 줄이야. 난생 처음 보는 굴 구경인지라 잔뜩 기대하고 들어섰는데 이거야 원, 뭘 구경하러 들어왔는지 모를 정도다.
 
하지만 어쩌겠나. 사람들에 밀려 대충대충 눈도장 찍듯 석주며, 석순 등을 구경하는데 그래도 볼만한 곳 여러 군데를 지나고 나니 조금은 여유 있게 둘러볼 수 있을 만큼 사람 숫자가 준다. 다행이다. 빙글빙글 한없을 것만 같이 돌아서는 계단을 오르기도 하고, 다시 거꾸로 한없을 것만 같이 아래로 돌아서는 계단을 내려오기도 하며 구경을 하고 나니 한 시간이 훌쩍이다. 초장에 설렁설렁 구경해서 다행이지 안 그랬으면 두 시간도 모자랐을 거다.
 
동굴구경을 마치고 길을 나서니 아침과는 달리 찬바람이 쌩쌩 부는 게 입동을 앞두고 매서운 겨울 날씨를 맛보게 하려는 듯하다. 게다가 생각지도 않았던 고갯길이 나타나 길을 걷기가 무척 힘이 부친다. 동굴이 근처여서인지 고개 이름도 고수령이다. 영월까지 44km라는 간판이 보이기는 한데 긴 내리막길이 발밑이어서 걷기엔 수월하다.
 
<첫날 머물렀던 향산 조금 못 미친 곳에서 만났던 강변 갈대 숲>
 
단양에서부터 이어지는 59번 국도는 며칠 전 모 일간지에 ‘멀미 날 낙엽 길’로 선정되었던 길인데, 그 기사가 아니어도 울렁울렁 멀미가 일 정도로 길 양옆 낙엽 색깔이 울긋불긋하다. 또 푸른 옥빛의 남한강이 줄곧 길을 따라 흐르고, 그 강을 따라 황금색의 갈대숲이 이어지고 있으니 이는 기사가 놓치고 지나간 아름 풍경이다.
 
당초 구인사며 온달산성 구경을 위해, 그리고 좀 전의 신문 글을 따라서, 우리가 오늘 머물게 된 향산 조금 못 미쳐 595번 지방도로로 갈아타야 하나 시간적으로나 몸 상태로나 가능할 것 같지 않아 아쉽지만 이름만큼이나 흐르는 강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다른 때와는 달리 일찍 자리를 잡는다.
 
둘째 날, 여전히 남한강을 따라, 단양 가곡 향산에서 영월까지(2006년 11월 6일)
 
5분만 가면 아침 먹을 만한 곳이 있다고 하던데 아니나 다를까 길을 나선지 얼마 되지 않아 맛난 된장국에 밥 한술 말아먹을 수 있는 곳이 있어 다행이다. 밥 대신 라면과 과자부스러기로 저녁을 때워서인지 뱃속이 무척 허해 아침은 제대로 먹어야지 하며 조금은 걱정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행복은 잠시, 맛난 밥에 커피까지 한 잔 얻어 먹도 길을 나선지 얼마 되지 않아 한두 방울 떨어지기 시작한 빗줄기가 군간교 삼거리를 지나면서는 많이 굵어진다. 또 지난 여름 수해로 여기저기 상처 난 길들을 메우기 위해 질주하는 덤프트럭들로 길을 걷는 게 여간 곤혹스러운 게 아니다. 하늘에서 내려오는 빗방울이야 비옷으로 어찌 해보겠는데 질주하는 차들이 뿌리고 가는 흙탕물을 피하느라 그렇다.
 
결국 영춘면에 들어서서는 얼굴에 철판 깔고 면사무소 안으로 들어간다. 출발할 때보다 더 거세진 빗줄기도 빗줄기이지만 비옷에도 불구하고 조금씩 젖어들기 시작한 옷들에서 물이 뚝뚝 떨어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번듯한 면사무소지만 한적하기 이를 데 없어 눈치 볼 필요 없다.
 
생각지도 않았던 비 때문에 두 시간을 허비했다. 해서 발걸음을 빨리 해야 할 텐데 먹구름 사이로 간간이 보이는 맑은 가을하늘과 어제부터 우리와 함께 걷고 있는 강줄기와, 낙엽들이 그렇게 하지 못하게 한다. 거추장스러웠던 비옷까지 잠시 벗어들고 이리저리 신나게 뛰어다니며 풍경을 담아내느라 정신없다.
 
 
<잠깐 비가 그친 후 정신없이 걷던 중>
 
열 여섯 번 째 여행 만에 강원도에 들어선다. 이제는 걸어야할 길보다 걸어온 길이 훨씬 많다. 뭔가 자축이라도 해야 할 텐데 그친 듯 했던 빗줄기가 다시 굵어지는 바람에 서둘러 비옷을 다시 꺼내 입고 걸음을 빨리 할 수밖에 없다.
 
고씨동굴은 어제의 고수동굴과는 달리 관광버스 하나 서 있지 않고 사람들도 보이지가 않는다. 마음 같아서는 여유를 부리며 또 동굴구경에 나서고 싶지만 오전에 두 시간 그리고 좀 전에 또 30분 넘게 걷지 못해 아쉽지만 그냥 지날 수밖에 없다.
 
<바로 왼편이 굴인데 쏟아지는 빗줄기에 시간도. 결국 지나치고 말았지만 대신 늦가을 정취를 만끽했다>
 
고씨굴을 지나 한 시간쯤 지났을까. 빗줄기도 빗줄기인데 해가 빨리 지는 걸 생각지 못했다. 다섯 시가 조금 지났는데도 어둑어둑한 게 후레쉬를 꺼내들지 않으면 안 될 지경이다. 지도상으로는 영월읍내에서 발전소가 그리 멀지 않은데, 이젠 한밤중이다. 급한 마음에 발걸음을 빨리 해보지만 질주하는 차량들로 속도는 더디기만 하다. 그렇게 조심조심 더디게 걸어 영월읍내에 당도하니 몸은 파김치에 옷은 다 젖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0 21:19 2010/01/10 21:19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