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은 겨우 집에서 화장실 청소나 식기 세척에 쓰는 정도다. 하지만 그 주된 활용은 당연 농사니 무엇보다 잘 정리해서 알아두어야 한다.   
 
<미생물 자재 활용: E.M>
 
1. E.M 1호:
광합성세균, 유산균, 방선균, 누룩균 등의 복합 배양액으로 옆면살포 시 1,000배액, 관수 시 10a 당 1ℓ로 사용.
 
2. E.M 2호(생리활성촉진제):
천연자재를 원료로 사용해 각종 유용미생물을 배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리활성물질과 효소의 기능을 강화시킨 것으로 E.M 1호나 E.M 3호를 사용할 때 혼합해 사용하면 미생물 배양과 활성도를 촉진.
 
3. E.M 3호(광합성세균):
광합성세균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E.M를 사용할 때 E.M 3호를 1,000배로 가용하면 땅 속의 유해물질은 없애고 중립적 미생물을 유익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힘이 강화.
 
4. E.M 활성액:
- 준비자재: 물 16ℓ(가급적 샘물, 수돗물은 끓여서 염소제거), 당밀 1ℓ(온수로 녹인다), E.M 1호 1ℓ, E.M 2호 1ℓ, E.M 3호 1ℓ(E.M은 35℃ 이상의 뜨거운 물에 혼합되지 않도록 주의)
- 제조(20ℓ 제조 시):
① 10ℓ의 물을 준비한 다음 당밀 1ℓ를 3ℓ의 온수로 녹인 다음 14ℓ의 물을 넣어 흔들어 혼합.
② ①의 홉합액의 수온이 35℃ 정도를 확인한 후 E.M 1호 1ℓ, E.M 2호 2ℓ, E.M 3호 3ℓ를 넣어 혼합한 후 완전 밀폐가 가능한 용기에 넣고 밀폐시킨 후 상온의 실내에 보관.
③ 기온과 관계가 있으나 대략 15030일 전후로 가스가 발생해 용기가 팽창하면 마개를 조심히 틀어 가스를 빼고 다시 밀폐.
④ 완성의 기준은 가스가 발생하지 않았을 시점.
⑤ 양․불량은 코를 찌르는 듯 한 새콤달콤한 향기(사과 썩는 냄새)의 유무로 확인.
⑥ 사용기간은 완성 후 6개월(향기가 없으면 효과가 적음).
⑦ 보관은 창고 같이 어둡고 서늘한 곳, 온도차가 적은 곳(냉장고나 5℃ 이하 장기보관은 불가).
- 활용: 정식 1-2개월 전 발효제(보카시)를 30-100Kg/100평을 살포한 후 활성액을 100배 희석액으로 200-400ℓ/100평 토양살포해 경운, 비닐을 씌워 습도를 유지시키면 E.M이 정착하는 데 도움, 정식(파종) 3-5일 전 E.M 100배 희석액 200-400ℓ/100평을 살포하고 정식 후 활착 시까지 관수 때마다 1,000-5,000배 희석액 관주, 파종 후 7-10일 간격으로 1,000배 희석액 살포.
 
5. E.M 5호:
병해충 발생 예방 목적으로 사용(식물의 신진대사 촉진과 잎의 보호막 강화), 부패균 억제로 저장 시 신선도 유지, 수세 회복과 착색 촉진 효과.
- 제조:
① 20ℓ의 완전 밀폐가 가능한 용기에 10ℓ의 물을 준비한 다음 당밀 2.5ℓ를 3ℓ의 온수로 녹인 후 7ℓ의 물을 넣는다(35℃ 이하).
② ①에 식초(2.5ℓ), 소주(2.5ℓ)를 넣은 다음 잘 흔들어 혼합한 후 E.M 1호(2.5ℓ)를 넣는다.
③ ②의 액을 용기에 넣고 밀폐시킨 후 상온의 실내에 둔다.
④ 20-35℃에서 15-30일 전후로 가스가 발생하면 마개를 열어 가스를 빼고 다시 밀폐한다.
⑤ 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면 완성.
⑥ 어둡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며 향긋한 냄새가 있을 때만 효과가 있으므로 향기가 없거나 산화한 경우에는 묽게 희석해 식물 뿌리에 관주하거나 다른 비료와 혼합해 토양에 사용.
- 활용: 표준 희석 배율은 1,000배이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서서히 농도를 올려 500배 정도까지 사용, 관주 시에는 비온 후에는 진하게 건조 시에는 묽게 한다.
 
6. 그 외:
보카시, 방선균, 납두균(바실러스), 광합성세균, 생선 아미노산 액비, 청초 액비, 우유 발효액(유산균 배양액), 골분 액비, 마늘 목초액, 과일 식초, 천연칼슘, 깻묵 액비, M.P.K, 발효퇴비, 규산 등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4/20 16:07 2014/04/20 16:07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