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여섯 번째 여행 - 영화제를 사수하라!(2018년 9월 1일)

 

어쩌다보니, 아니 낮에 영화제를 가려니 땡볕에 걷을 수밖에 없다. 느긋이 점심까지 먹고 차를 탔다면 좀 늦게 돌아와서 그렇지 땀은 덜 흘릴텐데. 1년에 한번, 영화제라고는 정동진에서 하는 것 빼곤 이번 기회를 놓치면 영영 없으니. 하기야 극장이라야 멀티플렉스빼곤 독립영화전문극장이 전부니 언감생심 영화제는 무슨. 그러니 10년 넘게 장애인인권영화제를 여는 것만도 대단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처럼 맞은 한가한 휴일 아침이 해서 소란하다. 눈뜨자마자 빵 한 조각 집어먹고 머리감고 옷 갈아입고. 평소 1시간도 넘게 걸리던 일들이 30분 만에 끝. 그래도 그 부산함 덕에 일찍 호산에 도착했다. 11시. 마음이 급하니 밥 먹는 것도 서두른다. 눈에 보이는 데로 중국집으로 직행. 허겁지겁. 먹는 게 아니라 우겨넣고 있다.

 

날이 너무 좋은 게 문제라면 문제랄까. 파란 하늘과 솜사탕 같은 구름은 보기엔 좋지만 피부엔 쥐약. 썬크림 잔득 바르고 모자로는 모자라 수건으로 얼굴을 꽁꽁 싸매니 이 좋은 날에 뭐하는 짓인가 싶지만. 햇살에 반짝반짝, 호산천과 기곡천을 잇달아 건너고, 파랗다 못해 옥빛으로 빛나는 바다를 옆에 끼고 걸으니. 강도 바다도 이리 좋을 수가 없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만 해파랑길이 바닷길로만 쭉 이어진 것이 아닌 탓에 이번에도 절반만 해파랑길을 따라 걷게 돼 아쉽다. 하지만 예쁜 월천해수욕장도 만나고 미역으로 이름 난 고포항도 오롯이 둘러보고. 이것도 꽤 괜찮다. 그리고 돌이켜보면 동해안 걷기는 해파랑길이 생기기 전부터 시작했던 것이니. 온전히 다 걷는다는 것도 큰 의미는 없다.

 

하얀 담길에 아기자기한 그림이 예쁜 고포마을에서는 버스정류장 그늘에서 한참을 쉬어간다. 늦어도 3시전에는 부구에 도착해야 영화제 끝부분이라도 볼 수 있으니 마음은 급하지만. 지도를 보니 예서부터는 오르막길이기도 하고 여태 해를 보고 걸었더니 땀도 나서다. 목도 축이고 마을이며 해변까지 두루두루 둘러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르막길 끝 어수선한 쓰레기 처리장까지 뛰다시피 지나고나니 곧 내리막이다. 거꾸로 자전거로 올라오는 이들이 있어 갓길을 내줘야 하니 차를 피해 섰다 가다 할 수밖에 없는데. 자전거 일주 도로와 걷는 길이 겹치는 부분은 꼭 이렇다. 다행이 갓길도 넓고 차도 많지 않아 빗겨가기 쉽지. 꼬부랑길이라도 되면 그게 또 여간 신경 쓰이는 곳이 아닐 수 없다.

 

가까이 핵발전소 돔이 보이는 곳인데도 바다에서 뭘 잡는 사람도 있고 아이들도 물장구를 치고 있다. 괜한 걱정을 하는 걸까. 그 모습이 하등 좋아보이질 않는다. 곳곳에 서 있는 송전탑으로도 늘어선 콘크리트 건물들로도 위험은 감지되지 않는 듯. 눈에 보이지 않고 냄새도 없으니 그럴 터인데 따뜻한 수온 덕에 낚시만 잘 되는 걸까.

 

터미널에 도착하니 강릉 가는 버스는 5시가 넘어서야 있다. 하는 수 없다. 시내버스타고 울진가서 갈아타야한다. 그래도 시간이 딱딱 맞았고 동해는 무슨 일인지 서지도 않아 늦진 않을 듯. 하지만 오랜만에 걸어서일까, 땡볕에 걸어서일까. 차에서 내내 곯아떨어졌는데도 피곤하다. 아무래도 오늘은 영 틀린 것 같다. 아침부터 그리 부산을 떨었건만. 영화제 사수는 물 건너갔다.

 

* 스물여섯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호산터미널에서 핵발전소가 있는 부구까지 바닷길을 따라 약 10km.  

 

* 가고, 오고

부구에서 강릉은 오후 시간에 차가 별로 없으니 꼭 확인해야 한다. 안 그러면 울진을 거쳐 오는 수밖에 없다.

 

* 잠잘 곳, 먹을 곳

출발지와 도착지를 빼곤 여름 한 철 장사하는 곳밖에 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4/06/25 13:26 2024/06/25 13:26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641