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
얼마간 차이는 있겠습니다. 하지만 오일정점에 이미 도달했다거나, 지금은 경제성이 떨어져 파내지 못하지만 기술발전을 고려하면 아직은 남았다 하더라도 말입니다. 화석연료가 고갈된다는 점은 바꿀 수 없는 사실입니다. 석유는 물론이고 석탄, 천연가스가 공기나 물과 다른 점은 바로 무한정 퍼낼 수 있는 게 아니란 얘기지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런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처럼 또는 애써 외면합니다. 인류 역사상 이처럼 안락하고 쾌적한 삶을 살았던 적이 있었을까요. 이들은 우리 후손들은 물론이거니와 자원을 갖고 있으면서도 정작 쓰지 못하는 동시대 사람들까지. 화석연료를 태움으로써 발생하는 지구온난화 문제 또한 안중에도 없습니다.
 
2.
도시화는 어느 시대, 사회에서나 있어왔습니다. 인류 문명 발상지로부터 시작해 알렉산드리아(이집트), 테오티와칸(마야제국), 캄베이(인도 구자랏 왕국)와 같은 고대 국가 도시들은 물론 베이징(중국), 볼로냐(이탈리아), 페즈(모로코)와 같은 근대 도시들까지 말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멀리 신라의 수도였던 서라벌만 해도 기와집이 18만 여 채가 있었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산업화 이후의 인류 문명이 이전과는 확연이 다르듯 산업화 이후의 도시화 역시 이전과는 속도나 규모면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로마제국의 중심지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보통 ‘콘스탄티노플’이라 부름)는 대략 14㎢(여의도보다 4.8배가 큼)에 40-50만 인구가 있었다고 하니, 지금으로 따지자면 겨우 우리나라의 중.소 도시 정도 쯤 되려나요.
 
3.
어느 도시들이나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필수적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식량과 물뿐만 아니라 거주할 집과 입을 옷 등을 만들기 위해서이지요. 하지만 산업화 이후 생겨난 거대도시들은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체계가 필요합니다. 자급자족은커녕 가까운 지역에서 조달하는 것조차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즉, 이전과는 달리 소비하는 거의 모든 것들을 다른 곳에서 만들어 가져와야 하는데, 이는 엄청난 양의 화석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또한 메트로폴리스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24시간 꺼지지 않는 불빛과 거리마다 빼곡히 들어찬 자동차 역시 화석연료 체계에서나 가능한 얘깁니다.
 
4.
<태양도시, 에너지를 바꿔 삶을 바꾸다>는 일전에 소개했던 <아톰의 시대에서 코난의 시대로>와 같이 글쓴이가 ‘기자’입니다. 그 덕에 ‘화석연료’ 도시의 문제점과 태양도시로의 전환에 대해 쉽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또 세계 각국의 태양도시들, 프라이부르크, 에테보리, 칼룬보르, 기타큐슈 등을 차례로 둘러보며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에너지를 바꿔 삶을 바꾸자는 건데요, 매우 실천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이 책 역시 맨 뒷머리에 추천 도서들과 웹사이트들을 소개하고 있어 더 깊은 고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 합치면 꽤나 많은데요. 모르겠습니다만, 앞서 소개한 책 속의 추천도서와 함께 다 읽고 나면. 두 ‘기자’들을 뛰어넘는 에너지 전문가가 될 것도 같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6/14 16:35 2015/06/14 16:35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